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송국리취락 ‘특수공간’ 의 구조와 성격 : 大形 掘立柱建物을 중심으로

        鄭治泳 한국청동기학회 2009 한국청동기학보 Vol.4 No.-

        송국리유적의 남서쪽에 해당하는 54지구는 1974년 이래 가장 집중적인 조사가 이루어진 지역이다. 특히 서쪽으로 뻗은 舌狀의 구릉성 대지는 주변조망이 용이한 곳인데, 삭토와 성토공사로 대지를 정지, 확장한 후 목책을 설치한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런데, 최근 시행된 조사를 통하여, 목책으로 인식되었던 주열의 성격이 대형 굴립주건물로 판명되었고 이를 중심으로 하는 특수한 구획시설의 존재도 확인되었다. 이 시설은 대지의 북동쪽과 남동쪽에 각각 11x1칸의 대형 굴립주건물을 배치하고 건물의 주위와 대지의 서쪽을 견고한 鬱柵으로 둘러싼 특이한 구조를 띠고 있다. 건물을 둘러싼 울책의 내외에 前庭과 廣場을 두고 망루로 추정되는 주혈군과 1x1칸의 굴립주건물을 배치하였다. 이러한 구조는 이 공간이 취락 내에서 특별히 구별된 공간으로서 격리·보호·방어적 성격과 함께 공공 집회를 염두에 둔 광장적 성격을 동시에 갖고 있음을 시사한다. 송국리 취락이 수전 농경을 기반으로 형성된 취락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대형 굴립주건물은 곡물을 저장, 보관하는 고상창고였을 가능성이 높으며 이와 함께 농경과 관련한 의례행위도 함께 행해졌던 것으로 추정된다. 즉, 송국리취락의 특수공간은 생산물의 저장·관리공간인 동시에 의례공간으로 판단 된다. The Songgug-ni assemblage, which is representative of the Late Bronze Age in Korea, takes itsname from the site of Songgug-ni, in Buyeo. Since its discovery in 1974, 12 seasons of excavationhave been carried out at the site, but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has yet to be achieved.The 'special area', consisting of pile buildings and a fence structure, which was discovered dur-ing the most recent season of excavation is therefore of great significance.Square, rectangular and round houses were also identified during excavation, but they do notappear to have been contemporary to the special area. This area is thought to have prepared for storage of crops and agricultural ritual, therefore canbe considered as space of ritual and of management in Songgug-ni settlement. The fact that a round house was found intruding into the special area indicates that the latterpredated the former, and provides crucial information regarding the temporal position of this'special area'.

      • KCI등재

        백제 웅진기 塼築技術의 형성과 전개

        정치영 중앙문화재연구원 2015 중앙고고연구 Vol.0 No.17

        백제 웅진기의 벽돌 및 塼築技術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전실분에 집중되어 왔다. 반면 지상건 축의 벽돌에 대한 연구는 1970년대 초의 연구 이후에는 진전이 거의 없는 상태이다. 熊津이 백제 사의 과도기에 해당하는 시점의 都城이었음을 감안하면 왕궁과 관부 등 도성의 핵심시설의 건축 양상을 파악하는데 벽돌은 매우 중요한 유물임은 재론의 여지가 없다. 백제 웅진기의 지상건축에 사용된 벽돌은 성형틀의 사용 등 제작기법상에서 한성기와 연속적 인 측면이 있다. 타날공정 여부가 아직 분명치 않지만, 사비기 벽돌에서 타날기법이 확인되는 만 큼 웅진기의 일반 벽돌 제작시에도 타날 공정이 시행되었을 것이라는 추정은 가능하다. 웅진기 전축문화의 최대 특징은 전실분의 축조라 할 수 있으며, 중국 남조, 구체적으로는 齊· 梁代의 전축기술이 직수입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은 전실분 축조에 국한되지 않고, 전곽분과 부분전축 석실분 등 재지의 묘제에 응용되었다. 다른 한편 남조계의 전축기술은 일반 건축에도 채용되었다. 대통사지의 창건에는 백제 재지의 전축술과 함께 전축 우물이 시사하 는 바와 같이 남조 공인의 기술적 협력이 수반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성기의 기술적 전통과 남조에서 전실분과 함께 도입한 전축기술이 융합하여 형성된 웅진기 의 전축문화는 능산리고분군에서 보이는 묘제상의 변화와 함께 사비기의 군수리사지, 밤골사지 의 전축기단, 외리 유적의 부전시설 등 일반 건축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 이러한 동향은 결국 사 비도성의 창건과 새로운 묘제 형성의 자양분이 되었던 것이다. Studies on brick architecture of Ungin period of Baekje has been concentrated on brick chamber tombs. Otherwise those on ground structures are at a standstill since early 1970s. In Ungin period, bricks were made with mould, what has handed down from Hanseong period, the former term of Baekje. Hence most distinct character of brick architectural culture of Ungjin period was the beginning of constructing brick chamber tombs, which had imported fron Southern Dynasties, China, especially Liang Dynasty(梁). Architects of Ungjin Capital applied the technique not only to build tombs but also to ground structures. They could establish characteristic technique of brick architecture of Ungjin period. And it was, in result, used to be nutritious elements of constructing Sabi-doseong, the new Capital City.

      • KCI등재

        A Case of Synchronous Lung Adenocarcinoma and Extranodal Marginal Zone B-Cell Lymphoma of Mucosa-Associated Lymphoid Tissue (MALT) Type

        정치영,권건영 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 2012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73 No.1

        Extranodal marginal zone B-cell lymphoma of mucosa-associated lymphoid tissue type (extranodal MZL) is a distinct subgroup of non-Hodgkin's lymphoma. Pulmonary extranodal MZL is a rare entity and accounts for less than 0.5% of primary pulmonary malignancies. Only a few cases of simultaneous occurrence of lung cancer and pulmonary extranodal MZL have been reported. A 60-year-old woman was referred to our hospital with a pulmonary nodule. She was diagnosed with lung adenocarcinoma by percutaneous needle biopsy. The protrusions into the left main bronchus were found by accident while performing bronchoscopy during lung cancer evaluation. The bronchial lesions were diagnosed as extranodal MZL. Although the patient underwent surgical resection for the lung adenocarcinoma, the pulmonary extranodal MZL was left untreated; it was monitored during follow-up visits.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synchronous lung adenocarcinoma and primary extranodal MZL of the main bronchus.

      • KCI등재

        백제 전축묘 벽돌의 생산과 유통에 대한 연구 - 고고학과 보존과학의 학제간 연구-

        정치영,장성윤 백제학회 2018 백제학보 Vol.0 No.2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patterns of bricks used in Baekje brick tombs by collaboration between archeology and conservation sciences. Along with the previous analysis of the 23 bricks from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Songsari tomb complex; and Jeongdong-ri site which inferred to be the producing site of their bricks, archaeological and scientific analysis of four bricks from Jeongdong-ri site and Gyochon-ri site were carried out, finally comparing the results and summarize. In the archaeological study, brick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The First(class A) shows lotus-flower pattern and letters and used in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Songsanri tomb complex, Jeongdong-ri, and Gyochon-ri(G-1). The second (class B) are Bricks with no pattern and belong to the Songsanri tomb complex and Gyochon-ri (G-2,3). Material scientific analysis on the bricks also showed the physical, mineralog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correspond to the two groups classified by archaeological studies. In other words, the two groups classified by archaeological study showed differences in color, refinement of raw materials, and firing temperature.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indicated two meanings. First, two types of bricks are produced at Jeongdong-ri district A and another kiln, and may have been supplied to Gyochon-ri and Songsan-ri respectively. Second, the bricks from the Gyochon-ri brick tombs were reused in Songsan-ri tomb complex as the Garube Zion(輕部慈恩) suggests. 본고는 고고학과 보존과학 분야의 협업으로 백제 전축묘 벽돌의 생산과 유통 양상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행한 연구 결과이다. 무령왕릉과 송산리고분군 및 그 벽돌의 생산지로 지목되고 있는 부여 정동리유적의 벽돌 23점에 대한 기왕의 분석 성과에 더하여 정동리유적과 공주 교촌리고분군에서 지표수습한 벽돌 4점에 대한 고고학 및 보존과학적 분석을 실행하여 얻은 결과를 비교하고 논점을 정리하는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시료에 대한 고고학적 분석 결과, 벽돌은 두 부류로 분류되었다. 첫째(A류)는 연화문과 명문을 표지로 하는 벽돌로서, 무령왕릉과 송산리고분군 6호분, 기타 송산리고분군 출토품, 정동리유적 출토품 및 교촌리고분군 출토 벽돌 1점이 이에 해당된다. 둘째(B류)는 무문 벽돌로서, 송산리고분군 기타 출토품 대부분과 교촌리 벽돌 2, 3이 이에 속하였다. 이 두 부류는 과학적 분석 결과, 물리적, 광물학적, 화학적 특성이 상호 근접한 개체로 분류된 두 그룹과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다. 즉 고고학적으로 분류된 두 부류의 벽돌은 색조, 태토의 조성과 정선도, 소성온도에서도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파악된 것이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두 가지의 의미를 가리킨다. 첫째, 두 부류 벽돌이 정동리 요지의 서로 다른 가마, 또는 정동리 및 다른 마을에서 생산되어 교촌리와 송산리에 각각 공급되었을 가능성이다. 둘째, 가루베 지온(輕部慈恩)이 제기한 대로 교촌리 전실묘의 벽돌이 송산리에서 재활용되었을 수 있다는 점이다. 본 연구로 정동리, 송산리, 교촌리 등 전실묘 관련 유적의 연결고리에 대한 실마리는 확보된 셈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