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大田地域 朝鮮時代 竪穴住居址에 대한 一硏究

        吳焌赫 중앙문화재연구원 2008 중앙고고연구 Vol.0 No.4

        촌락은 전통적 생활공동체의 최소단위로 국가의 지배체계가 미치는 말단의 행정단위이다. 촌락 내에는 양반·상민·천민 등 다양한 구성원이 함께 거주하며, 家垈의 크기와 집의 間數, 장식 등을 나라에서 계급별로 한정하는 강한 家舍規制의 체계 내에 있었다. 고고학적으로 조사·보고된 조선시대 수혈주거지는 家舍規制에서 제외된 주거형태로 동시기의 기와집이나 초가집과 같은 일반적인 거주지와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수혈주거는 家舍規制에서 다루어지지 않을 정도로 역사에서 배재되어 있었으나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어 실생활에서 유용하게 활용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게 한다. 하지만 조선시대 수혈주거지는 평면형태나 구조에서 규칙성이나 규격성은 확인되지 않는다. 또한 이전시기에 비해 복잡해진 사회상을 고려한다면 주거지의 내부공간이 너무 협소하다. 상부구조를 이루는 주혈은 확인되지 않거나 정형성을 띠고 있지 않으며, 공통적으로 확인되는 아궁이는 난방과 취사에 부적합한 형태를 하고 있다. 이러한 수혈주거지로서의 구조적 취약성은 상면에서 온돌이 확인된 타지역의 주거지 사례를 통해 독립적으로 사용된 것이 아니라 상면의 온돌과 함께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평지에서 확인된 수혈주거지와 대전지역과 같이 구릉지에서 확인되는 수혈주거지의 아궁이 형태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것은 상면으로 열전달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한 구조로 판단되며, 지형적인 요인으로 인해 평지에 입지한 수혈주거지 상면의 온돌구조가 양호하게 잔존한 것으로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릉지의 사면에서 확인된 대전지역 조선시대 수혈주거지 중 아궁이 시설만 확인되는 경우 문헌에서 보이는 온돌구조의 일부로 이해할 수 있으며, 잔존상태는 상부 고래부가 유실된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을 것이다. A village is a minimal unit of traditional residential community, and it is also a terminal administrative unit controlledby central government. During the Joseon Period, noblemen, commoners, and the humble resided altogether within the village, but there was rigid regulation to limit size of residence to the social class. Unlike other contemporary houses such as thatched cottages and tile-roofed houses under regulation of house size, semi-subterranean houses of the Joseon Period, archaeologically investigated and reported, seem to be out of the size regulation. Even though semi-subterranean houses were not a matter of concern and even out of the house regulation during the Joseon Period, they seem to have been useful enough in actual life to be distributed in the whole peninsular during the period. They do not display any regularity or standard in structure and shape of plan and considering social complexity of that period, inner space of the houses seems to be too small. Also, postholes to support upper structure are not identified or donot display regularity, and fireplaces, commonly identified, have inappropriate structure for heating and cooking. Considering houses equipped with the ondol (Korean underfloor heating system) above the fireplace reported from other regions, the fireplace of the houses in Daejeon region seems to have been used with the ondol facility rather than independently. Semi- subterraneanhouses constructed in the flat and hillside display some differences in the structure and formof fireplace, and these differences may be related to effective delivery of heat. Topographically, the ondolfacility of the house constructed in the flat seems to be preserved well. The fireplaces identified from the house in the hillside without the ondol may be understood as a part of the ondol facility of which the upper structure was already missing.

      • KCI등재

        統一新羅時代 竪穴住居址 硏究 -京畿 南部地域을 中心으로-

        李尙馥 중앙문화재연구원 2008 중앙고고연구 Vol.0 No.4

        경기 남부지역에서 조사된 통일신라시대 수혈주거지는 삼국시대보다 발전된 구들시설을 갖추고 있다. 본고는 이 통일신라시대 수혈주거지의 특징과 그 부속시설의 형태를 대상으로 그 변화에 따른 편년을 살펴보았다. 통일신라시대 수혈주거지의 평면형태는 방형과 장방형으로 대별되는데, 방형의 주거지에서 는 ㄱ자형 구들시설, 장방형 주거지에서는 T자형 구들시설이 주로 조성되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특히 T자형 구들시설은 연도부가 있는 고래의 길이가 반대쪽 고래의 길이보다 더 길게 축조되며, ㄱ자형 구들시설은 벽면의 ⅔는 구들시설을 조성한 후 나머지 공간은 출입시설, 저장(수납)공간으로 이용된 것으로 보인다. ㄱ자형 구들시설에서 T자형 구들시설로의 변화는 화성 봉담 수영리유적의 주거지와 와요지, 그리고 청주 비하동유적 출토 연질완을 중심으로 검토한 결과 8세기 중반 이후에 변화가 이루어진 것으로 파악된다. 이러한 변화원인은 삼국통일 시점에 고구려 유민들의 유입에 의해 ㄱ자형 구들시설에 변화를 가져왔고, 이후 경제적 기반의 확충과 지방제도의 완비가 이루어지면서 주거지의 대형화에 수반된 장방형주거지에서의 T자형 구들시설의 출현이다. Semi-subterranean houses of Unified Silla Period investigated in the southern part of Gyeonggi Province are equipped with more advanced gudeul(Korean floor heater) than that of semi-subterranean houses of Three Kingdoms Period.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Semi-subterranean houses of Unified Silla Period, and to attempt relative dating of the houses based on the changes of the accessory facilities. Plan forms of the houses can be divided into square shaped and rectangular shaped ones, and while square houses tend to be equipped with ‘ㄱ’shaped floor heater, rectangular houses tend to be equipped with ‘T’ shaped floor heater. In case of T-shapedfloor heater, the length of heating system with flue part is longer than that of heating system in the other side.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ㄱ-shaped floor heater, two thirds of the wall seem to be allotted for the floor heater, and remaining space for entrance and/or storage facility. Considering houses and roof-tile kilns at Suyeong-ri site in Hwaseong and soft-fired bowls from Biha-dong site in Cheongju, transition from ㄱ-shaped floor heater to T-shaped floor heater might occur no earlier than middle of the 8th centuryAD. This transition was partially influenced by influx of Kogureyo population with the emergence of Unified Silla. In addition, expansion of economic base and completion of local administrative system brought about the appearance of T-shaped floor heater accompanied by larger rectangular houses.

      • KCI등재

        淸州 松節洞 多重溝狀遺構 性格의 試論

        李文炯 중앙문화재연구원 2008 중앙고고연구 Vol.0 No.4

        청주 송절동과 봉명동지역 일대는 無心川邊으로 충적평야와 낮은 구릉성 산지가 형성되어 있어 선사시대에서 역사시대의 많은 유적이 분포하고 있는 지역이다. 특히 원삼국~백제시대에 이르는 대규모 매장유적이 보고된 지역으로 봉명동유적(Ⅳ지구)의 대규모 토광묘는 원삼국시대의 표식적인 유적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분묘를 조성한 집단과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생활유적은 확인되지 않았으며, 일부 한정된 지역에서 구상유구가 확인된 바 있다. 그러나 최근 연접한 송절동지역 일대에서 기존 봉명동유적(Ⅳ지구)에서 보고된 다중구상유구와 연결되는 것으로 추정되는 구상유구가 조사되었다. 보고된 유적을 중심으로 다중구상유구의 범위를 추정해보면 명심산에서 분기한 북쪽 능선을 따라 봉명동-송절동지역까지 연결된 하나의 단일 유구로 판단된다. 송절동 다중구상유구는 능선의 방향을 따라 ‘―’자상의 선상 배치로 3중으로 축조되었으며, 방어적인 기능을 담당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축조시기는 중복된 유구를 토대로 청동기시대 이후에 축조되어 원삼국~백제시대 이전 혹은 거의 동시기에 폐기된 것으로 보이며, 내부에서 소토 등이 공통적으로 확인되는 것으로 보아 의도적인 폐기로 판단된다. 이러한 다중구상유구의 폐기는 송절동 일대의 주거집단 간의 통합에 따른 방어 기능의 상실을 의미하는 것이며, 나아가 통합에 따른 생활공간의 확대를 의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결국 송절동일대 지역은 백제의 본격적인 세력확장과 더불어 기존 지역 주거 집단의 통합과정을 보여주는 자료로 판단된다. A number of archaeological sites dated to prehistoric and historic periods have been reported in the Songjeol-dong and Bongmyeong-dong in Cheongju where alluvial plains and low hills are developedalong the Musim River Valley. In particular, many burials dated to Proto-Three Kingdoms and Baekje periods have been unearthed at Bongmyeong site (District IV), and large pit burials at this site have been regarded as typical ones of the Proto Three Kingdoms Period. Up to now, however, residential sites directly related to the population to construct these burials are not been discovered except a few ditches. Recently, a ditch was found at Songjeol-dong near the Bongmyeong-dong site, and there is quite a possibility that the ditch at Songjeol-dong can be connected to a multi-connected ditch previously found at the Bongmyeong-dong site. According to inference for the range of the multi-connected ditch based on available data, the ditch can be a single feature connected from Bongmyeong-dong to Songjeol-dong along a northern ridge branched from Mt. Myeongsim. According to writer’s interpretation, the multi-connected ditch might be trebly constructed in linear pattern along the direction of the ridge as a defense facility. Based on overlapped features with this ditch, this ditch is considered to be constructed not earlier than Bronze Age and destroyed at one time period between Proto Three Kingdomsand Baekje periods gradually or simultaneously. Fired clay found inside the ditch may imply intentional abandonment. The intentional abandonment of the ditch may also suggest that unificationof residential groups around Songjeol-dong made the function of defense unnecessary and that the unification asked to extend residential space. In conclusion, the ditch around Songjeol-dong may be archaeological data to suggest political expansion of the Baekjealong with unification process of preexisting groups in the region.

      • KCI등재
      • KCI등재

        영남지역 토기가마 구조의 변화양상에 대하여

        이지균 중앙문화재연구원 2007 중앙고고연구 Vol.0 No.3

        영남지역의 토기가마를 소성부의 위치, 소성부의 경사형태, 연소부의 위치, 화구부의 적석 유무 등의 기준으로 가마구조의 형식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가마 구조의 변천과정을 3기로 나누었다. 1기의 가마는 4세기~5세기 초에 걸쳐서 사용되었으며 소위 영남공통양식의 토기를 생산하였다. 가마의 구조적인 특징은 지하식과 반지하식이 혼축되고 가마의 분포는 단독으로 조성된 경우 또는 2~4기가 소규모로 군집되어 있다. 2기의 가마는 5세기대에 걸쳐 신라양식의 토기를 생산하였으며 가마의 구조적인 특징은 일부 지하식이 잔존하지만 대부분 반지하식이 구축되었고 가마의 분포는 1~10기 단위로 군집되어 있으며, 이전에 비해서 어느 정도 대량생산체계를 갖추어 가는 시기로 볼 수 있다. 3기의 가마는 경주와 대구에서 대규모의 유적이 조사되었으며 6세기~7세기 중엽에 걸쳐 사용되었다. 이 시기에는 대규모의 생산체계를 본격적으로 갖추고 다양한 기종의 유물을 대량으로 생산하게 되며 토기가마의 조업이 국가적으로 운영되는 시기이다. 가마의 분포는 수십기의 가마가 군집하고 있으며, 화구의 개폐가 용이한 화구적석요도 이 시기에 대부분 확인된다. Considering all the factors, the kiln of the first term was used for 4~5 th century, manufacturing the so - called earthenware of Kimhae, Busan and Haman Type. And the produced remains were used for an underground receptacle of a coffin with a red stone, for the interment of belongings with a corpse of an underground receptacle of a coffin or for the palace. The feature of the kiln lies in the mixed- construction with the basement type and the semi-basement type, and the inclination shape in a plasticfired part can be seen in the kilns in the remains A of Changnyung Yeocho-ri and the Woogeo-ri Remains in case of type ⅱ, and in the East and in the West of Kyungsang Province, the type ⅰhas the inclination of a straight line type. And the distribution of a kiln shows the case of the make-up independently and the grouping of 2~4 kilns on a small scale. The kiln of the second term was used in the 5th century and made the earthenware in Shilla Styl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kiln structure remains in a basement type partially but most of them were constructed in a semi-basement type, and as the earthenware platform is being excavated, it can be said the mass production system is fitted out comparing to the first term in some degree. Most kilns of the third term were examined around Sonkogdong, the Mulcholro Historical Site, Uksoodong of Dagu and Oksandong Historical Site of Kyungsan, and the remains on a small scale were investigatedin the South of Kyungsang Province. The period of its operation is in concord with the mid of 6~7th century, manufacturing various kinds of remains in bulk. Especially, in the dwelling remains inside the king’s palace in Shilla, the remains of the Mulcholro Historical Site of Sonkogdong are frequently excavated so this can prove that the operation in a kiln was carried out by a state-run.

      • 일제강점기 공주 송산리고분의 조사

        정상기(Jung,Sang-Ki) 중앙문화재연구원 2012 중앙고고연구 Vol.0 No.10

        宋山里古墳群은 공주시 錦城洞에 위치하고 있다. 이 지역에는 발굴된 고분 7기를 포함하여 모두 20여기 이상의 백제고분이 자리잡고 있었는데, 현재는 7기가 복원되어 있다. 1971년 武寧王陵이 발견됨으로써 이 지역이 熊津時代 백제의 왕릉지구였음을 알 수 있게 되었다. 고분은 표고 130m의 宋山을 북쪽의 主山으로 한 남쪽 경사면에 분포되어 있는데, 구릉 윗부분의 1~4호분이 한 그룹을, 그 남쪽사면에 무령왕릉과 5·6호분이 한 그룹을 형성하고 있다. 그 구조는 크게 한성도읍기의 전통을 이어받은 穹窿狀天井을 가진 횡혈식석 실분과 새로이 중국 남조로부터 수용한 전축분으로 대별된다. 이중에 전축분은 무령왕릉과 6호분인데, 처음에 왕묘는 횡혈식석실분이었으나 남조의 영향으로 전축분으로 전환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밖에 서울의 석촌동 적석총과 유사한 方 形 유구가 2기 조사되었으나 구체적인 매장시설이 확인되지 않아 祭壇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이 고분군의 대부분은 일제강점기때 도굴과 발굴조사에 의해 그 존재가 알려졌는데, 발굴보고서가 간행되지 않았거나 疏略하여 그 실상을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다. 하지만 현 재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유리건판 38,000여매 중에서 송산리고분군의 1920 ~1930년대 모습을 담은 80여매와 『昭和二年度古蹟調査報告』, 2002년 간행된 有光敎一 등의 『朝鮮古蹟硏究會遺稿』Ⅱ권, 輕部慈恩의 『考古學雜誌』에 수록된 「公州に於ける百濟 古墳」 논문 등을 참고하면 일제강점기 송산리고분군의 대략적인 모습을 파악할 수 있다. 웅진 백제시대 최초의 벽돌무덤으로 알려진 송산리 6호분과 지금은 사라진 송산리 29호 분의 자료들이 확인된다. 약 80여매의 유리건판 중 상태가 불량한 것과 능산리고분군 관련 자료를 잘못 판단한 것을 제외하면 총 72매의 송산리고분군 관련 유리건판이 확인되었다. 이를 고분군 별로 확인하여 보면 제1호분 건판이 12매, 제5호분 건판이 9매, 제6호분 건판이 18매, 제29호 분 건판이 31매, 기타 송산리고분 출토 유물 2매 등이다. 제1호분 건판은 1927년 촬영되 었는데, 연도와 배수구 모습, 천정모습, 도랑모습과 함께 출토 유물로 허리띠 장식과 영락 장식품, 철정 등 철기류들의 모습이 확인된다. 제5호분은 1927년 촬영되었는데, 遺構인 연도와 배수로 위주로 촬영되어 있다. 제6호분은 전축분으로 일찍부터 네 벽에 표현된 사 신도로 유명하였는데, 벽면의 사신도와 함께 전축분의 발굴모습, 각 벽면과 고분내의 전 돌 모습 등이 비교적 자세히 촬영되어 있다. 제6호분은 1932년 가루베지온(輕部慈恩)에 의해 확인되었으나, 정식 조사는 1933년 조선총독부박물관에 의해 실시되었다. 그러므로 벽돌무덤인 제6호분 관련 유리건판은 조사를 실시한 1933년 촬영된 것으로 판단된다. 제29호분은 발굴 조사전의 모습과 함께 조사 진행과정, 석실의 내부 모습과 함께 연도와 배수구 모습 등이 자세히 촬영되어 있는데, 이는 1933년 조사 당시에 자료들을 촬영했 기 때문인 것 같다. 이상으로 일제강점기의 공주 송산리고분군의 모습과 발굴경과 등을 간단히 알아보았다. 지금은 송산리고분군에 7기의 고분이 복원되어 있지만 일제강점기만 하더라도 송산리 고분군에는 약 20여기의 고분들이 산재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송산리고분군 중 29호분의 경우에는 학술적으로 조사되어 많은 자료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원래 고분이 소 재하던 현재의 송산리 6호분 부근에서는 흔적도 확인할 수 없다. 일제강점기에 발굴되어 현재 국립공주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는 전 공주 송산리고분 출토유물들은 대부분이 송산 리고분군에서 출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일제강점기에 수많은 도굴과 일본인에 의해 발굴되었으나, 보고서 미발간과 소략한 보고로 인해 송산리고분군에 대한 정보가 매우 부족한 현실에서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는 약 80여매의 유리건판은 송산리고분군 중 제1·5·6·29호분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일제강점기 여러 자료와 유리건판에서 확인된 중요한 자료를 소개하여 웅진 백제시대 고분문화에 대한 실질적인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고자한다. Songsan-ri Tumulus is located in Geumseong-myeon, Gongju. In this area there are more than Baekje tombs including the 7 excavated tombs. As of now, a total of 7 tombs are restored. When the Tomb of King Muryeong was discovered in 1971, it was revealed that this area was a royal tomb district in the age of Woongjin. The tombs are located on the south slope of Mt. Songsan with a altitude of 130m, the main mountain to the north. Tombs No. 1~4 on the upper part of the hill form a group, and the Tomb of King Muryeong and toms No. 5 and 6 further south form another group. Their structure is largely divided into the tunnel-entrance stone chamber tombs with a vault, which inherited the tradition of the Hanseong Period, and the brick chamber tombs fresh from the Southern Dynasties of China. Among them, the Tomb of King Muryeong and tomb No. 6 are brick chamber tombs. At first, royal tombs were tunnel-entrance stone chamber tombs with a vault, but under the influence of Southern Dynasties of China, they changed to brick chamber tombs. In addition, two square-shaped historical relics, resembling the stone-mound toms in Seokchon-dong, Seoul, were investigated, but specific burial facilities were not confirmed. So some view them as altars. The presence of most of these tombs was known by tomb robbery and excavation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but as no excavation report was published, or the reports were so poorly written that it is difficult to know what they were really like. Currently,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has about 38,000 dry glass plate negative films. 80 or so of them are the images of the Songsan-ri tombs photographed in the 1920’s and 1930’s. It is deemed that if related research is furthered by utilizing the gelatin dry glass plate negative films housed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reference material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They contain materials regarding Songsan-ri tomb No. 6, known as the first brick tomb of the age of Woongjin Baekje, and Songsan-ri tomb No. 29, which does not exist anymore. Some of the 80 or so dry glass plate negative films were in bad condition, or pertained to Neungsan-ri tombs, which were mistaken as Baekje tombs. Excluding them, it was confirmed that a total of 72 dry glass plate negative films were related to Songsan-ri tombs. Looking at the tombs one by one, 12 of the dry glass plate negative films pertain to tomb No. 1; 9 of them pertain to tomb No. 5; 18 of them pertain to tomb No. 6; 31 of them pertain to tomb No. 29; and 2 of them pertain to relics excavated from Songsan-ri tombs. The dry glass plate negative films pertaining to tomb No. 1 were photographed in 1927. The shape of chimneys and drains, the shape of ceilings and the shape of ditches were verified, and the excavated relics included ironware like belt ornaments, bead-necklace ornaments and iron nails. Tomb No. 5 was photographed in 1927 with focus on relics like the chimney and the drain. Tomb No. 6 is a brick chamber tomb. It has been famous for the ‘Painting of the Four Gods’ drawn on the four walls. Along with the ‘Painting of the Four Gods’ on the walls, the excavation of the brick chamber tomb, and the clay bricks on each of the walls and inside the tomb are photographed in detail. Tomb No. 6 was confirmed by Karube Jion in 1032, but formal investigation was conduct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Museum in 1933. Therefore, the dry glass plate negative films pertaining to tomb No. 6, a brick tomb, are deemed to have been photographed in 1933 when the investigation began.

      • KCI등재

        고구려 횡혈식석실묘의 지역성과 위계 연구 - 관대를 중심으로 -

        이동규 중앙문화재연구원 2015 중앙고고연구 Vol.0 No.16

        고구려 묘제의 특성상 고분의 내부로 출입하기 용이하여 매장 관념이 비교적 잘 드러나는 횡혈 식석실묘의 내부구조는 학술적 가치가 크다고 할 수 있으나 현재 연구사례는 많지 않다. 관대는 내부의 여러 구조들 중에서 피장자와 가장 가깝고 긴밀한 관계를 가지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관대 의 속성을 추출한 다음 현실 구조와의 상관관계를 검토하여 지역성과 위계를 분석하였다. 관대의 속성으로는 재질·개수·위치가 추출되었으며, 관대 속성들의 분석결과 몇 가지의 결 과를 얻었다. 첫째, 관대의 규모를 통해 1인의 점유면적 및 지역적 양상을 검토하여 1인용과 2인 용 관대의 기준 너비를 파악하였고, 지역별로 관대 규모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둘째, 관대 높이와 재질을 검토한 결과 비슷한 재질들에 의해 3개 그룹으로 나뉘며 그룹별로 높이 차이가 있음이 확 인되었다. 또한 관대 재질별로 제작되는 관대의 규모가 달라지는데 특히 2B·2C형일 때 2인용 을 제작하는 빈도가 높았다. 마지막으로 지역별 관대 형식이 다르다는 것도 확인하였다. 셋째, 관 대의 개수와 지역성의 검토 결과 지방보다 중앙에서 관대가 시설된 수의 비율이 높았으며, 관대 위치별 제원 차이를 검토한 결과 최상위 위계일수록 좌·우측 관대의 크기 차이가 확인되고 좌측 관대가 더 큰 경향성이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관대와 현실·연도·천장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첫째, 현실 규모에 따라 관대 의 형식이 분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권역의 중심(평양, 집안)에서 중앙연도일 때 관대의 시설 비율이 높았고, 반대로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편재연도일 때 시설 비율이 높았다. 셋째, 천장 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평행삼각고임 등의 높은 천장일 때 관대가 시설되었으며, 같은 고분군 내 에서는 천장과 관대가 비슷한 패턴으로 시설되었다. 마지막으로 관대의 재질과 위치·개수로 횡혈식석실묘의 지역성과 위계를 중앙과 지방, 권역 별로 각각의 특징을 구분한 결과 상위 위계의 조건을 가질수록 지방보다는 중앙, 특히 집안과 평 양에서 축조된 횡혈식석실묘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국 위계를 구분하기 위한 조건이 중앙과 지방을 구분하는 지역성의 조건도 함께 충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Goguryeo tombs of the later period may be classified as horizontally-prepared stone chamber tombs. Among others, the inner structure of horizontally-prepared burial tombs, which given their characteristics show relatively well the concept of burial with their allowance of easy access to inside the tomb, may have a great academic value; however, this is rarely the case at the present. Since the coffin platform has the nearest and closest relationship with the buried person among the various inner structures, the paper extracted the attributes of the coffin platform itself, and analyzed locality and hierarchy by reviewing a correlation with the main chamber structure. As attributes of a coffin platform, materials, number, and location were determined. Also,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ttributes of coffin platforms, the paper obtained the following several results. First, through the size of a coffin platform, the paper reviewed the area occupied by one person and regional patterns; thus, it identified the standard width of a coffin platform for one person and two persons and confirmed any difference in the coffin platform size by region. Second,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height and materials of a coffin platform, it was found that they could be largely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nd the groups were formed in accordance with similar material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height according to group. In looking into the materials of a coffin platform and locality of a coffin platform for one person and two persons, the coffin platform size was different in accordance with the materials used for manufacture of the coffin platform. The frequency of a coffin platform manufactured for two persons in case of 2B·2C types was high. Also, it was confirmed that the type of coffin installed by region was different. Third,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number of coffin platforms and locality, the percentage of the number of coffin platforms was higher in the central region than in local regions. As a result of reviewing any difference in size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coffin platforms, there was more differe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coffin platform as the hierarchy increased, and the tendency for the left coffin platform to become bigger was confirmed. Nex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with the main chamber structure, first, in case the main chamber size is large and square-shaped or in case the main chamber size is small and rectangular, the form of the coffin platform was relatively clearly classified. Second,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ffin platform and tomb entranceway, there was a high percentage of tombs in Pyungyang and Jiban with central tomb entranceways installed, and the farther from the center, the higher the percentage of lopsided tomb entranceway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tendency for the tomb entranceway to be installed so that the coffin platform could not be seen from the entranceway. Third, in examin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ceiling, in case the ceiling was high rather than a flat ceiling, a coffin platform was installed. In case of a space inside the same tombs, for mutually similar ceilings, the same form of coffin platform was installed. Finally, one certain attribute cannot be an absolute standard that classifies locality and hierarchy. Also, in reviewing comprehensively all the factors of a coffin platform and the components of horizontally-prepared stone chamber tombs, a classification of locality and hierarchy appears clearly.

      • KCI등재

        한국 고대 성토구조물에서 토괴의 기능과 의미

        손재현 중앙문화재연구원 2015 중앙고고연구 Vol.0 No.17

        한국 고대 성토구조물로는 고분·토성·제방·대형 건물 등이 있다. 최근 이들 유적의 발굴조 사 과정에서 덩어리 형태의 흙, 즉 토괴를 성토재로 사용한 경우가 다수 확인되고 있어 주목된다. 토괴는 그간 다양한 용어로 명명되었으며 주로 구획과 밀접한 관련을 지니는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하지만 용어의 혼용으로 토괴의 명확한 개념 정리가 이루어지지 못했고, 토괴의 사용 양상 에 대한 관행적 해석이 반복됨에 따라 토괴 사용이 갖는 기능과 의미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밝혀 지지 못했다. 본고에서는 먼저 토괴의 개념정리 후 토괴 사용이 알려진 유적 27개소를 대상으로 삼아 검토 하였다. 그 결과 고분·성곽·제방·대형 건물 등 성토구조물이라 볼 수 있는 모든 유구의 축조 에서 토괴의 사용이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현대공법과 유적 검토 결과를 참고하여 토괴의 구분 기준을 제시하고, 분류를 시도하 였으며, 사용방법과 기능을 제시하였다. 토괴의 사용방법은 유적의 성격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구의 성격뿐 아니 라 사용된 토괴의 종류 또한 채토환경의 영향을 받고 종류에 따른 다양한 기능을 얻고자 선택적 으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해외 유적 사례 검토를 통해 중국, 일본, 넓게는 서~중앙아시아에서도 토괴가 사용되었 음을 확인하게 되면서 토괴를 사용한 축조기술은 특정지역을 대표하는 것이 아니라 오랜 기간 광 범위한 지역에서 사용되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렇듯 기후조건이 달랐음에도 토괴가 널리 쓰 인 이유는 토괴가 갖는 다양한 기능을 얻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이러한 근거를 통해 성토구조물의 축조에서 토괴의 사용이 갖는 의미를 단순한 운반의 편의성 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주요 성토기법을 보조하는 하나의 보조공법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으로 판 단된다. Korea’s ancient Embankment structures are assemblages a complex of advanced technologies, that is results of reflected in national power. Embankment structures include burial mounds, earthen fortications, embankments and large buildings. In recent excavations involving these structures, there are many cases that have been discovered to have used lump shaped soil, as known as clay clod, and such cases are drawing attention. Clay clods have been named in many different terms and have been thought to have close relationship with dividing sections. But with the mixed use of different terms, clarification of the concept of clay clod was not made and as conventional interpretations on the aspects of usage of clay clods were made continuously, the function and the meaning that the use of soil clods holds were not specifically identied. This paper firstly clarifies the concept of clay clod and examines 27 sites that have been known to have used clay clods. As a result of examination, it was revealed that every features that can be identied as mound structures such as burial mounds · fortications · embankments · large buildings and etc have used clay clods. Nextly, by referring to modern building techniques and the result of examination of sites, this paper renders a criteria to classify soil clods, classifies the soil clods and renders the methods of use and meanings of soil clods. It was found out that the usage of clay clods differs by the character of a site. The type of clay clod that is used is influenced not only by the character of the feature, but also by the condition of the soil collecting, and it was found out that the each types were collectively used to obtain diverse functions. Meanwhile, by examining sites overseas, the paper found out that soil clods were used in China, Japan and also in West~Central Asia and reveals that mounding technique involving the use of soil clods is not something that is limited to a specic region but a widespread technique in many different regions used over time. clay clodwould have been broadly used, despite the climate dierence, in order to obtain dierent functions from it. In this reason, the meaning of the usage of clay clods in the construction of Embankment structures should be understood not just as simplifying the transport of soil, but as an auxiliary construction technique that assists the main mounding technique.

      • KCI등재후보

        백제 식기(食器)의 양상과 식사문화

        정수옥(Jung, Su-Ock) 중앙문화재연구원 2015 중앙고고연구 Vol.0 No.17

        본고는 백제 한성기~웅진·사비기 식기의 양상과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당대의 식사문화를 복원해 보고자 하였다. 식기는 넓은 의미로는 먹을 것을 만드는데 필요한 기구, 먹는 장소에서 쓰는 기구와 기명도 포함된다. 또한 재질별, 용도별로 분류될 수 있는데, 재질별로는 토제, 목제, 금속 제, 유리제 등이 있으며, 용도별로 분류해 보면 배식기, 저장기, 조리기 그리고 식사 시 사용되는 식사구가 있다. 백제시기 식기의 변화는 크게는 2차에 걸친 획기로 구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차 획기로 보이는 백제 한성기에는 배류, 완류, 접시류 등 동일 기종 내에서도 세부 형태들이 다양하게 등장하고 평저에 굽이 없거나 낮은 굽이 일부 확인되는 양상을 띠는 배식기가 유행하고 있다. 즉 중국의 식기 문화가 도입되면서 중국 자기들의 영향으로 기존의 토착문화 속에서 중국 자기를 모방하면서 새롭고 다양한 기종이 융합하여 제작된 것이다. 이후 사비기에 들어서면서 중국과 고구려 식기의 영향이 더해짐으로써 2차 획기가 나타난다. 고배, 삼족기 등의 토기가 감소하고 굽이 높은 대부, 평저 양식의 식기가 유행한다. 특히 대부완은 중앙지역에서만 나타나는 고급식기류로 이는 백제 사비기 사회적 배경으로 인해 귀족층들의 선호도가 변화되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완은 고대 한국, 중국, 일본의 식기 중에서 중심 식기로 등장한다. 작은 완을 이용한 식사 방법은 음식의 개별 분배 방식과 관련된다고 볼 수 있으며, 匙箸를 사용하는 동아시아에 매우 적합한 형태의 식기였던 것이다. 그리고 공통적으로 좌식의 飯床문화가 보급되는데, 이는 중국의 漢代~魏晋代까지의 식사양식으로 한국과 일본의 식사문화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반상문화는 백제의 경우 좌식의 식사문화가 지속되고 이후 시기까지 이어지지만, 중국은 唐代부터 입식의 식 탁문화로 변화되는 양상이 나타난다. 본 연구를 통해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백제의 식기와 식사문화의 변화상을 살펴본 결과 식사 문화가 계층화되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백제의 사회변화를 다양한 관점에서 볼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pect and characteristics of the kitchenware of the Baekje Dynasty from the Hanseong to Ungjin and Sabi periods and thereby restore the contemporary dining culture. In a broad sense, tableware includes utensils and appliances needed to make food, as well as cutlery and dinnerware used to eat food. It may be classified by material and purpose. By material, it includes earthenware, woodenware, metalware, and glassware, while by purpose, it includes dispensing, storage, cooking, and eating. Meanwhile, bowls characteristically constitute major tableware in the tableware from the ancient periods of Korea, China, and Japan. This shows that the dining method using smaller bowls has to do with how food is served to individuals, thus suggesting that it was the most appropriate tableware for East Asia where people use spoon and chopsticks. And the culture with on-floor level dining table was introduced to all three countries, a dining style that prevailed from Han Dynasty through Wei and Jin Dynasties, which influenced the dining culture of Korea and Japan. As for the use of on-floor level dining table, the floor dining continued through Baekje and beyond, whereas in China it changed to the use of dining table and chairs from Tang Dynasty. The study aims to bring light on the dining culture of the Baekje Dynasty through tableware and floor dining table, which previously failed to draw attention from archeology. By focusing on the use of tableware and floor dining table, I have made it clear that the period saw the stratification of the contemporary dining culture. I expect that this thesis will serve as a method to describe social change from various perspectives.

      • 신라 장경호 부장 정형과 신라 토기의 확산

        김대환(Kim,Dae-hwan) 중앙문화재연구원 2012 중앙고고연구 Vol.0 No.11

        이 글은 신라 고분에서 확인되는 장경호 부장 정형(pattern)을 찾아 기술하고, 이를 통해 신라 토기 확산에 대한 2가지 가설인 ‘토기제사법(土器祭祀法)’과 ‘양식적 선택압 (selective pressure)’의 실체를 설명하면서 신라 토기의 지방 확산론을 재검토한 것이 다. 장경호 부장 정형이란 신라 고분에서 토기를 부장할 때, 동일한 형태 또는 유사한 장 경호를 망자의 머리 쪽에 세트로 부장하는 방식을 말한다. 이것은 신라 고분이 분포하는 대부분 지역의 대형 무덤과 중·소형 무덤에서 많이 확인된다. 장경호 부장 정형은 시기적으로 볼 때, 신라 중앙인 경주지역에서 먼저 출현한 후 신라 지방에 점차 나타난다. 장경호 부장은 지역에 따라 세부적인 차이는 있으나 광범위한 정형이 확인되는 것이 큰 특 징이다. 이러한 정형은 기왕에 제안된 ‘토기제사법’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생각되며, ‘토기제사법’의 실체는 이러한 장경호를 이용하는 제사 및 이와 같은 토기의 최종적인 배 치나 배열과 관련이 깊다고 생각한다. ‘양식적 선택압’은 신라 토기의 확산을 설명하는 중요한 가설 중 하나인데, 신라 정치 지배력의 확대를 전제로 한다. 그러나 ‘양식적 선택압’ 은 ‘토기제사법’의 수용 과정으로 볼 때, 신라 중앙에서 일방적으로 발신되는 것이 아니 다. 다시 말해, 장경호 부장 방법과 같은 ‘토기제사법’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지역마다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신라 토기의 확산 과정은 신라 지배력의 확대와 같은 정치적 요인뿐만 아니라 좀 더 다양한 관점에서 논의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This article is to find out and describe Pattern of Jar with long necked Burial which can be seen in tombs of Shilla Dynasty so that the truth of two hypotheses on the spread of Shilla earthenware, ‘Funeral Ceremony Mode with earthenware’ and ‘Selective Pressure’, may be explained along with the review of the theory that Shilla earthenware was spread into provinces. Pattern of Jar with long necked Burial is to bury a pair of jars called Jar with long necked with identical or similar shape at the head of the dead when Shilla people buried earthenware along with the dead body, which is confirmed in small, medium and large tombs in most areas which are spread with ancient Shilla tombs. From the viewpoint of time, this pattern appeared first in Gyoungju-city area, the central part of Shilla Kingdom and then spread to provinces gradually. The burial of Jar with long necked shows detailed difference by province, but its extensive pattern is characteristically confirmed. This pattern is thought to be closely related to ‘Funeral Ceremony with Earthenware’ proposed in the past and its substance is assumed to be arrangement or placement of earthenware like Jar with long necked. ‘Selective Pressure’, one of the very important hypotheses for explaining the spread of Shilla earthenware, presupposes the expansion of political control of Shilla Kingdom. However, when the process of accepting ‘Funeral Ceremony with Earthenware’ is considered, Selective Pressure was not unilaterally sent from the center of Shilla Kingdom. In other words, each process of accepting ‘Funeral Ceremony Mode with Earthenware’ like the burial of Jar with long necked is seen different at each area. Accordingly, it is thought that the process for earthenware of Shilla Dynasty to spread needs the discussion from various viewpoints as well as any political factors like the expansion of Shilla's contr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