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청동기-초기철기시대의 시기구분 -금속기의 출현과 정치체의 등장을 기준으로-

        조진선 한국청동기학회 2020 한국청동기학보 Vol.27 No.-

        The entire Korean Peninsula, Liaodong and Liaoxi regions are within the spatial scope of Korean archaeology in the Bronze Age and Early Iron Age. The author has established that this geographical area as the ancient Korean cultural zone. In the study of ancient Korean cultures, Bronze Age and Early Iron Age started from ca. 20th century B.C. to the late B.C. During this period, Early Bronze Age culture, Lute-shaped bronze dagger culture, Slender bronze dagger culture, and Early Iron Culture appeared one after the other. The formation of early states, including Gojoseon, had also begun during this period. Based on changes in material culture, Early Bronze Age period lasted from the 20th to 10th century B.C. when the Early Bronze Age culture appeared and developed. The Mid Bronze Age spanned from the 9th/8th centuries B.C. when Lute-shaped bronze culture emerged and developed, until the 6th/5th centuries B.C. in Liaoxi, and the 4th century B.C. in Liaodong and the Korean Peninsula. The Late Bronze Age lasted from the 5th to 4th century B.C. in Liaoxi when cultures from the Chinese warring states in the Central Plain were spread to the Shiertaiyingzi Culture zone, and until the 3rd century B.C. in Liaodong and the Korean Peninsula when the Slender bronze dagger culture emerged there. During the 3rd and 2nd centuries B.C., Early Iron Age cultures from the Chinese warring states in the Central Plain entered the ancient Korean cultural zone. Gojoseon entered Chinese historical records since around the 4th century B.C. during the Late Bronze Age, even though it is highly likely that Gojoseon emerged during the Mid Bronze Age. Thus, it is possible to use “Gojoseon” as a period marker from the 4th century B.C. Early states such as Gojoseon, Buyeo and Samhan appeared in Chinese records in large numbers in the 3rd and 2nd centuries B.C. during the height of the Early Iron Age. Therefore, Gojoseon, representing early states during that time, can be used as a period marker for this particular period in the ancient Korean cultural zone. 한국고고학에서 선사시대는 물질문화의 변동을 기준으로, 역사시대는 왕조의 변천을 중심으로 시대구분하고 있다. 그러나 청동기-초기철기시대는 선사시대에서 원사시대로 전환되는 시기여서 한 가지 기준만으로 시기구분 하기는 어렵다. 한국 청동기-초기철기시대의 공간적 범위는 무문토기문화의분포권이면서 비파형동검문화와 세형동검문화가 분포하는 한반도와 요동·요서지역까지이다. 필자는이를 한국고대문화권으로 설정하였다. 한국 청동기-초기철기시대의 시기구분은 한국고대문화권을 포괄할 수 있는 안이어야 한다. 한국고대문화권에서 청동기-초기철기시대는 기원전 20세기경부터 기원전후경까지이다. 이 시기에는 초기청동기문화, 비파형동검문화, 세형동검문화, 초기철기문화가 차례로 등장한다. 또한 고조선을비롯한 초기국가들이 형성되기 시작한다. 물질문화의 변동을 기준으로 시기구분하면, 청동기시대 전기는 초기청동기문화가 등장·발전하는 기원전 20~10세기경까지이며, 청동기시대 중기는 비파형동검문화가 등장·발전하는 기원전 9~8세기부터 기원전 6~5세기(요서), 또는 기원전 4세기(요동과 한반도)까지이다. 청동기시대 후기는 전국시대의 중원계 물질문화가 대거 들어오면서 요서의 십이대영자문화가 크게 변화되고(기원전 5~4세기), 이어서 요동과 한반도에 세형동검문화가 등장하는 때(기원전 3세기 초)까지로 설정할 수 있다. 기원전 3~2세기에는 전국시대 중원계의 초기철기문화(세죽리-연화보유형)가 들어온다. 고조선은 청동기시대 중기에 등장했을 가능성이 크지만 중국 사서에 그 존재를 뚜렷하게 드러낸것은 청동기시대 후기인 기원전 4세기경부터이다. 그러므로 이때부터는 고조선을 시대 명칭으로 병기해도 좋을 것이다. 초기철기문화가 들어오는 기원전 3~2세기에는 고조선은 물론 부여와 삼한 등의초기국가들이 대거 등장하는 시기이므로 초기국가들을 대표하는 고조선을 시대명칭으로 사용하여도좋을 것이다

      • KCI등재

        東海岸地域 靑銅器時代 무덤의 變遷

        朴榮九 한국청동기학회 2011 한국청동기학보 Vol.9 No.-

        동해안지역 청동기시대 무덤은 지석묘, 석관묘, 석곽묘, 주구묘, 토광묘, 묘역지석묘 등 다양하게 확인된다. 하지만 남한지역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청동기시대 조기, 즉 돌대문토기단계에 속하는 무덤은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조사된 취락 내 주거지 숫자에 비해 무덤 조사수는 극히 적은 편이다. 동해안지역 청동기시대 무덤의 입지는 대부분 낮은 구릉에 입지하며, 일부 충적대지에서 확인되는데, 동시대 취락의 입지 경향과 대동소이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영동지역 양양 송전리에서 발견된 토광묘 1기는 사구지대에 자리 잡고 있는데 이러한 입지는 극히 예외적이라고 할 수 있다. 동해안지역 청동기시대의 가장 이른 단계에 등장하는 무덤은 토광묘이다. 영동지역 양양 송전리 토광묘, 울산 굴화리 토광묘에서는 삼각만입촉, 유혈구이단병식석검 등이 출토되어 청동기시대 전기 중엽에 편년된다. 반면 포항 삼정리 토광묘에서는 단도마연토기와 방추차, 울산 모듈화산업단지에서는 이단병식석검과 일단경촉이 출토되어 전기 전반으로 편년된다. 석관묘는 동해안지역에서 가장 많이 조사된 무덤이다. 토광묘와 비슷한 전기 중엽에 등장하여 원형점토 대토기 단계인 청동기시대 후기 까지 지속적으로 축조된다. 석관묘는 원형점토대토기 단계인 청동기시대 후기에 이르면 점차 소형화되며, 석관의 형태도 정연하지 못하다. 송현리 B유적을 포함한 영동지역의 석관묘와 포항 학천리 석관묘가 이 시기의 무덤에 해당하며, 유물은 마제석검, 석착, 검파두식 등이 출토된다. 석곽묘는 경주지역 문산리 유적에서만 확인된다. 유물은 일단병식 석검이 출토되어, 청동기시대 중기 후반으로 편년된다. 주구묘의 평면형태는 세장방형과 장방형, 방형으로 구분된다. 세장(장)방형 주구묘는 전기 후엽으로, 방형은 전기 후엽~중기후엽으로 편년된다. 울산지역 주구묘는 장방형에서 방형으로 변화하고, 매장주체부는 토광(목관)의 구조를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지석묘는 동해안지역에서 제일 많이 분포하고 있는 무덤이지만 실제 발굴조사된 지석묘가 적어 정확한 시기설정이 어려운 상황이나, 동해안지역에 지석묘가 도입되어 축조되던 시점은 타 지역과 유사한 것으로 판단된다. 동해안지역의 지석묘는 많은 수가 조사되지 않았지만 묘역시설이 확인되지 않고 독립적 분포양상을 보이고 있는 것이 특징이며, 축조규모나 형태 등으로 보아 자체적인 발전양상은 미비하고, 타 지역과 마찬가지로 점토대토기 단계까지 존속하다가 소멸해 버린 것으로 판단된다. 최근 경주와 울산지역에서 묘역지석묘가 확인되고 있어 경남지방 묘역지석묘와의 비교검토가 이루어져야 하며, 울산 산하동유적과 경주 어일리 유적 등 해안에 인접해 위치한 유적을 중심으로 조사예가 증가하고 있는 주구형 유구에 대한 성격규명도 좀 더 자료증가를 기다리며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For tombs from the Bronze Age in the eastern coast area, various tombs including dolmens, stone coffin tombs, stone-lined tombs, graves surrounded by a ditch and coffin tombs have been confirmed. But, any tomb from the early Bronze Age, that is the Pot with clay stripe stage, hasn’t been confirmed yet in the eastern coast just as any other places in South Korea. And also, the number of tombs confirmed is significantly smaller than the number of residential areas in the settlement investigated. Most of tombs from the Bronze Age in the eastern coast area are located in low hill sites and some are confirmed from alluvial sites, showing substantial identity with the trend in the location of settlements in the same period. only coffin tomb discovered in Yongong area is located at a sand hill in Songjeon-Ri, which is a exceptional case. The type of tomb appeared in the earliest time among tombs from the Bronze Age in the eastern coast of Korea is a coffin tomb. triangle curve in arrowheads and double stepped-hilt dagger with were excavated from coffin tombs at Songjeon-Ri, Yangyang in Yeongdong area and Gulhwa-Ri, Ulsan, recoding these tombs at the middle stage of the Early Bronze Age chronologically. On the other hand, red burnished bowl, and spindle whorl were excavated from coffin tombs at Samjeong-Ri, Pohang and and were excavated from the Modularization Industrial Complex in Ulsan, recording these tombs at the latter stage of the Early Bronze Age chronologically. Stone coffin tombs are the tombs most confirmed in the eastern coast area. This type of tomb started appearing from the middle of the Early Bronze Age as similarly coffin tomb and had been built continuously until the Late Bronze Age which was the round clay-stripe earthenware stage. Stone coffin tombs gradually became smaller in the Late Bronze Age which was the round clay-stripe earthenware stage and the shape of stone coffin became uneven. Stone coffin tombs in Yeongdong area and stone coffin tombs in Hakcheon-Ri, Pohang including B historic site at Songhyun-Ri fall under the tombs from this Age, and dagger pommel fittings of bronze dagger were excavated as artifacts. Stone-lined tombs were confirmed only from the site at Munsan-Ri, Gyeongju area. stepped-hilt dagger was excavated as artifacts from these tombs, recording these tombs at the latter stage of the Mid Bronze Age chronologically. The plan type of a grave surrounded by a ditch is classified into long rectangular, rectangular and square types. Long rectangular (rectangular) graves surrounded by a ditch are recorded chronologically at the second half of the Early Bronze Age, and square graves surrounded by a ditch are recorded chronologically at the second half of the Early Bronze Age to the first half of the Mid Bronze Age. The characteristics of graves surrounded by a ditch in Ulsan area are the shape of graves being changed from the rectangular shape to the square shape and the main part of burial having the shape of coffin (wooden coffin). dolmens are the tombs distributed the most in the eastern coast area, but not many dolmens have been excavated and confirmed so that it is difficult to set the accurate time for its introduction, however, dolmens are considered to be introduced in the eastern coast of area at similar time with other areas. Not a large number of dolmens were confirmed in the eastern coast area, but the characteristics of dolmen are that its actual grave has not been confirmed and the dolmens are distributed independently, and according to its size and shape, this type of tomb had not been developed significantly, continued to exist until the clay-stripe earthenware stage just as in other areas and became extinct.

      • KCI등재

        청동기시대 조기의 사회형태 시론

        천선행 한국청동기학회 2020 한국청동기학보 Vol.26 No.-

        본고는 신석기시대부터 통시적 관점에서 청동기시대 조기의 사회형태를 검토한 것이다. 이를 위해 신석기시대 조기~전기의 복합수렵채집사회에 대한 논의, 신석기시대 후·말기 양상, 청동기시대 조기의 취락·농경·석기·청동기 양상, 돌대문토기문화의 기원지로 여겨지는 마성자문화의 양상을 살 펴보았다. 그 결과, 신석기시대 사회는 수렵채집어로를 바탕으로 기후 및 자연환경에 따라 사회규모와 형태를 변형시키는 유연성을 갖춘 사회였음을 확인하였다. 신석기시대 조기~전기는 복합수렵채집사회의 특 징을 보이나, 말기에는 기후악화에 따른 생업환경의 불안정성을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생존 전략을 구사하였다고 보았다. 그리고 신석기시대 말기는 평등사회의 범주에 포함되나 취락이 가족단위로 이루어진 소규모 분절사회의 형태였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았다. 청동기시대는 농경사회를 바탕으로 사회복합화가 가속화되는 한 방향의 길을 걷게 된다. 조기 사회는 완만하지만 서열사회를 경험한 이주 농경민에 의해 형성되었고, 정착 및 잉여가 발생할 수 있는 토대가 갖추어진 사회였다. 그리고 가족단위와 친족단위의 분절사회가 공존하였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리더(리더를 포함한 집단)는 권위 표출이 제한되거나 그것을 표출하는 방식이 제도화되지 못하였다고 보았다. 전기이후 농경사회의 생업과 제도가 확산되면서 비혈연을 기반으로 한 지역집단이 형성되고, 지역집단 통할과 공동체 통합을 위해 취락 내와 취락간의 서열 발생이 가속화된다. 점차적으로 청동기, 지석묘 등의 장치를 통해 집단 내 서열은 더욱 공고해지고 제도화되면서 수직적 사회 분화가 심화된다. 이상으로 신석기시대-청동기시대 사회는 연속적으로 점진적으로 한 방향으로 변화·발전하는 과 정에 있는 것이 아니다. 신석기시대 사회형태는 수렵채집이라는 획득경제 하에서 각 집단의 선택의 결과로 다양하게 나타나며, 청동기시대 사회는 도작농경이라는 생산경제 하에서 집단 통할과 공동체 통합을 위해 사회복합화의 길로 나아가기 시작한다. This article aims to review characteristics of society in the initial phase of the Bronze Age which has not dealt with so far by taking a diachronic perspective. Therefore, it examines discussion on complex hunter-gatherer society from the initial phase to early Neolithic Age, aspects of settlement in the initial phase and facets of Machengzi Culture which is considered as an area of origin for banded-rim pottery culture and futhermore, reviews social changes from the Neolithic Age to the initial phase of the Bronze Age.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Neolithic society is flexible as it modifies scale and form of society depending on climate and natural environment based on fishing, hunting and collecting economic development. Especially, the people have to devise various survival strategies to overcome unstable natural environment to make living due to climate changes at the end of the Neolithic Age and this age can be categorized as the egalitarian society. But its settlement clusters are more likely to be small segmentary society, especially in family unit. The Bronze Age accelerates one-way society complexation to increase agricultural productivity, expand labor force and centralize in the agricultural society. The society in the initial phase focuses on agriculture, as it’s formed by agricultural people who experience hierarchical society which is moderate and this society is well established so that people can settle in and produce agricultural surplus. Also, it’s presumed that family-orientated or blood-tied segmentary society in kinship unit coexists and also, a leader including group where has leader is considered to be limited in expressing authority in the hierarchy or fail to institutionalize the way of representing the authority. As the livelihood and system is settled in the agricultural society in the early stage, it leads to region group with no blood ties and furthermore, the demand for controlling region groups and integrating communities might accelerate hierarchy between the community. Afterwards, the hierarchy within a group is reinforced and institutionalized through bronze weapon and tomb like dolmen, resulting in vertical social differentiation. To sum up, the society in the Neolithic Age and the early phase of Bronze Age is not changed in one direction gradually and sequentially and form of society is not result but process and differs by livelihood, natural environment, group size and cognition of group.

      • KCI등재

        한국 청동기시대 이주 연구 -문제점 검토와 새로운 대안 모색-

        고일홍 한국청동기학회 2019 한국청동기학보 Vol.25 No.-

        한국의 청동기시대 연구에 있어서 ‘이주’는 피해 갈 수 없는 주제이다. 신석기시대-청동기시대 전환기 이후 한반도 남쪽에서 새로운 문화요소가 등장하게 된 과정에는 주민의 이주가 분명히 중요한 역할을 했을 것이며, 이주민의 실체나 기원지에 대한 고찰이 없이는 당시의 문화변동에 대한 설명이 빈약할 수밖에 없다. 그런데 청동기시대의 이주가 이렇듯 중요한 주제임에도 불구하고, 그간의 연구에서 이주 현상에 대한 이론적 이해가 다소 부족했던 것도 사실이고, 연구의 틀이나 대상 자료가 적절하지 않게 사용되었던 측면도 분명히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청동기시대 연구자들이 ‘이주’라는 현상에 제대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서구 학계에서 그동안 진행되어 온 이주 관련 논의 및 사례연구를 기반으로 고고학 자료상에서 이주의 과정이 어떠한 방식으로 그 모습을 드러내는지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특정 문화요소가 아닌 문화(유형) 그 자체를 이주 집단과 연결시키는 접근방법의 문제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주거지, 무덤, 토기가 거주자의 정체성과 어떠한 방식으로 관련되어 있는지를 검토하고, 이러한 고고학 자료를 통해 이주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할 경우에 반드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이 무엇인지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신석기시대-청동기시대 전환기 이후 한반도 남쪽에서 일어났던 주민 이주 과정에 대한 연구의 새로운 대안을 모색하고자 ‘2열 기둥 주거지’의 건축양식 및 공간구성에 주목하고, 그것이 왜 이주를 ‘실증’하기에 좋은 문화요소가 될 수 있는지에 대해 논하였다. ‘Migration’ is an important research theme for the Korean Bronze Age. The appearance of new cultural elements in southern Korea following the Neolithic-Bronze Age transition cannot be fully explained in the absence of considerations on human migration, but the misuse of concepts related to migration have led to a situation in which ‘the baby has come to be thrown out with the bathwater.’ In an attempt to readdress this situation, the present paper reviews the current discourse on migration in Korean archaeology. In addition, the problems that may arise when ‘culture’, rather than ‘cultural elements’ are used as indicators of migration is considered, and the way in which house structure, pottery, and burials may or may not adequately be used as indicators of the identity of migrant populations is considered. Finally, taking these points into consideration, an alternative way of approaching the issue of migration within the context of the Early Korean Bronze Age is presented.

      • KCI등재

        韓國 靑銅武器의 型式分類와 硏究 動向 –尹武炳 선생의 1966·72年 論文과 그 以後-

        허준양 한국청동기학회 2021 한국청동기학보 Vol.28 No.-

        한국의 청동무기 연구는 尹武炳의 청동단검 형식분류에서 시작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는 동북아지역의 청동무기 중 한국에서 출토되는 동검의 특징적인 마연 현상을 찾아낸 것이다. 이후 이를 기반으로 세밀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었는 바 아직까지 이보다 先見을 가진 형식분류가 나오지 못한 것은 그의 완성도 높은 논문에 따른 것으로 생각된다. 다시 말해 그의 청동무기 형식분류는 현재에도 생명력을 잃지 않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겠다. 다만 尹武炳의 청동무기 형식분류는 공반품의 검토에서 오류가 발생하는데 필자는 선생의 연구를 기반으로 재분류를 진행하였다. 즉 동검 Ⅰ식과 Ⅱ식 마연의 세부적인 분류를 진행하고, 공반품을 통해 각각의 공존기간을 살펴보았다. 이와 함께 요령식-한국식동과의 계보 문제(단절), 중세형 청동무 기의 제작지(국산화)에 대한 견해를 간략히 제시하였다. 이는 1960년부터 2020년까지 청동무기 연구사와 출토 사례를 기반에 둔 분류·분석의 결과로 생각되는 바이다. 이상을 토대로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생각해본다면, 형식분류의 확대보다 선학의 연구사를 받아들이고, 치밀한 관찰을 통해 한국고고학에서 밝혀내지 못한 점을 특정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나아가 고고학 연구는 다양한 방향 모색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다각화된 쟁점 및 학제 간 협동 연구가 필수적이라 하겠다.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study of bronze weapons in Korea is based on the typology of bronze daggers by Youn Moo-Byong. He fou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varnishing phenomenon of the bronze sword, excavated in Korea among bronze weapons in Northeast Asia. Based on such findings, various and detailed studies have been conducted, and it is thought that the fact that the typology with foresight did not appear shows that his research holds a high degree of completion. In other words, it is suggested that Youn Moo-Byong's typology of bronze weapons does not lose its vitality until now, which is continuously used. However, errors occur in the Youn Moo-Byong's typology of bronze weapons when examining associated goods. For this reason, the author adds additional plans based on this study. For example, detailed taxonomy was conducted on bronze dagger Ⅰ and bronze dagger Ⅱ, and the coexistence period was established through associated goods respectively. In addition, this study briefly presents the views on the issue(severance) of genealogy between Liaoning type-bronze dagger and Korean type-bronze dagger and the production site of middle slender bronze weapons(localization). This is thought to be the result of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f bronze weapons and the research history of bronze weapons based on excavated cases from 1960 to 2020. Considering the future direction of research, it is necessary to accept the history of previous studies rather than the unnecessary expansion of typology and it is needed to specify the parts undiscovered in the Korean archaeology through the careful observation. Furthermore, archaeological research requires a variety of directions. To seek out the directions, mutual cooperation in various ways will be essential.

      • KCI등재

        북한 서포항 유적과 연해주 청동기문화의 비교고찰 -편년을 중심으로-

        김재윤 한국청동기학회 2018 한국청동기학보 Vol.23 No.-

        북한 서포항 유적은 구석기시대부터 청동기시대까지 형성되어, 동북한 선사시대 문화의 흐름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그러나 유적의 절대연대가 측정되지 못해서 북한학계에서도 중국과 비교연구 하면서 연대를 소급시킬 뿐이었다. 그런데 이 유적에서는 신석기문화층 뿐만 아니라 청동기시대문화층도 연해주문화와의 관련성이 토기 및 토우 등에서 뚜렷하게 관찰된다. 이미 서포항 청동기시대는 연해주 청동기문화와 관련지어져 왔으나 시니가이 문화의 서부1유형이 새롭게 고찰되고, 리도프카문화의 토기가 관찰됨에 따라서 서포항유적의 청동기시대층의 편년을 정리하고자 한다. 그 결과 서포항 청동기시대 4계의 단계로 구분되는데, 서포항 청동기 1단계는 유적의 5기가 해당된다. 7호 주거지에서 출토된 시니가이 문화 서부 1유형의 파수가 한쪽만 달린 토기가 출토되는 등 토기와 석기가 모두 시니가이 문화 서부 1유형과 비슷하다. 서포항 청동기 2단계는 5호, 6기 퇴적층 일부 토기가 포함되며, 시니가이 문화의 서부 1유형과 동부 2유형이 공존하는 특징이 확인된다. 서포항 청동기 3단계는 2호 주거지와 이와 유사한 유물이 확인되는 7기 퇴적층 일부를 포함한다. 시니가이 문화의 서부 2유형과 동부 2유형이 함께 확인되는 단계이다. 서포항 청동기 4단계는 7기에서 확인되는데, 4호와 10호 주거지 및 7기 퇴적층 유물과 6기 퇴적층유물도 일부 포함되며, 주로 리도프카 문화와 관련성이 있다. 이를 바탕으로 시니가이 문화 및 리도프카 문화와 절대연대를 비교하면 1단계는 3300~3200년 전, 2단계는 3200~2900년 전, 3단계는 2900~2500년 전, 4단계는 2500~2300년 전으로 볼 수 있다. 서포항 5기보다 이른 시기의 동북한 청동기시대 유적은 범의구석 1호인데, 이곳에서 출토된 대부마연 토기가 마르가리토프카 문화의 돌대각목 혹은 이중구연의 적색마연토기로 자연스럽게 이어진다. 따라서 동북한에서 청동기시대는 신석기시대부터 단절 없이 이어지며, 자연스럽게 변화되며, 특히 서포항 유적의 5~7기에서는 연해주의 청동기시대문화인 시니가이문화, 리도프카문화 특징이 반영되었다. The Seopohang Site of North Korea are formed not only in the Neolithic Age but also in the Bronze Age, and are at the center of this local period. However, as the site were unearthed in the 1960s, there was no absolute data accurately measure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 will compare the remains of the adjacent the culture of the Bronze Age in Russia Maritime Province with the 5-7 levels of the site. As a result, the Bronze Age of the SeoPohang is divided into four stages. The first stage corresponds to the fifth level of the remains, and it is characteristic of first type of Sinigai culture western part. the second stage corresponds to 5th dwelling and the 6th sediment deposit in the site, and it is characteristic of second type of Sinigai culture eastern part and first type of Sinigai culture western part. The third stage is part of the No. 2 settlement of 6th layer and some remains of 7th layer deposit and the Sinigai culture features two types of eastern and two Western types. The fourth stage is the seventh most common artifact, which is the nature of Lidovka culture in Russia Maritime Province. Phase 1 is between 3300 and 3200 years ago, phase 2 is between 3200 and 2900 years ago, phase 3 is between 2900 and 2500 years ago, and phase 4 is between 2500 and 2300 years ago. Therefore, in the 5th~ 7th levels of Seopohang Site, Sinigai culture and Lidovka culture characteristics of the Bronze Age culture of the Maritime Province were reflected.

      • KCI등재

        남해안지역의 청동기문화와 정치체 형성과정

        조진선 한국청동기학회 2022 한국청동기학보 Vol.31 No.-

        한반도 남해안지역에서 청동기는 청동기시대부터 초기철기-원삼국시대까지 주로 사용되었다. 청동기시대의 비파형동검문화는 지금까지 27개 유적에서 45점이 확인되었다. 남해안지역 비파형동검은요서·요동지역과 크기와 형태가 다른데, 납동위원소비 분석 결과를 보아도 대부분 남한3지구산(충청·전라·경북 북서부) 원료를 사용한 것으로 추정되어서 남한지역에서 남한산 원료를 사용해서 만든 것으로 생각된다. 초기철기시대 세형동검문화의 청동기들은 남한2지구산(강원도 동남부) 원료를사용한 것이 많아서 역시 남한지역에서 남한산 원료를 사용해서 만든 것으로 생각된다. 원삼국시대에는 세형동검문화계 청동기와 함께 중국과 일본열도계 청동기도 확인되는데, 청동기는 계통을 막론하고 원료가 대부분 중국북부산과 중국남부산으로 추정되어서 낙랑군을 포함한 중국에서 원료와 완성된제품을 함께 들여 온 것으로 생각된다. 전쟁 인류학과 전쟁 고고학의 연구성과를 토대로 남해안지역에서 정치체의 형성과정을 살펴보면, 비파형동검문화의 무기조합은 원격전용 투사무기(석촉·동촉)+근접전용 단병충격무기(석검·비파형동검)가 중심을 이루고 있어서 부족사회 단계로 생각된다. 그러나 여수반도 일대에서는 비파형동모가출토되는 것으로 보아 강제력을 수반한 수장권이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초기철기시대에는 세형동검문화가 등장하면서 원격전용 투사무기(석촉)+근접전용 단병충격무기(세형동검)+근접전용 장병충격무기(동모·동과) 조합이 확인되기 시작하므로 이 시기부터 강제력을 수반한 수장권이 형성된 군장사회로 접어드는 것으로 생각된다. 원삼국시대에는 철제 무기가 사용되면서 원격전용 투사무기(석촉·철촉)+근접전용 단병충격무기(세형동검·철단검)+근접전용 장병충격무기(동모·동과·철모·철과) 조합이 정착되고 있어서 『삼국지』에 보이는 국이 형성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南江流域 靑銅器時代 磨製石器 硏究

        이민주 한국청동기학회 2015 한국청동기학보 Vol.16 No.-

        주지하다시피 청동기시대는 신석기시대보다 정형화된 석기인 磨製石器가 성행하였으며, 청동기시 대에서 당시인들의 주요 도구였던 석기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비교적 지역연구가 활발하다고 할 수 있는 남강유역의 청동기시대 연구는 아직까지도 토기 나 특정 유구 중심의 연구가 대부분이고, 그에 비해 석기연구는 미진하다고 볼 수 있다. 그나마 최근 에 나온 남강유역 석기연구는 석기의 개별 기종만을 분석한 연구이기 때문에 남강유역의 전체적인 석 기양상을 알기에는 무리가 있다. 필자는 이에 영남지역의 청동기시대 대표 동일문화지역권이라 할 수 있는 南江流域을 연구대상지 역으로 하여 최근까지 확인된 다수의 자료를 바탕으로 형식 분류가 가능한 대표 마제석기들의 편년과 단계설정을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 지역 석기문화가 가진 특징과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천과정 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본고는 기본적으로 기존에 연구가 상당히 진행되어 시간성을 잘 알 수 있고, 공반관계 검 토가 용이한 출토유구인 주거지와 무덤과의 비교 검토 및 각 기종별 마제석기의 공반양상을 통해 남 강유역 청동기시대를 총 5단계로 구분할 수 있었다. 남강유역 석기에서 보이는 특징적인 형식을 기종별로 살펴보자면, 석검은 무덤에서만 출토되는 병 부가 직선형인 ⅡC식, 단부돌출형 석촉 ⅢA5식과 촉신의 형태가 방패형인 ⅢBㄱ식, 한쪽 단부가 부 푼형태의 석도 Ⅳㄷ식 등이 있다. 이러한 형식들은 남강유역의 지표형식으로서 추후 다른 지역과의 상관관계 및 영향력까지도 상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뿐만 아니라 본고의 석기연구를 통하여 남강유 역이라는 동일문화지역에서 확인되는 諸석기 양상을 살펴보고, 청동기시대의 문화상과 관련된 선행 연구의 공백을 메울 수 있는 주요한 고고학자료로서 가진 의미를 상기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Nam-river basin is located in the southwest Gyeongsangnam-do which has been recognized archaeologist by large-scale excavation through Nam-river Dam project in 1990’s, also where has attracted the notice of the world. It have been a lot of previous studies about archaeological materials of Nam-river basin. Among others, Bronze age achieved considerable research. In order to excavated a lot of relics of Bronze Age, it have served as not only chronological study based on Mumun pottery but also improved polished pottery and extensive studies of settlement on Nam-river, new study to restoration of dwelling site and other various studies have gone through significant growth consistently. Based on the achievements of such researches, we could be confirmed that Nam-river basin had the distinguished and regionalized cultural cluster. In spite of many meaningful attempts, there are focused on certain remains or pottery. While researches of stone tools had been limited. Though, recently studies related to Nam-river basin stone tools are unreasonable for figure out through phase of stone tools due to analyse of each separated item. The stone tools study of Nam-river basin as a cultural cluster, represented the Bronze age, has not been sufficiently made. It is thus necessary to recognize them to be reinforced. This study aims to analyzed cultural features and historical changes by over time; and concentrate on classified polished stone tools of representative; and established stages in chronological order that have been recently excavated and reported. This paper consists of three major parts. In the second chapter, stone daggers, stone arrowheads, stone knives and stone axe as major represented by reviewing prior studies of and the overall research on the status of stone age analysis for the polished stone tools. In the third chapter, it were established stages in chronological order by referred to the overlapping relation in the accompanying relationship, in the stone tools based on the classified type. In the four chapter, the cultural features by period on the basis of the changing aspect by period, analyzed and compared to other regions. As a result, extensive reviews bound to improve Nam-river basin of bronze age by divided into 5 stages. Stone daggers and stone arrows heads getting more and more various and different aspects by relics’s trait. It determine that the tools had been reflected opinion of the people. On the contrary, In EarlyㆍFirst, stone knives and polished stone axe kind of work tools had various types that stone knives had been dropping steadily except for explosively increased triangle stone knife. A certain tool had been stereotyped through designed to maximize efficiency. The need for mass production had increased when expanded the settlement site demanded a standardizing crop tool as social backgrounds. The advent of‘ full equipped stone tools set’ was considered defining point in time to be remarkable progress in Bronze age. It had a important thing to their around lives when they concentrated on the selected efficient model by enable to convenient work than previous tools in the era. According to the progress, it seems to be specialized and standardized many models by purposes in the late Bronze age.

      • KCI등재

        구분마연 청동무기와 제작도구

        허준양 한국청동기학회 2020 한국청동기학보 Vol.27 No.-

        The section polishing technique of Northeast Asia is generally observed in bronze dagger, bronze spearhead, bronze halberd, which is expressed i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bronze weapons. In general, this technique was distributed in Shanxi and Shandong, China, southern part of Korea, southeastern regions of the Maritime Province of Russia, and North Kyushu, Shanin area in Japan. Accordingly, it is estimated that the Korean-type bronze weapons emerged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s with Jungwon region (Shanxi and Shandong) as well as the northeastern region of China. This shows that bronze culture was established in mutual and independent positions by forming respective jurisdictions. The section polishing technique is seen to be regular polishing, which is done in the false edge and blade of a bronze weapo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section polishing technique of Korean-type dagger is observed with a width of 0.2 to 0.5 cm. In this study, the use of a bronze awl, forming the cross section of a certain size with a thin form like a rod, was examined by focusing on the narrow width. In addition, bronze weapons and tools were manufactured in each mold, which is believed to have been adjusted by varying the composition ratio of copper and tin. In other words, the section polishing technique, which is the fine-scratch, was used in the bronze awl by using the hardness, different from weapons. Therefore, it is estimated that the whetstone was used in the overall polishing of Korean-type bronze dagger (the shaping of line angle, the stone and the joint), while bronze awl was used in the fine section polishing technique. To put this together, it is found that bronze awl of type a was used in drawing the refined pattern like a fine-lined geometric mirror, bronze awl of type b was used in the drawing of the coarse line and rim like a coarse-lined geometric mirror, patterned-bronze ritual vessels and patterned-bronze weapons, and bronze awl of type c was used in carving angular knobs of geometric mirror. In addition, the bronze awls of type a, b, and c and the bronze chisel of type a·b are estimated to have been used in overall drawing, figuration and carving mould. That is, each production and usage is estimated to have been utilized by complementing each other in an organic and interlocking way according to the shape or pattern. Based on findings above, the experiment of experimental archaeology was conducted by using the bronze awl of the section polishing technique in Korean type bronze weapons. 동북아지역의 구분마연 기법은 대체로 동검, 동모, 동과에서 관찰되고 한국식, 중국식, 일본식청동무기에 표현되어 있다. 이들은 중국 산서·산동지역, 한국 남부지역, 러시아 연해주 동남부지역, 일본 북부구주·산음지역에 분포한다. 일련의 자료를 통해 볼 때, 한국식 청동무기는 중국 동북지역뿐만 아니라 중원지역(산서·산동)과의 관계에 따라 출현한 것으로 파악된다. 즉 동북아지역의 청동기문화는 각각의 지역권을 형성하여 상호 유기적이면서 독립적인 위치에 성립된 것으로 이해되는 바이다. 구분마연은 청동무기의 능각과 인부에 횡방향의 규칙적인 마연이 있는 것을 말한다. 한국식동검의구분마연은 0.2~0.5cm 정도의 폭으로 관찰되어 이 좁은 폭을 주목하였다. 즉 봉처럼 얇은 형태, 일정 크기의 단면을 형성한 동추를 제작도구로 제시하였다. 이와 함께 청동무기와 청동공구는 분리되어각각의 주형에서 제작되는데 이러한 점은 구리와 주석의 성분비를 조정한 것으로 보인다. 다시 말해무기와 다른 경도의 동추를 사용하여 세밀한 스크래치인 구분마연을 한국식동검에 넣은 것이다. 따라서 한국식동검의 전반적인 마연(주조 지느러미 제거, 능각과 인부 및 절대 성형)은 지석을 사용하고, 세밀한 구분마연은 동추를 활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종합하여 볼 때, 동추 a형은 다뉴세문경 등의 세밀한 문양 및 제도에, 동추 b형은 다뉴조문경ㆍ유문청동의기ㆍ유문청동무기 등의 굵은 선문과 주연부에, 동추 c형은 다뉴경의 각진 뉴 등에사용되는 것으로 보았다. 또한 동추 a·b·c형과 동착 a·b형은 전반적인 제도·성형 및 주형 깎기에 사용되었을 것이다. 즉 각각의 제작 및 사용은 형태나 문양에 맞춰 상호 유기적이면서 연동적으로활용된 것으로 보인다. 이상을 토대로 한국식동검의 실험고고학을 진행하고, 그 정보를 제시한다.

      • KCI등재

        고창지역 청동기문화에 대한 검토

        양영주 한국청동기학회 2021 한국청동기학보 Vol.28 No.-

        고창지역은 지석묘 중심 분포권으로 한반도에서 지석묘 최대 밀집지역 가운데 하나로 일찍부터 지석묘에 대한 관심과 함께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졌다. 고창지역 청동기시대는 금강유역에서 형성된 송국리문화가 만경강-동진강을 거쳐 고창지역으로 들어오면서 지석묘문화와 송국리문화가 결합되어 청동기문화를 꽃피웠던 지역이다. 고창지역을 지형적 특징에 따라 갈곡천유역권, 주진천유역권, 서부 해안지역권, 대산천‧와탄천유역권 등 크게 4개의 권역으로 구분 하여 각 유역권에서 조사된 고고학 자료를 살펴보았다. 지금까지 고고학 자료를 살펴보면 고창지역은 조‧전기유적 부재와 중기유적의 급증으로 고창지역만의 지역성이 두드러지는 것이 특징이다. 송국리문화의 확산으로 취락에 있어 송국리 식주거지가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분묘는 재지의 지석묘가 중심을 이루면서 일부 송국리문화의 영향으로 볼 수 있는 석관묘, 석개토광묘, 옹관묘 등이 축조되기 시작한다. 주거에 있어 송국리문화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이지만, 분묘에 있어서는 전통성과 재지성이 강한 지석묘를 축조하면서 하부구조인 매장시설은 석관을 채용하고 있다. 이는 지석묘 축조 집단에 의해 주거와 분묘의 요소 일부를 송국리 문화를 채용하면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볼 수 있다. 후기가 되면 새로운 점토대토기문화가 유입되면서 기존 지석묘는 물론 송국리문화도 급격하게 쇠퇴한다. 점토대토기문화는 취락의 부재와 분묘 또한 산발적으로 나타나고 있어 주류문화로 형성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청동기시대부터 고창지역은 지석묘를 통한 독자적인 문화권을 형성하며 이후 지석묘사회의 점진적인 변화과정을 거쳐 마한사회로 변화된다. Gochang region belongs to a central zone of dolmens as one of the largest concentration areas of dolmens on the Korean peninsula and, due to interest in the dolmens there,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on them continuously since early on. During the Bronze Age, Gochang was where Songguk-ri culture which had taken shape on the Geumgang River basin entered via the Mangyeong-Dongjingang Rivers and was combined with the dolmens and Songguk-ri cultures to blossom the Bronze Age culture. In this paper, Gochang region was divided roughly into four spheres based on topographical features: Galgokcheon Stream basin area, Jujincheon Stream basin area, western coastal area, and Daesancheon-Watancheon Streams basin area. Subsequently, the archaeological data surveyed from each basin were examined, which made it clear that Gochang is 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initial and early days relics as well as by the rapid increase of mid-age relics, revealing by thus the unique locality of Gochang reion of its own. With the spread of Songguk-ri culture, the residential areas of Songguk-ri-style were rapidly increasing in the settlements and, as for tombs, stone coffin tomb, pit-grave with stone cover, jar burial, etc. which could be seen as an influence partly of Songguk-ri culture began to be built although dolmens of the local type occupied the center. As for type of dwelling, Songguk-ri culture was positively accepted, but in terms of tomb, dolmens were still constructed that reflected the strong influence of tradition and locality, whereas stone coffins were used as lower structures of burial facilities. This seems to be a phenomenon that occurred when some of the elements of residences and tombs of Songguk-ri culture were adopted by the group who built dolmens. As a new culture of pottery with ring-rim was introduced in the latter period, not only the existing dolmens, but also Songguk-ri culture itself declined rapidly. The culture of pottery with ring-rim is believed to have failed to develop to be a mainstream culture because there were no settlements and graves appeared sporadically. From the Bronze Age onward, Gochang region formed its own cultural sphere thanks to dolmens, and was transformed to Mahan society through a gradual changing process of the dolmen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