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민의 행복과 복지향상을 위한 과학기술정책

        서지영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3 STEPI Insight Vol.- No.112

        국민의 복지에 대한 수요가 증대하고 있는 가운데, 기존의 성장중심 과학기술정책에서 벗어나 복지향상을 위한 과학기술에도 정책적 역량을 증대시킬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지난 2006년 미래 국정운영의 방향을 제시한「비전 2030」이후, 과학기술분야에서도 ‘삶의 질’, ‘공공복지안전’, ‘따뜻한 과학’ 등 성장일변도의 과학기술 개발을 반성하는 새로운 개념들이 등장하였으며, ‘복지’ 분야 연구개발투자 증가 또한 예상된다. 하지만 지금까지 복지 관련 연구개발 사업들은 정책의 방향과 목표, 전략이 수립되지 않은 가운데, 시의적 요구에 대한 즉각적 대응에 치중한 경향이 있으며 기존의 복지 관련 연구개발 사업의 성과와 한계를 국민복지 향상이라는 관점에서 살펴보고, 향후 발전방향 모색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본원의 연구보고서인 서지영 외(2012), 「공공복지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정책 방향과 중점과제」의 내용을 요약 정리하여 국민의 행복과 복지향상을 위한 과학기술정책의 추진과제 4가지를 다음과 같이 도출해내고 있다. [과제 1] 수요지향적 연구개발 기획을 위한 전담연구조직 설치 [과제 2] 국민행복 과학기술 연구개발 중장기 계획 수립 [과제 3] 근거기반의 복지과학기술정책 수립을 위한 인문사회-자연공학 통합 연구개발 로드맵 [과제 4] EHS(Environment, Health, Safety) 통합 연구개발 체계 구축

      • KCI등재

        계약과 실험, 충돌과 모순: 1920-30년대 연애의 장(場)

        서지영 한국여성문학학회 2008 여성문학연구 Vol.19 No.-

        This paper intends to quest for the historical meaning of modern love in colonial Korea by looking into the reception and reconstruction of discourses on love from the Western Europe via Japan. First, I examine the multi-layered features of Ellen Key's book on love and that of Kuriyagawa Hakuson who succeeded to Ellen Key's concepts and thoughts and elevated her ideas on love into transcendental ideology, which became the ground of general idea on love at that time. Furthermore, I deal with the radical discourse on love by Aleksandra Kollontai presenting the model of proletarian love replaced by Ellen Key or Hakuson's love which was criticized as the bourgeois's love. Also, I illustrate the realization of modern love in actual life, which produced various refractive and contradictory results. Through the topography of discourses on love and the actual application in 1920-30s' Korea, I try to show how the ideal modern love combined with the prospect of women's liberation collided with the gender and class system and how the value of love were diminished or removed by being incorporated into the discourses on monogamy, nation, and state. 이 논문은 1920-30서 수용되고 재구성되는 과정을 고찰함으로써 식민지 근대 , 연애의 역사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먼저, 1920년대 영육일치의 연애와 연애지상주의의 포문을 열었던 엘렌케이의 연애론의 특징과 한국 내의 수용양상을 살피고 , 엘렌 케이를 계승하면서 연애를 일종의 초월적 이데올로기로 승격시킨 구리야가와 하쿠손의 연애론을 분석하여 그것이 조선 내 지식인들의 연애론의 근간으로 재구성되는 양상을 추적하였다. 또한, 1930년대에 이르러 부르주아식 연애로 비판된 엘렌케이와 하쿠손의 연애론을 대체하여 프롤레타리아 연애의 모델로 등장한 콜론타이의 급진적 연애론이 담론화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또한, 현실의 장 속에서 연애가 구현되는 양상을 통해 , 연애를 둘러싼 이상과 현실 사140 여성문학연구 19이의 간극을 다각적으로 살펴보았다 . 이러한 1920-30년대 연애 담론의 지형과 현실 속의 연애에 대한 탐색을 통해 , 본고는 근대 연애론이 민족 , 젠더, 계급, 자본 기제와 충돌하면서 균열을 일으키는 지점을 제기하고 , 나아가 근대 연애를 구성한 이데올로기와 판타지의 이면을 성찰하고자 하였다 .

      • KCI등재

        근대적 사랑의 이면: ‘정사’(情死)를 중심으로

        서지영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0 한국문화 Vol.49 No.-

        This paper tries to clarify the cultural phenomenon of “Double Suicide for Love” reported in the mass media such as newspaper and magazine in the early modern Korea. It is presumed that “Double Suicide for Love” which is rarely found in the pre-modern documents was influenced from the Japanese culture from the pre-modern, Edo, through Meiji to Taisho period when “Double Suicide for Love” was flourishing. And it is understood as one new trend produced in the spread of modern love and modern monogamy, which were introduced via Japan. This paper looks into the specific aspects of “Double Suicide for Love” in the early modern Joseon through the analysis of social mechanism such as class and gender which operate as a base of “Double Suicide for Love”. Furthermore, this will quest for the socio-historical meaning of “Double Suicide for Love” by examining the stream of consciousness surrounding love and death.

      • KCI등재

        朝鮮時代 黑磁의 製作樣相과 性格- 문헌기록과 가마터 출토품을 중심으로 -

        서지영 한국미술사학회 2011 美術史學硏究 Vol.- No.270

        Black-glazed porcelains from the Joseon period, distinct from buncheong ware or white porcelains in terms of shape, glaze, and firing method, bear strong witness to the rich diversity of Joseon ceramics. This variety of Joseon ceramics is one of the most notable ceramic traditions in East Asia. Black-glazed porcelains appears to have been ceramics used to store and carry liquid and other things, as confirmed by documentary sources and chemical analysis of evidence found in kilns from this period. Component analysis revealed that Joseon black-glazed porcelains are made of white clay and ingredients that are similar to those used for buncheong ware and white porcelains from the same period. Documentary sources, meanwhile, show that black-glazed porcelains,made of white clay, were perceived in Joseon as sturdier vessels than earthenware vessels. Also, unlike earthenware, which is fired only once, black-glazed porcelains are glazed and fired twice, just like regular porcelains, as shown by the analysis of fragments found in a kiln,along with those of buncheong ware and white porcelains. Glaze used for black porcelainsduring the Joseon period contained twice to four times more oxidized iron than the glaze used for buncheong ware or white porcelains; hence, the dark color. Joseon black-glazed ware varies in terms of clay and glaze and region of production. Types of vessels and firing methods changed over time. Three stages can be distinguished in the evolution of Joseon black-glazed porcelains. During the first phase (15th and 16th centuries), they were produced in small quantities at buncheong ware kilns. These blackglazed wares are similar to buncheong ware, in terms of ingredients, shapes, and firing methods, but are distinct from the latter in that they are mainly, vases and jars, in other words, storage vessels. During the second phase (17th and 18th centuries), they started to be produced at white porcelain kilns. Although similar to white porcelains in ingredients, shapes,and firing methods, black-glazed vases and jars from this period were more varied in design than white porcelain vases or jars. During the third phase (19th century and thereafter), there was the emergence of kilns producing either exclusively or mainly black-glazed ware, and this was accompanied by an overall increase in the production of this type of ware. Just as the first and second phases, black-glazed vessels produced during this period were also vessels for storing and carrying. Meanwhile, although they tended to be similar to white porcelains in terms of ingredients and firing methods, vases and jars in black-glazed ware from this period have at times original shapes that are not seen among white porcelain ones. Such an increase in the production of black-glazed ware appears to have had to do with the food culture of the late Joseon period. Advances made in farming and fisheries techniques made a larger variety of foodstuff available, which, in turn, led to the development of new accommodation techniques. Such developments are likely to have driven up the demand for vessels for storing food. With the increased production of grain, surplus grain was used to brew liquor, possibly boosting the demand for vases and jars for storage purpos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reconstructs the circumstances of production of black-glazed porcelains during the Joseon period and analyzes their characteristics, based on both information available through documentary sources and the careful examination of surviving items whose site of production is precisely known, comparing them with buncheong ware and white porcelains in terms of clay and glaze, production sites, types of vessels, shapes, and firing methods. 흑자란 검은색조의 유약이 시유된 자기를 일컫는다. 조선시대에 제작된 흑자는 기형과 유색·제작 방법에서 분청사기·백자와 구분되는 독특한 특성을 갖추고 있다. 조선시대 흑자는 실용적인 성격을 띠고 음식을 저장·운반하는 용도로 사용되었다. 흑자는 분청사기나백자의 태토와 유사한 성분으로 이루어진 것을 과학적 분석을 통해 알 수 있었으며, 문헌에서 도기와는 다른자기처럼 인식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단벌 구이를 기초로 하는 도기와는 달리 초벌 후 시유하는 과정이나,분청사기·백자와 함께 번조된 흑자의 파편을 통해 흑자를 자기질로 볼 수 있다. 흑자의 유약은 산화철을 비롯한 착색제의 함량이 분청사기나 백자에 비하여 다량 함유되어 흑색계열의 어두운 색조로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조선시대 흑자는 원료와 생산지, 그릇의 종류와 형태, 번조방법에 따라 시기별 특징을 이루는데, 세 단계의 변화양상을 보이고 있다. Ⅰ기(15-16세기)의 흑자는 분청사기 가마터에서 소량 생산된 것으로, 원료·기형·번법 모두 분청사기와 유사했으나 기종은 병과 호를 중심으로 한 저장·운반기 위주로 출토된 것이 분청사기와 차이점을 가진다. Ⅱ기(17-18세기)의 흑자는 백자 가마터에서 생산되기 시작하며, 흑자의 원료나 기형·번법은 백자와 유사한 면이 있었으나, 흑자병과 호의 기형은 백자보다 다양하게 제작되었으며, 소량이지만 흑자발과 접시 등 음식기도 확인되었다. Ⅲ기(19세기 이후)에는 흑자만 단독으로 생산하는 가마나 백자보다 흑자를 중심으로 생산하는 가마가 확인되어 흑자가 양적으로 증가하는 시기이다. Ⅰ·Ⅱ기와 마찬가지로 저장·운반기 중심으로 제작되어 흑자의 용도는 변함이 없는 것으로 보이며, 원료나 번법 등은 백자와 유사한 면이 확인되었다. 또한 백자에서는 확인되지 않는 기형의 흑자병과 호가 다양하게 제작되었다. 이처럼 조선 후기에 흑자가 많이 생산되는 이유는 음식문화와 연관이 있을 것으로 보았는데, 농·어업의발달로 인하여 조리법이 다양해지고, 저장용의 자기 수요가 증가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또한 곡물의 재배량이 증가되면서 주류문화의 발달로 음료를 보관할 수 있는 호와 병의 수요도 증가하게 되었을 것으로 보았다. 이 연구는 문헌기록을 통해 흑자에 대한 어의와 용례를 살펴보고, 출토지가 명확한 가마터 출토품을 중심으로 흑자의 원료와 생산지, 기종과 기형, 번법을 동시대의 분청사기나 백자와 비교분석하여 조선시대 흑자의 제작양상과 제작 시기별 특징을 도출해 낸 것에 의미가 있다.

      • KCI등재후보

        紅藤湯이 LPS 膣內 注入 생쥐에 미치는 抗炎症효과

        서지영,김윤상,윤정문,이태희,임은미 대한한방부인과학회 2005 大韓韓方婦人科學會誌 Vol.18 No.1

        Purpose : There are various oriental medicine therapy of treating Pelvic Inflammatory Disease(PID) in clinics. We made the PID mice model by injection Lipopolysaccharide (LPS) in vagina, and investigat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Hongdeung-Tang among oral medication, retention enema therapy and herbal-acupuncture treatment. Method : The ICR(20-30g) mice(♀) were used. To examine the occurrence of inflammation, LPS in different concentration was injected into the vagina of the mice, and White Blood Cell(WBC) in blood was counted. To examine anti-inflammatory effects, 6 mice were assigned to each of the normal group, the control group and the sample group. Hongdeung-Tang was medicated in oral and rectal with 1.0g/㎏ low dose and 3.0g/㎏ high dose and by herbal acupucture for 5 days, 2 days before LPS injection. After 3days from LPS injection, blood was collected from retro-orbital plexus, and WBC, Interleukin-6(IL-6), Tumor Necrosis Factor-α(TNF-α) in the blood was counted. Result : After LPS injection with each dose, WBC count showed significant increase depending on LPS concentration from 100㎍/㎏, and it was maximized at 3 or 4 days after LPS injection. the Hongdeung-Tang treatment groups, The number of WBC was decreased significantly only in low dose and high dose oral medication, and IL-6 concentration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oral and rectal medication as well as in herbal acupuncture treatment. TNF-α concentration was decreased significantly in oral and rectal medication of low dose and high dose. herbal-acupuncture treatment group datas showed reductive tendency. Conclusion : Based on above results, we made the PID mice model by injection LPS in vagina , and demonstrated anti-inflammatory effect of Hongdeung-Tang of oral medication, retention enema therapy and herbal-acupuncture treatment.

      • 간농양, 신농양이 동반된 괴저성 농창 1례

        서지영,김신영,한만용,이규형,Seo, Ji Yeong,Kim, Shin Young,Han, Man Yong,Lee, Kyu Hyung 대한소아감염학회 2002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9 No.1

        녹농균은 면역질환이 있거나, 기저의 악성질환이 있을 때 주로 감염되며, 건강한 환아에서 감염되는 경우는 흔하지 않다. 저자들은 특별한 면역질환이나 기저질환 없이 녹농균감염이 간, 신장, 피부 등에 다발적으로 발생하여 간농양과 신농양, 신우신염을 동반한 괴저성 농창으로 진단된 1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괴저성 농창은 조기 진단과 조기 치료가 예후에 중요한데, 본 증례에서는 비교적 조기 진단과 치료가 이루어져 좋은 예후를 보인 것으로 사료된다. Ecthyma gangrenosum is usually seen in immunocompromised patients, particularly in those with underlying malignant disease. Ecthyma gangrenosum is rapidly progressing skin infection characterized by edema, hemorrhage, bullae and necrosis. We experienced the case of a 13-month-old male who had Ecthyma gangrenosum associated with liver abscess and renal abscess. The patient initially presented with skin lesions of multiple well defined central necrotic black colored large erythematous bullae. The multiple liver abscess with hepatomegaly and multifocal pyelonephritis with focal renal abscess revealed by abdominal ultrasonogram and computed tomogram. In the bacterial cultures of skin, urine and liver aspiration fluid, Pseudomonas aeruginosa was grown. The patient had no immune deficiency disease. We report this case with a review of related literat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