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술사와 인문학적 가치 -한국미술사의 ‘20세기 구미 미술사 이론’의 수용과 전개-

        권영필 한국미술사학회 2010 美術史學硏究 Vol.268 No.268

        This paper, written for the occasion of the 50th anniversary of the Association of Korean Art History, is a review of major methodological issues in Korean art history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ities‘. Korean art history,’here, should be understood as the history of traditional Korean art. Meanwhile, the papers examined here are mainly those that were presented at the Association of Korean Art History, but, in some cases, papers from other fields were considered as well. This essay discusses how, pioneered by Mun Myeong-dae who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methodology in art historical studies, methodology has been continuously discussed over the past fifty years, as an area of research in its own rights, and how the application of stylistic analysis has become common since the 1970s,championed by An Hwi-jun. The discussion of methodological evolutions also includes iconology, popularized by Erwin Panofsky’s works. Iconology has been prominent in the field of Korean art history since the 1990s. Iconology is particularly widely applied in the study of Buddhist art, as can be seen in papers by Choe Seong-eun and Kim Jeong-hui. To draw attention to the overlapping characteristics between art history and other disciplines in humanities, I quote extensively from Panofsky’s discussion of humanistic art history, examining also the influence that Panofsky has had on American art history. I, then,turn to works by the US art historian V. H. Minor, published in the 1990s, proving that the influence of stylistic analysis in the field of art history remains undiminished. Examples from Japan, such as research by Nagahiro Toshio, attesting to the dominance of stylistic analysis and formalism and other European methodologies among researchers of Asian art,are cited as well. As Max Loehr famously said tha“t art exists not to express its time but to give content to its time,”art cannot be properly assessed without considering its humanistic roots. Interpreting and assessing paintings by Jeong Seon(1676-1759), to take an example of a Joseon painter, cannot be accomplished meaningfully without considering their humanistic context and subtext. Korean art history as a humanistic discipline could be especially useful for building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what we can call“Korean beauty or“Korean aesthetics.”Korean aesthetics, as a subject with humanistic values, can be mostly readily understood in art works. Art history and aesthetics, in my opinion, are two inseparable and mutuallycomplementary fields. As is well-known, the methodological framework of art history in Europe is greatly indebted to modern aesthetics. Meanwhile, due to the dearth of historical records dating from before modern times, one is forced to rely on art history in order to study Korean aesthetics. Finally, to predict future methodological directions, I turn to related phenomena in Western art history. For example, I value the viewpoint that Da Vinci’s sfumato is interpreted as an inclusive gesture toward uncertainty and argue that art plays a reconciliatory role in the history of civilization. I also argue that Western aesthetics such as the aesthetics of reception have proved useful to an extent as a basis for Korean art historical interpretations. The guiding principle, as we search for a new methodology, should be finding a place for Korean art history in the history of world art, while not sacrificing its specific nature. 이 글은 한국미술사학회 50주년 기념에 즈음하여 한국미술사에서의 방법론의 문제를 인문학의 관점에서관찰하고자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여기에서의 ‘한국미술사’는 한국의 전통미술을 의미한다. 또한 분석 대상의 논문들은 한국미술사학회에서 발표된 것을 줄거리로 잡되, 필요에 따라 그 외의 것들도 포함시켰다. 문명대가 방법론을 강조한 것을 필두로 지난 50년 동안 방법론 자체가 지속적으로 연구되었음을 확인하는일면, 그 동안 발표된 논문에서, 예컨대 70년대의 안휘준의 논문을 비롯하여 ‘양식론’ 적용이 보편화되었으며, 90년대 이후부터는 파노프스키의 도상해석학이 강세를 보이며 등장한 사실을 파악하게 된다. 최성은,김정희의 논문에서 보듯, 도상해석학은 불교미술에서 이용도가 두드러진다고 하겠다. 특히 이 논문에서는 미술사의 인문학적 특성을 피력하기 위해 파노프스키의 인문학적 미술사론을끌어들였다. 이 국면에서는 미국 미술사학계에서의 파노프스키의 영향을 아울러 검토하였다. 또한 미국의마이너(V.H.Minor)는 그의 90년대의 저서에서 양식론의 위력이 아직도 건재함을 입증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도 나가히로 도시오(長廣敏雄) 등에서 보듯이 동양미술사 연구자들이 유럽의 양식론을 비롯한 서구 방법론에 주력하고 있음을 보게 된다. “미술이 시대를 표현하려고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시대에 내용을 부여하려고 존재한다”는 뢰어(M.Loehr)의 명제는 인문학으로서의 미술사의 입장을 더 깊이 있게 만든다. 궁극적으로 겸재 회화의 평가도 이런 각도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인문학으로서의 ‘한국미술사’는 ‘한국미’와 ‘한국미학’의 이론적 기반을 이루는 데에도 효용가치가 있다고 하겠다. 한국미는 인문학적 가치를 지닌 주제로서 무엇보다도 미술작품에서 그것의 본질을 발견할 수있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필자는 미술사와 미학의 관계를 상보관계로 본다. 알려져 있듯이 미술사의 방법론 정립은 근세 이래 미학으로부터 많은 빚을 지고 있다. 한편 ‘한국미학’은 근세 이전의 경우 문헌사료가 영성하여 미술사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 사정이다. 방법론의 전망에 대해서는 서양미술사에 나타난 현상을 차용하여 풀어 보았다. 예컨대 다빈치의 ‘스프마토’를 ‘불확실성에 대한 포용력’으로 해석한다든가, 미술이 문명사에서 ‘화해자(和解者)의 역할을 한다는 등의 관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한국미술사 해석을 위한 기초로서는, 예컨대 ‘수용미학’ 같은 서양미학이어느 정도 값어치를 발휘할 것으로 본다. 무엇보다도 한국미술사의 고유성을 지키면서 세계미술사 속에 자리매김 되는 방법론을 찾아야 할 것이다.

      • KCI등재

        1970~1980년대 신형상 세대의 한국화 - 극사실 경향에서 민중미술까지

        이민수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2020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39 No.-

        After the mid-1970s, a new atmosphere was created in the Korean art world by the formation of a unique figurative art. This stream is represented by the so-called Hyperrealism, which was mainly spread out through consecutively held large-scale private sponsored exhibitions such as The Grand Art Exhibition of Korea, Donga Art Festival, and Joongang Fine Arts Prize. These exhibitions all claimed to support ‘originality’ and ‘figuration.’ To begin with, they carry repellent meanings toward Informel, Dansekhwa, and other abstractive tendencies. These events were also called as ‘new figuration’ to be distinguished from existing and unchanging conceptions spread by The National Art Exhibi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I highlight that the emphasis on this ‘new figuration’ brought great differences to trends in Hangukhwa (Korean painting). Artists who sought for their direction to modern Hangukhwas from traditional paintings were awarded not only in private exhibitions, but also in The Grand Art Exhibi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by submitting numerous hyper-real Hangukhwas. The combination of Hyperrealism and Hangukhwa seems incompatible in an instant, then what does this fusion mean? Such phenomenon cannot be interpreted solely by focused discourses on the existing combination of ink wash painting and abstraction. Therefore, this study retraces Hangukwha with the flow of ‘figuration’. In other words, it will compare and contrast how figure is expressed in traditional and modern Hangukhwas. This examination should be started from the hyper-real Hangukhwas. By this, the study analyzes and understands Real-Scenery Landscapes and urban landscapes in the 1970s, the ink painting movement in the early 1980s, and Hangukhwa affiliated with Minjung Art in the context of art of the same period. 1970년대 중반 이후부터 우리 미술계에는 독특한 구상(具象)(figurative) 미술이 하나의 기류를 형성했다. 이른바 극사실주의로 대표되는 이 흐름은 당시 잇달아 개막한 《한국미술대상전》, 《동아미술제》, 《중앙미술대전》과 같은 대규모 민간 주최 공모전(이하 민전)을 통해 주로 전개되었다. 이들 민전이 표방한 것은 ‘새로움(New)’과 ‘형상성(Figuration)’이다. 여기에는 우선, 1960년대와 70년대 전반까지의 앵포르멜, 단색화와 같은 추상 경향에 대한 반발의 의미가 깔려 있었다. 또한 기존 《대한민국미술전람회》에서 만연한 구태의연한 구상과 구별하기 위해 ‘새로운 형상’으로 지칭되었다. 필자가 주목하는 것은 이 ‘새로운 형상성’의 강조가 당시 한국화의 경향 변화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는 점이다. 전통회화에서 현대 한국화로의 방향을 모색하던 화가들은 민전뿐만 아니라 《대한민국미술대전》에 극사실 경향 한국화 작품들을 대거 출품해 입상했다. 언뜻 봐도 어울리지 않는 듯한 극사실기법과 한국화의 결합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 같은 현상은 기존의 수묵과 추상의 관계에 집중된 논의를 통해서는 결코 설명될 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형상성’의 흐름으로 한국화를 다시 기술한다. 즉 전통회화에서의 형상 표현과 현대 한국화에서의 그것이 갖는 공통점과 차이를 극사실 경향 한국화를 기점으로 살펴본다. 이를 통해 1970년대 실경산수화와 도시풍경화, 이후 1980년대 전반기의 수묵화운동, 그리고 민중미술 계열 한국화를 동시대 미술의 문맥에서 분석하고 파악한다.

      • KCI등재

        미술사의 과제와 역사학

        남동신 한국미술사학회 2010 美術史學硏究 Vol.268 No.268

        This paper, written on the occasion of the 50 th anniversary of the founding of the Association of Korean Art History, explores tasks facing the discipline of Korean art history – research directions and methods in the 21st century - by looking at Korean Buddhist art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I begin by discussing methodological tasks. One of the recent research trends in Korean art history has been to extend the field of research to include a broader visual culture and even material culture as a whole. In terms of methodology, this trend has been concerned with the active use of not just visual art forms, but also tex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mages and texts, I argue that they are different ways of recording one and the same experience, and that when these media are used to transmit religious messages, there is a difference in terms of authoritative value; a fact well understood by Buddhist artists of premodern and modern times. My discussion then moves on to future research directions. As is well-known, the modern discipline of Korean art history was a field transplanted to Korea by Japanese government- sponsored researchers as part of an attempt to legitimize Japan’s colonial rule over Korea, and what was transplanted was not art history as a modern academic discipline,which was created in Europe, but the way it was understood and re-adapted in Japan. This transplanted framework of art history could not properly reflect Korean history and culture,concerning both the selection of research subjects, methods, and terminology. In light of this, I propose, in this paper, the ways in which we conduct research on and interpret Korean art history as well as East Asian art history from various perspectives. To give a concrete example, I have reviewed two records of repair and renovation found inside the Seokgatap Pagoda of the Bulguksa Temple, Mugujeonggwang Jungsugi (Dabotap Jungsugi , 1024)and Seoseoktap Jungsugi (Seokgatap Jungsugi , 1038) and have identified fifteen names of stone pagoda parts that were widely used in the early Goryeo period. I suggest that these names be used to replace or complement the Japanese-style names of pagoda parts that are currently in use. Art history and history are intimately related to each other insofar as they both reorganize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past. No two academic disciplines are as closely linked to each other as art history and history. In this sense, this paper serves to stimulate the communication and exchange between these two research fields. 본고는 한국미술사학회 창립 50주년을 맞아, 역사학의 관점에서 불교미술사를 중심으로 한국미술사학의 당면 과제–새로운 세기의 연구방향과 방법론–를 검토하였다. 첫째는 방법론의 과제이다. 최근 한국미술사학의 연구동향은, 연구 영역을 미술에서 시각문화로, 시각문화에서 물질문화로 확장하면서, 방법론에 있어서도 시각자료만이 아니라 문자자료까지 적극적으로활용하는 추세를 잘 보여준다. 이와 관련하여 필자는 시각자료와 문자자료가 동일한 체험을 다른 방식으로 기록하며, 종교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서 종교적 권위에 차이가 있는바, 이 사실을 전근대 불교도들도충분히 인식한 위에서 불교미술품을 제작하였음을 부각시켰다. 둘째는 연구 방향의 문제이다. 주지하다시피 한국근대미술사학은, 서구에서 성립된 근대미술사학이일본식으로 번안되고, 이것이 다시 일본 관학자들에 의하여 일제의 한국 식민지화를 합리화 하려는 의도에 부응하며 한국에 이식된 것이다. 따라서 미술사학의 주제 설정, 방법론, 용어 등에서 한국의 역사 및 문화를 정당하게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가 불가피하였다. 필자는 이와 관련하여 한국적 시각에서 한국의 미술사, 동아시아의 미술사를 새롭게 정립할 것을 제언하였다. 구체적으로 불국사 석가탑에서 출토된 「무구정광탑중수기」(다보탑중수기, 1024년)와 「서석탑중수기」(석가탑중수기, 1038년)를 검토하여, 고려 초에 통용된 한국의 전통적인 석탑 부재 명칭 15종을 발굴하였으며, 이것이 현재 통용되고 있는 일본식 석탑 부재 명칭을 수정 보완할 수 있음을 밝혔다. 미술사학과 역사학은 과거의 역사와 문화를 재구성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매우 밀접한 관계에 있으며, 다른 어떤 학문분야보다 친연성이 깊다. 그런 점에서 본고는 향후 두 학문 분야간의 소통과 교류를 더욱 활성화시키는 데 기여하리라 기대된다.

      • KCI등재

        ‘비주류’의 개념미술가, 성능경의 ‘망친’ 모더니즘 미술

        조수진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2022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44 No.-

        SUNG Neung Kyung(b. 1944-) is a renowned conceptual artist who led the experimental art movement in South Korea. His artwork uses nontraditional methods such as newspaper, photography, and performance. In 1973, he appeared in the art scene as a member of ST, a avant-garde art group. Until the late 1980s, he showcased newspaper-related installation art and performance which challenged government censorship of media and press’s power to edit. He was also one of the first artists to use photography in fine art in the 1970s. He began with photographs that explored tautology as a concept. He then presented photography installation art which took pictures of the newspaper itself or used his personal life as motif. Sung is also well known as a pioneer of Korean performance art starting in the mid-1970s, which then was referred to as “events.” From his earlier self-referential events to his post-1990s artwork which express the complex nature of life in a distinct manner, the world of his performance art has not only been colorful but also extremely unique. Sung, who has been dedicated to creative production for the last fifty years, has produced artwork essential to understanding the trajectory of South Korean art history—including avant-garde, experimental art, modernism, art for art’s sake, realism, and postmodernism. Sung’s approach to art has not been properly evaluated, however, in mainstream Korean art history or even within 1960-70 experimental art itself. This essay seeks to study Sung’s oeuvre, periodize and characterize his work,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 periods, and locate its place in Korean art history. As a minority conceptual artist, Sung has remained in the periphery of Korean art scene. This project then aim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his artistic expression. This research finds that Sung, as a conceptual artist, always distanced himself from the mainstream and reified the attitude of the minority. What he sought as conceptual art was anti-modernism, which stood outside of the inside of Korean modernism. His artwork, which 227 crossed newspaper, photography, and performance, and aimed for realism, rejected the purity and medium-specificity of modernism and challenged norms of Minjung art. Furthermore, his photo installations from the 1980s onward or his performance from the late 1980s onward, by definition, lacked marketability. Such works remained in the peripheries of art, outside of the institutions of art. This research considers the non-mainstream character of Sung’s conceptual art as fundamental to his approach to art, and as an opening for a new interpretation of post-1970s South Korean art history. When locating Sung within modernism, much fruitful and varied discussion emerges on conceptual art within Korean modernism, that is, experimental art outside of genre boundaries. When placing Sung within realism, historical avant-garde’s precedence on purity meets that of Minjung art to expand the horizon of purism in Korean art history. Sung’s conceptual art, which offers a minority’s alternative view, allows a reconsideration of Korean art beyond the dichotomies of modernism and realism, modernism and postmodernism, and center and periphery. 성능경(Sung, Neung Kyung, 1944~)은 비전통적 미술 창작의 수단인 신문, 사진, 행위 등을 이용한 작품으로 실험미술의 흐름을 주도한 한국의 대표적인 개념미술가이다. 그는 1973년 전위미술 단체 ‘ST’의 회원으로 미술계에 본격적으로 등장해, 정부의 대중 매체 검열이나 언론의 편집 권력에 도전하는 신문 관련 설치와 행위를 1980년대 말까지 선보였다. 그는 또 1970년대에 사진을 순수미술의 영역에서 처음으로 다룬 작가 중 한 명으로서, 초창기의 동어반복 개념을 다룬 사진들에 이어, 신문 자체를 촬영하거나 본인의 개인사를 소재로 삼은 다양한 사진 설치작품을 꾸준히 발표했다. 성능경은 나아가 1970년대 중반부터 ST 동료들과 함께 당시 ‘이벤트’로 불리던 한국의 퍼포먼스 아트를 소개한 선구적 존재로도 잘 알려져 있다. 자기 지시적 특징을 지닌 초창기 이벤트에서부터 복잡다단한 삶의 본성을 고유의 양식으로 예술화한 1990년대 이후 작품에 이르기까지, 그의 퍼포먼스는 다채롭기 그지없을 뿐 아니라 매우 독자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성능경은 이처럼 50여 년의 세월 동안 한결같이 창작 활동에 매진하면서, 한국 미술사의 핵심 개념어인 전위, 실험, 모더니즘, 예술지상주의, 현실주의, 포스트모더니즘 등을 이해하는 데 있어 필수 불가결한 작품을 남겼다. 그러나 그간 그의 예술세계는 주류 한국 미술사는 물론이고 1960~70년대 한국 실험미술의 역사 내부에서도 제대로 평가를 받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는 성능경 전작(全作)의 시대별 특징과 상호 영향 관계, 그것이 한국 미술사에서 지니는 의미 등을 포괄해 고찰하려 시도했다. 이로써 일평생 한국 미술계의 주변부에서 비주류 개념미술가로 활동한 그의 예술적 발언의 ‘개념’이 무엇인지를 파악해 보고자 했다. 본 연구는 그 결과 성능경은 늘 주류와 스스로 거리를 두고 일평생 ‘비주류의 태도를 형식화한 개념미술가’라는 점을 밝혔다. 애초에 그가 추구한 개념미술은 한국 모더니즘의 내부에 위치하는 외부, 반(反)모더니즘이었다. 또 그 자체로 신문, 사진, 행위의 잡종이면서 현실주의를 지향했던 그의 작품은 모더니즘의 순수성과 매체 특수성을 위반하면서, 동시에 민중미술의 전형적 형식에도 포함되지 않는 것225 이었다. 나아가 그가 1980년대부터 생산한 사진 설치나 1980년대 후반 이후 창조에 전념한 퍼포먼스는 본성상 시장성이 부족하거나, 미술 제도의 외부에 자리할 수밖에 없는 주변적 미술이었다. 본 연구는 성능경 개념미술의 이 같은 비주류적 성격을 그의 예술세계의 본질이자, 1970년대 이후 한국 미술사를 새롭게 해석하게 할 가능성으로 간주했다. 성능경을 모더니즘의 내부에 둘 때, 한국의 모더니즘으로서의 개념미술, 즉 탈장르적 특징을 지닌 실험미술은 보다 풍부하고 다양한 논의 거리를 갖게 된다. 또 성능경을 현실주의 미술의 범주 내부로 이동시킬 때, 역사적 아방가르드의 순수지향성은 민중미술의 그것과 만나 한국 미술사에서의 순수주의의 지평을 확장할 수 있다. 성능경의 개념미술은 이처럼 비주류의 대안적 관점으로 모더니즘과 현실주의,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중심과 주변 등의 이분법적 사고를 넘어 한국 미술사를 재고할 수 있게 한다.

      • KCI등재

        한국 동시대미술 속 군대 표상에서 드러나는 정치성 - 푸코의 권력이론을 통한 박경근, 서도호, 오인환의 작품 분석

        김영인(Youngin Arial Kim)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2020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40 No.-

        해방 이후 한국 근현대미술사에서 군대 표상에 관한 연구는 한국전쟁기(1950-1953) 혹은 1960-1970년대 군사정권시기에 제작된 작품을 집중적으로 다뤄왔다. 한국전쟁기의 군대를 묘사하는 작품은 주로 전장의 상황이나 전쟁의 참상을 재현하며, 기록적 성격을 띤다. 나아가 박정희 정부(1961-1979)의 주도로 만들어진 기념 동상이나 민족기록화 속의 군대 이미지는 해당 정권이 내세운 국가건설과 민족문화진흥이라는 테제를 반영한다. 위 두 시기의 작품에 대한 미술사적 서술은 비교적 축적되어 온 반면, 군 표상을 다룬 한국 동시대미술 작품에 대한 종합적 연구는 흔치 않다. 이 논문은 한국 동시대미술에서 발견되는 군대 표상의 정치적 특성을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오늘날의 대한민국은 탈냉전 시대에도 여전히 휴전 중인 분단국가로서, 헌법에 국방의 의무를 명시하고 있다. 따라서 대한민국 남성 국민은 병역의 의무를 수행해야 한다. 이와 같은 특수한 정치적 조건을 목도하거나 직접 경험한 동시대 미술가들은 다양한 형식의 미술실천을 통해 군대 표상을 다루어 왔다. 본고는 특히 박경근(1978- ), 서도호(1962- ), 오인환( 1965- )의 2000년대 이후 작품에서 군인, 군 조직, 병영문화, 군대문화 등 군대를 상징하는 이미지를 분석한다. 세 작가의 작품을 연구하는 데 있어 본고는 프랑스 철학자 미셸 푸코 (Michel Foucault, 1926-1984)의 권력이론을 개념적 틀로 사용한다. 푸코는 권력이 사회제도와 결합하여 개인의 삶에 영향을 끼치는 방식에 천착했다. 본 연구는 푸코의 권력이론 중에서도 특히 그가 저서 『감시와 처벌(Surveiller et punir)』(1975)에서 논구한 규율권력 개념을 통해 박경근, 서도호, 오인환의 작품 속 군대 표상을 분석하고, 규율권력의 정치적 특성이 드러나는 부분을 규명한다. 정치철학 담론을 미술사 연구에 적용하고자 시도한 본 연구가 한국 동시대미술 작품 속 군대 표상에 대한 담론을 보다 확장할 수 있기를 바란다. This study delves into military images in Korean contemporary artworks, applying the theory of disciplinary power by French theorist Michel Foucault (1926-1984). It summarizes the history and various characteristics of disciplinary power and refers to them to analyze military images in the works of Kyung Kun Park (1978- ), Do Ho Suh (1962- ), and Inhwan Oh (1965- ). Identifying how they reflect the politics of disciplinary power, this paper also compares the artists’ varying perspectives regarding the disciplinary power in the army: ambivalent or critical. After Korea’s liberation from the Japanese colonization (1910-1945), research on military images in Korean art has mostly focused on the two historical periods: the Korean War period (1950-1953) and the military regime in the 1960s and the 70s. Military images from the former period are mostly limited to those of soldiers and troops fighting in the battlefields. Public monuments and the National Documentary Paintings promoted by the Park Chung-hee government (1961-1979) consist of military images from the latter period. Heroic soldiers and battles won were frequently portrayed, reflecting the regime’s agenda of nation-building and the promotion of national culture. While research on the military images from these two periods has been accumulated, few are available on those in Korean contemporary art. This paper investigates this so far overlooked topic. As the Korean War has not officially ended since the ceasefire in 1953, all males over the age of eighteen in South Korea are required to complete their military obligation. Korean contemporary artists affected or inspired by these circumstances have incorporated military images representing soldiers, military organization, and military culture in their artworks. This paper examines the examples in the contemporary works of Kyung Kun Park, Do Ho Suh, and Inhwan Oh since the 2000s. Employing the political theory of power to interpret their artworks, it aims to expand the academic discussion on military images in Korean contemporary art.

      • KCI등재

        1980년대 소그룹 난지도와 메타복스의 설치미술: 표현매체로서의 물성, 그리고 현실과 전통

        이윤수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2023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46 No.-

        This paper aims to focus specifically on restoring the installation works of Nanjido and Meta-Vox, two small art groups in the 1980s that have only been discussed as an example of post-modernism and as a background for Korean contemporary art since the 1990s. It also aims to examine their characteristics and aspects. In particular, it reconsiders their works by raising questions about their limitations as pointed out by literature, such as “following the search for materiality as before” and “expanding only the formal level.” Their installation art originated from a desire to challenge the rigidity of the Korean art scene, which was divided into Dansaekhwa and Minjung Art. While their works are relevant to the influence of neo-expressionism, an international trend at that time, they also have a distinctive characteristic that sets them apart from overseas art: their method of using the materiality of everyday objects as the main means of expression. This characteristic stems from appropriating the materiality that was a main characteristic of Korean art in the 1970s. Moreover, in terms of content, the works of Nanjido reflect the reality of the time, which was urbanized and industrialized, and the works of Meta-Vox explore various Korean traditions. In this way, Nanjido and Meta-Vox endeavored to overcome the rigidity of Korean art through the “appropriation of materiality” and “reflection of reality and tradition,” in contrast to previous evaluations by literature. Their works were essential in the context of the Korean art scene at the time, demonstrating their attempts to explore new art and transform Korean art from within the inner context, not just through the imitation of overseas art. 본 연구는 그동안 한국 포스트모더니즘의 사례 그리고 1990년대 이후 동시대 미술의 배경으로서만 다루어진 1980년대 미술 소그룹 ‘난지도’와 ‘메타복스’의 설치미술을 구체적으로 복원하고 그 특징과 양상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그동안 그들의 한계로 지적되었던 기성세대의 특징인 물성 탐구의 답습 그리고 형식적 층위만의 확장이라는 평가에 의문을 제기하고, 두 소그룹의 설치미술에 대해 재고하고자 한다. 일상 사물의 물성을 표현의 주요 수단으로 삼은 그들의 설치미술은 단색조 회화와 민중미술로 양분된 한국미술계의 경직성에 대한 반감 그리고 자유로운 미술 표현의 갈구로부터 시작되었다. 이들의 미술은 당시 국제적 조류였던 신표현주의의 영향과 무관하지 않지만, 그 해외미술과 차별되는 지점이 존재한다. 그것은 물성을 표현의 수단으로 삼았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특징은 난지도와 메타복스의 작가들이 1970년대 한국미술의 특징인 물성을 전용함으로써 만들어진 것이었다. 그리고 내용적인 면에서, 난지도는 도시화·산업화된 당대 현실을 반영하였고, 메타복스는 다양한 전통을 탐색하고 적용하는 특징을 보였다. 이처럼 난지도와 메타복스는 기존의 평가와는 달리 ‘물성의 전용’과 ‘현실의 반영과 전통의 적용’을 통해 한국 현대미술의 경직성을 타계하려 하였다. 이는 당시 한국미술계의 맥락에서 발생할 수밖에 없었던 것으로, 단순한 해외 미술의 도입을 통해서가 아닌 내적 흐름 안에서 새로운 미술을 탐색하고 한국 현대미술을 전환하고자 했던 그들의 시도를 보여준다.

      • KCI등재

        아카이브를 통해 본 이완석의 행보 - 여명기의 디자이너, 해방 후 한국미술의 후원자

        노유니아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2022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44 No.-

        Until recently, not much was known about Lee Wan Suk(1915~1969) beyond his operation of the Cheonil Gallery. The revelations that he worked as a designer for Cheonil Pharmaceutical and that he played a key role in various aspects of the Korean art world across art and design occurred when his works and materials(hereafter, the Lee Wan Suk Archive) were donated recently to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The Lee Wan Suk Archive is vast. Lee compiled his portfolio meticulously, including items from the days of Cheonil Pharmaceutical. Matchboxes and stamps from around the world and newspaper articles related to foreign activities were retained as materials for his own reference. The archive also contains a number of works and art books that he acquired through overseas tours, as well as folk crafts collected during his time at the Korean Folk Crafts Institute. The Lee Wan Suk Archive includes posters produced immediately after Korean Liberation from Japan of August 15, 1945, several poster works that were displayed in exhibitions of the Industrial Art Association and overseas tours in 1950~60s, and many other works by fellow artists. Based on the Lee Wan Suk archive, this study traced Lee Wan Suk’s involvement with art. The aim was to organize his life, forgotten until now, chronologically, introducing significant extracts from the archive. Lee Wan Suk was a pioneering designer and a faithful supporter of Korean art. The study revealed and presented his activities, distinguishing between before and after 1945. Lee studied art in Japan and worked as a designer at Cheonil Pharmaceutical after returning to Korea. He participated in many artist groups such as the Industrial Art Association(Korea Visual Design and Crafts Association). In addition to running the Cheonil Gallery and the Korean Fork Craft Institute, Le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Korea Contemporary Art Exhibition tours to Southeast Asia. The study’s conclusions suggest future research topics based on items from the Lee Wan Suk archive. 이완석(李完錫, 1915~1969)에 대해서는 천일화랑을 운영했다는 것 이외에 알려진 것이 많지 않았다. 그런데 최근 이완석이 남긴 작품과 자료(이하, 이완석 아카이브)가 국립현대미술관에 기증되면서, 이완석이 해방 전 천일제약의 도안가로 활동했으며, 해방 후에는 미술과 디자인을 넘나들며 한국미술계에서 다방면으로 활약했던 것이 밝혀졌다. 이완석 아카이브는 상당히 방대하다. 이완석 스스로가 천일제약 시절의 도안 작업을 꼼꼼하게 포트폴리오처럼 만들어 놓았으며, 본인의 참고를 위한 자료로 세계 각국의 성냥갑과 우표, 대외활동과 관련된 신문 기사를 스크랩해두었다. 해외순방을 통해 입수한 작품과 화집, 한국민예품연구소 시절 수집한 민예품도 적지 않다. 해방 직후 제작한 포스터와 1950~60년대의 산업미술협회전과 해외순방전에 출품했던 포스터 여러 점이 확인되며 동료 작가들의 작품도 다수 포함하고 있다. 자료의 연대는 이완석이 일본 유학을 마치고 귀국한 1930년대 후반부터 작고하신 1969년까지 촘촘하다. 이완석 아카이브를 통해 이완석 개인에 대한 연구를 시작할 수 있는 바탕이 마련된 것은 물론이고, 실물로 전해지는 근대 디자인 작품과 자료가 많지 않은 실정 속에서 한국 근현대디자인사 서술의 공백을 메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완석 아카이브를 토대로, 미술을 둘러싼 이완석 선생의 족적을 추적해 보고자 한다. 초출자료를 소개하는 데 의의를 두고 지금까지 잊혀 있던 이완석의 생애를 연대기적으로 정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해방 전과 해방 후로 나누어 일본 유학과 귀국 직후의 활동과 천일제약 시절의 도안가로서의 활동을 소개하고, 미술 단체 활동과 개인 작업/ 산업미술가협회와 관광포스터 제작/ 천일백화점과 천일화랑/ 한국민예품연구소/ 동남아 순방 <대한민국 현대미술전>에서의 이완석의 활약상을 정리한다. 마지막으로 이완석 아카이브를 통해 도출된 추후 연구 과제를 제시한다.

      • KCI등재

        우리에게 “현대미술”은 무엇이었나?

        신정훈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2023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46 No.-

        This paper explores the import, valence and stature of Hyundai and Hyundai Art(transliterated as “contemporary art”) in the discourse surrounding Korean art throughout the latter half of the 20th century, with an examination of the evolving relationships with neighboring concepts such as “modern,” “abstraction,” “figuration,” and “avant-garde.” The overarching goal of this inquiry is to draw attention to a spectrum of practices and discourses associated with “Hyundai” and “Hyundai Art,” underscoring that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Korean art history hinges on grasping the trajectory of Hyundai and Hyundai Art. Discussions regarding Hyundai Art within the realm of Korean art history often revolve around debates concerning its inception, whether it transpired in 1957 or 1958 (purportedly the years of the emergence of Korean Informel painting), or at an alternative juncture. These debates have yielded the unearthing of new source materials, the accumulation of diverse scholarly perspectives, and the facilitation of numerous exhibitions. However, the productive discourse surrounding contemporary Korean art extends beyond pinpointing a specific origin. This article posits that, regardless of the assumed starting point, Korean contemporary art has consistently been framed within a temporal context and has been a recurrent subject of contention concerning its significance, value, persuasiveness, and legitimacy. Crucially, this contention has persistently sought to discern whether the contemporary art in question is genuinely motivated by the present era in Korea. Asserting the existence of diverse manifestations of “Hyundai Art” in our context, this article urges to understand when the term "Hyundai Art" ceased to be used and, consequently, when Korean art began to embody its own contemporaneity. 이 논문은 20세기 후반기 한국미술의 논의에서 “현대”와 “현대미술”의 의미, 양상, 위상의 변화를 다른 인접 관념들, 즉 “근대”, “추상”, “구상”, “전위”와 변화하는 관계의 고려 속에서추적하는 시도이다. 이를 통해 현대미술이라 간주된 여러 실천과 담론이 있었으며 시기에 따른 그들의 변화를 파악하는 일이 한국미술의 역사를 이해하는 하나의 주요한 접근법임을 말하고자 한다. 한국미술의 역사서술에서 현대미술에 대한 논의는 흔히 그 기점에 대한 논의로 모아지곤 한다. 그래서 1957-8년인지, 아니면 시기가 올라가는지 혹은 내려오는지 등을 둘러싸고 진행되었다. 이는 새로운 사료를 발굴하고 정치한 학설들을 축적시켰다. 그리고 여러 전시들을 가능케 했다. 그러나 한국현대미술을 둘러싼 생산적인 논의는 그 기점이라 가정된 시기를 특정하는 일만은 아닐 것이다. 이 글은 그것이 무엇이든 현대미술은 언제나 시대특정적으로 정의되었고 당대에 그 의미나 가치, 설득력과 정당성을 둘러싸고 언제나 논란의 대상이었다는 점, 보다 중요한 것으로, 그 논란은 매번 그 현대가 이 땅의 현대인지, 그 현대미술이 이곳의 현대미술인지를 따져보는 일의 반복이었다는 점을 주장한다. 이처럼 우리에게 여러 현대미술들이 있었음을 확인하면서, 이 글은 현대미술에 대한 보다 생산적인 논의는 여러 현대미술의 사례들을 관통하는 요체를 추출하여 그 시작을 파악하는 일이 아니라 오히려 언제부터 “현대미술”을 말하지 않게 되었는지, 따라서 한국미술이 자신의 현대를 살게 된 것은 언제부터인지 이해하는 일임을 말하고자 한다.

      • KCI등재

        인문학으로서의 미술사학

        이주형 한국미술사학회 2010 美術史學硏究 Vol.268 No.268

        Art history as a modern academic discipline was established in Korea during the late 1970s and early 1980s with the return of several scholars after studying abroad in the U.S. and Europe. Beginning in this period, modern methods of art history—such as visually analyzing objects or monuments as works of art, identifying their themes and functions,and exploring their artistic or historical significances—appeared in their writings in a sophisticated form and were taught at university programs, which produced numerous younger scholars. Thus, art historical scholarship in Korea has been fully modernized in less than three decades, reaching a level in some areas comparable with more advanced academic traditions outside Korea. Around the time when this new phase unfolded in Korean academia, art historical scholarship in Europe and the U.S. was about to undergo revolutionary changes in both outlook and methodology, which was heralded by a movement called New Art History or the social history of art initiated by such radical scholars as T. J. Clark in England, although to reduce various voices heard in these new developments to the New Art History alone would be a gross misjudgement. Disenchanted by conventional undertakings of art history, scholars began to question the discipline's longstanding premises deeply affected by its prevailing positivistic attitude as well as its manifest adherence to high art and Eurocentrism and to reflect on ways to seek new methodological paths or to revive grand visions of its founding fathers of the late nineteenth and early twenties century. Unfortunately, these new developments in Europe and the U.S. made little impact on Korean academia, which had different agenda of first establishing art historical scholarship as a modern discipline. Most scholars specializing in Korea or other parts of Asia devoted themselves in constructing knowledge in connoisseurship, chronology, and iconography in a positivistic spirit without having any leisure to pay attention to critically pondering on the premises of their work or alternative methodological paths. On the basis of great achievement made during last three decades, art historical scholarship in Korea is obviously at the point to reflect on the nature of its accomplishment and seek ways to innovate itself for a new horizon. This paper addresses these problems. 한국에서 근대적 학문으로서의 미술사학은 구미에 유학했던 몇몇 연구자들이 1970년대 중반부터1980년대 초 사이에 귀국하여 학계에 자리를 잡음으로써 확립되었다. 이들 학자의 글에서 미술사학의 근대적 방법들, 즉 유물이나 모뉴먼트를 시각적으로 분석하고 그 주제와 기능을 밝히며, 그 예술적, 역사적 의미를 해명하는 방법들이 본격적으로 쓰이게 되었고, 아울러 대학에 마련된 교육과정을 통해 수많은 신진학자들이 길러졌다. 그리하여 한국의 미술사학은 불과 30년도 안 되는 기간에 근대적 학문으로 자리잡게되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국외의 선진 학계에 버금가는 수준에 이르게 되었다. 이들 학자가 귀국할 무렵구미의 미술사학은 관점이나 방법론에 있어서 혁명적인 변화를 겪고 있었다. 이러한 변화는 T. J. 클라크(Clark) 등 영국의 급진적인 학자들이 주도한 소위 신미술사학(New Art History) 운동의 예를 통해 잘 알려져 있다. 물론 이러한 새로운 변화 속에 일어났던 여러 흐름을 신미술사학만이 대표하는 것으로 규정하는 것은 심각한 오해이다. 아무튼 기존 미술사학의 전통적인 학풍과 관행에 실망한 많은 학자들이 미술사학의 오랜 전제들에 의문을 제기하기 시작했다. 그러한 의문은 실증주의적인 학풍과 고급 예술 중시/유럽중심주의로 요약될 수 있다. 이들은 새로운 방법론적인 선택의 가능성들을 모색하고 아울러 19세기 말과20세기 초의 미술사학의 근대적 창시자들의 거시적인 비전에도 다시 주목했다. 불행히도 구미에서 일어난이러한 새로운 변화는 한국 학계에 이렇다 할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한국의 미술사학계는 미술사학을 근대적 학문으로 확립해야 하는, 구미와는 다른 어젠더가 있었기 때문이다. 한국과 그 밖의 아시아 지역의 미술을 전공하는 연구자들은 실증적 작업을 통해 감식과 편년, 도상 정립 등의 지식 구축에 몰두해야 했고,그 과정에서 그러한 작업의 전제나 의의에 대해 성찰할 여유를 갖지 못했던 것이다. 지난 30년간 축적된 놀랄 만한 성취를 바탕으로 이제 한국의 미술사학은 그 성취의 의미를 성찰하고 새로운 목표를 향해 자기혁신을 모색해야 할 시점에 와 있다. 이 글은 이러한 문제들에 대한 성찰이다.

      • KCI등재

        이승조의 <핵(核)> 연작 - 한국적 모더니즘의 또 다른 가능성

        조수진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2020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39 No.-

        Lee Seungjio is well known for his <Nucleus> series — paintings comprised of various cylindrical forms resembling pipes. Throughout his lifetime, Lee devoted himself to these distinctively clear, rational and deliberate abstract pieces. Existing analyses of Lee Seungjio’s paintings often view the pipe-like forms in the <Nucleus> series as symbols of modernization unfolding in Korea at the time, and regard his work as a model example of Korean geometric abstract art. Additionally, some have associated the changes since the 1970s in Lee’s paintings with the conceptual art of group “AG” or Lee’s interest in phenomenology. In other analyses, Seungjio has been touted as one of the founding fathers of monochrome abstract art in Korea. However, in these previous studies, it is difficult to find detailed explanation regarding what exact features of the <Nucleus> series made it different from other geometric abstract art at the time — or what exactly Korean op art even was. Is there really no way of recognizing the significance of Lee Seungjio’s art, without referencing his core artistic features to specific organizations or art styles? This paper began from the above question. This paper aims to achieve two things: first, to regard Lee’s paintings as a visual indicator existing within the societal/cultural and political/economic climate of the time; second, to propose a new way to understand not only Lee’s art but also the history of Korean geometrical abstract art since the 1960s. This paper finds that Lee’s <Nucleus> series was born from the intersection of 《National Art Exhibi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vant-garde art group “Origin”, and industrial design — leading the paintings to simultaneously embody the contradicting qualities of avant-garde/ academic, and pure/applied arts. Furthermore, this paper also argues that the <Nucleus> series cannot be understood only in the confines of figurative painting, geometric or monochromatic abstract painting. This paper seek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research methods in Korean art history, which has traditionally been rooted on nationalism and evolutionist views. As an alternative, this paper employs a new methodological framework to investigate geometric abstract art and Lee Seungjio’s works. As a result, this study finds that in his styles spanning across the figurative, the abstract, and the hyper-realistic, Lee’s only objective as an artist ultimately lied in the visual issues of paintings. In conclusion, Lee Seungjio’s <Nucleus> series successfully created a complete visual illusion by overcoming the resistance of medium, fulfilling the duty long carried by modernism abstract paintings. From this, we can discover from Lee’s abstract works a new possibility for Korean modernism — one that neither relies on tradition nor spirit. 이승조(李承祚, 1941-1990)는 파이프를 연상시키는 원통 형태를 다양하게 구성한 회화 〈핵(核, Nucleus)〉 연작으로 널리 알려진 작가이다. 작가는 특유의 명징하고, 이지적이며, 계획적인 성격의 추상회화를 평생 고집스럽게 선보여 작고한 뒤엔 “우리 화단에서는 보기 드물게 엄격한 기하학적 추상의 세계를 추구한 화가”, “논리적인 작업의 전통이나 체험이 빈약한 우리의 현대미술 속에서 더없이 이채로운 존재”라는 찬사를 받았다. 이승조 회화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은 대체로 〈핵〉 연작에 나타나는 파이프 형상을 조국 근대화에 주력하던 한국 사회의 시대적 상징물로 바라보면서, 그의 작업을 기하학적 추상회화의 새로운 전형을 구축한 것으로 여기거나, 한국 옵아트의 대표적인 사례로서 간주한다. 또 1970년대 이후 이승조 작품의 변화를 그룹 ‘AG’의 개념미술 및 현상학에의 관심과 연계해 해석하거나, 그를 모노크롬 추상회화의 태동과 형성을 주도한 주요 작가의 반열에 올려놓기도 한다. 그러나 이 연구들에서 정작 이승조의 〈핵〉 연작의 어떤 특징이 당대의 다른 기하학적 추상회화와 구별되는 새로운 전형을 제시했는지, 한국적 옵아트란 과연 어떤 것이었는지에 대한 구체 적이고 상세한 설명은 찾아보기 어렵다. 이승조의 예술세계 전반을 관통하는 핵심적 특징을 특정 활동 단체나 회화 양식의 성격에 기대지 않고 고찰해 그 미술사적 의의를 찾을 방법은 없는 것일까? 이 같은 의문에서 출발한 본 연구는 이승조의 회화를 당대의 사회·문화적, 정치·경제적 맥락 속에 자리하는 시각적 지표로 간주하고, 그의 작품뿐 아니라 1960년대 이후 한국 기하학적 추상회화의 역사 전반에 대한 기존 견해를 교정할 기회를 마련해 보고자 했다. 이로써 한국의 기하학적 추상회화, 옵아트의 시발점이 된 이승조의 〈핵〉 연작이 《국전》, 재야의 전위 단체 ‘오리진’, 산업디자인의 영역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탄생했음을, 그리하여 태생적으로 전위미술과 아카데미즘 미술, 순수미술과 응용미술의 속성을 모두 지니고 있었음을 밝혔다. 또 이승조의 〈핵〉 연작을 구상, 기하학적 추상, 모노크롬 추상, 그리고 극사실회화의 어느 한 범주에만 국한해 이해할 수 없음도 피력했다. 본 연구는 이 같은 과정을 통해 순혈주의와 진화론에 기반했던 기존 한국 현대미술사의 기술 방식을 극복하고, 기하학적 추상회화와 이승조 회화를 고찰할수 있는 새로운 미술사 방법론을 모색해 보고자 했다. 그 결과 구상에서 출발해 추상으로, 그리고 다시 극사실에 도달하기까지, 작가 이승조의 목표는 오로지 회화에 서의 시각적 문제의 추구였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승조의 〈핵〉 연작은 미술사에서 모더니즘 추상회화에 주어졌던 과업, 즉 ‘매체의 저항을 압도해 완벽한 시각적 일루 전을 창출하는’ 일을 완수해냈는데, 이로써 우리는 그의 추상회화에서 전통이나 정신에 기대지 않은 한국적 모더니즘의 또 다른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