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답전윤환에서의 조, 수수, 기장 및 벼의 생육 및 수량

        윤성탁,김영중,정인호,한태규,유제빈,예민희,조영손,강항원 한국작물학회 2015 한국작물학회지 Vol.60 No.3

        In order to develop optimum paddy-upland rotation system, we evaluated the 1st and the 2nd upland growth and yield characteristics of foxtail millet, proso millet, sorghum rotated from paddy field and rice rotated from upland in paddy-upland rotation. Average number of ears per hill was 3.3 in the 2nd upland cultivation. The value was greater by 1 ear as compared to 1st upland cultivation (2.2 ears per hill). In average yield per 10a, the 2nd upland cultivation showed 220.3 kg, 23% increased yield compared to the 1st upland cultivation (179 kg per 10a). In average number of ears per hill, the 2nd upland cultivation showed 8.3 ears, increased 4 ears compared to the 1st upland cultivation (4.2 ears per hill). In average yield per 10a, the 2nd upland cultivation showed 152.8 kg, 16.8% increased yield compared to the 1st upland cultivation (130.8 kg per 10a). In average days from seeding to heading of 5 sorghum varieti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1st (68.6 days) and the 2nd (67.4 days) upland cultivation rotated from paddy field. In the average number of grains per ears, the 2nd upland cultivation showed 2,931.6 grains per ear, 12% increased compared to the 1st upland cultivation (2,619.6 grains per ears). Average yield per 10a of sorghum in the 2nd upland cultivation showed 242.3 kg, 4.6% increased compared to the 1st upland cultivation (231.7 kg per 10a). In growth and yield characteristics of rice in paddy-upland rotation, culm length in paddy-upland-paddy plot showed 82.9 cm, 7.3 cm longer compared to the continuous rice paddy field (75.6 cm). Ear length was also 1 cm longer than that of the continuousrice paddy field. In average number of ears per hill, paddyupland- paddy plot showed 25.0 ears, 4.3 ears more than that of the continuous rice paddy field (20.7 ears per hill). In average yield of rice per 10a, the paddy-upland-paddy rotation plot showed 526.8 kg, 9.8% higher yield compared to the continuous rice paddy field (479.9 kg per 10a). Keywords : foxtail millet, proso millet, sorghum, rice, paddyupland rotation 잡곡의 안정적 생산체제 마련을 위한 답전윤환 최적 모델개발의 일환으로 답전윤환에 있어서 논으로부터 밭1년과밭2년차 재배에 있어 조, 수수, 기장과 벼연속구와 논-밭-논윤환구의 벼의 생육 및 수량특성을 조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의 4품종 평균 출수소요일은 밭1년차에는 76.3일 소요되었으나, 밭2년차는 평균 70.5일 소요되어 약 6일정도 출수소요일이 짧았다. 포기당 이삭수는 밭1년차가 평균 2.2이삭이었으나, 밭2년차는 평균 3.3이삭으로 포기당 1이삭이 증가하였다. 10a 당 수량은 밭1년차가 179 kg이었으나, 밭2년차는 220.3 kg을 나타내약 23% 증수하였다. 2. 기장 4품종의 평균 출수소요일 67일 소요되었으나, 밭2년차 기장은 평균 64.8일 소요되어 밭1년차에 비해밭2년차가 약 2일 일찍 출수하였다. 포기당 이삭수는밭1년차에서 4.2이삭이었던 반면 밭2년차에서는 평균8.3이삭으로 약 4이삭이 증가하였다. 10a 당 평균수량은 밭1년차는 130.8 kg이었으나, 밭2년차는 152.8 kg으로 16.8% 증수하였다. 3. 수수의 경우 5품종 평균 출수소요일은 밭1년차 68.6일소요되었으며 밭2년차는 평균 67.4일 소요되어 큰 차이가 없었다. 수당립수는 밭1년차는 2,619.6립 이었으며, 밭2년차는 평균 2,931.6립으로 약 12% 증가하였다. 10a 당 평균 수량은 밭1년차는 231.7 kg으나, 밭2 년차 평균수량은 242.3 kg으로 4.6% 증수하였다. 4. 벼연속구와 논-밭-논 윤환구에서의 벼의 생육 및 수량특성을 보면 출수기는 차이가 없었다. 간장은 논연속구 75.6 cm에 비해서 논-밭-논 윤환구가 82.9 cm로7.3 cm 컷으며, 수장도 논연속구에 비해 논-밭-논 윤환구가 1 cm 컷다. 포기당 이삭수는 논연속구가 20.7이삭, 논-밭-논 윤환구는 25.0이삭으로 논연속 윤환구에비해 윤환구가 4.3 이삭 많았다. 10a당 수량은 논연속구가 479.9 kg, 논-밭-논 윤환구는 526.8 kg으로 연속구에 비해 윤환구가 9.8% 높았다.

      • KCI등재

        중부지방에서 파종기에 따른 조, 기장, 수수의 생육 및 수량 특성

        윤성탁,제은경,김영중,정인호,한태규,김태윤,조영손,강항원 한국작물학회 2015 한국작물학회지 Vol.60 No.2

        In order to investigate optimum and marginal sowing date of foxtail millet, proso millet and sorghum in middle area (Anseong, Gyeonggi province) of korea, four levels of sowing date [(May 15(1st), June 6(2th), June 26(3th), July 13(4th)] with mulching and non-mulching were treated in this experiment. We used three crops of foxtail millet, proso millet and sorghum with four varieties of Samdachal, Samdamae, Kyeongkwan1, Hwanggeumjo in foxtail millet, Leebaekchal, Manhongchal, Hwangsilchal, Hwanggeumgijang in proso millet and Nampungchal, Hwanggeumchal, DS202, Moktaksusu in sorghum achieved from RDA. In culm length, sowing date of June 26 was the highest in all varieties of foxtail millet, proso millet and sorghum. Sowing date of May 15 showed the highest ear length in foxtail and proso millet, whereas the highest ear length was obtained from sowing date of June 26 in sorghum. In numbers of leaf, sowing date of May 15 showed the highest in all three crops of foxtail millet, proso millet and sorghum. Days from sowing to heading date were reduced in Samdamae, Kyeongkwan1 and Samdachal as sowing date was late. In Hwanggeumjo it was reduced from the sowing date from May 15 to June 26, but it was same days was taken between June 26 and July 13 sowing date. Days from sowing to heading date of four varieties in proso millet were reduced as sowing date was late. Days from sowing to heading date in sorghum were reduced as sowing date was late, whereas it was increased the 4th sowing date of July 13.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rowth and yield characteristics between mulching and non-mulching in four varieties of foxtail millet, proso millet and sorghum with four varieties. The highest grain numbers per panicle, 1000 grain weight and yield per 10a were obtained from sowing date of June 26 in four varieties of foxtail millet, proso millet and sorghum. In sowing date of July 13, all varieties of foxtail millet, proso millet and sorghum were not able to be ripened because of late sowing except Hwnaggeumjo, Manhongchal and Hwanggeumgijang. 우리나라 중부지역에서 파종기이동과 멀칭유무에 따른조, 기장, 수수의 최적파종기 및 파종한계기 구명을 위하여5월 15일, 6월 6일, 6월 26일, 7월 13일 파종기를 4수준으로 하여 피복 및 무피복을 처리하였다. 시험품종은 조 4품종(삼다찰, 삼다메, 경관1호, 황금조), 기장 4품종(이백찰, 만홍찰, 황실찰, 황금기장), 수수 4품종(남풍찰, 황금찰, DS202, 목탁수수)을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와 농업기술실용화재단에서 분양받아 2013년 경기도 안성시에서 실시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간장은 조, 기장, 수수 모두 6월 6일 파종기에서 가장컸다. 2. 수장은 조, 기장은 5월 15일 파종기에서 가장 컸고 수수는 6월 26일 파종기에서 가장 컸다. 3. 엽수는 조, 기장, 수수 모두 5월 15일 파종기에서 가장많았다. 4. 조의 출수소요일은 파종기가 늦어짐에 따라 삼다메와경관1호, 삼다찰은 감소하였고 황금조는 1차 파종기인5월 15일부터 3차 파종기인 6월 26일 파종기까지는감소하다가 7월 13일 4차 파종기에서는 6월 26일 파종기와 같았다. 기장의 출수소요일은 4품종 모두 파종기가 늦어짐에 따라 감소하였다. 수수의 출수소요일도4품종 모두 파종기가 늦어짐에 따라 감소하다가 마지막 파종기인 7월 13일에는 증가하였다. 5. 멀칭 및 무멀칭구 간에는 조, 기장, 수수 3작물 모두생육 및 수량 특성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6. 1수립수, 천립중 및 10당 수량은 조, 기장, 수수 모두6월 26일 파종기에서 가장 높았다. 중부지방에서 조, 기장, 수수의 최적 파종기는 6월 하순으로 판단된다. 7. 7월 13일 파종기에서는 황금조, 만홍찰, 황금기장을제외한 나머지 품종들은 만파로 인하여 성숙기에 이르지 못하였다. 중부지방에서 조, 기장, 수수의 파종 한계기는 7월 초순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국산밀 생산을 위한 천안지역 논에서의 밀-벼 이모작 작부체계

        윤성탁,김영복,양경(楊景) 한국작물학회 2019 한국작물학회지 Vol.64 No.3

        ABSTRACT In order to select the best varieties and cultivation methods for the production of domestic wheat for Hodugwaja(a walnut shaped confection), we carried out a 3-year experiment (2015~2017)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fferent factors (crop variety, planting date, nitrogen fertilization) in a double cropping system (wheat then rice) on crop yields in the Cheonan area. Rice is the second crop in the system, and requires an accumulated temperature for 40 days of about 840~930℃ to ensure ripening. Transplanting dates for rice between June 29 and July 6 were suitable; transplanting on or after July 13 does not ensure ripening. The daily hours of sunshine ranged from 6.3 to 6.5 hours, which were slightly higher than the optimum of 6.0 to 6.1 hours. The higher the nitrogen fertilizer treatment, the higher culm length, and spike length of wheat. The yield of wheat per 10a tended to increase as the amount of nitrogen fertilizer increased. Wheat yields were highest for the Sooan variety, followed by Goso, followed by Keumgang. The number of days from transplanting to heading of rice were shortest for the Jopyeong variety followed by Unkwang, followed by Haedam. The yield of milled rice per 10a increased as the transplanting date was earlier and the transplanting date of June 9 showed the average yield of more than 500 kg in three varieties. From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we recommend the Goso wheat variety and the Haedam rice variety for growing in a double cropping system under the climatic conditions of the Cheonan area. 본 연구에서는 천안지역의 논에서 밀-벼 이모작 작부체 계 기술을 확립하여 천안지역 호두과자 원료곡인 국산밀 생산 증진과 경지이용률 증대에 기여하고자 최근 변화하고 있는 기상여건을 분석하여 이모작 재배여건에 대한 타당성 을 검토코자 2015년부터 2017년에 걸쳐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밀 후작으로 벼는 출수 후 40일간의 적산온도 범위는 840~920°C이었으며, 안전출수 한계 800°C를 감안할 때 6월 29일, 7월 6일 이앙은 적합하였으나, 7월 13일 이앙 은 필요적산온도에 미치지 못하였다. 일조시간은 전체 적으로 최적 일조시간인 6.0~6.1.시간보다 약간 높은 6.3~6.5시간으로 조사되었다. 2. 웃거름 질소시비수준에 따른 밀의 간장 및 수장과 관련 된 특성은 질소시비수준이 높을수록 간장 및 수장이 높 았고, 특히 식물체의 질소농도는 고도의 상관성을 보여 주었다. 3. 10a당 밀의 수량성은 질소시비량이 많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수당립수, m2당 수수도 같은 경향이었다. 밀의 품종 간 10a당 평균수량은 수안 > 고소 > 금강 순 으로 높았다. 4. 벼의 이앙~출수까지의 소요일수는 조평, 운광, 해담 순으 로 짧았다. 10a당 백미수량은 이앙기가 빠를수록 증수하였 으며, 6월 29일 이앙하였을 때는 3품종 모두 500 kg/10a 이상의 수량성을 보여주었다. 5. 본 시험을 통하여 천안지역 기후조건하의 논에서 이모작 적합품종은 고소밀-해담벼였다.

      • KCI등재

        재식밀도 및 파종기 이동에 따른 기장(Panicum miliaceum L.)의 분얼발생 양상 및 생육 특성

        윤성탁,한태규,정인호,김영중,유제빈,양경,예민희,한광섭,백승우,김순일,이명철,김건우 한국자원식물학회 2016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29 No.4

        The subject of this experiment is to supply basic data to inhibit non-productive tillers which are uneconomical for mechanical harvesting and to evaluate optimum planting density and sowing date in central district. Total number of tillers and effective first and second of tillers according to different planting density was higher in 80 ㎝ ridge than 60 ㎝ ridge in proso millet. The wider between plant distance on the ridge, the more increased total number of tillers and effective first and second of tillers. The highest effective tillers (91.7 %) in the first tillers was obtained from the second sowing date (23 May) among different sowing date and next is in the order of 3 rd (13 June, 89.8%) > 1 st (2 May, 85.6%) > 4 th (4 July, 85.2%). The percentage of effective tillers in the second tillers was decreased in the order of 2 May (53.7%), 23 May (40.7%), 13 June (22.2%), 4 July (0%) as the sowing date was delay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ays to heading and days to ripening according to different planting density. Although culm length was increased as planting density was increased, whereas number of tillers, stem diameter, ear length, grains per ear and 1000 grain weight was decreased. In the growth and yield characteristics of proso millet according to different sowing date, days to heading and days to ripening, culm length, stem diameter, ear length, grains per ear and yield per 10a were decreased. After the sowing date of 13 June, the reduction of growth and yield characteristics were higher because of excess-moisture injury.

      • KCI등재

        팥 유전자원의 작물학적 형질 특성

        윤성탁,진우봉,김태호,조성훈,남중창,이준수 한국작물학회 2012 한국작물학회지 Vol.57 No.1

        국내 전역에서 수집된 팥 150 유전자원을 공시하여 작물학적 형질 특성조사를 통한 품종육성의 기초자료를 제공코자 수행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신육형 빈도를 보면 무한신육형이 96.6%(145자원)를 차지하여 가장 많았으며, 유한신육형 및 반무한신육형은 각 각 2.0%(3자원), 1.3%(2자원)를 차지하였다. 2. 화색은 황색이 98.0%(147자원)를 차지하였으며, 협색은 노란색, 갈색, 농갈색, 흑황색, 혼합색의 5가지의 색으로 확인되었다. 이중 가장 많은 협색은 황색으로 64.3%(96자원)를 차지하였다. 종피색은 갈색, 농갈색, 흑색, 흰색, 혼합색, 적갈색, 황색 및 녹색으로 8가지의 립색을 나타내었으며, 적갈색 및 갈색계통이 전체의 66.5%를 차지하였다. 3. 생육일수는 89.0~142.0일의 분포를 보여 변이의 폭이 상당히 컷으며, 평균은 115.0일이었다. 생육일수의 빈도는 131.0~140.0일로 이에 속하는 자원이 37.2%(56 자원)를 차지하였으며, 다음은 121~130일 사이가 27.3%(41자원)를 차지하였다. 4. 협장은 5.9~10.1 cm를 나타내어 변이 폭이 컷으며, 평균은 7.8 cm이었다. 협장은 7.1~8.0 cm 사이에 속하는 자원이 45.1%(68 자원)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8.1~9.0 cm에 속하는 자원이 32.2%(48 자원)를 차지하였다. 5. 개체당 평균 협수는 28.5협이었으며 150 유전자원의 협수분포를 보면 5.0~132.5협을 나타내어 변이의 폭이 컷다. 개체당 협수가 가장 많은 자원은 11.0~20.0협 사이로 30.8%(46 자원)를 나타내었으며, 다음은 21.0~30.0협에 속하는 자원이 28.6%(43자원)를 차지하였다. 6. 협당립수는 5.3~11.3립을 나타내어 변이의 폭이 컷으며, 평균은 8.2립이었다. 협당립수가 가장 많은 그룹은 7.1~8.0립으로 32.2%(48자원)를 차지하였으며, 다음은 8.1~9.0립 사이에 속하는 자원이 28.2%(42자원)를 차지하였다. 7. 100립중은 범위가 5.7~23.0 g으로 변이 폭이 컷으며, 평균은 12.9 g이었다. 100립중의 분포는 9.01~13.0 g사이에 속하는 자원이 전체의 43.4%(65 자원)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13.01~17.00 g이 28.5%(43 자원)를 차지하였다.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150 adzuki bean (Vigna angularis W.F. Wight) germplasm collected in Korea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establish basic data for the improvement of crop breeding. Growth types were classified as 3 types of indeterminate type, determinate type, and semideterminate type, of which indeterminate type was the highest percentage of 96.6%. Seed color were classified as 8 colors of which dark brown took 66.5% in 150 adzuki bean germplasm. Days from seeding to maturity showed the range from 89 to 142 days with 115 days in the average and the highest frequency proportion was 37.2% of the group from 131 to 140 days, and the next was 27.3% of the group from 121 to 130 days among 150 germplasm. Pod length showed the range from 5.9 to 10.1 cm with 7.8 cm in the average and the highest frequency distribution of it was the group from 7.1 to 8.0 cm with the proportion of 45.1% and the next was the group from 8.1 to 9.0 cm with the proportion of 32.2%. Number of pods per plant showed the range from 5.0 to 132.5 pods with 28.5 pods in the average and the highest frequency distribution of it was the group from 11.0 to 20.0 pods with the proportion of 30.8% and the next was the group from 21.0 to 30.0 pods with the proportion of 28.6%. Number of seeds per pod showed the range from 5.3 to 11.3 seeds with 8.2 seeds in the average and the highest frequency proportion of it was the group from 7.1 to 8.0 seeds, which occupied 32.2% among 150 germplasm. 89.3% of 150 germplasm showed the resistance to shattering of grains at harvest period. 100 grain weight showed the range from 5.7 to 23.0 g with 12.9 g in the average and the highest frequency proportion of it was the group from 9.01 to 13.0 g, which occupied 43.3% and the next was the group from 13.01 to 17.00 g with the proportion of 28.5% of 150 germplasm.

      • KCI등재후보

        경기북부지역에 잘 적응하는 콩 품종 선발

        윤성탁,주용하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003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15 No.4

        경기도 북부지방의 환경조건에 적응하는 콩 품종을 선발하고자 13개 품종을 공시하여 생육 및 수량특성을 조사ㆍ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성숙기에 13개 품종의 경장은 74.4~134.9㎝의 분포를 보였으며, 가장 경장이 큰 품종은 송학콩으로 134.9㎝이었으며, 가장 작은품종은 대황콩으로 74.4㎝이었다. 2. 주당협수는 47.1~62.4개의 분포를 보였으며, 협수가 가장 많은 품종은 장수콩으로 62.4개이었으며, 가장 적은 품종은 대황콩으로 47.1개이었다. 3. 협당립수는 신팔당콩2호가 2.73개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은 송학콩 및 대황콩으로 각각 2.3, 2.2개이었다. 4. 등숙률은 소담콩, 황금콩, 장수콩이 각각 91.1, 90.7, 90.3%순으로 높았다. 100립중은 13개 품종이 20.8~38.2g의 분포를 보였으며, 대황콩이 38.2g으로 가장 컸다. 5. 종실수량은 신팔달콩2호가 272.6㎏/10a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장원콩(255.7㎏/10a), 태광콩(250.9㎏/10a), 송학콩(249.3㎏/10a) 순이었으나, 이들간에 유의한 통계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6. 13개 품종에 대한 병충해 발생정도를 보면 자반병에 이병율이 적은 품종으 장엽콩, 장수콩, 장미콩, 소담콩, 대황콩이 0.11%로 적었으며, 미이라병은 신팔달콩2호, 장미콩이 SMV 감염율은 신팔달콩 2호, 태광콩이 이병률이 적었다. 7. 수량은 주당협수, 주당립수, 주당립중과 정의 상관관계를 보여 주당협수, 주당립수, 중당립중이 많을수록 수량이 많음을 알 수 있었다. 8. 결론적으로 본시험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공시된 13개 품종 중 수량 면에서 보면 신팔달콩 2호가 272.6㎏/10a로 가장 많았으며, 병충해도 비교적 적고, 경장도 크지 않아 도복저항성도 클 것으로 판단되어 경기북부지역에서 재배하기에 적합한 품종으로 판단되었다. This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evaluate the growth and yield characteristics of 13 soybean varieties and select the optimum varieties for Gyeonggi northern areas. Stem length of 13 varieties ranged from 74.4㎝ to 34.9㎝. The highest stem length was shown in Songhakkong with 134.9㎝ and the lowest was shown in Daehwangkong with 74.7㎝. Number of pods per plant of 13 varieties ranged from 47.1 to 42.4. The highest number of pods per plant was seen in Jangsukong with 62.4 and the lowest was seen by Daehwangkong with 47.1. Shinpaldalkong #2 showed the highest seeds per pod, and the next was in oredr of Songhakkong and Dashwangkong with 2.3 and 2.2 seeds, respectively. Sodamkong, Hwangkeumkong and Jangsukong showed higher ripened seed ratio by 91.1, 90.7, and 90.3% respectively among 13 varieties. One hundred seed weight ranged from 20.8 to 38.2g, and Daehwangkong showed the highest one hundred seed weight by 38.2g. Shinpaldalkong #2 showed the highest seed yield by 272.6㎏/10a, and next was in order of Jangwonkong, Taekwangkong and Songhakkong by 255.7㎏/10a, 250.9㎏/10a and 249.3㎏/10a, respectively. Purpura infection rate was the lowest in Jangyeobkong, Jangsukong, Jangmikong, Sodamkong, Daehwangkong, and Shinpaldalkong #2, Jangmikong were the lowest phomopsis seed decay caused by phomopsis spp. Low infection of SMV(Soybean Mosaic Virus) were observed in Shinpaldalkong #2, Taekwangkong. Seed yield showed positive coefficients with pods per plant, seeds per plant and seed wight per plant, showing that it is profitable to increase these characteristics for improving seed yield. In conclusion, the optimum soybean variety at Gyeonggi northern area was thought to be Shinpaldalkong #2, because it showed the highest seed yield and low damage by plant disease and insect.

      • KCI우수등재SCOPUS

        율무와 우점잡초의 경합 및 방제효과

        윤성탁,이은섭,김기중,윤승길 한국약용작물학회 1999 한국약용작물학회지 Vol.7 No.2

        본 시험은 율무재배에 있어서 잡초의 초종별 경합양상과 합리적 잡초방제 방법을 구명하기 위하여 율무와 잡초비율을 1:1, 1:2, 1:3, 1:4로 이식하여 율무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잡초의 초종별 경합양상을 보았고, 다음은 포장조건하에서 무제초, 1회 제초제처리, 1회 제초제처리+1회 중경제초, 2회 중경제초, 2회 손제초처리를 두어 잡초의 발생양상 및 이들 처리가 율무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1년생잡초를 인위적으로 율무:잡초비율을 1:1, 1:2, 1:3, 1:4로 이식하여 이들이 율무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잡초비율이 크면 클수록 주당분얼수, 주당립수등이 감소하였으며, 1:4구의 수량은 1:1구의 335.4kg/10a에 비해 260.04kg/10a으로 77,7% 밖에 되지 않아 잡초의 발생율이 많을수록 수량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잡초종별 수량에의 영향을 보던 명아주 파종구가 182.6kg/10a으로 피, 바랭이, 쇠비름에 비해 수량감소가 가장 커 율무포장에서는 명아주가 가장 피해가 큰 잡초로 판단되었다. 잡초방제 체계별 잡초발생량은 무처리구가 35.0본/m2인데 비하여 잡초방제체계 평균이 11.8본/m2으로 잡초발생량이 훨씬 적었다. 방제체계별 군락내 광투입량을 보면 2회 손제초체계가 791.9 μmol/m2/sec로서 가장 많았으며, 무처리구에 비해 약 67.6%나 많았다. 방제체계별 수량은 2회 손제초체계가 368.9kg/10a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은 제초제방제+중경제초체계 , 2회 중경제초체계 순 이었다. 또한 이들 체계별 군락내 광투입량과 수량과는 r=0.559*의 관계를 보여 광투입량은 수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effective weed control system in the cultivation of Coix lachryma-jobi L. The effect of annual weeds artificially transplanted on the growth of Coix lachryma-jobi L. were that the higher the density of weeds, the lower the yield considerably by reducing number of grains and tillers per plant. Among four weeds of Echinochloa crusgalli galli P. BEAUV., Digitaria sanguinalis SCOPOL., Chenopodium album L., and Portulaca oleracea L., weed of Portulaca oleracea L. reduced adlay yield most by 182.6kg/10a and it was judged to be the most injurious weed to adlay production. Among four weed control systems, which are one herbicide treatment, one herbicide treatment + one cultivating work with cultivator, two times cultivating work with cultivator and two times hand-weeding, the control system of 'one herbicide treatment + one cultivating work with cultivator' showed the lowest amount of weed growth by 7.34 weeds per m2 in comparison with control plot of 35.00 weeds per m2. Among four weed control systems, the system of 'two times hand-weeding' had much more amount of light penetration in adlay canopy with 791.9 mol than any other systems.

      • KCI등재후보
      • KCI우수등재SCOPUS

        한발시(旱魃時) 파종(播種)깊이에 따른 율무의 유묘생장(幼苗生長) 특성(特性)

        윤성탁,정길웅,이동진 한국약용작물학회 1998 한국약용작물학회지 Vol.6 No.1

        율무의 파종깊이 에 따른 토양온도, 출현율(出現率) 등 유묘의 초기 생장특성(生長特性)과 한발시 파종깊이별 한발(旱魃) 저항성(抵抗性)을 구명하여, 파종후 초기 유묘세(幼苗勢)증진방법을 탐색코자 몇가지 시험을 실시하였던 바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토양온도의 일변화(日變化)는 대기온도의 일변화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나, 최저온도(最低溫度) 및 최고온도(最高溫度)는 각각 08 : 00시, 16 : 00시로 나타나 대기온도에 비하여 한시 간정도 늦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1. 파종깊이별 일중 평균 토양온도는 1cm에서 26.7℃, 2cm에서 27.1℃ 그리고 3cm, 4cm모두에서 27.3℃로서 표토부근 보다는 3cm, 4cm 깊이에서 높았다. 3. 파종깊이별 출현율(出現率)은 율무 1호에서는 4cm 파종구, 연천 9호에서는 3cm 파종구에서 각각 81.2%, 88.0%로서 가장 높았다. 4. 파종깊이별 출현소요일수(出現所要日數)는 1cm 파종구에서 약 9일 정도 소요되어 2, 3, 4cm 파종구보다 두품종 모두 1~2일 정도 소요일수가 빨랐다. 5. 파종깊이별 초장(草長) 및 건물중(乾物重)은 율무 1호는 3cm 파종구에서, 연천 9호는 4cm깊이 파종구에서 각각 높았으며, 품종간에는 유의성(有意性)이 없었다. 5. 출현후 한발조건 조성시 파종깊이별 생존개체(生存個體) 비율(比率)을 보면 파종심도가 제일 깊은 4cm구에서 두품종 모두 각각 51.3%, 60.0%로서 생존개체수가 가장 많았다. 7. 한발조건 조성시 파종깊이에 따른 출현율(出現率), 생존개체비율(生存個體比率), 초장(草長) 및 건물중(乾物重)과의 상관관계를 보면 모두가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인정 되었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oil temperature. the characteristics of seedling growth and drought resistance of Job's tears under different seeding depth. The changes of soil temperature were similar to the patterns of atmosphere temperature. and the minimum and maximum temperature of the day were at 08: 00 and 16: 00 hours, respectively, and this was 1 hour late compared to the atmospheric temperature. In mean temperature under different soil depth, 3cm and 4cm soil depth were the same as 27.3℃ which was higher than that at 1cm and 2cm soil depth. Percentage of emergence was 81.2% at 4cm soil depth in Yulmoo 1 ho and 88.0% at 3cm soil depth in Yunchon 9 ho, respectively. Days to emergence after seeding was shortest at 1cm seeding depth as about 9 days and was 2 to 3 days later at other soil depth of 2, 3, 4cm compared to 1cm soil depth plot. Plant height and dry matter weight was highest at 3cm soil depth in Yulmoo 1 ho and at 4cm soil depth in Yunchon 9 ho. In the drought conditions, percent of survived plant was highest at 4cm soil depth plot of both varieties as 51.3% and 60.0%, respectively. In the drought conditions, soil depth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 of emergence, days to emergence after seeding, plant height, and dry matter weight per pl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