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SCOPUS

        율무와 우점잡초의 경합 및 방제효과

        윤성탁,이은섭,김기중,윤승길 한국약용작물학회 1999 한국약용작물학회지 Vol.7 No.2

        본 시험은 율무재배에 있어서 잡초의 초종별 경합양상과 합리적 잡초방제 방법을 구명하기 위하여 율무와 잡초비율을 1:1, 1:2, 1:3, 1:4로 이식하여 율무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잡초의 초종별 경합양상을 보았고, 다음은 포장조건하에서 무제초, 1회 제초제처리, 1회 제초제처리+1회 중경제초, 2회 중경제초, 2회 손제초처리를 두어 잡초의 발생양상 및 이들 처리가 율무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1년생잡초를 인위적으로 율무:잡초비율을 1:1, 1:2, 1:3, 1:4로 이식하여 이들이 율무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잡초비율이 크면 클수록 주당분얼수, 주당립수등이 감소하였으며, 1:4구의 수량은 1:1구의 335.4kg/10a에 비해 260.04kg/10a으로 77,7% 밖에 되지 않아 잡초의 발생율이 많을수록 수량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잡초종별 수량에의 영향을 보던 명아주 파종구가 182.6kg/10a으로 피, 바랭이, 쇠비름에 비해 수량감소가 가장 커 율무포장에서는 명아주가 가장 피해가 큰 잡초로 판단되었다. 잡초방제 체계별 잡초발생량은 무처리구가 35.0본/m2인데 비하여 잡초방제체계 평균이 11.8본/m2으로 잡초발생량이 훨씬 적었다. 방제체계별 군락내 광투입량을 보면 2회 손제초체계가 791.9 μmol/m2/sec로서 가장 많았으며, 무처리구에 비해 약 67.6%나 많았다. 방제체계별 수량은 2회 손제초체계가 368.9kg/10a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은 제초제방제+중경제초체계 , 2회 중경제초체계 순 이었다. 또한 이들 체계별 군락내 광투입량과 수량과는 r=0.559*의 관계를 보여 광투입량은 수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effective weed control system in the cultivation of Coix lachryma-jobi L. The effect of annual weeds artificially transplanted on the growth of Coix lachryma-jobi L. were that the higher the density of weeds, the lower the yield considerably by reducing number of grains and tillers per plant. Among four weeds of Echinochloa crusgalli galli P. BEAUV., Digitaria sanguinalis SCOPOL., Chenopodium album L., and Portulaca oleracea L., weed of Portulaca oleracea L. reduced adlay yield most by 182.6kg/10a and it was judged to be the most injurious weed to adlay production. Among four weed control systems, which are one herbicide treatment, one herbicide treatment + one cultivating work with cultivator, two times cultivating work with cultivator and two times hand-weeding, the control system of 'one herbicide treatment + one cultivating work with cultivator' showed the lowest amount of weed growth by 7.34 weeds per m2 in comparison with control plot of 35.00 weeds per m2. Among four weed control systems, the system of 'two times hand-weeding' had much more amount of light penetration in adlay canopy with 791.9 mol than any other systems.

      • KCI등재후보

        경기북부지역에 잘 적응하는 콩 품종 선발

        윤성탁,주용하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003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15 No.4

        경기도 북부지방의 환경조건에 적응하는 콩 품종을 선발하고자 13개 품종을 공시하여 생육 및 수량특성을 조사ㆍ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성숙기에 13개 품종의 경장은 74.4~134.9㎝의 분포를 보였으며, 가장 경장이 큰 품종은 송학콩으로 134.9㎝이었으며, 가장 작은품종은 대황콩으로 74.4㎝이었다. 2. 주당협수는 47.1~62.4개의 분포를 보였으며, 협수가 가장 많은 품종은 장수콩으로 62.4개이었으며, 가장 적은 품종은 대황콩으로 47.1개이었다. 3. 협당립수는 신팔당콩2호가 2.73개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은 송학콩 및 대황콩으로 각각 2.3, 2.2개이었다. 4. 등숙률은 소담콩, 황금콩, 장수콩이 각각 91.1, 90.7, 90.3%순으로 높았다. 100립중은 13개 품종이 20.8~38.2g의 분포를 보였으며, 대황콩이 38.2g으로 가장 컸다. 5. 종실수량은 신팔달콩2호가 272.6㎏/10a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장원콩(255.7㎏/10a), 태광콩(250.9㎏/10a), 송학콩(249.3㎏/10a) 순이었으나, 이들간에 유의한 통계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6. 13개 품종에 대한 병충해 발생정도를 보면 자반병에 이병율이 적은 품종으 장엽콩, 장수콩, 장미콩, 소담콩, 대황콩이 0.11%로 적었으며, 미이라병은 신팔달콩2호, 장미콩이 SMV 감염율은 신팔달콩 2호, 태광콩이 이병률이 적었다. 7. 수량은 주당협수, 주당립수, 주당립중과 정의 상관관계를 보여 주당협수, 주당립수, 중당립중이 많을수록 수량이 많음을 알 수 있었다. 8. 결론적으로 본시험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공시된 13개 품종 중 수량 면에서 보면 신팔달콩 2호가 272.6㎏/10a로 가장 많았으며, 병충해도 비교적 적고, 경장도 크지 않아 도복저항성도 클 것으로 판단되어 경기북부지역에서 재배하기에 적합한 품종으로 판단되었다. This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evaluate the growth and yield characteristics of 13 soybean varieties and select the optimum varieties for Gyeonggi northern areas. Stem length of 13 varieties ranged from 74.4㎝ to 34.9㎝. The highest stem length was shown in Songhakkong with 134.9㎝ and the lowest was shown in Daehwangkong with 74.7㎝. Number of pods per plant of 13 varieties ranged from 47.1 to 42.4. The highest number of pods per plant was seen in Jangsukong with 62.4 and the lowest was seen by Daehwangkong with 47.1. Shinpaldalkong #2 showed the highest seeds per pod, and the next was in oredr of Songhakkong and Dashwangkong with 2.3 and 2.2 seeds, respectively. Sodamkong, Hwangkeumkong and Jangsukong showed higher ripened seed ratio by 91.1, 90.7, and 90.3% respectively among 13 varieties. One hundred seed weight ranged from 20.8 to 38.2g, and Daehwangkong showed the highest one hundred seed weight by 38.2g. Shinpaldalkong #2 showed the highest seed yield by 272.6㎏/10a, and next was in order of Jangwonkong, Taekwangkong and Songhakkong by 255.7㎏/10a, 250.9㎏/10a and 249.3㎏/10a, respectively. Purpura infection rate was the lowest in Jangyeobkong, Jangsukong, Jangmikong, Sodamkong, Daehwangkong, and Shinpaldalkong #2, Jangmikong were the lowest phomopsis seed decay caused by phomopsis spp. Low infection of SMV(Soybean Mosaic Virus) were observed in Shinpaldalkong #2, Taekwangkong. Seed yield showed positive coefficients with pods per plant, seeds per plant and seed wight per plant, showing that it is profitable to increase these characteristics for improving seed yield. In conclusion, the optimum soybean variety at Gyeonggi northern area was thought to be Shinpaldalkong #2, because it showed the highest seed yield and low damage by plant disease and insect.

      • KCI등재

        기장 유전자원의 농업적 특성

        윤성탁,許震宇,김성민,김창영 한국작물학회 2008 한국작물학회지 Vol.53 No.4

        수년 동안 국내 전역에서 수집된 기장 137 유전자원을 공시하여 농업적 특성조사를 통한 품종육성의 기초자료를 제공코자 수행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공시된 137자원의 수형은 편수형, 산수형, 편밀수형(편수형과 밀수형의 중간형태) 및 산편수형(산수형 과 편수형의 중간 형태)의 4가지 수형으로 구분되었다. 수형별 빈도를 보면 편수형이 91자원으로 66.4%를 차지하였다. 2. 종피색은 황백색, 황갈색, 흑갈색, 황색 및 갈색 5가지로 분류되었으며, 종피색별 빈도를 보면 황백색 이 54자원 39.4%로 가장 많았으며, 종실형태는 방추형이 62.8%, 단방 추형이 37.2%이었다. 3. 출수소요일은 68~85 일의 범위를 나타내어 변이폭이 컷으며, 평균은 73.7일이었다. 빈도별 분포는 70~75 일이 46.7%로 가장 많았다. 생육기간은 109~124 일의 범위를 나타내었고, 평균 112일이었다. 생 육기간의 빈도를 보면 111~115 일이 83자원으로 60.6%로 가장 많았다. 4. 간장의 분포는 181~190cm 가 65자원으로 47.4%로 가장 많았으며, 160 cm 이하가 2.9%로 가장 적었다. 수장은 156~201cm 의 범위를 보였고, 평균 181.4 cm이었으며, 빈도별 분포는 31~35cm 가 74자원으로 54.0%로 가장 많았다. 5. 1수립수의 범위는 432~2,665 개로 변이폭이 상당히 컷으며, 평균은 1,429.5개이었다. 1수립수 분포는 1,200~1,400 개가 20.4%로 가장 많았으며, 1,000개 이하 및 2,000개 이상이 각각 13.1%, 8.6%를 차지 하였다. 6. 등숙률은 10% 이하에서 90% 이상까지 변이의 폭이 매우 컷다. 1000립중은 범위가 2.2~6.0g 으로 변 이폭이 상당히 컷으며, 평균은 4.69 g이었다. 7. 간장은 수장 및 출수소요일과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생육기간은 1000립중과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등숙률도 1000립중과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여 등숙률이 높은 자 원일수록 1000립중이 높았다. Crop characteristics of 137 common millet (Panicum miliaceum L.) resources collected in Korea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establish basic data for the improvement of crop breeding. Spike types of 137 plant resources were classified as 4 types of oblate, spreading, oblate-compact (intermediary type between oblate and compact) and oblate-spreading (intermediary type between oblate and compact) type, of which oblate spike type was the highest percentage of 66.4% (91 plant resources) of 137 germplasm. Seed color was classified as 5 colors of dark brown, yellow, brown, yellowish brown, and yellowish white, of which yellowish white was the highest percentage of 66.4% (54 plant resources) among them. Seed type was classified as 2 types of pyramid shape and short pyramid shape, which showed 62.8% and 37.2% respectively. Days from seeding to heading date showed the range from 68 to 85 days with 73.7 days in the average and the highest frequency proportion of it was the group from 70 to 75 days, which occupied 46.7% (64 plant resources) of 137 germplasm. Days from seeding to physiological maturity showed the range from 109 to 124 days with 112.0 days in the average and the highest frequency proportion (60.6%) of it was the group from 111 to 115 days, while there were also occupied with 6.6% below 110 days and 5.1% over 120 days among 137 germplasm. Group from 181 cm to 190 cm of culm length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proportion of 47.4%, whereas below 160 cm was the lowest occupancy of 2.9%. Spike length showed the range from 181 to 190 cm with 181.4 cm in the average and the highest frequency distribution of it was the group from 31 to 35 cm with the proportion of 54.0%. Number of grains per spike showed the range from 432 to 2,665 grains with 1,429.5 grains in the average and group from 1,200 to 1,400 grains per spike was the highest frequency distribution with the proportion of 20.4%. There were also occupied with 13.1% below 1,000 grains and 8.6% over 2,000 grains per spike among 137 germplasm.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유기농 잡곡의 몇몇 기능성 물질 비교

        윤성탁,김태호,남중창,김태윤,김혜림,조성훈,이승우,이명철,김민정,김성민,Yoon, Seong-Tak,Kim, Tae-Ho,Nam, Jung-Chang,Kim, Tae-Yun,Kim, Hye-Rim,Jo, Sung-Hoon,Lee, Seung-Woo,Lee, Myung-Cheol,Kim, Min-Jeong,Kim, Seong-Min 한국유기농업학회 2012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20 No.4

        최근 잡곡은 웰빙식품으로서 각광을 받고 있어 앞으로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잡곡에 대한 연구가 매우 절실하지만 국내 조, 기장, 수수의 잡곡종자에 대한 기능성물질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의 주식작물인 벼와 국내에서 유기농으로 재배 생산된 수종의 잡곡종자에 대한 지방산조성, 총 안토시아닌과 총 페놀 함량 및 항산화활성을 조사하여 잡곡을 이용한 기능성 제품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제공하고자 하였다. 1. 총 지방산 함량은 조, 기장, 수수, 벼의 순으로 각각 0.649% > 0.33% > 0.172% > 0.111%이었고, 불포화지방산 함량도 조, 기장, 수수, 벼의 순으로 각각 0.511% > 0.269% > 0.122% > 0.069%로 높았다. 2. 벼, 조, 기장 수수의 안토시아닌의 함량은 벼, 조, 기장에서는 안토시아닌이 검출되지 않았으나, 수수에서는 다량이 검출되었으며, 품종간에는 몽당수수에서 $137.5mg{\cdot}g^{-1}$으로 가장 많았으며, 메수수에서 $65.8mg{\cdot}g^{-1}$으로 가장 적었다. 3. 총 페놀 함량은 벼에서는 추청벼가 $13.70{\mu}g{\cdot}g^{-1}$으로 가장 많았으며 대안벼가 $10.07{\mu}g{\cdot}g^{-1}$로 가장 적었다. 조에서는 흰차조가 $25.8{\mu}g{\cdot}g^{-1}$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강화조가 $22.3{\mu}g{\cdot}g^{-1}$으로 많았다. 기장의 경우는 벼룩기장이 $69.4{\mu}g{\cdot}g^{-1}$로 가장 함량이 많았으며, 검은기장이 $33.6{\mu}g{\cdot}g^{-1}$으로 가장 적었다. 수수는 찰수수가 $682.2{\mu}g{\cdot}g^{-1}$을 나타내어 가장 함량이 많았으며, 가장 적은 품종은 재래찰수수로서 $237.9{\mu}g{\cdot}g^{-1}$을 나타내었다. 작물별 평균 총 페놀 함량을 보면 벼는 $12.25{\mu}g{\cdot}g^{-1}$, 조는 $16.95{\mu}g{\cdot}g^{-1}$, 기장은 $51.01{\mu}g{\cdot}g^{-1}$, 수수의 경우에서는 $447.4{\mu}g{\cdot}g^{-1}$을 나타내어 3작물의 총 페놀 함량은 수수가 평균 $447.4{\mu}g{\cdot}g^{-1}$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 양은 조의 평균치의 26.3배, 기장의 평균치에 대해서는 8.8배나 많은 함량이었다. 4. 벼, 조, 수수, 기장의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자유라디칼(free radical) 소거활성효과는 벼에서는 추청벼가 3.6%로 가장 높았다. 조에서는 강화조가 4.78%로 항산화 효과가 가장 높았으며, 올황차조가 0.08%로 가장 낮았다. 기장의 경우는 검은 기장이 13.4%로 특히 가장 높았다. 수수는 본 시험에 공시된 7품종의 범위가 88.47~90.11%로 품종간 차이가 크지 않았다. 벼 3품종, 조 9품종, 기장 6품종, 수수 7품종의 평균항산화 활성을 보면 수수 > 기장 > 조 > 벼 순으로 각각 1.60% > 2.43% > 6.13% > 89.50%로 나타났다. 수수의 평균 항산화 활성은 조의 37배, 기장의 15배나 높았다. Miscellaneous grain crops has been appeared as a well-being food and the demand of them are increasing recently. It is urgent to study especially about the functional materials of foxtail millet, common millet and sorghum.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ion and comparison several functional materials of fatty acids, anthocyanin content, total phenol content and DPPH assay of rice, and foxtail millet, common millet and sorghum produced organically so that these results would provide as a basic information for developing functional products by using miscellaneous grain crops. Total content of fatty acids was in order of foxtail millet (0.649%) and common millet (0.33%), sorghum (0.172%) and rice (0.111%) respectively. The content of unsaturated fatty acid was also in order of foxtail millet (0.511%) and common millet (0.269%), sorghum (0.122%) and rice (0.069%) respectively. Although there was no detection of anthocyanin content in rice, foxtail millet and common millet, sorghum showed high content of anthocyanin content. Sorghum of Mongdangsusu showed the highest anthocyanin content (137.5mg/g). In the total phenol content of rice, foxtail millet, common millet and sorghum, rice of Chucheongbyeo had high content ($13.70{\mu}g/g$) whereas Daeanbyeo was the lowest content ($10.07{\mu}g/g$). Foxtail millet of Hinchajo, common millet of Byeorukgijang and sorghum of Chalsusu showed the highest total phenol content of $25.8{\mu}g/g$, $69.4{\mu}g/g$ and $682.2{\mu}g/g$ respectively. In the average of total phenol content among rice, foxtail millet, common millet and sorghum, foxtail millet, common millet and sorghum showed $12.25{\mu}g/g$, $16.95{\mu}g/g$, $51.01{\mu}g/g$ and $447.4{\mu}g/g$ of total phenol content respectively. The average of total phenol content of sorghum was $26.3{\mu}g/g$. It is 36.3 and 26.3 times higher compared with rice and foxtail millet respectively. I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eeds by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assay for rice, foxtail millet, common millet and sorghum, rice of Chucheongbyeo, foxtail millet of Ganghywajo and common millet of Geumeungijang showe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with 3.6%, 4.78% and 13.4% respectively. Antioxidant activity of sorghum ranged from 88.47 to 90.11%. The average of antioxidant activity among four crops,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was obtained from sorghum (89.50%) and the next was common millet (6.13%), foxtail millet (2.43%), and rice (1.60%) in their order of antioxidant activity. The average of antioxidant activity of sorghum showed 55.9, 37.0 and 15times higher compared with rice, common millet and foxtail millet respectively.

      • 熱帶觀賞樹 Desert Rose(Adenium obseum)의 器內培養에 관한 硏究

        尹晟鐸 濟州大學校 亞熱帶農業硏究所 1989 亞熱帶農業硏究 Vol.6 No.-

        Desert Rose 엽절편을 이용하여 callus 형성에 적합한 培地를 개발함과 동시에 형성된 callus로 부터 器官分化를 위한 적정배지를 개발코자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葉切片으로 부터의 callus 形成은 cytokinin류보다 auxin류에서 잘 형성되었으며 치상후 20일 callus의 生體重은 2,4-D 1.0mg/ℓ 처리가 1,478.3mg으로 가장 좋았다. 2. callus의 綠色化는 NAA 0.05mg/ℓ+BA 0.05mg/ℓ처리와 2,4-D 1.0mg/ℓ+IBA 1.0mg/ℓ 처리가 좋았다. 3. 器官分化는 NAA 0.05mg/ℓ+BA 0.05mg/ℓ 처리와 2,4-D 2.0mg/ℓ+NAA 0.05mg/ℓ+BA 0.05mg/ℓ+1.0g/ℓ activated charcoal 처리에서 뿌리가 분화되었으나 分化후 20일 괴사하였다. Tropical ornamental plant, Desert Rose (Adenium obseum), was used for rapid multipropaga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The aim of this experiment was to develop suitable medium for callus formation from leaf explant and organ induction from callus.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Callus formation from leaf explant was better in auxin medium than in cytokinin medium and fresh weight of callus at 20 days after inoculation was the highest in medium containing 2,4-D 1.0mg/ℓ by 1478.3mg. 2. Two combination media of NAA 0.5mg/ℓ+BA 0.05mg/ℓ, and 2,4-D 1.0mg/ℓ+IBA 1.0mg/ℓ were most effective for callus greening. 3. Root differentiation was observed in two combination media of NAA 0.05mg/ℓ+BA 0.05mg/ℓ, and 2,4-D 2.0mg/ℓ+NAA 0.05mg/ℓ+BA 0.05mg/ℓ added 1.0g/ℓ activated charcoal.

      • KCI등재

        수수 유전자원의 작물학적 특성

        윤성탁,許震宇,張慶宇,김인숙,김태호,남중창 한국작물학회 2010 한국작물학회지 Vol.55 No.1

        수년 동안 국내 전역에서 수집된 수수 179 유전자원을 공시하여 작물학적 특성조사를 통한 품종육성의 기초자료를 제공코자 수행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수의 수형은 산수형, 소경수수형, 반소경수수형, 극밀수형, 및 밀수형의 5가지 수형이 존재하였으며, 수형별 빈도를 보면 소경수수형이 38.0%(68자원)로 가장 많았으며, 극밀수형 및 밀수형이 각각 16.2%, 7.8%로 가장 적었다. 2. 수수 이삭의 까락 유무는 28.5%(51자원)가 까락을 갖고 있었으며, 나머지 71.5%(128자원)는 까락이 없는 것으로 분류되었다. 3. 종실형태는 43.0%(77자원)가 원형으로 가장 많이 차지하였으며, 편원형이 7.3%(13자원)로 가장 적었다. 종피색은 황갈색이 84.4%(151자원)로 가장 많았으며, 갈색 및 흰색이 똑같이 1.1%로 가장 적었다. 4. 수수 179자원의 출수소요일은 67~88일의 범위를 나타내어 변이폭이 컷으며, 평균은 77.4일이었다. 출수소요일의 분포는 179자원 중 76~80일이 37.4%(67자원)로 가장 많았으며, 86일 이상도 5.6%이었으며, 70일 이전에 출수한 자원도 10.0%를 나타내었다. 5. 간장은 92~360 cm의 범위를 보였으며, 평균은 253.8 cm로 변이의 폭이 컷다. 간장의 분포는 291~310 cm가 20.6% (37자원)로 가장 많았다. 6. 수장은 15~49 cm의 범위를 보였고, 평균 28.8 cm이었다. 수장의 분포는 31~35 cm가 26.3%(47자원)로 가장 많았으며, 15 cm 이하가 0.6%로 가장 적었다. 7. 생육일수는 110~146일의 범위를 나타내어 변이 폭이 상당히 큼을 알 수 있었고, 평균은 125.5일이었다. 생육기간의 빈도는 111~115일이 39.7%(71자원)로 가장 많았으며, 110일 이하와 141일 이상에 속하는 자원도 각각 2, 23자원이나 되었다. 8. 1수립수의 범위는 163~4,532개로 변이 폭이 상당히 컷으며, 평균은 2,068.6개 이었다. 1수립수 분포는 1,601~2,000개가 25.7%(46자원)로 가장 많았다. 9. 공시된 179 유전자원의 1000립중은 범위가 10.6~38.1 g으로 변이폭이 컷으며, 평균은 25.6 g이었다. 1000립중의 분포는 26.0~30.0 g가 전체의 44.1%(79자원)로 가장 많았다 Crop characteristics of 179 sorghum (Sorghum bicolor L. Moench) resources collected in Korea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establish basic data for the improvement of crop breeding. Spike types of 179 sorghum resources were classified as 5 types of open-loose type, broom-tillering type, half broom-tillering type, extreme-compact type and compact type, of which broom-tillering type was the highest ratio of 38.0% (68 plant resources) of 179 germplasm. In the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spike awn in 179 sorghum resources, 28.5% (51 plant resources) showed existence of spike awn, whereas the rest of 71.5% (128 plant resources) had no spike awn. Seed type was classified as 5 types, of which circle-shape showed the highest ratio of 43.0% (77 plant resources) and the lowest was inclined-circle shape by 7.3% (13 plant resources). Seed color was classified as 4 colors of brown, white, whitish brown, and yellowish brown, of which yellowish brown was the highest ratio of 84.4% (151 plant resources) among them. Days from seeding to heading date showed the range from 67 to 88 days with the average of 77.4 days and the highest frequency proportion of it was the group from 76 to 80 days, which occupied 37.4% (67 plant resources) of 179 germplasm. 179 sorghum resources showed high variation in the range of culm length with the average of 253.8 cm and group from 92 cm to 360 cm of culm length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proportion of 20.6% (37 plant resources). Spike length showed the range from 15 to 49 cm with the average of 28.8 cm and the highest frequency distribution of it was the group from 31 to 35 cm with the proportion of 26.3% (47 plant resources), whereas the lowest was below 15 cm with the proportion of 0.6%. Days from seeding to physiological maturity showed the range from 110 to 146 days with the average of 125.5 days and the highest frequency proportion (39.7%) of it was the group from 111 to 115 days, while there were also occupied with 2 plant resources below 110 days and 23 plant resources over 141 days among 179 germplasm. Number of grains per spike showed the range from 163 to 4,532 grains with the average of 2,068.6 grains and group from 1,601 to 2,000 grains per spike was the highest frequency distribution with the proportion of 25.7% (46 plant resources). 1000 grains weight showed the range from 10.6 to 38.1g with the average of 25.6g and group from 26.0 to 30.0g was the highest frequency distribution with the proportion of 44.1% (79 plant resources).

      • KCI등재후보

        3온도 수준에서의 $CO_2$ 농도 증가에 따른 피망의 생육 반응

        윤성탁,Yoon, Seong-Tak 한국유기농업학회 2007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15 No.1

        [ $CO_2$ ] 농도증대와 고온조건이 피망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향후 지구 온난화에 따른 작물분야에서의 대응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시험한 결과를 하면 다음과 같다. 파종 후 개화소요일은 $CO_2$ 농도처리 간에는 400ppm 처리구에서 56.3일, $CO_2$ 농도를 배증시킨 800 ppm에서는 55.7일로 대차 없었으나, 온도 처리간에는 $35/25^{\circ}C$의 고온구가 52.5일로 가장 짧게 소요되었다. 출현 후 15주의 피망의 생육 및 수량을 보면 초장은 $CO_2$ 농도간에는 유의성이 없었으며, 온도간에는 유의성이 인정되어 $30/20^{\circ}C$ 처리구에서 초장이 54.5cm로 가장 컷다. 생육기간중 경시적인 초장신장은 $CO_2$ 농도가 높은 구에서 초장신장이 억제되었으며, 온도가 높을수록 초장신장이 커졌다. 주당 엽면적은 400ppm 처리구가 평균 $6,008.8cm^2$, 800ppm 처리구가 $5,225.1cm^2$로 400ppm 처리구가 약 15% 엽면적이 높았다. 엽건물중은 $CO_2$ 농도간 및 온도처리간에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800ppm 처리구의 평균 엽건물중은 44.1g으로 400ppm 처리구의 37.2g에 비해 18.5% 높았으며, 온도처리간에는 고온구인 $35/25^{\circ}C$구가 49.8g으로 가장 높았다. 총 지상부 건물중도 $CO_2$ 농도간 및 온도처리간에 유의성을 나타내었으며, 800ppm 처리구가 141.4g으로 400ppm 처리구의 119.9g보다 17.9%나 높았다. 온도처리별 지상부 건물중은 $30/20^{\circ}C$ 처리구가 168.9g으로 가장 높았으며, 고온구인 $35/25^{\circ}C$구가 102.3g으로 가장 낮았다. 과실의 건물중(수량)은 800ppm 처리구가 59.5g으로, 400ppm 처리구의 44.3g에 비해 약 34.3% 많아 피망의 경우 $CO_2$, 농도 증대가 수량증대에 유리할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CO_2$, 농도가 높을 때(800ppm)에는 저온($25/15^{\circ}C$)에서, 평상적인 $CO_2$, 농도에서는 고온($30/20^{\circ}C$) 조건에서 수량이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CO_2$, 농도에 따른 비엽면적은 800ppm의 117.4보다는 400ppm의 159.1에서 35.5% 커, $CO_2$, 농도가 증대하면 잎의 두께가 두꺼워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작물학적 특성들간 상관관계를 보면 엽면적은 주당 착과수 및 과실 건물중과 유의한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엽면적이 클수록 수량은 낮아졌다. 주당 과실 건물중과 주당 착과수, 지상부 총건물중과는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여 착과수가 많을수록 지상부 건물중이 클수록 수량이 증대함을 알 수 있었다. Predicting plant responses to changing atmospheric $CO_2$ and to the possibility of global warming are important concerns. The $CO_2$ concentration of the global atmosphere has increased during the last decades. This increase is expected to result in changes of global temperatures and this will also affect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bell pepper (Capsicum annum L.) and other crop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atmospheric $CO_2$ enrichment and high temperature o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bell pepper under three temperature regimes.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days required from seeding to flowering between $CO_2$ treatments, whereas among three temperature regimes, high temperature plots of $35/25^{\circ}C$ showed the shortest days (52.5 days) required from seeding to flowering. The plant height of bell peppers 15 weeks after emergence showe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hile plots of $30/20^{\circ}C$ showed the highest plant height among the three temperature regimes. Time-course response of plant height to $CO_2$, enrichment was restrained in high $CO_2$, concentration (800ppm), at the same time higher temperature promoted plant height. Average leaf area per plant of 400ppm was $6,008.8cm^2$ and it was $5,225.1cm^2$ in the plots of 800ppm, showing 15% more leaf area compared to 400ppm $CO_2$ concentration. Leaf dry weight between $CO_2$ concentration and among temperature regimes showed a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average leaf dry weight in the plot of 800ppm showed the highest (44.1g), which was 18.5% higher compared to that of 400ppm (37.2g) and among temperature regimes, it was the highest (49.8g) in the plot of $35/25^{\circ}C$. Above-ground dry weight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CO_2$ concentration and among temperature regimes. The average above-ground dry weight of 800ppm $CO_2$ concentration was 141.4g, 17.9% higher compared to 400ppm $CO_2$ concentration (119.9g). Among three temperature regimes, plots of $30/20^{\circ}C$ showed the highest average above-ground dry weight (168.9g), while plots of $35/25^{\circ}C$ were the lowest (102.3g). In the average bell pepper dry weight, 800ppm of $CO_2$ concentration showed higher bell pepper dry weight (59.5g) than that (44.3g) of 400ppm of $CO_2$ concentration. It was judged that high $CO_2$ concentration was profitable fur bell pepper yield and there was a tendency that when there was high $CO_2$, concentration (800ppm), low temperature ($25/15^{\circ}C$) was profitable for bell pepper dry weight, whereas it was the reverse ($30/20^{\circ}C$), in the case of ambient $CO_2$, concentration (400ppm). In the specific leaf area according to $CO_2$, concentration, 800ppm showed 117.4, which was 35.5% higher compared to that (159.1) of 400ppm, showing that leaf becomes thicker as $CO_2$ concentration increases. Regarding correlation coefficients among crop characteristics, leaf area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number of bell peppers per plant and bell pepper dry weight, showing that the higher the leaf area, the lower the bell pepper yield. Bell pepper dry weight per plant showed positive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number of bell peppers per plant and total above dry weight, which showed that the higher the number of bell peppers and the total above dry weight, the higher the bell pepper y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