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위장관 간질종양의 임상 및 병리학적 고찰

        김영호,장우영,이순진,손희정,최규완,도재혁,백승운,이준행,이풍렬,이종철,박철근,임윤정,김갑철,김재준,임효근 대한소화기학회 2001 대한소화기학회지 Vol.37 No.3

        Background & Aims: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 (GIST) constitutes primary nonepithelial neoplasms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and includes most tumors previously designated as leiomyomas/leiomyosarcomas. GIST is pathologically divided into benign, borderline and malignanct tumo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lineate the clinical and pathologic features of GIST and to establish the features predicting malignancy. Methods: Clinicopathologic data of 84 patients who had GIST from 1995 to 1999 were reviewed. Results: The subjects were 42 men and 42 women, and their mean age was 59.3±13.2 years. We located fifty-two tumors in the stomach, 28 tumors in the small intestine and 4 tumors in the colorectum years. Histopathology revealed benign tumors in 23 of the 84 patients, borderline tumors in 22, malignant tumors in 39. The average size of tumors was 6.23 cm in diameter (range, 0.6-26 cm). Metastasis was noted in 15.5% of the patients at diagnosis. On endoscopy, ulceration was more common in malignancy. Endsonographic findings except size were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On contrast enhanced computed tomography, malignancy showed more irregular shape and variable attenuation than benign lesions, which seemed to be valuable factor. Conclusions: The variables predicting malignancy were large tumor size (≥5 cm), location of the colorectum, palpable abdominal mass, ulceration on endoscopy, and less uniformity in shape and variable attenuation on computed tomography.

      • KCI등재

        원자력용 HT9 강과 HT9M 강의 미세조직과 기계적 특성 변화

        김성호,박순동,류우석,국일현,송병준 대한금속재료학회(대한금속학회) 1999 대한금속·재료학회지 Vol.37 No.12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HT9 and HT9M steels for liquid metal reactor(LMR) core materials have been investigated. The tempering temperature at which cell structure was formed by rearrangement of dislocations was same in two steels. More carbides were precipitated in HT9 steel due to high carbon content and precipitation of carbides was delayed in HT9M steel. Thus the decrease of hardness with tempering temperature in HT9M steel was lower than that of HT9 steel. The yield strength was decreased, the fine prior austenite grain was formed, and the formation of δ-ferrite was restricted in HT9M steel by decreasing the Cr and carbon content and increasing the Nb content. Thus the impact property of HT9M steel was improved.

      • KCI등재

        벼 현탁배양세포유래 원형질체에서의 아가로스고체배지와 간호배양을 이용한 식물체 분화

        김현순,프란시스제이자파타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1999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11 No.1

        자포니카 벼 3품종의 현탁배양 유래 세포로부터 나출된 원형질체에서 아가로스 고체배지와 간호 배양을 이용하여 임성의 재분화 식물체를 얻었다. 배양효율은 R2배지에서 3품종 모두 KPR배지에서 보다 2.4-5.4% 유의하게 높았다. 원형질체 세포분열에 간호세포는 필수적이었으며 간호세포로서의 배양효율은 Oryga sativa cell (Oc) 세포, 수원 366, 안중벼의 순으로 효과적이었다. 한편 토양에 이식된 69개체의 원형질체유래 식물체(R0) 중 49개체(71%) 만이 임성을 나타냈다. Fertile plants have been regenerated from suspension cell-derived protoplasts using agarose-solidified media and nurse culture in three Korean japonica rice varieties. Protoplast plating efficiency were significantly 2.4-5.4% higher in R2 medium than in KPR in all three varieties. Nurse cell was necessary for cell division in protoplast culture and plating efficiency was the highest in Oryza sativa cell(Oc) line, followed by Suwon 366 and Anjungbyeo. Out of 69 protoplast-derived plants(R_0) into soil, only 49 plants were fertile with a frequency of 71% which showed a uniform morphology.

      • KCI등재

        SA 508 강 용접 열영향부의 미세조직과 충격인성의 상관관계

        김상호,홍준화,김주학,권순주,이성학,강석영,오세진 대한금속재료학회(대한금속학회) 1999 대한금속·재료학회지 Vol.37 No.4

        In this study, microstructures of the heat affected zone (HAZ) of SA 508 steel were identified by Mo¨ssbauer spectroscopy in conjunction with microscopic observations, and were correlated with impact toughness. Specimens with the peak temperature risen up to 1350℃ showed mostly martensite, but the microstructures were not changed, much from the base metal because of the minor tempering effect when it was risen to 650℃ or 700℃. With the peak temperature risen to 900℃ over the A₃ temperature, the martensite fraction was reduced, while bainite or martensite island were formed because of the slow cooling from the lower austenite region. As the martensite fraction present inside the HAZ increased, hardness and strengths tended to increase, whereas impact toughness decreased. However, impact toughness of the subcritical HAZ with the peak temperature risen to 650℃-700℃ was seriously reduced after post-weld heat-treatment (PWHT) since carbide particles were of primary importance in initiating voids. Thus, the most important microstructural factors affecting impact toughness were the martensite fraction before PWHT and the carbide fraction after PWHT.

      • KCI등재

        Fe-C-Mn-Si 계 열연 변태유기소성 복합조직강의 미세조직과 기계적 성질에 미치는 합금원소의 영향 (1) : 미세조직과 기계적 성질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박성호,이순기,고향진,김낙준 대한금속재료학회(대한금속학회) 1999 대한금속·재료학회지 Vol.37 No.6

        The present study is aimed at developing the high strength, high formability low alloy steels having retained austenite as one of the constituents. The main emphasis has been put on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processing variables and alloying elements (Cu, Nb) on the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hot-rolled Fe-C-Mn-Si base TRIP (Transformation Induced Plasticity) steel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microstructure of hot-rolled alloys consists of ferrite, bainite, martensite and retained austenite, whose volume fraction and morphology vary depending on the hot-rolling conditions and alloy compositions. The increase in the quench-finish temperature results in a homogeneous distribution of fine granular particles of retained austenite and hard second phases in a ferrite matrix and accordingly a good combination of strength and ductility. The Cu-containing alloy has been found to improve mechanical properties over the base alloy due to the precipitation of fine ε-Cu in ferrite grains. Nb addition increases the dynamic recrystallization temperature of austenite, resulting in the formation of coarse pan-caked bainite packets. Based on these results, the optimum microstructure for a better combination of strength and ductility is suggested to be the one having granular particles of retained austenite and hard phase (martensite or bainite) in a fine ferrite matrix.

      • KCI등재

        조선 세종의 인사(人事) 실제 - 한어(漢語) 전문가 김하(金何)를 중심으로 -

        김순남(Kim, Soon Nam) 역사실학회 2021 역사와실학 Vol.75 No.-

        본 연구는 본 논문은 김하의 사례를 통해 세종이 구사한 인사 방식의 실제를 살피고자 하는 것이다. 김하는 조선 세종대 활약한 한어 전문가였다. 세종은 김하의 한어 능력을 높이 평가하여 재상도 장수도 아니며 이학을 교육하는 임무에 종사할 뿐인 그를 기복 했다. 김하는 강상죄로 얽을 수 있는 아버지 상중의 부적절한 처신으로 관료 생활 내내 대간의 비판에 직면했다. 그러나 세종은 국가의 중대사를 맡겨야 한다며 끝까지 임용했다. 김하는 종사관·서장관·정사로서 거의 20여 회 북경을 오고 갔다. 그때마다 세종의 뜻에 부합해 활약했다. 김하의 사례는 세종이 구사한 인사 방식의 일단을 보여 준다. 이를 통해 역량을 우선으로 하는 인사를 함으로써 국정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했음을 알 수 있다. Kim-Ha was an expert in Chinese, who worked for King Sejong(the period of reign:1418-1450). The Chinese language spoken by Kim-Ha was highly skilled and elegant, so no alternative could be found in Joseon at that time. King Sejong highly valued Kim-Ha"s Chinese language ability. So, when his father died in 1435 (the 17th year of King Sejong"s reign), King Sejong appointed him in a very short time (less than 100 days after his father’s death : 3 years funeral period for his deceased father was required at that time). Kim-Ha was not a general nor a prime minister, but only engaged in the mission of educating Chinese language. So his case was very unusual. Kim-Ha had faced public criticism throughout his bureaucratic career for his inappropriate actions. His behavior of committing adultery with a Gisaeng, Joseon geisha, during his father"s funeral could have been regarded as a crime of undutifulness. He breached the Joseon"s Human Ethics(Kang Sang, 綱常). Such acts were an unforgivable sin in the Confucian state of Joseon. King Sejong agonized between morality and ability. Finally King Sejong decided to punish him slightly. The name of the crime was not breaking undutifulness but breaking the order of concubine. King Sejong said that Kim-Ha should be in charge of important national missions. King Sejong believed that Kim-Ha"s ability in Chinese language would be helpful for diplomatic policies and relationship with Ming dynasty. In fact King Sejong sent him to Ming as an envoy whenever needed in the course of establishing a relationship between Joseon and Geonju Jurchen. Whenever he went to Beijing to deal with diplomatic matters, Kim-Ha translated well and met King Sejong"s will. The case of Kim-Ha shows some aspects of King Sejong"s personnel policy which he used to accomplish the nation"s important mission. King Sejong was abl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state administration by utilizing personnel policy that prioritized capabilities. Thanks to this flexible way of personnel policy, it can be said that King Sejong"s era could be compared to so-called "Emperor Yo and Sun"s reign of peace".

      • KCI등재

        아시아계 미국시의 재편성: 캐시 송, 명미 김, 수지 곽 김의 차이를 중심으로

        김양순 ( Yang Soon Kim ) 한국아메리카학회 2010 美國學論集 Vol.42 No.3

        This study examines Asian American poets` activities that have contributed to contemporary American poetry`s heterogeneity and pluralism, and especially focuses on the works of three women poets?Cathy Song, Myung Mi Kim, and Suji Kwock Kim. Reading closely Cathy Song`s Picture Bride (1983), Myung Mi Kim`s Under Flag (1991), and Suji Kwock Kim`s Notes from the Divided Country (2003), this paper discusses not only their shared views but also their differences, which are particularly noteworthy. These three poets share their consciousness of the problems of culture, identity, family, ethnicity, region, and language. Yet there exist differences among these poets arising from dissimilarities in their family background, time of immigration, birthplace, and generation. This paper explores how differently and in what ways they embody their seemingly similar themes. Through her lyrical voice and organic images, Cathy Song`s Picture Bride deals with issues of family, assimilation, female experience, ethnic identity, and bond or distance between different generations. At the same time, Song, from the first generation of Asian American poets, attempts to show a threshold of imagination and creation, and a space where creative transformation begins. Myung Mi Kim`s Under Flag in an epic narrative explores the ruptures of Korean culture and history. With her experimental language and forms, Kim, a 1.5 generation Korean American, expresses "the uncertainties and sense of ruptured suspension of personal and communal displacement," more subversively than Song. Through the work of "postmemory" and the deliberate distance between the poet and the speaker, and in dealing with Korean War and the psychology of individuals "traveling between" the living and the dead, between past and future, Suji Kwock Kim, a second generation Korean American, reveals a "more fluid sense of ethnic boundaries." Since for her Asian heritage is just one of many facets of her identity, she can venture into new subject matter with a certain air of feminine strength. This research attempts to expand critical views of Asian American (women) poets that have been less visible than those of Asian American fiction writers, and mostly presented in terms of ethnicity and gender. Thus, this study will provide a foundation for future discussion of Asian American poetry`s implications for language, form, and narrative on the broader landscape of American poetry.

      • KCI등재후보

        비디오 유머중재가 혈액투석 중인 환자의 우울과 스트레스반응에 미치는 효과

        신봉자 ( Shin Bong Ja ),김혜순 ( Kim Hye Soon ),이명희 ( Lee Myung Hee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10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6 No.1

        본 연구에서는 만성 신부전증으로 혈액투석 중인 환자에게 비디오를 이용한 유머중재가 우울과 스트레스 반응인 상태불안과 코티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비디오 유머중재 선행 연구(Kim & Suh, 1996; Suh & Kim, 1994)에 의하면 입원환자들은 유머의 내용으로 TV 코미디 프로그램을 가장 선호하였고, 유머 중재시간은 아침보다는 점심 때를 더 선호하였고, 유머 중재시간은 10-20분, 20-30분의 순이었고, 개인보다는 집단으로 유머를 즐기는 것을 좋아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의 대상자인 혈액투석 환자는 외래환 자로서 혈액투석이 주 3일, 4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특성상 개별적으로 침상TV를 이용하여 혈액투석 중간인 오전에 30분간 비디오 유머중재를 실시하였다.비디오 유머중재가 혈액투석환자의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Beck의 도구로 검증한 결과, 실험군은 19,34점에서 12,73점으로 6.60점 감소하였고, 대조군은 21.42점에서 19.04점으로 2.38점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 비디오 유머중재 가 혈액투석환자의 우울을 감소시키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웃음요법중재가 혈액투석을 받는 환자의 우울을 감소시켰다는 Lee 등(2006)의 연구와 일치하였다. 또한 혈액투석환자의 우울 정도는 Lee 등(2006)의 연구에서 21.9점, Yun, Yang과 Hahn(1999)의 연구에서 22.9점으로 확인되었는데. 이는 Lee 등(1995)이 우울 점수 9점 이하는 정상(normal), 10-15점은 경한(mild) 우울상태, 16-23 점은 보통 (moderate) 우울상태, 24-63점은 심한(severe)우울상태로 구분한 것에 의하면 혈액투석 환자는 보통의 우울상 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Zung의 도구로 검증한 Kim 과 Suh(1996)의 연구에서 비디오 유머중재가 기동성장애환자의 우울을 감소시키지 않았다는 결과와 Suh와 Kim(1994)의 유머중재가 항암요법 치료를 받는 환자의 우울을 감소시키지 않았다는 연구와는 상반되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와같이 선행연구와 상반된 연구결과가 나타난 것은 우울과 관련되는 복합적인 변인들이 다르기 때문으로 생각한다. 즉 Suh와 Kim(1994)의 연구대상인 암환자의 경우중개기간이 항암제 치료기 간으로 항암제 부작용을 경험하는 시기라는 점을 고려할 때 유머중재에 관심을 적게 갖지 않았나 하는 점도 고려할 수 있다. Kim과 Suh (1996)의 연구대상인 석고붕대나 견인장치로 기동 성장애를 경험하는 환자들은 기동성의 변화로 인한 스트레스로 인하여 Suh와 Kim (1994)의 암환자의 우울점수 39,9점보 다 많은 42점으로 나타나 대상자 특성에 따라서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Suh와 Kim (1994)은 우울은 상황적인 요소라기보다는 특성적인-요소로 여겨지며 단기간의 간호중재가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생각된다고 하였다. 따라서 우울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유머중재 연구에 대한 반복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혈액투석 중간에 비디오 유머중재를 실시한 후 혈액투석이 끝나는 1 시간 30분 후에 사후검사를 측정하였으나 Kim과 Suh (1996) 의 연구에서는 비디오 유머중재를 실시한 후 10분 후에 사후검사를 측정하여 유머중재 전에 우울도구와 우울점수에 따른 유머중재의 횟수와 시간, 내용을 다르게 적용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디오 유머중재 이후 대상자들은 혈액투석시간 이외에도 대상자들 간에 서로 바라보며 웃기도 하고 큰소리로 이야기도 나누는 모습들을 볼 수 있었는데, 이는 혈액투석치료를 평생 받으며 살아야 한다는 심리 · 정서적 압박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혈액투석환자들만의 특성을 고려해 볼 때 투석을 받는 시간만이라도 의료인들이 대상자의 심리 · 정서적 지지방법으로 비디오 유머중재를 적극적으로 활용해도 좋을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투석시간외 일상생활에서도 적용할 수 있는 유머중재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혈액투석환자의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비디오 유머중재 전 · 후 상태불안, 혈청 코티졸을 검증 한 결과, 상태불안은 차이가 있었으나 혈청 코티졸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태불안은 실험군은 43.86점에서 35.08 점으로 감소되었으나 대조군은 47.85점에서 49.71점으로 증가하였다. 이는 유머중재가 항암치료를 받는 환자의 불안을 감소 시켰다는 Suh와 Kim (1994)의 연구결과와는 일치하였으나 비디오 유머중재가 기동성장애환자들의 불안 감소에는 효과적이지 않았다는 Kim과 Suh (1996)의 연구결과와는 상반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 혈액투석환자의 상태불안 점수 43점은 기동성 장애 환자들의 상태불안 점수 43점(Kim & Suh, 1996), 척추손상 환자들의 상태불안 점수 44점(Song, 2003), 암환자들의 상태불안 점수 44점(Kam, 2003)과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다. 기동성장애 환자의 경우 생명에 위급함을 느끼기 않는 만성적인 질환인 반해 일상생활에서 생명의 위급함을 느끼고 있는 혈액투석 환자의 경우에는 비디오 유머중재를 통하여 불안이 더욱 더 감소되는 결과가 나타났다고 사료된다. 불안은 주관적 근심과 걱정에서 오는 막연한 것으로 두려움, 근심, 죽음이나 재앙이 당장 일어날 것만 같은 느낌을 갖게 되는 경우를 말한다(Jo & Sung, 2000). 혈액투석환자의 불안은‘투석기계에 생명을 의존하고 살아가는 것’,‘ 가족에 대해 책임을 다하지 못하는 것’,‘ 투석 치료로 인한 경제적 부담’의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Lee, 2007). 혈액투석은 만성신부전을 치료하기 보다는 주기적으로 체내 노폐물과 수분을 걸러내어 환자의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에 불과하므로 대부분의 환자들은 병의 예후에 대한 불안감과 함께 치료계획에 따라 기계에 의존해 치료를 받아야만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혈액투석환자들의 상태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한 유머중재에 대한 반복연구가 계속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혈청 코티졸 검정결과에서 실험군은 8.64㎍/dL에서 13.12mg/dL으로 4.47㎍/dL 증가, 대조군은 8.85㎍/dL에서 16.29㎍/dL으로 7.43㎍/dL으로 모두 증가하였다. 대조군이 실험군에 비해 혈청 코티졸 수치가 2.96㎍/dL 더 높게 상승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웃음요법을 혈액투석환자에게 실시한 Heo (2007)의 연구결과와 일치하고 있다. 또한 오전에 검사한 혈청 코티졸의 정상범위가 6-28 ㎍/dL임을 감안할 때 정상범위이기는 하나 전반적으로 높게 유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는데, 이는 혈액투석환자의 혈중 코티졸 농도는 전반적으로 높게 유지한다고 보고한 Daugirdas, Peter와 Todd (2001)의 연구와도 일치하였다. 그러나 Heo (2007)의 연구에서 실험군은 0.30 ㎍/dL, 대조군은 1.57㎍/dL 증가하여 본 연구에서 코티졸 상승범위가 더 크게 나타났는데, 이는 본 연구는 투석중에 개인별로 유머비디오를 적용하였으나 Heo (2007)의 연구에서는 투석이외의 시간에 집단별로 웃음요법을 시행한 결과의 차이라고 생각한다. CRH-ACTH계의 활성증가를 통해 CNS에 의해 매개되는 코티졸 분비의 현저한 증가는 모든 종류의 스트레스적인 상황에서 발생한다(Galla & Luke, 1996). 혈장 코티졸 농도의 증가폭은 일반적으로 스트레스 자극 세기에 비례하며, 스트레스는 질병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질병 과정에 깊은 영향을 주고 있으며, 질병과 치유과정으로 스트레스를 받는 혈액투석환자들은 Glucocorticoid의 활동으로 조직의 저항에 의하여 혈중 코티졸 수치가 올라가고 반감기가 증가된다(Daugirdas et al., 2001). 또한 코티졸 수치는 많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혈액투석과정에서 혈청 코티졸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또한혈액투석환자들의 투석 전, 중, 후에 따른 비디오 유머의 효과에 대한 반복연구와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비디오 유머중재가 혈액투석환자의 우울과 상태불안을 감소시키는 간호중재로 가정과 임상에서 활용하기를 기대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humorous video on the depression and stress responses in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 Methods: The quasi-experimental study was designed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Research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a treatment group (n=23) and a control group (n=21). Treatment was watching humorous video tapes 30 min each time, three times a week. The depression level and state anxiety level were assessed using a questionnaire. Cortisol was measured by a blood test.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V-test, and t-test. Results: Depression and anxiety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treatment group. Conclusions: Humorous video tape could be a usefull tool at home and clinical setting as a nursing intervention to decrease depression and anxiety among the patients on hemodialysis.

      • Tensification of Obstruents in Korean

        Kim, Soon-taik 제주대학 1978 논문집 Vol.10 No.1

        Basically Kim's solution stick to the traditional treatment of the epenthetic s phenomena. Kim'st t-spenthesis rule represents this epenthetic letter s. This kim's t is, as it happens, provided with a weapon, i. e. , a compound boundary, by Chomsky and Halle who permits considerable abstractness, rather give no constraints in abstractness in phonological analysis. This abstract t of kim's has to explain everything wherever a compoundary loundary occurs. The results of his analysis demonstrates that the t is too busy, or too weak to take care of tensification, incorporated with the role of boundary. In other words, Kim show that tensification cannot be captured by any traditional treatment where epenthetic is s assumed to provide input for tensification. This may alsoimpy that historical facts may help in synchronic analysis of language, but too much reliance on them may blur synchronic facts.

      • KCI등재후보

        일 지역 흡연자들의 금연클리닉에 인식 및 기대정도

        민순 ( Soon Min ),김혜숙 ( Hye Sook Kim ),김경미 ( Kyoung Mi Kim ),하윤주 ( Yun Ju Ha ),김은아 ( Eun A Kim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09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5 No.2

        본 연구는 G시에 거주하는 30대 이상 지역주민 중 흡연자를 보건소에서 운영하는 금연클리닉에 대한 활용실태 및 인식과 기대정도를 조사하여 금연클리닉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방안을 파악하여 금연 실천율을 높이고 국민건강증진에 가여 하고자 연구되었다. 그라나 흡연자의 급연클리닉 인식과 기대에 대한 선행연구가 부족하여 비교하기 어려운 실정이므로 본 연구결과만을 중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대상지의 금연클리닉 이용관련특성을 빈도별로 파악한 결과, 금연클리닉을 다녀 볼 생각이 전혀 없다라고 응답한 경우가 67.5%였는데 이는 사회적으로 금연 필요성에 대해 인식이 이미 인지된 상태라고 간주함 때 이러한 결과는 금연 필요성의 부족의 문제가 아니라 금연클리닉에 대한 정보부족이 원인이라 생각하고 홍보가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금연클리닉에 다니는 어떤 혜택을 응답한 경우가 71.7%였고, 금연클리닉을 주도적으로 국가가 예산을 들여 이 사업을 하는 줄 알고 있는지에 관한 질문에 모른다라고 응답한 경우가 전체의 54.7%로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또한 국가적 차원에서 조직적으로 금연클리닉의 정보를 제공하고 홍보할 수 있는 대중매체 등과 같은 구체적 방법들을 마련하여 금연 클리닉의 적극적인 홍보와 정보를 제공해야 할 젓으로 생각된다. 금연에 실패한 흡연자도 다시 등록시켜 금연실천 성과와 관련된 결과들로 도출되어야 하며, 재등록 횟수가 높을수록 금연 성공률이 낮다고 보고한 Song,Ju와 Kyung (2008)의 연구 결 과에서처럼 활용실태를 파악하여 신규등록자뿐만 아니라 재등록 자에 대한 관리방안도 같이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이러 한 조사들이 선행됨으로 금연클리닉의 높은 성공률과 효율성을 기대할 수 있으리라 본다. 금연클리닉의 가장 적합한 장소로는 직장 근처 47.4%, 보건소 20.3%, 공공기관 15.5% 정도로 나타났는데, 이는 Ha (2008) 의 연구에서 군대 내 외부 보건소에 의한 이동 금연클리닉이 효율적인 군병원 금연정책 및 금연교육의 종류 중의 하나로 선정 한 결과와도 비슷한 결과이다. 사회에서 직장은 흡연 전파의 장소일 뿐 아니라 금연 확산의 요지이기도 하므로 직장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한 금연교육도 중요한데, 국내외 연구 중 직장근로 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7-10% 정도(Hyun & Jung, 2002)로 저조한 편이다. Lee (2004)의 연구에서도 학교 내 금연상담실 설치하여 금연을 유도하기 위한 실천프로그램을 제시한 결과와 비슷한 결과로써 대상자가 쉽게 이용할 수 있는 편의성과 근접 성을 고려하여 장소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며, 보건소 같은 한정된 장소 보다는 대상자 중심의 운영방식으로 대상자가 있는 곳(산업장, 대학교 등)으로 직접 방문하여 홍보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여겨진다. 금연클리닉을 처음 접하게 해준 매체로는 방송이 36.8%, 친 구와 이웃이 20.1% 순으로 나타나 대중매체를 통한 홍보가 중요하다고 여겨진다. 하지만 대중매체를 통해 금연클리닉에 대한 메시지를 전혀 접한 적이 없거나 모른다고 응답한 경우가 61.6% 정도로 높은 결과로 나타나 적극적인 홍보 방안이 간구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Cho와 Song (2006)은 금연동기 에 따른 금연성공률이 TV, 라디오, 인터넷 등 광고를 통해 금연클리닉 등록동기를 갖은 경우에 금연성공률이 가장 높았다는 결과를 고려할 때 다른 무엇 보다 대중 매체를 통한 홍보의중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금연클리닉 인식정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변수 중 먼저 연령에서는 다른 연령에 비해 60대가 금연클리닉에 대한 인식정도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이는 Kim Kim, Park, Kim과 Koo (2007)는 큰로자 건강증진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연령이 많을수록 건강증진 실천정도가 높게 나타난 것을 볼 때 나이가 들수록 자신의 건강에 대해 더욱 관심을 갖게 되는 경향과 함께 60대가 상대적으로 시간적으로 여유가 있어 대중매체를 접할 수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라 판단하였다. 따라서 직장 생활을 주로 하는 30대,40대,50대의 인식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직장 출퇴근이 잦은 교통의 요 지에 현수막이나 대중교통 수단에 홍보 문구를 삽입하는 방안을 적용해 보는 방법도 효과적 일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직장 단위의 이동클리닉에서 직장 내 함께하는 금연문화 조성과 동시에 금연클리닉에 대한 인식교육의 시행이 필요하다고 본다. 결혼 상태에서는 기혼자가 금연클리닉에 대한 인식정도가 가장 높았다. Choi와 Lee (1994)의 연구에서 근로자의 가정과 연계한 가정통선문, 전화상담, 유인물 제공 등의 지지기반 구축 방법이 금연프로그램에 효과적이었다는 것을 볼 때, 이는 가족 은 각 구성원의 건강 상태에 강한 유대관계가 존재하기 때문에 가족성원의 건강을 위해 필요한 정보전달이 다른 곳 보다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 졌으리라 사료된다. 따라서 가족성원의 인구 분포가 가장 많은 학교에서 보건소 금연클리닌에 대한교육 과 함께 유인물 등이 배포된다면 가족성원으로의 전달력과 그 효과도 더 할 수 있을 것이다. 거주 지역에서는 남구와 서구에서 금연클리닉 인식정도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나머지 지역인동구, 북구와 광산구는 비슷한 수준이었다. 이는 주택이 분산된 타 구역과는 달리 지역 특성상 남구가 아파트 밀집지역이 많아 정보공유가 더 쉽게 일어난 것으로 사료되며, 각 구별로 활동 중인 보건소 금연클리닉 에 대한 홍보사업이 얼마나 성공적으로 운영되고 있는지의 결과와 비교하여, 금연클리닉 인식정도와 금연 성과에서 얼마나 관련성이 있는지 추후 연구해 볼 필요가 있음을 지적한다. 직업과 관련한 금연클리닉의 인식 정도는 서비스직이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 전문직 사무직 순이었는데, 이는 서비스직 같이 근무 장소가 자유로운 직업군에서는 금연클리닉에 대한 홍보 및 정보를 더 많이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았기 때문일 것이라 사료되고, 전문직 및 공무원, 사무직 같이 근 무 장소가 한정되고 유동성이 없는 작업일수록 금연클리닉에 대한 정보전달이 늦은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직업과 직종에 따라 차별화된 홍보 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여가 운동과 등산과 걷기를 즐겨하는 군의 금연클리닉 인식 정도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그 다음은 수영, 골프 순이었는데, 이는 Hwang (2008)이 대학생의 건강증진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서 운동실천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건강증진 실천의지가 높아진다는 것과 비교할 때 몸을 많이 사용하며 운동 하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인식 정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며, 운동 유형별로는 등산과 걷기는 장시간 동행자들과 함께하거나 쉼터에서 무리 지어 운동하면서 서로 정보전달에 더 효과적이었으리라 사료된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금연클리닉 기대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변수로 볼 때 먼저 결혼 상태에서는 기혼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는데, 이는 Kim 등(2007)의 연구결과에서 미혼보다 기혼 의 경우 건강증진 활동 실천율이 높은 것과 비교해 볼 수 있었고, 일반적으로 가족 내에서 흡연자의 위치가 가장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가장의 건강이 가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책임감, 이미 알려진 간접흡연 피해와 함께 가족성원들의 지지로 인하여 금연클리닉에 대한 기대가 상승한 것으로 사료된다. 종교는 천주교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그 다음은 불교, 기독교, 종교가 없는 경우 순이었는데, 이는 종교의 유무에 따라 금연클리닉에 대한 기대와 관심 정도로 보이며, 종교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적극적으로 금연을 실천해야 하는 의무를 가짐으로 기대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해석된다. 2005년도 통계청 조사에 의하면, 우리나라에서 종교를 가진 인구가 전체 인구의 절반이 넘는 53%에 달한다고 보고되었는데 어떤 종교이든 종교적 특성상 그 종교 안에서 신앙을 함께 하는 사람들끼리 신앙적 공동체를 형성하기 때문에 공동제의 금연을 지지하는 분위기들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각 종교단체 단위별로 금연클리닉에 대한 활용방안을 적극 홍보하여 인식정도를 높이는 것도 고려해야 할 방안으로 여겨진다. 여가 운동은 골프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다음으로 등산, 수영, 걷기, 운동을 하지 않는 군 순이었는데, 이는Hwang (2008)의 여가 운동을 즐기고 있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당연히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을 것이라 한 결과와 유사한 결과로 고급 스포츠를 함으로 좀 더 얻어지는 것이 클 것이라는 기대와 관심으로 해석하고자 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level of expectancy, cognition, and work condition among smokers with respect to the smoking cessation clinics.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included over 503 smokers aged 30 yr and in five districts of G city. The researcher and assistants personally visited homes and workplaces of the participants between November 20 and November 30, 2008 for the survey. Results: The subjects learned to smoke from their friends and started smoking when they were 15 out of curiosity. They smoked more than one cigarette every day. With respect to cognition, 67.5% of the subjects had no intention to utilize smoking cessation clinics, and 71.7% were unaware of their benefits. Those with a high level of cognition regarding smoking cessation clinics were generally in their 60s, married, residents in the Southern and Western Districts, service or technical workers, and hikers. The expectancy for the clinic was high among those who were married, Catholics, and golfers.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smoking cessation may be achieved by increase-ing the level of cognition and expectancy among smokers. In this regard, providing information and implementing positive publicity campaigns targeting families, places of worship, and workplaces may be benefici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