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합면 소와 열구에서 산부식 제재의 효과적인 침투 방법에 대한 연구

        이성룡,이상호,이창섭,이난영 大韓小兒齒科學會 2005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2 No.3

        치면열구전색술의 우식예방효과는 전색제의 유지력과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이는 전 단계 과정인 산부식제의 열구 내 침투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합면 소와 및 열구에 산부식제의 효과적인 침투를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을 적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발거된 상악 제 1,2 소구치 40개를 각각 10개씩 4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Ⅰ군은 교합면 소와 및 열구 부위에 통법에 따라 산부식제를 도포하였고 Ⅱ군은 각 치아의 교합면 소와 및 열구부위에 산부식제 도포와 함께 초음파 진동을 주었다. Ⅲ군은 각 치아의 교합면 소와 및 열구부위에 열구성형술(Fissurotomy)를 시행한 후 산부식제를 도포하였고, Ⅳ군은 각 치아의 교합면 소와 및 열구부위에 열구성형술후 산부식제 도포와 초음파 진동을 동시에 시행하였다. 이상의 실험 후 각 군의 산부식제 침투도를 비교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각 군의 산부식제 침투도를 비교한 결과, 각각 Ⅲ군과 Ⅳ군에서 Ⅰ군에 대해 향상된 침투도를 관찰할 수 있었다(P<0.05). 2. 부위별 군에 따른 침투도를 비교한 결과, 근심 소와부위와 원심 소와부위에서는 Ⅲ군과 Ⅳ군이 Ⅰ군에 대해 향상된 침투도를 보였으나(P<0.05), 열구 중앙부위는 각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P>0.0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 penetration methods of acid etching agents in the pit and fissures on the occlusal surface. Extracted maxillary first and second premolars were divided into 4 groups : to Group Ⅰ only acid etching agent was applied, to Group Ⅱ ultrasonic scaler as well as acid etching agent were applied, to Group Ⅲ after fissurotomy acid etching agent was applied, and to Group Ⅳ after fissurotomy the same process performed with Group Ⅱ. The comparison between the 4 groups by the use of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howed the results as follows : 1. Comparing each groups with regard to the penetration rate(%) of acid etching agents, Group Ⅲ and Group Ⅳ showed improved penetration rate(%) compared with Group Ⅰ. Group Ⅱ made no significant different results from Group Ⅰ, but had somewhat better penetration rate(%). 2. Comparing each groups with regard to the penetration rate(%) of acid etching agents according to regions within fissures, Group Ⅲ and Group Ⅳ showed more improved penetration rate than Group Ⅰ in the mesial pit and distal pit.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ach groups was showed in the middle fissure.

      • KCI등재

        외상에 의한 근관내 석회화 변성 치아의 처치

        이성룡,이난영,이창섭,이상호 大韓小兒齒科學會 2004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1 No.2

        외상 치아에서 일반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으로는 치수 충혈, 내출혈, 근관내 석회화 변성, 외흡수, 치수괴사, 유착 등이 있다. 치아의 근관내 석회화 변성은 치아가 외상을 받았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이러한 합병증의 하나이다. 석회화 변성은 여러 요소에 의해 확인될 수 있는데 임상적으로는 치관의 황색 계통의 변색과 방사선학적으로는 치수강을 포함한 근관의 부분적, 혹은 전체적인 협착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석회화 변성이 발생할 경우, 치수 괴사로 이행되기도 하는데, 모두 치수 괴사로 이행되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근관 치료에 앞서 적절한 검사 및 관찰이 필요하다. 본 증례는 만 9세의 여아가 놀던 중 친구의 머리에 부딪혀 상악 중절치의 외상(subluxation)을 받고 내원한 경우로 지속적인 임상적, 방사선학적 검사를 시행한 결과 근관내 석회화 변성이 관찰되었다. 검사 초기에는 임상적으로 경미한 치관의 변색만 보였을 뿐, 전기 치수 검사(EPT)에서는 특이한 소견은 보이지 않았다. 그 후 전기 치수 검사를 이용한 지속적인 검사 결과, 그 반응의 정도가 점차 감소되었으나, 근관 치료는 좀 더 유보하고 관찰하기로 하였다. 외상 후 20개월 정도 지나서는 전기 치수 검사를 이용한 검사에 거의 반응을 보이지 않았고, 근관의 완전 협착과 치관의 황색 계통의 변색이 관찰 되었다. 이에 치수 괴사로 이행되는 것을 막고 치관의 변색술을 시행하기 위하여 근관 치료를 시행하고 그 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다. Pulp canal obliteration(PCO) is seen commonly in dental pulp after traumatic tooth injuries and is recognized clinically as early as 3 monthly after injury. Pulp canal obliteration is characterized by deposition of hard tissue within the root canal space and yellow discoloration of the clinical crown. Opinion differs among practitioners as to whether to treat these cases upon early detection of PCO or to observe them until symptoms or radiographic signs of pulpal necrosis are detected. PCO may make root canal treatment necessary because of the development of apical periodotitis, is or for cosmetic reasons. If carefully executed, root canal treatment in teeth with an PCO is hightly successful and may act as a basis for internal bleaching. During a game. a 12-year-old girl was hit in the face. At that time, she was diagnosis a subluxation of the maxillary right central incisor. At the 24-month recall examination, a root canal of the tooth had been calcified and discolored gradually. We performed endodontic treatment to prevent perfect pulp canal obliteration and internal bleaching.

      • KCI등재

        치아 교환기 어린이에서 근단변위부분층 판막술을 이용한 하악 거대 협소대의 위치

        이성룡,오유향,이난영,이창섭,이상호 大韓小兒齒科學會 2004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1 No.4

        영구치의 맹출 지연이 발생하는 원인은 다양하다. 유치의 만기 잔존과 조기 상실, 과잉치나 치아종과 같은 이형물의 존재등과 같이 비정상적인 경조직 인자에 의해 발생할 수 있고, 치은 판개 조직(opercula)과 같은 상부 치은 조직의 섬유성 비후나 소대의 과증식과 같은 연조직성 인자에 의해 발생하기도 한다. 영구치의 맹출 지연시의 공간의 상실 및 영구치의 비정상적인 맹출, 그리고 그에 따른 치열궁의 비대칭과 같은 교정적 문제와 대합치의 정출 등에 의한 교합적인 문제등이 발생할 수 있어 조기에 진단하여 처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증례에서는 12세 남자 아이가 충치가 많고 치아가 나오지 않는다는 것을 주소로 내원하여 진단한 결과, 하악 좌측 소구치들이 맹출하지 못하고 매복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원인은 맹출 공간이 부족하였고 동시에 거대 협소대가 치아의 맹출을 방해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대한 처치로 우선 공간을 획득하고 난 후, 부착치은의 회복과 맹출 촉진을 위해 근단변위부분층 판막술을 시행하였다. The mandibular buccal frenum becomes a problem when its attachment is too close to the marginal gingival. Heavy buccal frenum mucogingivally results in insufficient attached gingiva, inadequate vestibular depth and also difficulty in eruption of mandibular premola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apically positioned partial-thickness flap as adequate mothod in order to remove heavy buccal frenum and expose impacted teeth. The author presents the case of a 12-year-old boy. He had problems that was prolonged eruption of #34, #35 due to high pull buccal frenum. After space regaining for normal eruption of #34, #35, we performed apically positioned partial-thickness flap on #34,35 area. As a results, we confirmed that eruption of #34, #35 has been processed normally. And vestibular depth, position of buccal frenum and width of attached gingival was within a normal range. Decrease in muscle pull, adequate width of attached gingiva and increased vestibular depth can be expected from this treatment.

      • KCI등재

        치아종을 동반한 석회화 치성낭에 관한 증례보고 : CASE REPORT

        이난영,이선숙,이창섭,이상호 大韓小兒齒科學會 2006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3 No.1

        석회화 치성낭은 상악 전치부에 호발하는 발육성 치성낭이나 조직학적 소견이 다양하고 따라서 분류 체계도 다양하다. 악골 내에서 느리게 진행되는 무통성 종창이 일반적이며 24-30%에서 매복치 및 치아종과 연관되어 나타난다. 피복 상피에 나타나는 유령세포는 결합 조직에 노출되어 석회화 조직을 형성한다. 이 증례는 14세 여아의 상악 견치부에 발생한 치아종을 동반한 석회화 치성낭으로, 매복된 상악 좌측 견치 치관 주위로 경계가 명확한 방사선 투과성 병소와 다발성의 방사선 불투과성 석회화 물질이 혼재된 병소였다. 조직병리학적으로 중층 편평상피로 이장되어잇고 상피 내에 유령세포가 관찰되었다. 석회화된 물질은 복합 치아종의 소견을 보여 Preatorius의 조직학적 분류에 의한 석회화 치성낭 Type IB로 진단되었다. 병소의 적출 및 병소에 이환된 견치 발치를 시행하였다. 현재 염증 소견이 관찰되어 병소에 이환된 상악 좌측 제1소구치는 치수치료를 시행하였으며 환아 및 보호자가 포괄적인 교정 치료를 원하여 현재 공간 유지 장치를 장착 중이다. The calcifying odontogenic cyst(COC) predominantly affected Maxillary anterior segment and it is developmental cyst. But COC showed diverse terminology or classification, clinicopathologic features as well as its biologic behavior. COC usually presents as slowly enlarging but otherwise symptomless swelling. Association with impacted teeth and odontoma is described in 24~30%. The epithelial lining of COC(ghost cell) appears to have ability to induce the formation of dental tissues in the asjcents connective tissue wall. This case is a COC associated with a odontoma involving an impacted left maxillary canine in 14-year old female child. Radiographic examination revealed a well-demarcated radiolucent lesion partially occupied by a radiopaque mass, involving the left canine. The histologic sections showed cystic cavity lined with ameloblastic epithelium containing ghost cell masses with regular and irregular shape odontoma. The final pathologic diagnosis was calcifying odontogenic cyst with odontoma(Type IB by Preatorius). Enucleation and elimination of the included tooth were performed. Now endodontic treatment was preformed on the 1st premolar of the upper left jaw, which had a lesion. And the patient and their parents want to have the orthodontic treatment performed and would like to keep the space maintainer.

      • SCOPUSKCI등재

        간호실무에서 신봉이론(Espoused theories)에 대한 탐색적 연구

        서문자,김혜숙,이은희,박영숙,조경숙,강현숙,임난영,김주현,이소우,조복희,이명하,지성애,하양숙,손영희,권성복,김희진,추진아 성인간호학회 2001 성인간호학회지 Vol.13 No.1

        As a nursing practice involves nurses' actions in a specific context of health care, this study has focused on exploring the espoused theories in nursing practice within the action science perspectives, Espoused theories are the belief, principles, and rationale expressed by the practitioner as guiding her/his actions in a situation of practice. The data were analysed qualitatively and 25 elements of espoused theories of nursing action were identified and clustered into 6 categories. The 25 elements of espoused theories are as follows: The clinical nurse worked in wholistic and individual nursing, focussed on the patient's needed, comfort and supportive nursing (5 theories of nursing goal) ; excellent skills, knowledge based, assessment and data collection, explaining, educating or a scientific basis(6 theories of nursing intervention): advocacy, value oriented, treatment, account- ability and commitment(4 theories of nursing ethics) ; human respect. partnership, trust(3 theories of patient-nurse relationship) : knowledgable, accumulated clinical experiences and personally lived experiences. positive perspectives(4 theories of nurse), role of intervention. rewarding peer relationship(3 theories of situations) The above mentioned espoused theories are similar to that of nursing textbooks which students learned through basic nursing education and almost the same as the Acts ofa Nurse in Korean. However, we are doubtful whether nurses actually do as they think.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review the theories-in-use in order to and any discrepancies between the espoused theories and the reality of nursing actions

      • 墓誌銘을 통해 본 高麗葬禮考

        이난영 동의대학교 인문사회연구소 2010 인간과 문화 연구 Vol.16 No.-

        고려시대에 성행된 묘지명은 그 시대의 역사적 인물에서 무명의 인물에 이르기까지 출생에서 죽음까지의 기록을 남기기도 하고 단지 이름만을 적기도 하였다. 그러나 대부분은 생전의 업적을 적고 있어서 正史에서 보지 못하던 역사적 사실을 밝혀 주기도 한다. 중국에서는 이미 隋代, 唐代를 비롯하여 역대의 묘지가 부장 유물과 함께 많은 예가 출토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백제의 무령왕릉에서 묘지가 출토되고 있다. 한편 고려시대에 오면 도교적인 성격으로 간주되는 묘지 형식이 승려의 무덤에서도 출토되고 있다. 또 후일 무덤이 허물어지더라도 누구의 무덤인지를 밝히기 위해 士大夫에서는 어버이의 묘지를 작성한다는 기록이 전하고 있다. 묘지의 형식은 화장묘에 주로 사용되는 석관의 뚜껑이나 내외벽, 또는 바닥에 명문을 새기는 형식과, 석관과는 별도의 독립된 지석을 마련하여 명문을 새긴 것도 보인다. 묘지의 내용은 출생과 家系와 자녀 관계, 생전의 업적 등을 적고 있다. 매장묘의 경우에는 지석을 따로 제작하여 명문을 적는다. 명문의 내용은 피장자의 가계, 경력, 공적을 기재하고 다음에 자손과 친족, 사망과 장례 경위 등을 적는다. 이에 따라 매장, 화장, 移葬, 改葬, 묘지명의 撰者 등에 의하여 장례 절차와 가족관계, 생전의 업적 등을 알아 볼 수 있으며 葬地에 대한 기록으로 당시의 가족장 제도나, 일반적으로 선호하는 墓地 등도 알 수가 있다. 묘지의 주인은 왕족과 신료, 승려, 그리고 관직에 있는 사람들로 구분되며 그들의 부인이나 어머니 등 여성의 묘지도 적지 않은 수가 알려지고 있다. 묘지명을 쓴 찬자(당대의 문장가, 가족이나 친구, 제자 등)에 따라서는 죽은 이를 위한 애틋한 문장이 남아 전한다. 그러나 이러한 지석이 출토되는 고려고분은 도굴이 극심하여 그 부장품이나 지석의 매장 방식이나 매장 위치를 정확하게 전하는 예가 거의 없다. 다만 한 두 가지의 예로 미루어 비석을 세우듯 받침대 위에 세운 흔적은 보이나 역시 매장 위치는 분명히 남아 있지 않다. 그러나 근래 고려시대의 고고학적 조사가 진행되고 있어서 화장묘, 매장묘 등 구체적인 성과가 밝혀지기를 기대한다. 지금까지 밝혀진 묘지명 총 219건 가운데 9건은 年代, 성명, 장례 절차나 장지, 묘지의 형식 등이 분명하지 않아 주인공을 알아 볼 수 있는 것 210건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There are several types of epitaphs in Goryeo period. Some contained personal history from birth to death and others only engraved names. What makes this epitaph interesting is that most of them showed personal history which could reveal 'untold history'. In case of China, epitaphs are the most popular objects found from tombs of Sui and Tang Dynasties with other items. The tomb of King Muryeong in Korea also contained the epitaph. During Goryeo period, Taoism had influenced Korea and resulted that an epitaph was found from monk tombs. There are also the historic record which proves that royal families used to leave the epitaph for their deceased parents. Epitaph was engraved onto the coffin lid, inside wall and floors. In the mean time, separated stone plate was also used to make an epitaph. Epitaph usually contains personal history such as birth, family trees, children and life achievement. Sometimes reason of death and funeral process were also found. It is interesting that, therefore, diverse cultural and historical environment related to the deceased could be detected through the record of the epitaph. Who owns the past according to the epitaph then? It is divided into several groups from royal family, retainers, monks to officials and women's history can be unearthed as well. Sometimes the writer (the finest writer of the period, family, friends and disciples) left loveable and delicate writings. However, illegal excavation and looting on Goryeo tombs are severe and so it is quite difficult to understand the exact location and burial methods of the epitaph. Recent excavations of Goryeo tombs can play an important role to comprehend the epitaph and its burial background. So far 219 epitaphs were found from Goryeo tombs and nine of them contain unclear information about date, name, funeral process and location. Therefore this work only puts the focus on the other 210 epitaphs.

      • 敎習用 個人人臺의 上肢型製作에 關한 硏究

        李英蘭 淸州大學校 1981 論文集 Vol.14 No.2

        Ich habe versucht, eine Art "Puppenarme" fu¨r den Lehr-und Lernstoff einfach berzustellen, damit die Studentinnen der Kostu¨mdesign- Abteilung ihre Schnitt-Technik beim Modellieren-Unterricht vollkommen beherrschen ko¨nnen. 1. Beim Modellieren spielt die Schneiderpuppe eine große Rolle, well das modellieren gerade als eine Art "Schneiderpuppen-Schneiden" bezeichnet wird. 2. Dabei habe ich beabsichtigt, den Begriff der bisherigen in der Modegescha¨ft auf der Spezialbestellung der Kunde gemachten "Privatschneiderpuppe fu¨r die Spezialperson" auf die einfache Selbstherstellung der eigenen "Privatschneiderpuppe" der Studentinnen fur den Lehr-und Lernstoff erweiternd anzuwenden. 3. Die bei der Auswahl des Chungpungchemie-Fabrikates "Klebpapierband" in Erwa¨gung gezogenen Hauptpnkte: a) Die Anschaffungsleichtigkeit b) Die Billigkeit der Herstellungskosten c) Die sta¨rkere Klebrigkeit d) Die weichere Federkraft e) Die Trockenschnellgkeit f) Die sta¨rkere Hartbarkeit der Puppenarmform g) Das schma¨lere Klebpapierband als das breite Klebpapierband wegen der memschlichen Ko¨rperkrumme 4. Der Herstelluogsarbeitsgang: a) Die Zahl der Hersteller -3 Personen (1 Person Modell) b) Die Arbeit am sogenannten "Tight Fitting of Foundation" mit dem Damenstrupmfe c) Das Eintauchen der Klebmittel-Seite in den wa¨sserigen Schwamm d) Das X-schra¨ge Kleben des Klebpapierbandes auf den Futterteil von oberem Arm, and dann von Ellbogen and Handgelenk (erstmal X, zweitmal waagrecht, and drittmal x geklebt) e) Das Aufschneiden der Vorder-oder Hinterlinie der Puppenarme von oben nach unten, and das Abziehen der Puppenarme f) Das Trocknen der abgezogenen Puppenarme durch Haartrockner g) Einen Puppenarm mit Damenstrumpfe dreimal angezogen 5. Die Eigenschaften: Die Gro¨ße der bisherigen Schneiderpuppe wurde etwas kleiner als die Gr¨ße des realen Menschenkorpers hergestellt, damit man die den realen Menschen ko¨rper anna¨hernde Schneiderpuppe durch die Erga¨nzung von Baumwolle, "toile" etc. herstellen kann. Aber bei dieser vollendeten Schneiderpuppe and bei diesem Puppenarm wurden der Hals-, Brust-, Tailen- and Hu¨ftenumfang, and die Oberarm-, Ellbogen-, Handgelenk weite je 1 cm vergrbBert. Wegen der Bewegungsfreiheit des menschlichen Korpers macht diese Je-1 cm-Vergro¨ßerung kein Problem. 6. Schlußfolgerung a) Die Auffassungsmoßglichkeit der eigenen Koßrperform b) Die direkte Anprobenmoßglichkeit der eigenen Kleidung c) Die vergleichende Forschungsmoglichkeit der verschiedenen Menschenkorßper-form durch den gegenseitigen Schneiderpuppen- and Puppenarmwechsel d) Die mu¨helose and billige Anschaffungsmo¨glchkeit des Klebpierbandes e) Die einfache Selbstherstellungsmo¨glichkeit der eigenen Puppenarme f) Die Einfachheit des Herstellungsarbeitsganges g) Die kurze Herstellungszeit

      • KCI등재

        광중합기를 이용한 광학적 치아우식활성도 검사법

        이난영,김미라,오유향,이창섭,이상호 大韓小兒齒科學會 2004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1 No.4

        레이저와 플라스마 광, 할로겐 광 중합기를 이용하여 각 개인의 우식 활성도를 측정할 수 있는지를 규명하기 위해 7-8세 아동 45명을 대상으로 치아의 순면과 협면에 각 광원을 조사하고 특수 필터를 사용하여 초기 치아우식증으로 판별된 치아의 개수를 측정하여 기존의 우식활성도 측정방법인 dDfFtT rate와 mutans streptococci 측정법 Lactobacilli 측정법과 비교, 평가하고 그 특이도, 민감도, 예측력을 평가하였다. 1. 아르곤 레이저, 플라스마 광, 할로겐 광 조사시 육안검사시 보다 유의하게 많은 초기우식 병소가 관찰되었다(p<0.05). 2. 아르곤 레이저, 플라스마 광, 할로겐 광을 이용한 우식활성도 측정법은 dDfFtT rate와 양의 상관관계(γ= 0.42, 0.41, 0.39)를 보였다(p<0.01). 3. 기존의 우식활성도 측정방법을 기준으로 하여 평가한 결과 특이도와 민감도, 예측력은 모두 레이저가 가장 높았으며 플라스마 광, 할로겐 광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아르곤 레이저와 플라스마 광, 할로겐 광을 이용한 형광법은 모두 양호한 진단학적 지표를 보여줌으로써 향후 광학적 우식활성검사법으로 활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actical caries activity test by fluorescence using laser, plasma light and halogen light. The subjects of study were 45 children of 7-8 years old. Argon laser, plasma light and halogen light were irradiated to buccal or labial surface of all teeth. Fluorescence of initial carious lesion from teeth was observed through barrier filter and the number of teeth showing lesion was counted. Visual examination for the dDfFtT, mutans streptococci screening test and Lactobacilli colony counting were also done. Data analysis was accomplished by Axelsson's method. The result from the present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Laser, plasma light and halogen light could detect the initial carious lesions better than visual examination(p<0.05). 2.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laser(r=0.42), plasma light(r=0.41), halogen light(r=0.39) and dDfFtT rate(p<0.01). 3. The specificity, sensitivity and predictive value was showed highest value in laser. but was showed favorable value in plasma light and halogen light. In regard to above results, laser, plasma light and halogen light all considered to be reliable method for determining individual caries activity. And they were also considered to be practical method because it would be simple, inexpensive, and time saving method.

      • KCI등재

        Activator를 이용한 소아의 하악과두골절의 치험례 : A CASE PEPORT

        이정화,박현동,이상호,이난영 大韓小兒齒科學會 2003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0 No.3

        하악 과두부는 하악골에서 자주 발생하는 골절부위 중의 하나로 특히, 하악골의 성장이 완성되지 않은 소아의 경우 하악과 두골절이 적절히 치료되지 않으면 안면 기형, 악관절 강직증, 부정교합, 그리고 하악골 발육이상 등을 초래할 수 있다. 소아에서의 하악과두골절의 치료목적은 동통없이 악기능을 정상적으로 회복시켜 악안면골의 성장발육을 정상적으로 유도하는 것이다. 치료방법의 선택은 환자의 나이, 골절된 위치, 골절부위의 이물질의 유무 등에 의해 이루어지나 소아의 경우 가능한 한 비수술적, 기능적 치료가 선호된다. 본 증레에서는 activator를 이용한 하악과두골절의 기능적 요법을 시행하고 골절부위의 기능적 재형성을 유도하면서 10개월간 관찰해 본 결과, 골절 부위의 동통 감소, 정상적 교합관계의 회복, 최대개구량의 증가, 하악의 편위 감소 등의 기능적 회복을 보였고 특이한 자각증상을 보이지 않았다. 소아에서 하악과두골절의 처치법으로 activtor를 이용한 기능적 치료는 동통없이 악기능을 회복시키고, 정상적인 교합관계로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ediatric condylar fracture occurs very frequently in the mandible, but this injury is occasionally ignored due to difficulty of diagnosis and no cooperation of patient. The adequate initial diagnosis and active treatment must be performed because delayed and improper treatment lead to possible severe complication such as TMJ ankylosis and reta of mandibular development. Most pediatric condylar fracture is mainly performed by the conservative or functional treatment, but it may be required open reduction according to cases. In this study, activator is applied for functional treatment of pediatric condylar frature and fair recovery of jaw function is ac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