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광중합 시 공기 중 산소의 차단이 치면열구전색제의 중합에 미치는 영향

        오유향,이난영,이상호 대한소아치과학회 2006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blocking the oxygen in the air during the polymerization of sealant. All curing were performed with various light curing units under the pplication of oxygen gel barrier, stream of nitrogen and carbon dioxide gas for inhibition of oxygen diffusion into sealant surface. The results of present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amount of eluted TEGDMA form the specimens cured with all the three different light units in the stream of N2 and CO2 gas and application of Oxygen gel barrier(DeOx�)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in the room-air atmosphere(Control)(p<0.05). 2. In the DeOx� application, the amount of eluted TEGDMA the specimen cured with PAC light for 10seconds was less than that cured in the stream of N2 and CO2 atmospheric conditions(p<0.05). 3. In the LED using 10 or 20sec irradiation times under the stream of N2 and CO2, the eluted TEGDMA showed to b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5). 4. The microhardness from the specimens cured with all the three different light units under each treated condition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room-air atmosphere(p<0.05). 5. The surface treatment by DeOx�, N2 and CO2 reduces the thickness of oxygen inhibited layer by approximately 49% of the untreated control value. 할로겐, 플라즈마 그리고 2세대 고강도 LED 광중합기를 이용하여 치면열구전색제를 중합하는 과정에서 산소 차단 용액인 glycerin gel(DeOx�)의 도포, 질소가스와 탄산가스를 분사시켜 공기 중 산소와의 접촉을 차단시킨 후 산소억제층의 두께, 치면열구전색제의 중합률 그리고 표면경도를 측정, 평가하였다. 각각의 제작된 시편을 HPLC에서 역상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미반응 모노머 TEGDMA의 용출양을 측정하여 중합률을 평가하였고, Vickers hardness tester 를 이용하여 표면미세경도를 측정,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산소억제층의 두께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질소 및 탄산가스를 분사하면서 중합한 군, DeOx�를 도포한 후 중합한 군 모두 공기 중에서 중합한 군보다 TEGDMA 용출량이 감소되었다(p<0.05). 2. 할로겐 광으로 20초간 중합한 경우 DeOx�를 도포한 군과 질소 및 탄산가스를 분사한 군의 TEGDMA 용출량은 유사하였지만(p>0.05), 40초로 중합한 경우 탄산가스 분사군이 질소가스 분사군보다 TEGDMA 용출량이 적었다(p<0.05). 3. 플라즈마 광으로 10초간 중합한 경우 DeOx�를 도포한 군의 TEGDMA 용출량이 가장 적었고(p<0.05), 탄산가스 분사군이 질소가스 분사군보다 용출량이 적었다(p<0.05). 4. LED 광원에서는 탄산가스 분사군이 질소가스 분사군보다 TEGDMA의 용출량이 적었다(p>0.05). 5. 세 광원 공히 공기 중에서 중합한 군보다 산소를 차단한 상태에서 중합한 군에서 미세경도가 크게 나타났다(p<0.05). 6. DeOx�로 처리했을 때 플라즈마 광 10초와 LED 광 20초 중합군이 할로겐 광 40초 중합군보다 미세경도 값이 높았고, 질소가스와 탄산가스 분사하에서 플라즈마 광으로 10초간 중합한 경우와 LED 광으로 20초간 중합 한 경우가 할로겐 광으로 40초간 중합한 경우 보다 높은 미세경도 값을 보였다(p<0.05). 7. 세 광원 모두 공기 중에서 중합한 군에 비해 질소 및 탄산가스 분사를 분사하면서 중합한 군, DeOx�를 도포한 후 중합한 군이 산소억제층의 두께가 평균 49%의 감소되었으며(p<0.05), 이들 산소를 차단한 군 간의 유의차는 없었다.

      • KCI등재

        광중합 광원의 종류와 조사시간에 따른 치면열구전색제의 미반응 모노머 용출

        오유향,박윤경,이난영,이창섭,이상호 大韓小兒齒科學會 2004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1 No.3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할로겐 광과 보다 강한 강도와 짧은 조사시간을 갖는 아르곤 레이저와 플라즈마 광의 광중합도를 평가하기 위해 많은 양의 TEGDMA를 용출하는 치면열구전색제를 실험재료로 이용하여 각각의 중합시간과 용출시간에 따른 미반응 TEGDMA의 양을측정, 비교 분석하여 중합도를 평가하였다. 광원에 따른 중합시간 당 각각 10개의 시편을 제작하여 3차 증류수에 넣은 후 바로 용출시킨 액을 0시간으로 하고 37℃ 항온기에서 10분, 1시간, 12시간, 24시간 동안 용출시켰다. 각 용출액의 20 μl를 역상 크로마토그래피(RP-HPLC)에 적용시켜 미반응 모노머의 시간경과에 따른 용출양을 측정하였다. 이상의 실험을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할로겐 광은 중합시간이 증가할수록 TEGDMA의 초기 용출량 감소를 보였다(p>0.05). 2. 플라즈마 광은 6초, 9초로 중합한 군에서는 TEGDMA의 용출량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3초 중합 군에서는 6초와 9초 중합 군보다 초기 용출량이 크게 나타났다(p<0.05). 3. 아르곤 레이저는 전반적으로 할로겐 광과 플라즈마 광보다 TEGDMA의 초기 용출량이 컸으며 조사시간이 증가할수록 용출량은 감소되었다 (p<0.05). 4. 광원의 제조회사에서 권장하는 최소 중합시간인 할로겐 광 20초, 플라즈마 광 3초, 아르곤 레이저 5초로 조사시 TEGDMA의 용출량은 할로겐 광. 플라즈마 광, 아르곤 레이저 순으로 용출량이 적었다(p>0.05). 5. 제조회사의 권장 중합시간인 할로겐 광 40초, 플라즈마 광 6초, 아르곤 레이저 10초 조사시 할로겐 광 40초와 플라즈마광의 6초의 TEGDMA의 용출량은 아르곤 레이저 보다 낮게 나타났다(p>0.05). 6. 권장시간 이상인 할로겐 광 60초와 플라즈마 광 9초, 아르곤 레이저 20초 중합시 나타나는 TEGDMA의 용출량 간에는 유의할만한 차이가 없었다(p>0.0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and compare the amount of unreacted TEGDMA from pit and fissure sealants cured with three different light sources ; conventional halogen light curing unit, plasma arc light curing unit and argon laser The specimens were eluted in distilled water for different time intervals. The time-related release of TEGDMA were analyzed by reverse-phas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HPLC). The result of present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time-related release of TEGDMA decreased with increasing curing time in conventional halogen light, however, tha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5). 2. The elution from the specimens cured for 6 and 9 seconds with plasma arc light was similar results corresponding with the time-related TEGDMA release, and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cured for 3 seconds(p<0.05). 3. The elution of TEGDMA from the specimens cured with argon laser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cured with halogen and plasma arc light(p<0.05). 4. The elution of TEGBMA from under recommended time of three different light sources were showed to b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5). 5. In time-related release of TEGDMA from recommended time of each light sources, the results correspond to 40 seconds of halogen light and 6 seconds of plasma arc light were similar(p>0.05). 6. The elution of TECDMA from over recommended time of three different light sources were showed to b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5). In this study, I suggest that curing time of plasma arc light is 6 and/or 9 seconds in the field of clinical pediatric dentistry claiming its effectiveness in optimal polymerization and reduced chair time.

      • KCI등재

        맹출성 복잡치아종 : 증례보고 A Case Report

        오유향,박종휘,박헌동,설재헌,이병채 조선대학교 구강생물학연구소 2003 口腔生物學硏究 Vol.27 No.1

        Odontomas, hamartomas of odontogenic origin, are composed of all the structures that make up teeth The WHO distinguishes odontoma into two types. The complex odontoma is defined as "a malformation in which all the dental tissues are represented. individual tissues being mainly well-formed but occurring in a more or less disorderly Pattern." The compound odomtoma is defined as "a malformation in which all the dental tissues are represented in a more orderly pattern than in the complex odontoma so that the lesion consists of many tooth-like structures. Most of these structures do not resemble morphologically the teeth of normal dentition, but in each one enamel, dentin, cementum and pulp are arranged as in the normal tooth." Although these tumora occur frequently and constitute 22% of all odontogenic tumors, reports on erupted odontomas are very rare. Erupted odontoma are defined as tumors that it occurs a calcified mass may be defected on the alveolar ridge. The final diagnosis should be confirmed by biopsy. The treatment of choice is complete surgical excision, similarly to intraosseous odontoma and it does nat tend to recur. The histopathological report confirmed the diagnosis of complex odontoma. This report presents a case of 8-year-old girl with the calcified mass within the operculum covered the central fossa of the mandibular left fkrst molar. And it was diagnosed as erupted complex odontoma by excisional biopsy.

      • KCI등재

        역위 매복된 상악 소구치의 Enamel matrix derivative를 이용한 자가이식 치험례

        오유향,이난영,이창섭,이상호,Oh, You-Hyang,Lee, Nan-Young,Lee, Chang-Seop,Lee, Sang-Ho 대한소아치과학회 2003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0 No.3

        The success of autotransplantation depends on the viability of periodontal ligament in the transplanted tooth. Mechanical injury to periodontal tissues frequently results in dental root resorption and ankylosis, which leads to the failure of transplantation. Enamel matrix derivative(EMD) Which contains several enamel matrix protein (amelogenin family) has been reported to be effective in some periodontal therapies has been recently used to induce periodontal regeneration. EMD promotes proliferation of periodontal ligament cells and is suggested to be useful for transplantation. In this case, we report a clinical case of EMD application in the transplantation of an impacted and immature tooth of a 14 year-old girl to enhance the periodontal regeneration. 치아의 자가이식 시 실패의 가장 큰 요인으로는 치주인대의 괴사를 유발하는 외상을 들 수 있으며, 이러한 외상은 치근흡수와 유착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자가이식의 성공을 위해서는 이식치아를 외상없이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고, 매복치아의 자가이식 시에 발생되는 광범위한 조직 결손에서 치주조직의 재생과 주위조직의 재건 또한 필요하다. 치주조직 재생을 도울 수 있는 재료 중 최근에 소개된 Enamel matrix derivative (EMD)는 amelogenin계열의 법랑기질단백을 포함하고 있으며 여러 연구에서 치주질환 치료에 매우 효과적이라고 보고되었고 치주인대 세포의 분화를 증진시키므로, 치아자가이식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이 제시되어왔다. 본 증례에서는 상악 우측 제 2소구치의 미맹출을 주소로 내원한 14세의 여환아에서 역위 매복된 미성숙 치아에 EMD를 적용하여 자가이식을 시행하고 관찰한 결과 치근 흡수나 유착의 소견이 관찰되지 않았고 향상된 조직재생의 소견을 보였다.

      • KCI등재

        역위 매복된 상악 소구치의 Enamel matrix derivative를 이용한 자기이식 치험례 : A CASE REPORT

        오유향,이난영,이창섭,이상호 大韓小兒齒科學會 2003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0 No.3

        치아의 자가이식 시 실패의 가장 큰 요인으로는 치주인대의 괴사를 유발하는 외상을 들 수 있으며, 이러한 외상은 치근흡수와 유착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자가이식의 성공을 위해서는 이식치아를 외상없이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고, 매복치아의 자가이식 시에 발생되는 광범위한 조직 결손에서 치주조직의 재생과 주위조직의 재건 또한 필요하다. 치주조직 재생을 도울 수 있는 재료 중 최근에 소개된 Enamel matrix derivative (EMD)는 amelogenin계열의 법랑기질단백을 포함하고 있으며 여러 연구에서 치주질환 치료에 매우 효과적이라고 보고되었고 치주인대 세포의 분화를 증진시키므로, 치아자가이식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이 제시되어왔다. 본 증례에서는 상악 우측 제2소구치의 미맹출을 주소로 내원한 14세의 여환아에서 역위 매복된 미성숙 치아에 EMD를 적용하여 자가이식을 시행하고 관찰한 결과 치근 흡수나 유착의 소견이 관찰되지 않았고 향상된 조직재생의 소견을 보였다. The success of autotransplantation depends on the viability of periodontal ligament in the transplanted tooth. Mechanical injury to periodontal tissues frequently results in dental root resorption and ankylosis, which leads to the failure of transplantation. Enamel matrix derivative(EMD) Which contains several enamel matrix protein (amelogenin family) has been reported to be effective in some periodontal therapies has been recently used to induce periodontal regeneration. EMD promotes proliferation of periodontal ligament cells and is suggested to be useful for transplantation. In this case, we report a clinical case of EMD application in the transplantation of an impacted and immature tooth of a 14 year-old girl to enhance the periodontal regeneration.

      • KCI등재

        The effects of blocking the oxygen in the air during the polymerization of sealant

        오유향,이난영,이상호,Oh, You-Hyang,Lee, Nan-Young,Lee, Sang-Ho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2006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3 No.3

        할로겐, 플라즈마 그리고 2세대 고강도 LED 광중합기를 이용하여 치면열구전색제를 중합하는 과정에서 산소 차단 용액인 glycerin gel($DeOx^{(R)}$)의 도포, 질소가스와 탄산가스를 분사시켜 공기 중 산소와의 접촉을 차단시킨 후 산소억제층의 두께, 치면열구전색제의 중합률 그리고 표면경도를 측정, 평가하였다. 각각의 제작된 시편을 HPLC에서 역상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미반응 모노머 TEGDMA의 용출양을 측정하여 중합률을 평가하였고, Vickers hardness tester를 이용하여 표면미세경도를 측정,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산소억제층의 두께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질소 및 탄산가스를 분사하면서 중합한 군, $DeOx^{(R)}$를 도포한 후 중합한 군 모두 공기 중에서 중합한 군보다. TEGDMA 용출량이 감소되었다(p<0.05). 2. 할로겐 광으로 20초간 중합한 경우 $DeOx^{(R)}$를 도포한 군과 질소 및 탄산가스를 분사한 군의 TEGDMA 용출량은 유사하였지만(p>0.05), 40초로 중합한 경우 탄산가스 분사군이 질소가스 분사군보다 TEGDMA 용출량이 적었다(p<0.05). 3. 플라즈마 광으로 10초간 중합한 경우 $DeOx^{(R)}$를 도포한 군의 TEGDMA 용출량이 가장 적었고(p<0.05), 탄산가스 분사군이 질소가스 분사군보다 용출량이 적었다(p<0.05). 4. LED 광원에서는 탄산가스 분사군이 질소가스 분사군보다 TEGDMA의 용출량이 적었다(p>0.05). 5. 세 광원 공히 공기 중에서 중합한 군보다 산소를 차단한 상태에서 중합한 군에서 미세경도가 크게 나타났다(p<0.05). 6. $DeOx^{(R)}$로 처리했을 때 플라즈마 광 10초와 LED광 20초 중합군이 할로겐 광 40초 중합군보다 미세경도 값이 높았고, 질소가스와 탄산가스 분사하에서 플라즈마 광으로 10초간 중합한 경우와 LED 광으로 20초간 중합 한 경우가 할로겐 광으로 40초간 중합한 경우 보다 높은 미세경도 값을 보였다(p<0.05). 7. 세 광원 모두 공기 중에서 중합한 군에 비해 질소 및 탄산가스 분사를 분사하면서 중합한 군 $DeOx^{(R)}$를 도포한 후 중합한 군이 산소억제층의 두께가 평균 49%의 감소되었으며(p<0.05), 이들 산소를 차단한 군 간의 유의차는 없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blocking the oxygen in the air during the polymerization of sealant. All curing were performed with various light curing units under the application of oxygen gel barrier, stream of nitrogen and carbon dioxide gas for inhibition of oxygen diffusion into sealant surface. The results of present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amount of eluted TEGDMA form the specimens cured with all the three different light units in the stream of $N_2$ and $CO_2$ gas and application of Oxygen gel barrier($DeOx^{(R)}$)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in the room-air atmosphere (Control) (p<0.05). 2. In the $DeOx^{(R)}$ application, the amount of eluted TEGDMA the specimen cured with PAC light for 10seconds was less than that cured in the stream of $N_2$ and $CO_2$ atmospheric conditions (p<0.05) 3. In the LED using 10 or 20sec irradiation times under the stream of $N_2$ and $CO_2$, the eluted TEGDMA showed to b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5). 4. The microhardness from the specimens cured with all the three different light units under each treated condition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room-air atmosphere (p<0.05). 5. The surface treatment by $DeOx^{(R)}$, $N_2$ and $CO_2$ reduces the thickness of oxygen inhibited layer by sp proximately 49% of the untreated control value.

      • KCI등재

        Enamel matrix derivative(EMDOGAIN^(R))을 이용한 상악 소구치의 자가이식 치험례

        오유향,김효식,정현구,조태식,위유민,이창섭 조선대학교 구강생물학연구소 2002 Oral Biology Research (Oral Biol Res) Vol.26 No.2

        The success of tooth transplantation or replantation depends on the viability of periodontal ligament in the transplanted tooth. Mechanical injury to periodontal tissues frequently results in dental root resorption and ankylosis, which leads to the failure of transplantation or replantation. Enamel matrix derivative (EMD) has been recently used to induce periodontal regeneration. In this report, we show a clinical case of EMD application in the transplantation of an inversely impacted and immature tooth. An impacted second premolar was found in the right maxilla of a 14 year-old girl. The tooth was inversely impacted and the root formation was incomplete. When transplantation was carried out. EMD was applied to the periodontal tissues of the extracted premolar. The tooth was fixed at the correct position and the clinical condition was followed for evaluation for 3 months. Radiographs after 3 months exhibited new bone formation surrounding the transplanted tooth. There were no signs of root resorption or ankylosis, and reconstruction of the bone defect area at the maxilla was also found. Short-term results from this case indicated that EMD application was effective in the transplantation of an inversely impacted and immature tooth. In adddition, EMD might contribute to obtain good healing without ankylosis. Further follow-up observations are necessary to evaluate the regenerative effects of EM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