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yres의 감각통합중재 중심원리에 따른 치료사의 치료수행도 조사

        홍은경,김경미,장문영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2011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Vol.9 No.1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자기-평가 방법을 이용하여 Ayres의 감각통합중재 중심 원리를 바탕으로 한 치료사의 치료적 수행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기간은 2010년 5월부터 6월까지이었고, 연구대상은 감각통합중재를 하고 있는 치료사 66명이었 다. 자기 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Ayres의 감각통합중재 중심원리에 따라 치료를 수행하는 정도를 자기-평가 하도록 하였다. 설문지는 감각의 기회제공, 적절한 도전의 과제 제공, 활동을 선택할 기회 제공 등 Ayres의 감각통 합중재 중심 원리에 대한 10가지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총 66부의 수거된 설문지는 기술통계를 이용하여 분석하 였고, T 값을 통해 퍼센타일을 알아보았다. 결과 : 모든 치료사들은 Ayres의 감각통합중재 중심 원리의 10가지를 모두 고려하여 치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가지 Ayres의 감각통합중재 중심 원리 중 자기 조직화 가이드 중심 원리를 제외하고 90%이상에서 종종, 자주, 항상 고려하여 치료하고 있었다. 감각의 기회제공, 적절한 과제제공, 활동 선택 기회제공, 아동의 성공을 최대화, 신체적 안전성 보장, 치료적 존중의 감정 조성은 T 값 50점 이상을 나타냈다. 자기 조직화 가이드, 적절한 각성 유 지, 놀이 환경의 조성, 아동이 치료실 정리에 참여는 T 값 50점 이하를 나타냈다. 결론 : 지속적인 Ayres의 감각통합중재 중심 원리에 따른 치료사의 자기 수행에 대한 평가를 통해 치료의 질을 점 검하고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Purpose : In this study, we tried to know that how the occupational therapists applied the core principles of Ayres's sensory integration(ASI) intervention for clients by using the method of self-assessment. Methods : The study period was from May 2010 to June 2010. The subjects were therapists who use a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We letted them to do self-assessment about degree of performing the treatment according to the core principles of ASI by using a questionnaire. Total 66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SPSS for Windows version 15.0 was statistically analyzed. Results : There wasn't anybody without considering the 10 core principles of ASI interventions for children. Therapist's answer(more than 90%) was sometimes, often, always except for the guide self-organization in the 10 core principles of ASI intervention. On the basis of total average score of raw score of 10 core principles of ASI intervention, provide sensory opportunities, provide just-right challenges, collaborate on activity choice, maximize child's success, ensure physical safety, and foster therapeutic alliance showed more than 50 points(T value). The guide self-organization, support optimal arousal, create play context, and arrange room to engage child showed less than 50 points T value. Conclusion : The most effective interventions for sensory integration is the treatment based on the core principles of ASI intervention. According to core principle of ASI intervention, checking the quality of care and increasing the quality of care is needed through performing self-assessment.

      • KCI등재

        시운동기술에 관한 아동 작업치료의 체계적 고찰

        홍은경,김경미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2010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Vol.8 No.1

        목적 : 체계적 고찰을 통해 시운동기술 평가를 위해 사용된 도구, 치료접근방법, 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고, 아동의 시운동 기술에 가장 적합한 치료방법과 평가도구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 체계적 고찰을 사용하였다. 2001년 1월부터 2010년 6월까지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PubMed을 통하여 검색하였다. 주요 검색용어는 "visual motor and occupational therapy", "visuomotor and occupational therapy"," perception and motor and occupational therapy" 이었고, 161개의 논문 중 총 13개 논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1. 시운동기술 치료가 필요한 대상 진단군은 발달장애아동이 20.00%로 가장 많았고, 글씨쓰기에 문제가 있는 아동이 13.33%이었다. 결과 : 2. 시운동기술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평가도구는 Developmental Test of Visual Perception(DTVP)을 사용한 논문이 33.33%로 가장 많았고, Developmental Test of Visual Motor Integration(VMI)을 사용한 논문이 26.67%이었다. 결과 : 3. 시운동기술과 관련하여 가장 많이 사용된 치료접근방법은 발달적 기술기반 프로그램으로 58.82%를 차지하였고, 감각통합과 감각기반 치료는 23.53%를 보였다. 결과 : 4. 시운동기술과 관련하여 작업치료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난 경우는 72.73%이었고, 유의하지 않는 경우가 9.09%이었다. 부모 직접적 또는 간접적 접근과 집중행동 치료에서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결론 : 아동 작업치료에서 시운동기술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된 도구는 DTVP와 VMI가 60%를 차지하였고, 70%이상에서 치료에 대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작업수행과 관련된 영역에 대한 작업치료의 효과를 분석하는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으 로 보인다. Objective :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evaluation tools and intervention approaches that have been used regarding visual motor skills of children, in order to suggest the best evaluation method and intervention strategy. Methods : This study employed a systemic review. Papers researched for the review were selected from the PubMed which is a web engine to search academic articles. For search, time period of publication was limited from January 2001 to Jun 2010, and key words used were "visual motor and occupational therapy", "visuomotor and occupational therapy", and "perception and motor and occupational therapy". 13 papers among total 161 findings were selected for data analysis. Results : Through literature review, followings were founded. For population targeted in studies,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are majority(20.00%) and those with handwriting problems are another major group(13.33%). DTVP(33.33%) and VMI(26.67%) are most common tools used to evaluate visual motor skills. Most frequently used intervention method is developmental skill based program(58.82) and the second common method is sensory integration therapy and sensory-based intervention(23.53%). Regarding the effectiveness of occupational therapy for visual motor skill, positive evidences with statistical power take 72.73%. Conclusion : The results imply that occupational therapy is effective for visual motor skill in children. It is suggested that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encompass effectiveness of occupational therapy in terms of children’s occupational performance.

      • KCI등재

        그룹감각통합치료가 아동의 놀이와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홍은경,김경미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2009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Vol.7 No.1

        Objective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out how group sensory integrative (SI) intervention enhances play skill and social interaction of the children with sensory integration disorders. Method : Three children who were showing problems related in sensory integration received 12 SI intervention sessions. The Sensory Profile (SP) and The Social Maturity Scale (SMS) were accomplished by the subject’s primary caregiver. Test of Playfulness (ToP) and Peer Social Interactions Rating Scale (PSIRS) were utilized to investigate the children’s play skills and social interactions with their friends. Goal Attainment Scale (GAS) is applied to assess the children’s play skill, social interactions with peer, and sensory processing at each session. Data was collect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and analyzed by the Wilcoxon matched-pair signed rank test with SPSS/WIN version 10.0 and Microsoft Excel. Results : The average scores of ToP, PSIRS, and SMS were increased after the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However,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lay skills and social interactions between data of pre-intervention and the one of post-intervention. The score of the GAS was frequently increased in terms of the play skills and sensory processing throughout the whole sessions. Conclusions : This study reveals a possibility of that the group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may affect not only sensory processing ability, but also play skills and social interactions of children experiencing difficulties of sensory processing. Future research should supplement limitations of this study regarding insufficient number of the subject and the short period of the experiment. 목적 : 본 연구는 감각처리장애아동에서 그룹 감각통합치료의 적용 후에 놀이와 또래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 : 실험대상은 B지역에 거주하는 3-7세의 감각통합장애가 있는 아동 3명이었다. 평가는 그룹 감각통합치료 프로그램 전과 후에 감각처리능력과 놀이 기술, 그리고 또래와의 상호작용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모를 통해 감각처리능력의 Sensory Profile과 또래와의 상호작용의 사회성숙도 검사를 하였고, 관찰을 통해 놀이 기술의 The Test of Playfulness와 또래와의 상호작용의 Peer Social Interactions Rating Scale을 평가하였다. 그룹 감각통합치료 프로그램 회기 동안에는 Goal Attainment Scale를 통해 감각처리능력과 놀이 기술, 그리고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평가하였다. 그룹 감각통합치료 프로그램은 촉각, 전정감각, 고유수용성감각을 위주로 하여 구성하였고, 4주간 총 12회기 실시되었다. 연구결과는 SPSS/WIN 버전10.0과 엑셀을 사용하여 통계분석 하였다. 결과 : 그룹 감각통합치료 프로그램 적용 전과 후에 놀이기술과 또래와의 상호작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그룹 감각통합치료 프로그램 동안 평가한 GAS의 결과, 놀이기술과 감각처리에서 점차 향상된 모습을 보였다. 결론 : 본 연구 결과는 그룹 감각통합치료 프로그램이 감각통합장애아동에서 놀이기술과 또래와의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명확하게 결론짓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대상의 수와 실험기간을 늘려 치료를 적용한다면, 더 긍정적인 결과가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 KCI등재

        비장애 아동과 전반적 발달장애 아동에서 회전 후 안구진탕 기간의 비교

        김진미,송지원,홍은경,김성희,김경미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2005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Vol.3 No.1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et the mean of duration of post-rotatory nystagmus test in normal children and to differentiate the duration of post-rotatory nystagmus test between normal children and children with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Method : 84 subjects were between 3 and 5 years of age and consisted of 64 normal children and 20 children with the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Analysis of the data was done by using t-test and ANOVA. Results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Range of duration of post-rotatory nyatagmus test in normal children was 5-22second on left and 7-21 second on right and the mean was 12.63 second on left and 12.59 second on right. 2. Range of duration of post-rotatory nystagmus test in children with the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was 3-11 second on both and the mean was 5.65 second on left and 5.60 second on right.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s and females with normal children in duration of post-rotatory nystagmus test.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mean duration between 3 and 5 years old normal group. 4. Children with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significantly have relatively lower duration than the duration of post-rotatory nystagmus test of normal children. Conclusions :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normal children and children with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in duration of post-rotatory nystagmus test and suggest that they could be applied to the baseline of clinical therapy.

      • KCI등재

        지적장애 아동의 균형과 호흡 기능 향상을 위한 감각통합치료: 개별 실험 연구

        김경미,홍은경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2011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Vol.9 No.1

        Objective : Sensory integration is the organization for sensation for u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rry out the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for the mental retardation with child and to examine change of child's balance and breath abilities. Methods : The study performed from 25 May to 13 Autumn, 2009. The design is AB design(baseline 3sessions, intervention 21sessions) of single -subject research design. We carried out the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3 sessions per week) for baseline period and the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3 sessions per week) with sensory diet every day for intervention period. Results : The results of the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with sensory diet had positive effects for child's breathe and balance. Conclusion : The occupational therapists recognize the effects of the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with sensory diet and need to recommend for the family of child with disability. 목적 : 감각통합치료는 개별아동에 맞는 감각의 기회를 제공하고, 적절한 도전의 과제를 제공하여 적응반응을 이끌 어 내는 아동 중심의 접근법이다. 본 연구는 지적장애 아동에게 적합한 감각통합치료를 적용하여 아동의 균형과 호흡능력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은 만 5세 3개월의 남아로 지적장애 진단을 받았다. 실험기간은 2009년 5월 25일부터 2009 년 8월 13일까지이었다. 실험설계는 개별실험연구(single-subject research design) 중 AB 설계를 사용하였고, 기초선 A(감각통합치료) 3회기와 중재 B(감각통합치료, 감각식이) 21회기이었다. 실험기간 동안 아동의 문제점 인 균형과 호흡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과 : 첫째, 감각통합치료는 아동의 호흡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감각통합치료는 아동의 균형에 긍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결론 : 작업치료사는 지적장애아동의 균형과 호흡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감각통합치료를 지속적으로 적용, 확대 하는 것이 필요하다.

      • 일간지 가정생활 관련 기사에 대한 내용분석 : With special reference to Kwangju & Chonnam daily newspapers 광주·전남일보를 중심으로

        한경미,홍은실,황덕순 全南大學校家政科學硏究所 1993 生活科學硏究 Vol.3 No.-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s of articles related on family lifes in Kwangju and Chonnam daily newspapers during the last year. In this study, articles were classified by the theme categories, publishing company, season, nature of messages, and academic diagnosis(nature).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can understand what were major issues and concerns related family life lately, and that they suggested to take in Home Economics as a practical science. According to references on classification of home economics and a caption or content of articles the identified 890 articles were categorized into nine theme categories : family ethics, work and time, consumer, household economy, family(including child), housing, clothing, dietary food, health and hygiene. The results show that the numbers of each theme category were ranked as follows : (1) consumer(164) (2) dietary food(154) (3) family(136) (4) housing (129) (5) health and hygiene(84) (6) household economy(79) (7) clothing(65) (8) work and time(47) (9) family ethics(28) As for the subcategories of each theme category, in family ethics area articles related to ethic, consciousness, attitude, and value were reported the most frequently. In work and time, lost of articles related to leisure and service. In consumer, most of articles related to consumer information about goods & service. In household economy, many articles related to financial(banking) information. In family, child-related articles. In clothing, dress design and aesthetics. In dietary food, food purchase and management. In health and hygiene, articles about causes and symptoms of various disease and medical treatment were treated more frequently. According to publishing companies, Kwangju ilbo took more than Chonnam ilbo, but there was no grea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Also there was no great difference among frequency of articles by four season, but in winter articles on family lifes were written more frequently and in summer, the least. The numbers of informative articles were more than that of directive articles. In the side of the academic nature of message source, the numbers of non-academic articles were much more than that of academic articles.

      • 탄소 나노튜브의 전계방출 특성

        이경원,김은미,권민철,김용,이재열,박홍준 동아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000 基礎科學硏究論文集 Vol.17 No.1

        본 연구에서는 emitter와 collector 사이의 간격과 current density 대 electric field (J-K)특성을 초점으로 카본나노튜브의 전계방출 특성을 조사하였다. 카본 소스로 CH4, 촉매 및 희석가스로서 NH3를 사용하고 HFCVD를 이용하여 실리콘 위에 카본나노튜브를 성장하였다. 나노튜브의 지름이 20-40nm이고 길이는 15㎛이다. I-V곡선에서 onset voltage는 Vons=3.36V/㎛이고, 2.5V/㎛ 의 전기장에서 8mA/cm2이상의 높은 전류밀도 특성을 보였다. Fowler-Nordheim 그래프를 그려서 팁의 특성을 나타내는 β값을 계산하였다. We report the field emission properties of carbon nanotube, focusing on current density versus electric field (J-F) characteristics and the spacing between the emitter and collector. We grow carbon nanotubes on sillicon using hot-fillament chemical vapor deposition, using CH4 gas as the carbon source and NH3 gas as the catalyst and dilution gas. Nanotubes are distributed from 20 to 40nm in diameter and 15㎛ long. Onset field of the field emission is 3.36V/㎛ and the current density is 8mA/cm2 at an electric field of 2.5V/㎛. A Fowler-Nordheim plot was made. Field enhancement factor β is calculated.

      • KCI등재

        TIMSS-R 과학 성취도에서의 성 차이

        이미경,홍미영,정은영 한국과학교육학회 2004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24 No.6

        학업성취도 국제 비교 연구 결과에서 우리나라 남렛?학생의 과학 성취도 차이가 큰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TIMSS-R과학 성취도에서의 성 차이를 문항 수준에서 살펴보기 위하여 각 문항의 GDI(Gender Difference Index) 값을 산출하였다. 그리고 문항 유형, 성취수준, 내용 영역에 따른 GDI 값을 비교하였다. 문항 유형에 상관없이 우리나라와 국제 결과 모두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리나라의 성차가 국제 평균보다 크게 나타났다. 특히 우리나라 여학생들은 선다형 문항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성취도를 나타내었다 성취수준에 따른 우리나라와 국제의 GDI 값을 비교해 보면, 상위 10%에 해당되는 문항들에 대해서는 우리나라의 GDI 값이 국제의 경우보다 낮게 나타났으나 그 이외의 성취수준에 해당되는 문항들에 대해서는 우리나라의 GDI 값이 더 높게 나타났고 특히 상위 50%에 해당되는 문항들의 경우 우리나라와 국제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내용 영역별로 남ㆍ여학생의 성취도를 비교했을 때는 과학 탐구와 과학의 본성 영역을 제외하고는 모든 내용 영역에서 우리나라 남학생들의 성취도가 여학생들보다 높았다. GDI가 10 이상인 문항 중 남학생들의 성취도가 높은 문항들은 생물과 지구과학 영역에 속하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많았으며, 학교 교육과정에서 전혀 배우지 않은 문항들의 비율 또한 비교적 높았다. 그리고 남학생들이 높은 성취도를 보이는 문항은 전 수행 영역에 걸쳐서 비교적 골고루 분포되어 있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문항 유형, 성취수준, 내용 영역에 따라 과학에서의 남렛㈖剋萱?성취도 차이가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여학생들의 과학 성취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보다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produce resources to help develop instructional methods and programs for school science to reduce gender differences in science achievement by analyzing TIMSS-R results according to item type, benchmark, and content category. Korean male students performed higher than Korean female students and gender differences of Korean students were higher than international means in all item types including multiple-choice, short answer, and extended response type. GDI(Gender Difference Index) of Korean students was lower than international mean in top 10% benchmark but higher than international means in other benchmarks. Korean male students also exhibited higher performance than Korean female students in all content categories except scientific inquiry and the nature of science category. Regarding items that GDIs were higher than 10, the number of items belonged to life science and earth science category was relatively larger and a high percentage of them was not included in school science curriculum. In addition, the items were equally distributed in each performance category. In sum, the study showed various gender differences according to item type, benchmark, and content category. The results could be used to find appropriate instructional methods to reduce gender differences in science achievement.

      • 한국전통생활문화에 관한 고찰

        이숙,홍윤호,신윤숙,신효식,한경미,최정미,김은정 全南大學校家政科學硏究所 2002 生活科學硏究 Vol.12 No.-

        This study is objected on preliminary research for more scientific and wider studies on the Traditional Living Culture of Korea. For this purpose, studies about clothing, food, home management, Traditional Living Culture were reviewed and analy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First, Clothing culture studies concentrated on ritual clothings, Second, Food Culture studies included history of traditional food development and recipes. Third, in the field of home management value system, attitudes and parent-child relations were studi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