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조효과성 분석 연구 동향 고찰을 통한 개발협력 정책 제언

        박수영(Soo young Park) 국제개발협력학회 2018 국제개발협력연구 Vol.10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현재까지 원조효과성을 규정하고 측정해온 다양한 실증 연구에 대한 고찰을 통해 우리나라 원조의 효과성 제고를 위한 정책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중요성: 한정된 원조 예산과 성과 강화 요구를 고려할 때, 원조효과성 제고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 분석은 원조효과성의 다면성에 대한 고려 없이 단편적으로 수행되어 효과적인 원조 정책 수립에 제약이 있었다. 본 연구는 원조효과성을 통합적으로 분석하는 틀을 마련하고, 효과성 제고를 위한 실질적 제언을 제시한다. 연구방법론: 원조효과성과 개발효과성에 대한 최근까지의 주요 연구를 거시적 경제성장 효과성, 거시적 사회개발 효과성, 미시 프로젝트 효과성, 원조체계 효과성의 네 가지 개념으로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장단점과 한계를 분석한다. 연구결과: 본 연구는 최근 연구가 원조의 효과성을 대체로 인정하며, 미시-거시 패러독스의 의미가 퇴색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또한, 최신 연구는 미시 프로젝트 효과성을 명확히 검증하기 위해 무작위표본추출법을 도입하고 증거중심 원조를 지원한다. 즉, 최근 연구 동향은 원조효과성 유무논의에서 벗어나 효과성을 제고하는 정책과 접근법, 상황을 명확히 규명하여 이를 확대, 발전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원조추진체계의 효과성의 경우, 전 세계적으로 개선은 확인되고 있으나, 추진체계 효과성과 개발효과성 간의 논리적 연결 관계에 대한 추가적인 심층 분석이 요구된다. 결론 및 시사점: 우리나라 원조 특성을 고려 시, 프로젝트의 효과성과 추진절차의 효율성 제고가 필요하다. 따라서, RCT방식을 적용하는 증거중심 정책 수립 강화를 제안한다. 한편, 원조추진체계 효율성 제고를 위해 다양한 입장과 경험을 반영하여 개발효과성 증진 체계를 마련할 수 있도록 대안을 제시하는 연구와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 또한, 부산선언문의 원칙으로 돌아가,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아우르는 파트너십 구축을 통해 개발효과성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provide policy diagnosis to improve effectiveness of Korean aid based on the systematic analysis on existing literature on aid and development effectiveness. Originality: This study provides an analytic framework for comprehensive analysis on aid effectiveness and practical policy diagnosis. Methods: This study conducts review on existing literature and systematically analyzes aid effectiveness in four ways—macro economic growth, macro social development, micro project results, and aid delivery system effectiveness. Results: Recent studies admit positive effect of aid on both macro and micro level as the micro-macro paradox is weakened. Therefore, recent studies focus more on the way and how certain policies or interventions are effectives than on whether aid has positive or negative impact. New methods such as Randomized Controlled Trial(RCT) has been introduced to better examine the actual effect of aid. The aid delivery system effectiveness is improving but further study is needed to verify the log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effectiveness of aid delivery system and its development impact. Conclusions and Implication: Enhancing project effectiveness and improving aid management system are needed to improve Korean aid effectiveness. This study suggests adopting RCT and strengthening evidence-based policy making for Korean aid. Increasing research on development effectiveness with alternative perspective is needed. Finally, the Korean government needs to strengthen inclusive partnership following the Busan Partnership agreement.

      • 조직 효과성 제고를 위한 정부의 조직 이미지에 관한 연구

        오시영,조태준,지규원,진종순 한국행정연구원 2009 기본연구과제 Vol.2009 No.-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연구의 배경 ○ 정부에 대한 신뢰는 199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으며, 이러한 결과는 정부에 대한 일반시민의 부정적인 이미지(image)가 정부에 대한 불신으로 이어진 결과로 해석됨 ○ 이와 같은 현상은 정부에 대한 신뢰 제고를 통해 일반시민과 정부(기관)의 협력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정부조직의 민주성, 효과성, 효율성 등을 향상하고자 하는 노력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음 ○ 국민의 의식 깊숙이 자리 잡고 있는 정부 관료제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와 이에 따른 불신은 정부의 지속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해소되지 않고 있으며 향후에도 상당기간 지속될 것으로 보임 ○ 정부 관료제에 대한 국민의 부정적 이미지는 공무원의 소속 기관에 대한 조직 이미지와 정부 조직의 효과성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며, 따라서 정부 신뢰의 제고를 위해 필수적으로 개선시켜야 할 조직 이미지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상황이라 할 수 있음 ○ 특히 전통적인 조직구조와 고용관계의 해체로 인해 조직구성원들이 `정체성의 위기`를 겪고 있는 현실에서 조직구성원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새로운 심리적 기제로서 조직이미지의 중요성은 크다고 할 수 있음 □ 연구의 목적 ○ 정부 관료제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와 불신이 해소되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관료제의 구성원인 공무원 자신이 소속된 정부조직에 대해 어떠한 이미지를 갖고 있으며(지각된 조직이미지), 일반 국민들이 정부에 대해 어떠한 이미지를 갖고 있다고 해석하고 있는가(해석된 외부이미지)하는 것이 정부 조직의 효과성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이를 위해 정부조직에서 근무하는 공무원을 대상으로 조직 이미지에 대한 양적(quantitative) 접근방법을 활용한 경험적 연구를 실시함 Ⅱ. 주요 연구문제와 분석 결과 □ 주요 연구문제 ○ 연구문제 기본방향 - 본 연구는 Duton & Dukerich (1991)가 개발한 조직 이미지에 대한 이론을 바탕으로 정부관료제 및 소속부처에 대한 지각된 조직정체성이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으로 측정되는 조직효과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인과관계 분석을 확인하기 위하여 외부 이미지에 대한 평균값을 기준으로 집단 간 비교를 수행하였음 ○ 연구문제 (1): 정부관료제에 대한 조직이미지와 조직효과성 연구 - 정부관료제 전반에 대해 공무원들이 지각하고 있는 지각된 조직정체성이 조직효과성(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인과관계 분석을 통해 측정하고자 함 - 가설 1: 정부관료제에 대한 긍정적으로 지각된 조직정체성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을 향상시킨다 ○ 연구문제 (2): 소속부처에 대한 조직이미지와 조직효과성 연구 - 자신이 소속된 부처에 대한 공무원들이 느끼는 지각된 조직정체성이 조직효과성(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심리적인 기제로 작용하는지를 확인하자고 함 - 가설 2: 소속부처에 대한 긍정적인 지각된 조직정체성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향상시킨다 ○ 연구문제 (3): 해석된 외부이미지를 통한 집단 간 비교연구 - 연구(1)과 연구(2)의 인과관계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해석된 외부 이미지의 평균값을 기준으로 평균값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구분하고 이들 연구 (1)과 연구 (2)에서 분석한 인과관계에 대한 집단 간 비교를 실시함 - 가설 3: 정부관료제에 대한 해석된 외부이미지가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에 비해 지각된 조직 정체성이 조직효과성에서 미치는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클 것이다 - 가설 4: 소속부처에 대한 해석된 외부이미지가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에 비해 지각된 조직정체성이 조직효과성에게 미치는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클 것이다 □ 연구설계 및 분석방법 ○ 연구설계 - 우리나라 중앙행정기관에 근무하는 공무원들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설문조사를 실시함. 이를 위해서 다단계군집표본추출 방식을 활용하여 10부 3청 3위원회를 임의로 선정하고, 이들 기관들에 무작위추출법을 통해 각 부처별로 40여부씩의 폐쇄형 설문을 배포함. 또한 부처별 설문 배포 과정에서 응답자의 직급 및 직책비율도 적정한 수준에서 결정될 수 있도록 할당표본추출 방식을 활용하였음. 이러한 과정을 통해 중앙행정기관 16개 부처에서 총 600부의 설문지를 획득하였음 - 본 연구의 독립변수는 정부관료제와 소속부처에 대한 지각된 조직정체성을 통해 측정하며,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은 종속변수로 설정됨. 또한 정부관료제와 소속부처에 대한 해석된 외부이미지는 집단 간 비교연구를 통해 활용됨. 모든 변수들은 5점 기준의 Likert 척도를 이용해서 측정하였음 ○ 분석방법: 구조방정식 모형 - 가설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주요 변수의 인과관계 분석 및 집단 간 비교를 진행함 - 이를 위하여 먼저 정부관료제 및 소속부처에 대한 조직정체성과 해석된 외부이미지, 그리고 조직효과성 등 주요 구성개념들에 대한 기초통계 분석을 실시하여 경향성을 확인하고 함의를 도출함 - 분석과정으로는 먼저 기존 연구에서 개발 및 활용된 구성개념 (변수)들이 본 연구에서도 적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타당도 및 모형적합도 분석을 수행하고 수정과정을 거침. 이러한 단계를 거친 이후 구조 방정식 모형의 구조모형에서 인과관계 및 집단 간 비교분석을 실시함 -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조직정체성이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고 해석된 외부 이미지를 기준으로 두 집단 간 경로값의 차이를 파악함 □ 기초통계 분석결과 ○ 정부관료제에 대한 지각된 조직정체성과 해석된 조직 이미지 간 비교 - 분석결과, 현재 정부에 대한 조직 이미지의 경우 공무원들 스스로 인식하는 지각된 조직정체성과 공무원들이 국민들이 생각할 것이라고 인식하는 해석된 외부이미지 간 차이가 크게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즉 공무원들은 정부조직 활동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지만 국민들은 자신들의 활동을 부정적으로 평가할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었음. 특히 근면성 측면에서는 공무원들은 자신들은 물론 국민들이 높게 평가하고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반면, 예산활용의 측면에 있어서는 자신들은 매우 높게 평가하고 있지만 외부 이미지는 낮을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소속부처에 대한 지각된 조직정체성과 해석된 조직 이미지간 비교 - 소속부처에 대한 이미지 비교 결과, 공무원 스스로 소속부처에 대해 인식하는 조직정체성과 타부처 공무원들이 인식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해석된 외부이미지와는 전반적으로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남. - 이러한 결과는 앞서 정부에 대한 지각된 조직정체성과 해석된 조직 이미지간 결과와는 차이를 보여줌. 즉, 정부조직에 대해서는 공무원들은 자신들이 생각하고 있는 정부 활동의 이미지와 국민들이 생각하고 있는 이미지가 차이가 나며 특히 국민들이 자신들 보다 훨씬 부정적으로 평가할 것이라고 인식함. 그러나 소속부처에 대한 이미지 비교 결과는 자신들이 소속부처에 대해 평가한 이미지와 타부처 공무원들이 인식할 것으로 생각한 이미지가 대부분 긍정적으로 일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조직 효과성 분석 결과 - 먼저 직무만족은 전반적으로 긍정적으로 나타남. 세부적으로는 `공무원 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직장에서의 승진`에 대한 만족도의 경우 상대적으로 다른 항목에 비해 낮게 나타남. 한편 직무만족과 인구통계학적 변수간 관계를 살펴보면 직급과 직무만족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상위직 공무원들의 직무만족 수준이 가장 낮게 나타났음. - 또한 직무 몰입의 경우에도 긍정적인 응답결과를 보이고 있음. 또한 인구통계학적 변수 간 관계분석에서는 직무만족과 마찬가지로 직급에 따라 차별적 인식을 보이고 있었는데 4급 이상 상위직 공무원들과 7급 이하 하위직 공무원들의 조직몰입 수준은 낮은 반면, 5급, 6급 등 중간 관리자급 공무원들의 조직몰입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남. □ 연구문제 (1): 정부관료제에 대한 인과관계 분석결과 ○ 정부관료제에 대한 지각된 조직정체성과 조직효과성 간 인과관계 - 분석결과, 정부관료제에 대한 지각된 조직정체성은 직무만족과 조직 몰입 모두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남. 또한 표준화 경로값을 기준으로 한 분석 결과 지각된 조직정체성은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에 각각 .60과 .62의 영향력을 행사한 것으로 나타남. - 모형적합성에 대한 보완한 수정지수를 바탕으로 수정모형을 통해 분석을 실시한 결과,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에 대한 표준화 경로값은 .56과 .59로 다소 감소하였으나 이것은 오차항 간 공분산 설정으로 인한 결과로 추정되며 전반적으로 모형적합도는 더욱 향상된 것으로 나타남. 이러한 분석 결과는 정부관료제에 대한 긍정적으로 지각된 조직정체성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을 향상시킨다는 가설을 채택하고 있음. □ 연구문제 (2): 소속부처에 대한 인과관계 분석결과 ○ 소속부처에 대한 지각된 조직정체성과 조직효과성 간 인과관계 - 분석 결과, 소속부처에 대한 지각된 조직 정체성은 조직효과성 개념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동일하게 .62의 영향력을 행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표준화 경로값 기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결정됨. - 모형적합도에 대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수정지수를 바탕으로 수정모형을 제시함. 구성 개념들간 오차항에 공분산을 설정한 수정 모형 분석 결과,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상관성은 표준화 값을 기준으로 .67로 나타났으며 조직정체성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은 기존 모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아진 .55로 나타남. - 한편 모형 적합도는 기본모형에서 기준값에 미치지 못했던 세 개의 적합도지수 모두 향상된 것으로 나타남 (NFI =. 943, RMSEA =.064, Nomed X<sup>2</sup> = 3.491). 이러한 분석 결과는 소속부처에 대한 긍정적으로 지각된 조직정체성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을 향상시킨다는 가설을 채택하고 있음. □ 연구문제 (3): 해석된 외부이미지를 통한 집단 간 비교분석 결과 ○ 정부관료제에 대한 해석된 외부이미지를 통한 집단 간 비교분석 - 정부관료제에 대한 해석된 외부이미지의 평균(2.89)를 기준으로 해석된 외부이미지를 높게 평가한 집단 (N=332)과 낮게 평가한 집단(N=268)을 구분하고 이들 각각에 대한 구조모형을 통해 지각된 조직 정체성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을 비교함. - 해석된 외부이미지가 높다고 평가한 집단에서는 지각된 조직정체성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각각 .44 .46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표준화 경로값의 경우 각각 .58과 .61로 나타남. 또한 모형의 적합도는 대부분 적합도 지수의 기준을 만족시킨 것으로 나타남. 이러한 결과는 정부관료제에 대한 해석된 외부 이미지의 평균값을 기준으로 집단을 구분하지 않은 상태에서 연구했던 값에 비해 다소 떨어지는 영향력이 제시되었음을 알 수 있음. - 해석된 외부이미지의 평균값이 낮은 집단 (N=268)에서는 지각된 조직 정체성이 직무만족(.47)과 조직몰입(.53)에 영향을 행사한 것으로 나타나 평균값이 높은 집단에 비해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남. 비표준화 경로값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이었으며 절대적 적합도 지수 대부분은 기준값을 만족시킨것으로 나타남. - 연구 결과, 표준화 경로값을 기준으로 해석된 외부이미지의 평균값이 낮은 집단이 높은 집단보다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 간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남.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가 가정했던 지각된 조직정체성과 해석된 외부이미지 간 일치성이 조직효과성에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할 것이라는 가설이 기각되었음을 보여줌. ○ 소속부처에 대한 해석된 외부이미지를 통한 집단 간 비교분석 - 소속부처에 대한 해석된 외부이미지의 평균(3.49)보다 높은 집단(N=298)과 낮은 집단 (N=302)를 구분하여 각 집단별로 소속부처에 대한 지각된 조직정체성과 조직효과성 간 영향력을 비교하였음. - 소속부처에 대한 해석된 외부이미지가 높다고 평가한 집단에서는 지각된 조직정체성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각각 .29 (비표준화 경로값: .47,p<.001)와 .37(비표준화 경로값: .56, p<.001)의 영향력을 행사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모형 적합도는 기준값을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남. - 해석된 외부이미지가 낮은 집단 (N=302)에서는 지각된 조직 정체성이 직무만족(.58)과 조직몰입(.67)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한 것으로 나타남. 한편 비표준화 경로값은 각각 .82와 .83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이었으며 절대적 적합도 지수 대부분은 기준값을 만족시킨 것으로 나타남. - 분석 결과, 소속부처에 대한 해석된 외부이미지가 낮다고 평가한 집단은 해석된 외부이미지가 높다고 평가한 집단에 비해 표준화된 경로값의 크기가 약 두 배 이상의 크기를 나타낸 것을 확인할 수 있음.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 주장한 가설, 즉 해석된 외부이미지가 높은 경우에는 지각된 조직정체성과의 상호작용(interaction)을 통해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더욱 강화(reinforcement)할 것이라는 주장은 기각된 것으로 나타남. Ⅲ. 정책대안 □ 정부 관료제와 소속 부처에 대한 긍정적 조직이미지 형성을 통한 조직 효과성 제고 ○ 민간에서 활용되는 관리기법 등의 도입이 정부조직의 생산성이나 효과성 등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지 못하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는 상황에서, 조직 이미지와 같은 심리적 기제를 통해서도 조직효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사실에 대한 인식전환이 요구됨 ○ 공무원으로서의 자부심과 소속 부처 및 정부 관료제에 대한 조직이미지를 향상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 정부 조직의 효과성을 제고시키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요구됨 - 정책의 일관성 및 유연성 확보를 통한 정부정책에 대한 신뢰 제고 - 조직의 주요 의사결정 및 집행과정에 대한 민주적 참여 보장 - 주요 정책의 일관성 유지 및 권력의 간섭과 압력 배제 - 정부조직의 운영 절차 개선을 통한 효율성 제고 - 조직이미지 형성전략 활용: 광고 캠페인, 마스코트, 심볼마크, 조직슬로건 등 I. Research Background and Objective □ Background of the Research ○ The public distrusts government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have tried to identify ways to increase trust in public sector organizations -The extant literature has focused on the images of government because the public has not trusted public employees` behaviors and public policies ○ Organizational images as an alternative to increase trust in governmental organizations -Organizational image, which has been studied in the fields of organizational behavior and industrial/organizational psychology, may be one alternative to improve trust in governmental organizations -Organizational image has been researched along two dimensions, including perceived organizational identity and construed external image, but there have been few empirical studie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images and organizational outcomes, including effectiveness and productivity □ Objective of the Research ○ Examining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images on effectiveness in public sector organizations -This research empirically examines whether organizational image in governments leads to increases i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hich consists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ome studies have argued the importance of organizational image to increase outcomes at the macro levels, while there is little empirical study of the thesis in public management II. Main Research Questions and Analysis Results □ Research methods ○ Sample, data collection, and data analysis -The sampling frame was drawn from public employees who work at ten ministries, tree authorities, and commissions in the central government in Korea -Six hundred usable data points were returned for analyzing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organizational identity and construed external imag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respectively -Multi- cluster sampling method has been adopted in this study -For conducting the analyses, this study employ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Before analyzing the causal relationships, in the measurement model, this study employe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o verify the validation of the constructs researched in this study □ Results of analyses ○ Measurement models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two dimensions of organizational images met the cutoff values of model fit indices; they also show construct validation -Th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considered as a second- order construct consisting of job satisfaction and commitment, not only met the thresholds of model fit, but also verified the construct validation ○ Structural model -The findings are that perceived organizational identity to the governmental bureaucracy leads to increases in job satisfaction (.56; unstandardized path: .61, p < .001)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59; unstandardized path: .63, p〈.001) -Second, perceived organizational identity with the ministry improves job satisfaction (.55; unstandardized coefficient: .51, p〈.001)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55; unstandardized coefficient: .49, p < .001) ○ Multi- group analysis -This study conducted a multi- group analysis for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 of construed external image considering the mean value -Considering mean value of construed external image to the governmental bureaucracy and the ministry, respectively, this study expected to find that the higher group is more likely to have a greater impa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organizational identity and effectiveness rather than the lower group -Unexpectedly, however, our hypotheses in terms of moderating effect were rejected in this study. In general, the findings were that organizational image, which consist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identity and construed external image, would be an alternative to increas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government organizations III. Policy Recommendations □ Psychological mechanism as an alternative to increas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Organizational images play a role of predictor to increase effectiveness in public sector organizations -Management techniques and extrinsic motivation would be predictors to increase effectiveness and performance in public sector organizations, although there have been debates about whether they can increase outcomes in public sector organizations -This study found that the psychological mechanism, including organizational images, would be one predictor to increase outcomes in public management -Emphasizing public employees` trust, flexibility, and consistency regarding government policies, we expect that it would be one alternative to increase effectiveness in public sector organizations ○ Managers in public sector organizations should make efforts to build public employees` positive images regarding their government and ministries -Managers should allow public employees to take part in the decision-making and implementation processes, as well as to help achieve internal consistency regarding public policies

      • 조직 및 프로그램 효과성에 관한 연구 -주요개념 정의, 측정 방법, 주요 결정요인을 중심으로-

        이홍직 ( Hong Jik Lee ),배정현 ( Chung Hyun Bae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센터 2004 이화사회복지연구 Vol.5 No.-

        1980년대 이래로 미국의 사회복지학계에서 '조직 및 프로그램 효과성'은 중요한 화두가 되어왔다. 이러한 효과성에 대한 관심은 정부의 복지지출 감소로 인해, 제한된 재원을 확보하는 일환으로 인간봉사 조직에게 요구되어지는 책무성과도 그 맥락을 같이 한다. 이러한 사회적 상황에서, 본 연구는 조직 및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주요 개념과 측정 방법, 그리고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명확히 하고자, 미국의 인간봉사 조직의 효과성에 관한 40여개의 연구문헌을 고찰하였다. 또한, 본고는 연구의 목적을 위해 인간봉사 조직체뿐 아니라 일반기업체와 기타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한 효과성 연구들도 부수적으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효과성의 개념에 있어서는 프로그램 효과성은 조직 효과성의 하위개념으로 이해되며, 서비스 성과와의 비교에 있어서, 성과는 프로그램의 결과와 영향력, 성취 등으로 표현되며, 효과성은 이러한 성과가 제시한 목표에 근접하는 정도로 제시되고 있다. 둘째, 효과성의 측정 방법에 있어서는 연구에 따라, 다양한 척도들이 이용되었는데, 이는 보편타당하고 신뢰할만한 척도의 개발이 용이하지 않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증명한다. 셋째, 효과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다양한 요인들이 제시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 기관장의 가치, 지도력, 능력, 그리고 직원들의 인지능력과 행위 등과 같은 조직 구성원에 관련된 요인들이 주요한 효과성 결정요인으로 제시 되었다. 요컨대, 효과성에 대한 정의, 측정방법, 그리고 효과성 결정요인에 있어서, 연구의 목적 및 연구 대상 기관과 프로그램이 지향하는 목표 등에 따라 다양하게 규정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사회복지학계에서 조직과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논의를 통해, 보다 보편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개념의 정립 및 측정방법상에서의 체계화가 필요함을 주장한다. Recently, the rapid growth of the human service sector in the U.S. generates the need to develop its quality and accountability to gain a limited fund. Hence, the issue of effectiveness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in human service sector. In response to this environment, this study aimed to clarify the definition of organizational/program effectiveness, to investigate organizational/program effectiveness evaluation and measurement issues, and to identify important factors affecting organizational/program effectiveness. This study reviewed approximately forty cases of theoretical or empirical research on effectiveness in organizations, especially human service organizations and social welfare programs. This study also included a few studies in other fields such as business and public management are included as they are relevant to the discussion of organizational and program effectiveness in social service sector.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s. First, many previous studies regarded program effectiveness as a sub-category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as a result, they distinguished between program effectivenes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s two different levels. Secondly, various measures were used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program or organization in the previous research, and it was proved indirectly that developing valid and reliable measures in human service field is a difficult task. Thirdly, although diverse factors were reported to determine the level of program/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actors related to human resource were most frequently indicated as key factors among them.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ntinuous research, competition, and communication among social work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are needed to establish firm and universally accepted definitions and to develop valid and reliable methodologies to measure them.

      • KCI등재

        교직헌신과 리더 - 부하관계(LMX)가 교수효과성 및 업무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김지은(Kim Ji-eun) 한국교육행정학회 2008 敎育行政學硏究 Vol.26 No.2

        교직헌신은 교수효과성에 상응하는 개념인 반면, 조직 헌신은 업무효과성에 상응하는 개념이다. 이런 개념 구분 하에 본 논문의 질문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실제 교직 헌신이 교수효과성과 더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가? 둘째, 만약 그렇다면 상대적으로 조직 헌신이 떨어지는 교사들의 업무 효과성을 향상시키는 데 리더십이 도움이 되는가? 이를 위해 본 논문은 교직헌신과 리더십이란 각각의 요소들이, 교사들이 산출하는 교수 및 업무효과성 중 어떤 측면에 더 많은 관련을 갖고 있는지 규명하고자 한다. 기존의 연구들은 리더십과 교직헌신간의 유의미한 관계를 밝혀온 데 반해, 본 연구는 교사들의 성취를 교수효과성과 업무효과성으로 구분하고, 교직헌신과 리더십이 교사의 어떤 측면에 더 많은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지를 밝히는데 그 의미가 있다. 한편 본 연구는 리더와 구성원 전체의 양적 관계를 지향하는 리더십 개념 대신, 리더와 구성원 각자의 질적 관계를 지향하는 리더-부하 관계(LMX) 이론을 사용하여 리더십과 교수 및 업무 효과성의 관계를 보다 효과적으로 규명하고자 했다. 연구 결과는 교직헌신은 업무효과성보다는 교수효과성과, 리더십은 교수효과성보다는 업무효과성에 더 많은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 결과는 뛰어난 리더십은 교사들이 자신들의 진정한 직무라 믿는 교수효과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하될 수 있는 업무효과성을 내집단 관계를 강화함으로써 높이는 방향으로 움직여야 함을 시사한다. On the basis of conceptual distinction between 'commitment to teaching' pace 'teaching effectiveness' and 'organization commitment' pace 'administrative work effectiveness', this paper aims to demonstrate the relation between leadership and two different types of effectiveness that teachers produce at school by examining the relation of commitment to teaching with leadership. Previous studies on this subject have usually focused on the relationship of only two factors, commitment to teaching and leadership. However, this study is different and distinguished in that it focuses on the question as to which factor leadership affects more, teaching effectiveness or administrative work effectiveness. To demonstrate more effectively the relation among these four factors mentioned above, this study use LMX theory to highlight on the qualitative difference of leader and members relation in a organiz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teaching to commitment is more related to teaching effectiveness than administrative work effectiveness while leadership is more related to the latter than the former.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effective leadership needs to be concerned with the administrative part of teachers' work more than teachers' activity of teaching in their classroom.

      • KCI등재

        군내 초급간부와 병사의 갈등관리가 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김종서,박효선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4 Crisisonomy Vol.10 No.12

        본 연구는 군 초급간부와 병사들의 갈등관리가 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효율적인 갈등관리방안을 강구함으로써 악성사고를 예방하고, 조직 효과성을 제고시켜 군의 전투력 향상에 기여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육군과 해군 4개 부대의 초급간부와 병사 33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문조사와 실증 분석을 위한 통계 처리는 SPSS 18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분석,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 상관분석,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갈등관리와 조직 효과성 측면에서 갈등 예방방안은 조직 효과성과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갈등 해소방안은 조직 효과성과 뚜렷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갈등 자극방안은 조직 효과성과 뚜렷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둘째, 갈등 유형과 조직 효과성 측면에서는 개인 및 대인갈등은 조직 효과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셋째, 갈등 관리와 갈등 유형 측면에서 갈등 예방 및 해소방안은 개인 및 대인갈등 수준을 감소시키고, 자극방안은 개인 및 대인갈등 수준을 증가시켰다. 넷째, 초급간부와 병사들의 인구학적 특성 중 낮은 계급인 일․이등병과 직책에 대한 업무 숙달이 어려운 기술병이 상대적으로 갈등을 많이 느끼고 있었으며, 갈등 관리방안과 조직 효과성에서는 초급간부와 전투병이 기술병과 행정병에 비하여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초급 간부와 병사들의 효율적인 갈등관리 방안으로는 갈등 예방방안이 우선이며, 갈등 예방방안을 시행하면서 갈등 자극방안도 적절하게 활용해야 한다. 또한 초급간부와 병사들의 조직 효과성 향상을 위해서는 효율적인 갈등 해소방안을 활용해야 한다. 특히, 현재 부대관리를 위해 시행하고 있는 병영생활전문상담관, 비젼캠프, 고충상담, 인성검사, 자살예방 대책, 선진병영문화 정착, 기능별 사고예방대책 등을 갈등 관리체계에 포함하여 혁신적으로 조치하면서, 군내의 갈등에 대한 인식전환, 갈등 관련 법 ․ 규정 ․ 제도 보완, 군의 주요정책 보완 등을 병행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event accidents and to improve combat power by seeking efficient conflict management through research on conflict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military organization. The research is subjected to junior commissioned officers and soldiers who are doing mandatory military service. Th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by survey method in empirical research based on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were conducted to randomly selected 330 men from four units of army and navy. Thirty of poor respondents were removed and 300 responses were analyzed. SPSS 18 statistics program was used to process the empirical analyzation using frequency analysis, validity and reliability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 conflict prevention plan showed strong positive correlationship with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conflict resolution plan showed distinctly positive correlationship with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the aspects of conflict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econd, personal and interpersonal conflict both showed strong negative correlationship with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the aspects of conflict typ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ird, conflict prevention and resolution plan decreases level of personal and interpersonal conflict, and stimulation plan increases level of personal and interpersonal conflict. Fourth, there was a difference on the recognition of conflict type, conflict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ccording to demographic traits, rank and job, of junior commissioned officers and soldiers. The implication of the result suggests practical ways of conflict management that can prevent accidents and increas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hich increases combat strength, by efficiently managing the conflicts of junior commissioned officers and soldiers.

      • KCI등재

        교회학교 교사가 인지한 팀효과성이 교육부서 헌신도에 미치는 영향 - 교육부서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함영주 한국실천신학회 2016 신학과 실천 Vol.0 No.52

        본 연구의 목적은 교회학교 교사가 인지한 팀 효과성이 만족도를 매개로 부서 헌신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한국교회의 교회학교 성장 하락세는 이미 오래전에 시작되었으며 이러한 쇠퇴를 극복하고 다시 성장의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한 교회의 내부적인 움직임이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교회학교 성장을 위한 내부요인 중에 교회학교 교사의 역할은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 교회학교 교사는 학생들의 영적인 성숙과 성장에 있어서 핵심적인 역할을 감당하고 있다. 특히 교사의 리더십 역량은 교육부서에 대한 만족도와 헌신도를 높여주고 이것이 학생지도에 있어서 긍정적인 영향으로 나타날 수 있다. 그동안 교회학교 교사의 리더십에 대한 논의는 개인리더십에 초점 맞추어져 왔다. 그러나 부서 내에서 교사의 팀 사역에 대한 효과성은 자신이 섬기는 부서에 대한 만족도를 높여주고 더 나아가 헌신도에까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팀효과성에 대한 연구는 이미 정부조직이나 일반 기업에서 활발하게 연구되어온 주제이다. 대부분의 연구결과는 팀효과성이 조직을 효율적으로 운용하게 하고 생산성을 높여준다고 보고하고 있다. 일반 학교 내에서도 팀효과성은 긍정적인 교육적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보았다. 이에 반하여 기독교교육의 영역에서는 팀효과성에 대한 연구가 그리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 않은 실정에 있다. 다만 부서 내에서의 팀워크가 부서의 운영 효율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추론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회학교 부서 내에서 교사가 가진 팀 효과성이 부서 만족도를 매개로 부서 헌신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양적연구 방법으로 시행되었는데 서울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19개 교회에서 344명의 교사들이 연구설문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교회학교 교사가 인식한 부서의 팀 효과성이 헌신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604) 만족도가 간접매개효과를 보였다(.308). 한편 리더십 강의를 수강한 교사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팀 효과성, 헌신도, 만족도에 있어서 평균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을 기록했으며 경험이 많은 40-50대 교사가 20대 교사에 비해 헌신도와 팀효과성 등이 더 높았다. 이를 토대로 세 가지 중요한 기독교교육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첫째, 교육부서가 교사들의 사역만족도와 헌신도를 향상시켜주기 위해서 팀 효과성을 높여주어야 하며 이를 위해 성경이 제시하는 다양한 팀 사역의 모델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회학교 부서 내에서 팀 효과성을 높여주기 위해서 경력이 많은 교사와 경력이 짧은 교사 간에 유기체적인 학습 및 신앙공동체를 형성해 주어야 한다. 셋째, 교회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지속적인 리더십 교육을 통해 팀효과성을 향상시켜주고 결국 교회학교를 더욱 건강하게 만들어야 한다. 이를 위해 현재 각 교회에서 진행하고 있는 교사교육 프로그램에 ‘교사 리더십’ 과목을 개설할 것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how team effectiveness perceived by church schoolteachers affects their commitment to education departments through the mediating variable of satisfaction. Although the downturn of church school growth in Korea began long ago, the internal movements of the church have been very active to overcome this decline and advance in the direction of regrowth. The role of church schoolteachers among the internal factors for the growth of church schools is paramount. Church schoolteachers play a key role in students’ spiritual maturity and growth. In particular, teachers’ leadership skills may boost satisfaction with and commitment to education departments, thereby positively affecting student guidance. Until now, discussions on the leadership of church schoolteachers have focused on personal leadership. However, teachers’ perceptions of team effectiveness within their departments may boost satisfaction with their departments and thus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ir commitment. Team effectiveness has already been the subject of active research by government organizations and general companies. Most of the research results have reported that team effectiveness contributes to effective management and increased productivity of organizations. Results also indicate that team effectiveness within regular schools may bring positive educational results. On the contrary, research on team effectiveness has not been actively conducted in the area of Christian education. However, teamwork within departments is believed to affect the management efficiency of department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eachers’ perceptions of team effectiveness within the departments at church schools on their commitment to the departments through the mediating variable of satisfaction with their departm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and 344 teachers from 19 churche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survey.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satisfaction showed a mediating effect (.308)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urch schoolteachers’ perceptions of departments’ team effectiveness and commitment (.604). On the other hand, the group of teachers who took a leadership course had significantly higher average scores on team effectiveness, commitment, and satisfaction. The experienced teachers aged 40–50 had higher commitment and team effectiveness scores than those in their twenties. Based on this result, three important Christian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proposed. First, education departments should increase team effectiveness to improve teachers’ satisfaction and commitment. To do so, they should utilize the various models of team effectiveness presented in the Bible. Second, an organic learning system and a community of believers should be formed between experienced teachers and less experienced teachers to increase the team effectiveness within the departments at church schools. Third, team effectiveness should be improved through ongoing leadership training for church schoolteachers, which will ultimately lead to healthier church schools. To do so, we propose the establishment of a “teacher leadership” course in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s that are currently in progress in each church.

      • 전시참관객의 유형에 따른 전시회 효과성에 대한 인식이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강종양(Zong Liang Jiang),김봉석(Bong Seok Kim),소단단(Dan Dan Su) 한국경영학회 2014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Vol.2014 No.8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참관객의 참관목적 요인을 도출하고, 그에 따른 참관객 유형을 분류하며, 분류된 유형에 따른 전시회의 효과성에 대한 인식이 참관객의 실제 구매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의 결과 전시참관목적에 따라 "집중적 참관객", "특정 목적 참관객", "순회자", "저 관심 참관객" 등 4개의 참관객 유형이 도출되었고, 각 유형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탐색적 요인 분석을 통해 "상호작용 효과성 요인", "전문정보 획득 효과성 요인", "현장 프로모션 효과성 요인", "업무정보 획득 요인" 등 4개의 전시회 효과성 요인이 도출되었고, "계획구매 요인"과 "비 계획구매 요인" 등 2개의 구매행동 요인이 도출되었다. 전시참관객이 인식한 전시회 효과성과 구매행동 간의 영향 관계를 검증한 결과, 계획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성 요인은 현장 프로모션 효과성, 전문정보획득 효과성, 업무정보획득 효과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비 계획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성 요인은 전문정보획득 효과성, 상호작용 효과성, 현장 프로모션 효과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앞으로 전시참가업체나 주최자가 더 효율적으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rade show visitors based on their purpose of visiting the trade show and then to examine whether there were any differences between each type of trade show visitors on perception of trade show effectiveness and purchase behavior. Also the othe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 of visitors` perception of trade show effectiveness on visitors` purchase intention. As a result, 4 types of trade show visitors such as "intensive user", "special purpose user", "stroller" and "pragmatist" were clustered based on the purpose of visiting the trade show, and each type of visitors`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in details. 4 factors such as "overall information acquisition effectiveness factor", "specialized information acquisition factor", "interaction effectiveness factor", and "on-site promotion effectiveness factor" were deducted as determinant factors of trade show effectiveness, and 2 factors such as "planned purchase" and "unplanned purchase" were deducted as determinant factors of visitors` purchase intention. The results also show that "on-site promotion effectiveness factor", "specialized information acquisition factor", and "overall information acquisition effectiveness factor" positively affects visitors` planned purchase behavior, and "specialized information acquisition factor", "interaction effectiveness factor" and "on-site promotion effectiveness factor" have a positive effect on visitors` unplanned purchase behavior. This study employing a theoretical framework to evaluate the visitors` purpose of visiting the trade show and trade show effectiveness from the perspective of visitors. By viewing such results, it can help trade show exhibitors and organizers to make more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in the future.

      • KCI등재

        하향적 영향력 전술이 리더십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윤리적 리더십의 조절효과

        김병진,임상혁 한국기업경영학회 2018 기업경영연구 Vol.25 No.4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influence tactics and ethical leadership on leadership effectiveness(task commitment, influence effectiveness, and managerial effectiveness). Data of this study were obtained 394 employees of company and public organization. The empirical analysis show that rational tactics such as rational persuasion and soft tactics such as consultation, ingratia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leadership effectiveness while hard tactics such as pressure, exchange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leadership effectiveness. Ethical Leadership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leadership effectiveness such as task commitment, influence effectiveness, and managerial effectiveness. This study also examine interactive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fluence tactics and leadership effectiveness. The empirical results show ethical leadership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moderating impa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ational tactics such as collaboration and task commitment. Also ethical leadership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moderating impa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ard tactics such as pressure and managerial effectiveness. 본 연구는 영향력 전술과 윤리적 리더십이 리더십 효과성(과업몰입, 영향력 효과성, 관리적 효과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영향력 전술과 리더십 효과성 간의 관계에서 윤리적 리더십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394명의 기업과 공공조직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한 실증분석결과 영향력 전술과 리더십 효과성의 관계를 보면 합리적 전술 중 합리적 설득, 연성적 전술 중 상담 및 비위 맞추기가 리더십 효과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강성적 전술 중 압력 및 교환이 리더십 효과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윤리적 리더십과 리더십 효과성의 관계를 보면 윤리적 리더십은 종속변수인 리더십 효과성 즉 과업몰입, 영향력 효과성, 관리적 효과성 등에 대해 모두 유의하게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영향력 전술과 리더십 효과성 간의 관계에서 윤리적 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실증결과 합리적 전술인 협력과 과업몰입과의 관계에서 윤리적 리더십이 유의한 정(+)의 조절효과를 보이고, 강성적 전술인 압력과 관리적 효과성과의 관계에서 윤리적 리더십이 유의한 정(+)의 조절효과를 보였다.

      • KCI등재

        전시참관객의 유형에 따른 전시회 효과성에 대한 인식이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강종량 ( Zong Liang Jiang ),김봉석 ( Bong Seok Kim ),이숙영 ( Sook Young Lee ) 한독경상학회 2015 經商論叢 Vol.3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전시회 참관객의 관점에서 전시회의 참관목적에 따른 참관객 유형별 전시회효과성의 인식에 대하여 알아보고, 참관객이 지각한 전시회의 효과성이 실제 구매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며, 이를 토대로 전시참가업체와 주최자가 전시참관객이 지각한전시회의 효과성을 제고시키는 데 마케팅 전략에 도움을 주고, 참가업체가 더 많은 리드나 계약을 창출할 수 있도록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참관객의 참관목적 요인을 도출하고, 그에 따른 참관객유형을 분류하며, 분류된 유형에 따른 전시회의 효과성에 대한 인식이 참관객의 실제 구매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 전시참관목적에 따라 “집중적 참관객”, “특정 목적 참관객”, “순회자”, “저 관심참관객” 등 4개의 참관객 유형이 도출되었고, 각 유형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탐색적요인 분석을 통해 “상호작용 효과성 요인”, “전문정보 획득 효과성 요인”, “현장 프로모션 효과성요인”, “업무정보 획득 요인” 등 4개의 전시회 효과성 요인이 도출되었고, “계획구매 요인”과“비 계획구매 요인” 등 2개의 구매행동 요인이 도출되었다. 전시참관객이 인식한 전시회 효과성과 구매행동 간의 영향 관계를 검증한 결과, 계획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성 요인은 현장 프로모션 효과성, 전문정보획득 효과성, 업무정보 획득효과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비 계획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성 요인은 전문정보 획득효과성, 상호작용 효과성, 현장 프로모션 효과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앞으로 전시참가업체나 주최자가 더 효율적으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rade show visitors based on their purpose of visiting the trade show and then to examine whether there were any differences between each type of trade show visitors on perception of trade show effectiveness and purchase behavior. Also the othe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 of visitors` perception of trade show effectiveness on visitors` purchase intention. As a result, 4 types of trade show visitors such as “intensive user,” “special purpose user,” “stroller” and “pragmatist” were clustered based on the purpose of visiting the trade show, and each type of visitors`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in details. 4 factors such as “overall information acquisition effectiveness factor,” “specialized information acquisition factor,” “interaction effectiveness factor,” and “on-site promotion effectiveness factor” were deducted as determinant factors of trade show effectiveness, and 2 factors such as “planned purchase” and “unplanned purchase” were deducted as determinant factors of visitors` purchase intention. The results also show that “on-site promotion effectiveness factor,” “specialized information acquisition factor,” and “overall information acquisition effectiveness factor” positively affects visitors` planned purchase behavior, and “specialized information acquisition factor,” “interaction effectiveness factor” and “on-site promotion effectiveness factor” have a positive effect on visitors` unplanned purchase behavior. This study employing a theoretical framework to evaluate the visitors` purpose of visiting the trade show and trade show effectiveness from the perspective of visitors. By viewing such results, it can help trade show exhibitors and organizers to make more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in the future.

      • A Study on Organizational/Program Effectiveness : Definition, Measurement, and Factors Affecting It

        Lee, Hong Jik,Bae, Chunghyu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센터 2004 이화사회복지연구 Vol.5 No.-

        Recently, the rapid growth of the human service sector in the U.S. generates the need to develop its quality and accountability to gain a limited fund. Hence, the issue of effectiveness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in human service sector. In response to this environment, this study aimed to clarify the definition of organizational/ program effectiveness, to investigate organizational/program effectiveness evaluation and measurement issues, and to identify important factors affecting organizational/program effectiveness. This study reviewed approximately forty cases of theoretical or empirical research on effectiveness in organizations, especially human service organizations and social welfare programs. This study also included a few studies in other fields such as business and public management are included as they are relevant to the discussion of organizational and program effectiveness in social service sector.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s. First, many previous studies regarded program effectiveness as a sub-category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as a result, they distinguished between program effectivenes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s two different levels. Secondly, various measures were used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program or organization in the previous research, and it was proved indirectly that developing valid and reliable measures in human service field is a difficult task. Thirdly, although diverse factors were reported to determine the level of program/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actors related to human resource were most frequently indicated as key factors among them.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ntinuous research, competition, and communication among social work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are needed to establish firm and universally accepted definitions and to develop valid and reliable methodologies to measure them. 1980년대 이래로 미국의 사회복지학계에서 '조직 및 프로그램 효과성'은 중요한 화두가 되어왔다. 이러한 효과성에 대한 관심은 정부의 복지지출 감소로 인해, 제한된 재원을 확보하는 일환으로 인간봉사 조직에게 요구되어지는 책무성과도 그 맥락을 같이 한다. 이러한 사회적 상황에서, 본 연구는 조직 및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주요 개념과 측정 방법, 그리고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명확히 하고자, 미국의 인간봉사 조직의 효과성에 관한 40여개의 연구문헌을 고찰하였다. 또한, 본고는 연구의 목적을 위해 인간 봉사 조직체뿐 아니라 일반기업체와 기타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한 효과성 연구들도 부수적으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효과성의 개념에 있어서는 프로그램 효과성은 조직 효과성의 하위개념으로 이해되며, 서비스 성과와의 비교에 있어서, 성과는 프로그램의 결과와 영향력, 성취 등으로 표현되며, 효과성은 이러한 성과가 제시한 목표에 근접하는 정도로 제시되고 있다. 둘째, 효과성의 측정 방법에 있어서는 연구에 따라, 다양한 척도들이 이용되었는데, 이는 보편타당하고 신뢰할만한 척도의 개발이 용이하지 않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증명한다. 셋째, 효과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다양한 요인들이 제시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 기관장의 가치, 지도력, 능력, 그리고 직원들의 인지능력과 행위 등과 같은 조직 구성원에 관련된 요인들이 주요한 효과성 결정요인으로 제시 되었다. 요컨대, 효과성에 대한 정의, 측정방법, 그리고 효과성 결정요인에 있어서, 연구의 목적 및 연구 대상 기관과 프로그램이 지향하는 목표 등에 따라 다양하게 규정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사회복지학계에서 조직과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논의를 통해, 보다 보편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개념의 정립 및 측정방법 상에서의 체계화가 필요함을 주장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