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간다 국제농업개발협력사업 지속가능성 영향 요인의 우선순위 분석

        김소연,정안성 국제개발협력학회 2023 국제개발협력연구 Vol.15 No.3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농업개발협력사업의 지속가능성 필요성에 대해 파악하고, 어떠한 요인이 사업의 지속가능성 제고에 영향을 미치는지 전 문가 분석 추진을 통해 향후 우리나라 국제농업개발협력사업의 추진에 있어 지속가능성 제고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의 중요성: 본 연구는 공여국과 수원국 전문가를 대상으로 사업의 지속가 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비교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중점 협력국인 우간다는 농업을 포함한 지역개발이 개발협력 전략의 최우선순위로 설정되어 있는 만큼, 사업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측면에서 국제농업 개발협력사업 파트너에게 방향성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론: 선행연구를 통해 국제농업개발협력사업의 지속가능성 영향 요인 에대해도출한후,AHP분석을활용하여우리나라및우간다전문가15명을 대상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상위요인에서 공여국과 수원국 모두 ‘역량강화’, ‘경제/인프라구축’, ‘생산/판매지원’, ‘협력체제구축’ 순으로 우선순위가 동일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하위요인에서 공여국은 ‘생산기술 및 품질관리보다 시장개척이 더 중요하다’ 고 나타났으며, 수원국은 ‘시장개척보다 생산기술 및 품질관리가 더 중요하다’ 고 나타났다. 또한 공여국에서 ‘주인의식’에 대한 우선순위는 6위인 반면 수혜 국에서는 1위로 나타났으며, ‘재원 확보’, ‘수익 배분 체계의 사전 구축’, ‘네트 워크 구축’의 중요도는 수원국보다 공여국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결론 및 시사점: 공여국과 수원국 전문가 측면에서 모두 ‘역량강화’에 대한 중요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사업의 추진주체인 개발협력 및 분야전문가 양성과 사후의 추진주체인 현지인력 양성 모두 추진될 필요성이 있다. 현지인 력은 농업뿐만 아니라 시설관리와 국제협력 부문 모두에서 배양하여 사업의 지속가능성 제고와 함께 우호적인 국제협력 생태계 조성에도 기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비슷한 맥락에서 수혜자인 농민과 주민들을 조직화하는 방안도 모색되어야 한다. 또한 수원국의 국가개발계획에 맞추어 국제농업개발협력사 업의 추진 시 농업부문의 요인에 대한 공여국과 수원국의 협의가 필요하다. 예를들어, 상업농으로발전할수있도록영세농을지원하는방안모색시판로 개척 이전에 자가소비 수준을 벗어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 다. ‘주인의식’ 또한 공여국보다 수원국에서 우선순위가 높아 사업의 지속가능 성을 제고하는데 있어 긍정적인 요인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겠다.

      • KCI등재

        중국의 국제개발협력과 국내 지역개발정책과의 연계성: 중국의 대북한 개발협력 사례를 중심으로

        신지혜(Shin Jihye) 국제개발협력학회 2017 국제개발협력연구 Vol.9 No.1

        기존 국제개발협력 연구들은 공여국들이 원조를 제공하는 동기는 주로 국제 정치적 또는 경제적 관점에서 다뤄왔다. 그러나 오늘날 떠오르는 신흥공여국인 중국의 국제 개발협력은 기존 연구들에서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했던 독특한 ‘국내적 동기’를 보인다. 중국은 기존 공여국들과 달리 심각한 저개발, 불평등과 같은 다양한 국내 문제에 직면해 왔다. 따라서 중국은 원조정책을 포함한 국가 정책에 자국내 개발 문제와 연계시키는 전략을 취하는 경향이 높다. 본 연구는 중국의 접경지역에서의 국제개발 협력과 지역 개발 정책 간의 연관성을 주장한다. 중국의 국내 낙후지역 개발은 중국이 접경 국가들과 개발협력 프로그램을 시행하는 하나의 목적 중 하나일 수 있다. 중국과 접하고 있는 북한과의 개발협력 사례를 살펴봄으로서, 본 연구는 북중 개발협력과 중국 내 동북 3성의 지역개발 정책 간의 연계성을 분석한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 으로 결론에서는 기존 공여국들과 구별되는 중국과 같은 신흥공여국들과 그들의 원조 동기에 대한 폭넓은 이해가 필요함을 주장하며 마친다. In the study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the motive for donors to provide aid has been dealt mainly with international political or economic perspectives. However, an emerging donor, China s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has a distinct domestic motive, which has received relatively little attention from previous studies. As a developing country, China has been faced with various domestic problems such as underdevelopment and inequality from which most of the donors had not suffered seriously. In this regard, it is not so surprising that China tries to link its development issue to other polices including the aid policy. This paper suggests the connection betwee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of China and its regional development policy in border areas. The regional development in backward areas can be one of the purposes of China s implementation of development programs with developing countries sharing borders. In other words, the fact that China is still developing and sharing borders with many developing countries causes it domestic motives. By investigating the case of development cooperation between China and North Korea, we can find out that China s development cooperation has relevance to the development policy for three northeastern provinces in China. This research comes to a conclusion by arguing the needs to broaden our understanding about new donors and their aid motives which are differentiated from that of conservative donors.

      • KCI등재

        새로운 국제개발협력 정책의 모색 : 3차 국제개발협력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제언

        권혁주(Huck-ju Kwon),김태균(Taekyoon Kim),김성규(Sung Gyu Kim),김은주(Eunju Kim),이수연(Suyeon Lee) 국제개발협력학회 2020 국제개발협력연구 Vol.12 No.1

        Purpose: Despit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erms of ODA institutions and policies since Korea’s accession to the OECD/DAC in 2010, there have emerged various weaknesses and shortcomings in Korea’s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system such as fragmentation, ineffectiveness and low transparency. The study aims to analyze those weaknesses and shortcomings and provide policy recommendations for improvement. Originality: From the analytical perspective of the rational policy model, this study examines policy goals, implementation system,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Korea’s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system. The findings will be important contributions to the upcoming discussions on the 3rd Mid-term Strategy for Development Cooperation. Methodology: The study analyzes official documents, publications, and statistics of the Korean government over the past decade, and in-depth interviews conducted with experts from government, academic and civil society in the field. Result: Due to the fragmented structure of Korea’s ODA policy and implementation, some negative outcomes such as project overlaps and confusions and insolvency have occurred in the ODA delivery process. The more fundamental problem arises from the ambiguity embedded within the basic ideology and goals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of Korea. Because of such ambiguity the multiple ODA implementing agencies have difficulties of aligning their programs with the overall policy goals, resulting in low degrees of effectiveness,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Conclusion and Implication: The study suggests that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pursue universal values of human freedom, economic/social development and global sustainability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policy while also maintaining her comparative advantages such as rapid economic development and democratization. It also suggests that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enhance the policy rationality and coherence when establishing the 3rd Mid-term Strategy for Development Cooperation. Lastly, the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building partnership with the private sector and civil society in order to enhance development effectiveness. 연구목적: 우리나라는 2010년 OECD/DAC가입 이후 국제개발협력 분야에서 많은 개선을 이루었지만, 제도·정책 측면에서 원조의 분절화, 개발효과성 실현 및 성과평가의 체계화 등 여러 취약점을 노정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의 국제개발협력정책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과 그 원인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연구의 중요성: 한국의 국제개발협력정책이 가지고 있는 취약점과 한계를 합리적 정책모형에 따라 정책목적, 이행체제, 성과평가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향후 한국 정부가 3차 기본계획을 수립함에 있어 일관성 있는 정책으로 개발효과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제도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실천적 중요성을 가진다. 연구방법론: 본 연구는 2010년 OECD/DAC에 가입 후 지난 10년간의 대한민국정부의 공식문서와 간행물 그리고 공식적인 통계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이와 더불어 정부, 학계 그리고 현장 전문가들과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ODA 시행기관이 나뉘어 있는 현재의 분절화된 추진체계가 유지되면서 기관 간 원조중복, 전달체계 혼선, 사업부실화 등 여러 부작용이 발생하였다. 보다 근본적인 취약성은 한국만의 국제개발협력의 철학과 가치가 불분명한 것으로, 이로 인해 시행목표, 추진방향, 주요정책과제 선정 등 하위단계에 대한 명확한 방향성과 체계가 마련되지 못하고 있다. 이는 한국의 개발효과성, 투명성, 책무성을 제고하는데 한계로 작용한다. 결론 및 시사점: 제3차 기본계획을 수립함에 있어 국제개발협력의 보편적 가치를 설정함과 동시에 한국적 정체성이 조화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정책과 집행의 과정에서 연계성과 정합성을 제고하는 것의 필요함을 제시하고, 정부 이외의 민간부분, 시민사회 등 다양한 개발주체의 역할과 참여를 통해 개발 파트너십을 구축하며, 이를 통해 정책의 효과성을 제고해야 함을 강조한다.

      • KCI등재

        국제개발협력 평가의 정책적 의미에 대한 소고: 유럽 선진 공여국 사례를 중심으로

        김지영(Jiyoung Kim),김석우(Seokwoo Kim) 국제개발협력학회 2018 국제개발협력연구 Vol.10 No.2

        연구목적: 본 논문에서 저자는 유럽 선진 공여국 사례를 통하여 국제개발협력에서 평가의 효과 성에 대해 진단해 보고자 한다. 연구의 중요성: 본 논문의 문제 인식은 오늘날 원조 효과성 제고를 위해 국제개발협력 평가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도 강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평가가 가지는 정책적 의미가 여전히 제한적이라는 데서 출발하였다. 연구방법론: 특히 본 논문에서는 국제개발협력 평가의 정책적 의미를 좀 더 심도 깊게 논의하기 위해 유럽 선진 공여국들 (독일, 노르웨이, 스웨덴, 네덜란드)의 평가 시스템을 살펴보았으며 이국가들의 원조를 담당하는 주요 정부 기관을 직접 현지 방문하여 수집한 심층 대면 인터뷰 자료를 기반으로 개발협력 평가의 정책적 의미와 그 한계를 분석했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주요 논지는 다음과 같다. 우선 저자는 국제개발협력 분야에서 종종 객관적 이고 엄밀한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현상을 ODA 시스템 차원 내에 존재하는 여러 딜레 마와 한계로 설명했다. 그리고 유럽 선진 공여국 사례를 중심으로 국제개발협력 평가가 실제 공여기관의 거시적 차원에서의 정책 변화에 미치는 의미가 제한적임을 보여주었으며 그 원인을 주로 공여국의 평가 시스템과 ODA를 둘러싼 공여국 내에서의 관료 정치의 특성으로 설명했다. 결론 및 시사점: 본 논문에서 저자는 국제개발협력에서 원조 효과성 제고를 위한 평가의 의미가 종종 제한적이라는 점을 밝히고 설명했으며 평가가 갖는 진정한 의미에 대한 고민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Objectives: This study questions policy implications of evaluation in the field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ation. Originality: Despite the rising reognition on the importance of evaluation, the author highlights the limitation of policy implications of ODA evaluation.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s on the case of European advanced bilateral donors (including Germany, Norway, Sweden, and Netherlands). Methods: The author examined and compared their evaluation systems and discussed policy implications of evaluation reports in these donor agencies based on the interview data collected by face-to-face interview. Results: This study highlights that in many cases, a rigorous and objective evaluation is absent in the field of devlelopment cooperation due mainly to the existence of dilemma and limitation within the ODA system. In addition, based on the case of European donors, the author shows the limitation of evaluation reports in terms of brining actual policy change in macro level and highlighted the nature of bureaucratic politics within donor countries as a causal factor.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role of evaluation is often limited in terms of bringing actual change in aid policy and donor behavior suggesting a need to come up with a new approach in understanding the role of evaluation.

      • KCI등재

        한국 국제개발협력 시민사회의 대정부 정책주창활동 분석

        한재광(Jae Kwang Han) 국제개발협력학회 2023 국제개발협력연구 Vol.15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정부를 대상으로 국제개발협력 정책주창활동을 전개해온 시민사회 연대체인 국제개발협력시민사회포럼(KoFID)의 자원동원과 집단적 정체성 형성과정을 사회운동론 관점에서 정리하여, 한국 국제개발협력 시민사 회의 특성에 대한 이론화를 시도한다. 연구의 중요성: 한국 연구사회에서 국제개발협력 시민사회에 대한 연구가 정 부와 시민사회 관계에 집중되는 경향에 비해 시민사회 고유의 특성을 분석하는 이론적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본 연구는 시민사회를 설명하는 이론인 사회운동론 관점에서 국제개발협력 시민사회의 특성을 분석한다. 정책주창활 동을 전개해온 시민사회 연대체인 KoFID를 사회운동론의 자원동원론과 구성 주의 이론으로 분석해 이론화를 시도해 국제개발협력 시민사회 관련 연구의 심층화에 기여한다. 연구방법론: 사회운동 자원동원론 및 구성주의 이론을 연구한 선행연구들을 정리해, 자원운동 3단계론과 프레임 구성의 3요소론을 종합한 분석틀을 구성했 다. 이를 기반으로 2010년부터 2022년까지 13년간 활동한 KoFID의 홈페이지, 정기총회 자료집을 분석했다. 연구결과: KoFID가 정책주창활동을 수행하기 위한 잠재력은 2000년대 중반 이후 시민사회, 정부 및 국제사회를 둘러싼 환경 가운데 형성됐다. 또한 기존에 활동해온 시민사회의 정책주창활동 경험을 바탕으로 인력, 재원, 전문성이 확보 됐다. 그리고 기존 네트워크와 개별단체의 정책주창활동 경험과 정부의 적극적 인 정책수행 기조는 정책주창활동에 참여하고자 하는 시민사회단체의 동기를 제고했다. 시민사회는 정부가 시민사회를 ODA 지원대상 및 정부 정책의 보완자 로 규정하는 것에 대해 문제의식을 가져왔다. 또한 정책주창자로서의 시민사회 의 역할이 필요하다는 집합적 정체성은 참여단체 내에 공유됐고, 이를 바탕으로 KoFID는 구성원을 대표해 정책주창자로서 집합적 행동을 전개했다. 결론 및 시사점: 정부를 대상으로 정책감시와 대안제시를 전개해온, 시민사회 의 다양한 주체들이 참여한 정책주창 운동연대체라는 집단적 정체성을 가진 KoFID의 활동은 사회운동으로 설명될 수 있다. 향후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국제개발협력 시민사회의 정책주창활동에 대한 다양한 이론적 연구가 가능할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theorize the activities of Korean civil society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by examining the resource mobilization and collective identity formation of the Korean Civil Society Forum o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KoFID) from a social movement theory perspective. Originality: While recent research on civil society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has focused on government-civil society relations, this study analyzes the activities of the KoFID in terms of a social movement theory perspective. Methodology: This study forms an analytical framework from resource mobilization theory and constructivism theory and analyzes the KoFID’s website and the materials of its general assembly for 13 years. Result: The potential for KoFID to undertake policy advocacy was well established in the environment surrounding civil society, government,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ince the mid-2000s. Civil society’s experience in policy advocacy provided human resources, financial resources, and expertise. The experience of networks and individual organizations in policy advocacy, as well as the government's policy orientation, increased the motivation of CSOs to engage in policy advocacy. Civil society was concerned about the government's perspective and attitude toward civil society as a recipient of ODA and as a complement to government policies. The collective identity of the need for civil society to play a role as a policy advocate was shared among the participating organizations. Based on this, the KoFID has been implemented collective actions as a policy advocate. Conclusion and Implication: The KoFID has been conducting policy monitoring and alternative proposal activities to the government with a collective identity as a policy advocate by mobilizing the resources of development NGOs and CSOs, inluding their organizations, people, and experience.

      • KCI등재

        국제개발협력정책 내 여성, 평화, 안보(WPS) 규범의 수용 : 영국과 한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박민정(Min Joung Park) 국제개발협력학회 2021 국제개발협력연구 Vol.13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구성주의적 시각에서 여성, 평화, 안보(WPS, Women, Peace, Security) 의제가 1990년대 이후 국제규범으로 형성, 확산된 과정을 분석하고 공여국의 국제개발협력정책 내로 수용된 방식을 설명하고자 한다. 연구의 중요성: 국제개발협력정책 내 WPS 규범이 수용된 결과, 지난 20년간 OECD DAC 회원국의 분쟁지역 내 성평등 및 여성 역량강화를 위한 젠더ODA 규모는 대폭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연성규범(soft norm)인 WPS 규범이 어떤 과정을 통해 공여국 의 국제개발협력정책 내로 수용될 수 있었는지 사례연구를 통해 밝히고자 한다. 연구방법론: 본 연구는 문헌분석을 통해 WPS 의제의 확산과 규범화 과정을 분석 하였다. 공여국의 국제개발협력정책 내 WPS 의제의 수용 과정을 맥락적으로 분석 하기 위해 영국과 한국을 사례연구 대상으로 선정하고, 문헌분석 및 관계자 인터 뷰를 병행하였다. 연구결과: 여성인권단체들은 1990년대 초국가적 네트워크를 결성하여 국제사회 내 여성, 평화, 안보 논의를 주도하였고, 2000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여성, 평화, 안보에 대한 결의(1325호)를 채택하며 WPS 의제는 국제규범으로 성문화되었다. 이후 1325호 국가행동계획의 수립을 통해 주요 공여국의 국제개발협력정책 내 WPS 규범이 수용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여성인권단체들은 한국과 영국의 사례처럼 1325 호 국가행동계획의 수립을 정부에 요구하거나 직접 참여, 평가함으로써 규범의 국 내적 수용에 영향을 미쳤다. 결론 및 시사점: WPS 의제는 유엔 안보리 결의 1325호 채택을 통해 국제규범으 로 수립된 이후에도 9건의 후속 결의가 계속 채택되며 높은 수준으로 제도화되었 고 그 과정에서 국제개발협력정책 내로 점진적으로 수용되었다. 특히 영국과 한국 의 경우, 각각 2012년 및 2018년 WPS 관련 자국의 외교 이니셔티브를 별도로 출범시킴으로써 국제개발협력정책 내 WPS 규범이 대폭 수용되었으며 이 과정에 서 여성인권단체는 규범 주창자를 넘어 ODA 사업의 기획 및 실행에 참여하는 이해관계자로 활약하였다. Purpose: From a constructivist perspective, this paper traces how Women, Peace, and Security(WPS) agenda has been invented, transformed, and proliferated as a global norm and how it has been accepted into donor countries’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olicy. Originality: OECD DAC members’ contribution to gender equality focused ODA in fragile states has increased substantially over the past 20 years. Using a comparative case study of two donor countries, the UK and South Korea, the paper explores how WPS norm has been adopted in their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olicies. Methodology: The paper mainly uses literature reviews and documentary analysis. In order to contextually analyze the process of WPS norm diffusuion in the donor country’s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olicy, the UK and South Korea were selected as case studies, and literature analysi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Result: In the 1990s, women’s rights organizations formed transnational advocacy networks and led the discussions on WPS agenda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 2000, by the adoption of the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 1325, the WPS agenda has been institutionalized as a global norm. By the adoption of National Action Plans for the Implementation of UNSCR 1325(NAPs), donor countries have adopted the WPS norms in their development cooperation policies. As in the case of the UK and South Korea, women’s rights organizations have made a significant impact in the WPS norm internationalization, by urging the government for the establishment of NAPs, or by directly participating and evaluating them. Conclusions and Implication: In the case of the UK and Korea, the WPS norms were widely accepted in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olicy by launching their own diplomatic initiatives related to the WPS in 2012 and 2018, respectively. In this process, women’s rights have played an active role in th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of relevant ODA projects.

      • KCI등재후보

        국제교육개발협력에서의 민관협력(‘PPP’) 현황 및 쟁점 분석

        유성상(Sung Sang Yoo),이기석(Ki Seok Lee) 국제개발협력학회 2016 국제개발협력연구 Vol.8 No.3

        국제개발협력 분야에서 공공 부문과 민간 부문의 협력 프레임워크가 점차 주목을 받고 있다. 이것은 민관협력, 혹은 PPP(Public-Private Partnership)라고 불리어 지며 전통적인 개발재원인 ODA의 한계성에 대한 주요 대안 중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 2015년 이후의 국제개발협력의제를 통칭하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를 실현하기 위한 논의의 핵심은, 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재원을 어떻게 확보할 것인가라는 문제였고, 단지 공적개발재원인 ODA에 의존하기 어렵다는 점을 인정하고 적극적으로 기업을 포함한 민간 재원을 포함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과연 개발협력, 특히 교육개발협력에 있어 PPP의 확대를 통한 재원 확보가 기대하고 있는 ‘효과적 개발’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논의가 필요하다. 이에 본고에서는 이러한 민관협력의 점증하는 중요성에 대한 인식에 착안하여 국제개발협력 및 교육분야 개발협력에서 나타나는 민관협력의 주요 특징 및 최근 동향들을 검토하고, 이어 교육개발협력에서의 PPP가 갖는 도전이슈들을 면밀히 제시하였다. 또한 민관협력의 주요 전략적 시사점과 제언 사항들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향후 민관협력의 효율적 활용방안을 구체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A collaborative partnership between public sector and private sector called ‘Public-Private Partnership (PPP)’ has gained its importance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Particularly, PPP is recognized as a financial alternative for the traditional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since it is believe that ODA alone cannot fully meet the needs in development. In this sense, one of the main focus in Post-2015 years lies in the ‘finance for development (also referred to as development financing)’ and this includes PPP to make development financially sustainable by mobilizing sufficient amount of development resources. Looking back on the history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PPP has been one of the most prevalent particularly in the area of infrastructure-driven development projects/programs. In accordance with the booming of PPP in infrastructure development, various forms of education PPP have been also implemented in education-related projects/programs over the past decades even though the scale of finance in education PPP has been relatively smaller than the infrastructure one (Patrinos et all. 2008). At global level, there have been remarkable achievements in education but they also entailed a number of challenging issues such as extreme poverty, gender inequality, and youth unemployment unlike the original expectations. This was proven by many of the following assessments on international development goals such as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MDGs),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and Education for All (EFA). Similarly, there are also different approaches and assessments on education PPP from the academic stances and this leaves large rooms for further research and discussions. In this sense, roles of PPP have become more important and emphasized in the years of SDGs, and accordingly, this study seeks to clarify the features of education PPP as well as its limitations,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 KCI등재

        Disability-Inclusive Development:

        Kim, Hyung-Shik(김형식) 국제개발협력학회 2010 국제개발협력연구 Vol.2 No.2

        본 논문의 핵심주제는 장애인들도 여러 형태의 개발협력의 대상이 되어야 하고 과정에 포함되어야 한다는 “장애포괄 개발” (Disability-Inclusive Development, DIN)이다. 본 논문은 유엔을 비롯한 세계은행, UNDP 등의 자료에 의해 빈곤과 장애의 관계가 분명하다는 지적에도 불구하고 개발원조를 주도했던 주 공여들도 장애포괄개발을 개발협력사업 주류의 사업에서 배제해 왔음을 지적한다. 향후 개발협력분야는 보다 적극적으로 장애와 빈곤의 문제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장애포괄 정책의 채택을 정책 아젠다로 채택해야 된다고 주장 한다. 또한 문제 제기의 차원에서, 개발협력 당사국뿐 아니라 개발협력 학계도 마찬가지로 장애포괄, 또는 장애와 빈곤의 문제를 개발협력의 핵심과제로 발전시키지 못했다는 것을 지적하고 있 다. 이것은 곧 개발협력의 대상인 ‘빈민중의 빈민’이라는 장애인의 ‘개발에 대한 권리”를 완전히 무시 했다는 다른 문제와 궤를 같이한다. 이러한 인식의 부재는 결국 학문의 영역에서도 장애포괄개발에 관한 실무와 지식 기반의 취약함을 잘 설명해 준다. 이런 점에서 개발협력 전공자들은 유엔이 주창하는 ‘개발과 권리’ 아젠다를 수용해야 할 막중한 과제를 인식해야 될 것이다. 이러한 주장에 2006년 UN이 채택한 국제장애인권리 협약”이 논리적 및 국제법 사의 근거를 제시해 준다. 특히 32조에서 조항으로 채택한 “International Cooperation’ 을 여러 각도에서 조명할 때 DIN에 관한 함의가 분명해진다. 2008년 비준된 유엔 장애인권리 협약과 최근 비판의 대상이 되었던 MDGs에 의해서도 역시 장애포괄의 국제개발협력이 쟁점으 로 등장해 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영국, 호주, 독일 등 경제 선진국이 주도하는 개발협력기구들이 활발히 채택하고 있는 장애포괄개발 정책의 추세를설명했다. 정책개발에 관한세계적인 추세에대한 논의와아울러 한국 개발협력이 채택할 수 있는 장애포괄 정책의 몇 가지를 제안한다. 논문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한국의 개발 경험과, 빈곤, 특히 전쟁이후 장애의 문제를 극복한 국가적 경험을 기반으로 하여 장애포괄정책을 발전시킬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향후 2015년 까지 ODA 기여금이 30억불이 될 경우 최소한 30억불의 1%를 장애포괄정책으로 할당할 것, 한국의 개발협력 정책 에 DIN을 핵심 전략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전략 팀 개발, 장애-빈곤 기초자료 확보를 위한연구의 활성화, DIN 중심 개발협력 정책 수행을 위하여, 국가단위를 필두로, 국제기구 지여간 및 시민사회를 포함하는 협력관계를 구축할 것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 소개한 ‘twin-track’ 접근방법이 얼마나 실효성 있게 시행될 것이며, 정책 개발과정에서의 DIN의 주류화, 그리고 장애인 당사자들의 정책, 정책시행 및 모니터링과정에 의미 있는 참여를 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일이다.

      • KCI등재

        국제개발협력에서의 노인 임파워먼트와 사회적 포용 연구 : 캄보디아 노인자조모임 사업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손혁상(Hyuk-Sang Sohn),박종남(Chongnam Park),유현석(Hyun-seok Yu),이은혜(Eunhye Lee) 국제개발협력학회 2020 국제개발협력연구 Vol.12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한국국제협력단 지원으로 캄보디아에서 진행된 헬프에이 지캄보디아(HAC, HelpAge Cambodia) 사업에 대한 사례 연구이며, 노인자조모 임(OPA, Older People’s Association)의 효과를 노인의 임파워먼트와 사회적 포용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연구의 중요성: 노인은 국제개발협력 분야의 중요한 취약계층 그룹임에도 불 구하고 그간 국내에서 관련 연구가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 OPA는 한 국제NGO 에 의해 다양한 국가에서 노인을 대상으로 진행되어 온 개발협력 사업의 모델 이다. 캄보디아 OPA 사업 사례 분석을 통해 노인을 대상으로 한 개발협력의 접근과 방향성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연구방법론: 본 연구는 사례 연구 방법을 택하였으며 3년간 현장 조사를 통해 수집한 참여관찰, 심층 인터뷰, 포커스 그룹 인터뷰, 기초선·종료선 설문조사 데이터를 활용 및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캄보디아 노인들은 OPA 활동을 통해 자신감과 사회적 유대감을 회복하고 있었으며 OPA는 노인들에게 사회적 참여의 기회이자 임파워먼트의 과정이었다. 결론 및 시사점: 캄보디아 노인은 OPA 활동을 통해 대상이 아닌 주체로서 노인 권리 증진을 위한 환경 구축과 정책 입안 과정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였으며, 그것은 노인의 임파워먼트와 사회적 포용을 높이는데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한국국제협력단 지원으로 캄보디아에서 진행된 헬프에이 지캄보디아(HAC, HelpAge Cambodia) 사업에 대한 사례 연구이며, 노인자조모 임(OPA, Older People’s Association)의 효과를 노인의 임파워먼트와 사회적 포용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연구의 중요성: 노인은 국제개발협력 분야의 중요한 취약계층 그룹임에도 불 구하고 그간 국내에서 관련 연구가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 OPA는 한 국제NGO 에 의해 다양한 국가에서 노인을 대상으로 진행되어 온 개발협력 사업의 모델 이다. 캄보디아 OPA 사업 사례 분석을 통해 노인을 대상으로 한 개발협력의 접근과 방향성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연구방법론: 본 연구는 사례 연구 방법을 택하였으며 3년간 현장 조사를 통해 수집한 참여관찰, 심층 인터뷰, 포커스 그룹 인터뷰, 기초선·종료선 설문조사 데이터를 활용 및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캄보디아 노인들은 OPA 활동을 통해 자신감과 사회적 유대감을 회복하고 있었으며 OPA는 노인들에게 사회적 참여의 기회이자 임파워먼트의 과정이었다. 결론 및 시사점: 캄보디아 노인은 OPA 활동을 통해 대상이 아닌 주체로서 노인 권리 증진을 위한 환경 구축과 정책 입안 과정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였으며, 그것은 노인의 임파워먼트와 사회적 포용을 높이는데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 KCI등재

        국제개발NGO 성과에 대한 구조적 개념화 연구 : 관리자 인식을 중심으로

        김정선(Jung Sun Kim) 국제개발협력학회 2020 국제개발협력연구 Vol.12 No.4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개발NGO 성과의 개념과 의미, 구성체를 도출하 고 구조화하여 성과관리와 측정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즉, 국제개발NGO 성과 의 개념을 구조화하고 구성요소의 중요성과 측정가능성을 조직특성과 직급으로 비교하며 성과 측정영역과 내용을 제안하였다. 연구의 중요성: 본 연구는 최근 SDGs 달성을 위한 독립된 개발주체로서 성과 제시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요구받고 있는 국제개발NGO의 성과 개념 구성체를 경험적으로 확인하는 기초연구로 학술적 중요성을 갖는다. 본 연구로 확인된 국제개발NGO 성과 개념들의 목록과 차원, 군집에 대한 정보는 성과 척도개발시 요인 및 측정지 표의 각 영역과 내용들을 구성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나아가 국제개 발NGO간의 경쟁과 양극화 심화현상의 지속화의 문제를 협력과 파트너십 확대, 중간지원조직을 통해 제도적으로 지원하는 정책적 노력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연구방법론: 국제개발NGO 성과개념의 주요 구성요소가 무엇이며 도출된 구성요 소의 중요성과 측정가능성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국제개발NGO에 서 성과관리 직무 경험이 있는 관리자와 대표적인 이해관계자인 KOICA와 KCOC 관리자들 30명과 함께 연구 참여자의 의견을 반영할 수 있는 개념도 연구(Concept Mapping)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개념도 프로그램인 ‘Concept System Software Core 4.0’을 사용하여 다차원 척도분석, 위계적 군집분석을 실시하고 포인트지도, 군집지도, 군집평정지도, 패턴매치, 고존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국제개발NGO 성과 개념을 구성하는 문항 95개를 도출하고 성과 개념 구성요소는 조직 내·외부 관계와 가치·과정(행동)·결과(생산)라는 2가지 차원과 조직 책무성 강화’, ‘조직 핵심가치 실현’, ‘조직구성원 성장’, ‘이해관계자 참여’, ‘재정자원 확보’, ‘국제개발협력사업 지속가능성 향상’, ‘인식개선’, ‘정책제도화’, ‘유관기관 파트너십’ 총 9개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범주화된 각 군집의 중요성과 측정가능성의 인식은 상이하게 나타났으며 성과 구성요소의 중요성과 측정가능성 에 대해 관리자의 조직특성과 직급 간 비교에서는 모두 유사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특성과 직급을 기준으로 했을 때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성과개념 문항은 각각 40개와 43개로 나타났고 마지막으로, 국제개발NGO 성과 개념문항 중 가장 중요하고 측정가능하다고 인식하는 문항은 16개로 나타났다. 결론 및 시사점: 본 연구는 첫째, 다의적인 개념으로 이론적으로만 논의되어 왔던 비영리조직의 성과의 개념을 성과 관리 경험이 있는 현장 전문가의 인식을 바탕으로 도출하고 정리하였다 점 둘째, 조직차원의 성과의 의미와 개념화에 대한 연구가 전무한 국제개발NGO 성과의 구성요소를 중요성과 측정가능성, 조직특성 과 직급 간의 비교를 도식화하여 이해를 도왔다는 점 셋째, 국제개발NGO 성과 개념을 범주와 차원별로 구조화하였다는 점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현장 전문가의 경험을 바탕으로 연구되었기 때문에 국제개발NGO 현장에서의 적용가능성이 높 으며 성과 관리와 측정의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함의를 갖는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and structure the performance concept, meaning, and components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NGOs (“IDNGOs”) to present the performance management and measurement direction. In other words, the performance concept of IDNGOs was structured, the importance and measurability of the components were compared in terms of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ranks, and the performance measurement areas and contents were proposed. Originality: This study has academic importance as basic research that empirically confirms the performance concept and components of IDNGOs that are recently requested to take social responsibility for presenting performance as independent entities to achieve SDGs. The presented and confirmed information on the list, dimension and cluster of performance concepts of IDNGOs can be used as basic data in creating factors, and the areas and contents of measurement indicators in connection with the development of performance scale. Furthermore, efforts were confirmed as needed to expand collaboration and partnerships, and to provide policy support through intermediary organizations to help resolve the problems of the continuous deepening competition and polarization among DNGOs. Methodology: Concept mapping aimed at reflecting the opinions of participants in the study was conducted together with 30 managers experienced in the performance management at IDNGOs and managers from the representative stakeholders, KOICA and KCOC, in order to identify the major performance concept components of IDNGOs and to determine the perception difference in the importance and measurability of the determined components. Using the concept diagram program, Concept System Software Core 4.0, the gathered data underwent a multidimensional scale analysis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as well as a point map, cluster map, cluster rating map, pattern match, and go-zone analysis. Result: 95 questions about the performance concepts of IDNGOs were determined. The performance concept components were classified into two dimensions of internal and external relationships and values/process(behavior) /results, and into a total of nine clusters of ‘reinforcement of organizational accountability’, ‘realization of core values of the organization’, ‘growth of organizational members’, ‘stakeholder participation’, ‘securing financial resources’, ‘improving the sustainability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improving awareness’, ‘institutionalizing policies’, and ‘partnerships with related organizations’. The study showed a different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each categorized cluster and of the measurability thereof, and a similar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performance components and of the measurability thereof in the comparison of managers’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ranks. 40 and 43 performance concept questions were perceived as the most important performance concept questions in terms of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ranks, respectively. Lastly, of the performance concept questions of IDNGOs, 16 questions were perceived as the most important and measura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