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사회복지계의 정치참여 실태

        김성이,김교연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센터 2004 이화사회복지연구 Vol.4 No.-

        In order to raise consciousness of political participation for social workers and to suggest the future direction of political particip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olitical participation state among social workers, professionals and students related to social welfare field. The investigated items of political participation state are politics efficiency, politics interest, a politics tendency, joining of social welfare associations and labor unions and the necessity of making social welfare party. The data were collected by inter-net. The number of respondents are 1690 persons. The data were analyzed to get the political participation state and compared with the American statistics As a result, the level of political participation appeared lower than that of the U.S.A. Although activities of participating meeting and demonstration activities are higher, the activities of contacting government officers and contributing for their preference party and candidates are lower. The rate of individual efficiency and political interest are high, but political efficiency are low. Generally the respondents have the tendency of social reformist in terms of political ideology and party preference. It was examined that most of respondents eager to making political party of social welfare. These results are throwing us an assignment of actualization of welfare political party. 본 연구는 사회복지인들의 정치참여 실태조사를 통하여 사회복지인들의 정치참여 현황을 분석하고, 정치참여 수준을 인식하여 경각성을 제고하고자한다. 또한 사회복지인들의 차후 정치참여 활동 방향을 제시하고 사회복지계의 정치세력화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 모색을 보고자 한다. 조사내용은 정치참여 실태 및 자기 효능감·정치효능감·정치흥미·정치성향의 특성, 사회복지관련협회 가입실태, 노조가입 실태, 복지정당필요인식도, 정당 활동의지 등이다. 아울러 미국의 사회복지계의 정치활동과 2000년 이후의 사회복지계의 정치활동 동향을 살펴보고 이와 관련되어 정치활동 수준에 대한 외부적 평가를 살펴보아 우리의 현실에 대한 이해를 깊이있게 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한국의 사회복지인들의 정치참여의 수준은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정치참여 형태가 집회나 시위 참여와 같은 항의형의 활동이 주를 이루었고, 정부관료를 접촉하는 권력수준으로의 활동형태나 정치후보자를 위한 선거에 개입하는 형태의 정치활동은 낮은 수준이었다. 또한 사회복지인들은 자기 효능감이나 정치흥미는 높지만 정치효능감은 낮았다. 또한 사회복지인들은 대체적으로 개혁적인 성향을 갖고 있었으며 선호정당과 정치이념 뿐만 아니라 복지정당필요성에 대해서도 높은 수가 열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결과는 우리에게 복지정당설립의 현실화라는 과제를 던져 주고 있다.

      • 장애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 변인에 관한 연구

        김미옥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센터 2002 이화사회복지연구 Vol.2 No.-

        본 연구는 장애아동의 사회적 능력과 가족변인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장애아동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가족변인의 사회적 능력에 대한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한 것 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서울시 소재 장애인복지관 15개소에서 서비스를 받고 있는 지적 장애를 가진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분석에는 172부가 활용되었다. 장애아동의 사회적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Pease, Clark & Crase(1979)가 개발한 어머니용 사회적 능력 척도를 활용하였다. 또한 가족변인은 가족스트레스, 가족의 장애수용정도, 가족기능, 가족자원 및 외부로부터의 도움 정도(동료가족, 전문가, 확대가족)로 구성하였으며, 이 중 가족외 장애수용정도와 외부로부터의 도움 정도는 연구자가 5점 리커드식으로 문항을 구성하여 활용 하였다. 가족스트레스는 Helroyd(1974)가 제작한 QRS척도, 가족기능은 Epstein과 동료들이 개발한 가족기능척도(FAD), 가족자원은 McCubbin, Comeau & Harkins가 개발한 가족자원척도(FIRM)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장애아동의 사회적 능력 정도는 전체 평균이 2.82로 나타났다. 하위차원에서는 안정성이 평균 3.33으로 가장 높았으며, 사회적 활동성이 평균 2.48로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사회적 능력과 가족변인의 상관관계에서는 가족스트레스와 사회적 능력이 가장 높은 부적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장애아동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사회적 능력(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변인은 가족스트레스, 장애수용정도, 가족자원, 가족기능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외에도 사회적 능력의 각 하위차원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변인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이러한 실증적 분석을 바탕으로 장애인복지실천에서 장애아동의 사회적 능력 향상을 위한 개입의 바람직한 구조적 틀(아동 및 가족 동시 개입) 뿐 아니라 프로그램의 내용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고 있다. Little empirical study has been conducted concerning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mily variables that may influence social competence and social competence level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is study used the sample of 172 children with disabilities selected from 15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SPSS PC+ 10.0. The summary of the results is as follows. First, The Mean of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s 3.33. And it was revealed that there i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family stress and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Second,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family stress, acception of disability, family resource, family function were influenced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is finding give us significant practical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intervention &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in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 한국 사회복지사의 정치 활동에 관한 연구

        김성이,김수정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센터 2003 이화사회복지연구 Vol.3 No.-

        The recent growth of self-administration of local governments and civil society has brought rise of many civil organizations, and they are having increased influence in the policy formulation procedures through their political activities. Under such situation, political participation and struggles to seek reformation and improvement of social welfare in Korea have become unavoidable tasks for social workers who are at the front lines, working to promote welfare of people, communities and the overall society. It is imperative to build a state firmly established in achieving the vision and goals of social workers through such efforts. Social workers' political activities can be classified into two different kinds: one being involved in interest groups such as the NASW and other similar groups in the US and the other being involved in political parties such as the Green party of Germany or the Democratic Labor Party of Korea. For social workers in Korea, there lie obstacles that needs to be overcome in order to carry out such political activities: one is whether the social worker is recognized as a laborer so as to take part in the labor union, and the other is the level of political freedom the social worker can possess under the current situation where most of social welfare programs are financially supported by the government. We social workers need to put in efforts to find ways to overcome such obstacles, and at the same time to organize the system that is needed fulfill the task and facilitate active participation of the members so as to harvest the results from such political activities. 최근의 지방자치제와 시민사회의 성장은 많은 시민사회단체들의 활동을 가져왔고 정치활동을 통해서 이들은 정책결정과정에서 그들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현장에서 사회복지를 실천하고 있는 사회복지사들에게 있어 이제 우리나라 사회복지의 개혁과 발전을 위해 정치적 참여와 투쟁을 꾀하는 일은 더 이상 피할 수 없는 당면과제가 되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우리가 갈망하고 있는 비젼과 목표가 성취되는 진정한 사회복지 국가를 건설하여야 한다. 사회복지사의 정치활동은 크게 NASW를 비롯한 미국의 이익집단과 한국의 시민단체와 여성단체와 같은 형태인 이익단체를 통한 정치참여와 독일의 녹색당과 한국의 민주 노동당과 같은 정당으로서의 정치참여로 나눠볼 수 있다. 우리나라 사회복지사들의 경 우, 이러한 정치 활동을 위해서 극복해야만 하는 과제가 존재한다. 그것은 사회복지사틀 노동자로서 노동조합에 참여를 인정하는 여부와 대부분의 정부 보조로 이루어지는 사회복지 사업에 종사하고 있는 현실에서 정치활동이 얼마나 금전적으로 정부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가 하는 문제이다. 우리 사회복지사들은 이러한 문제의 극복방안을 모색하는 노력을 기울임과 동시에 필요한 조직을 구성하고 구성원의 참여 활성화를 적극 유도하여 정치활동의 효과를 거두도록 해야 한다.

      • 한국적 효사상의 발달과정 연구 : 가족 및 노인복지에 대한 함의

        이민영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센터 2003 이화사회복지연구 Vol.3 No.-

        본 연구는 한국적 효사상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필요하다는데서 출발한다. 현대 한국사회에서는 효를 시대착오적이고 형식적이어서 생활에 맞지 않는 것으로 보는 것과 동시에 사라져가는 효를 살리자는 담론들이 강하게 논의되고 있다. 효가 옳지만 실제로 설천하기 어렵다는 것이 지금의 효사상의 정서가 되었으며, 이 때문에 많은 연구자들은 현대 한국사회에 적합한 효개념을 찾으려 노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역사적 맥락의 고찰과 서양 사상 과의 비교를 통해서 한국적 효사상의 개념들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적 효사상은 선사시대의 홍익인간 사상에서 출발하며, 삼국/신라/고려시대의 불교사상과 접하고, 유교사상과 접목하며, 조선시대의 주자학 유교의 규범을 만나, 근대의 동학사상과 기독교사상의 영향을 이어받아 이뤄낸 독특한 사상으로서 발달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한국적 효사상은 서양의 사상에서 보여지는 개인과 개인간의 합의로서의 부모자녀 관계와 형평성 개념을 포괄하면서, 자기수양, 조상숭배, 부모자식간의 상생, 이웃어른 공경, 그리고 평등으로 사회적 개념을 내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고유한 한국적 효사상은 개인과 가족의 생활 규범을 초월하는 사회적 실천 가치이며, 한국적 사회복지사상의 기초가 됨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족 및 노인복지 주체를 사회적 책임에 중심을 두어야 하는 사상적 근거를 제시할 수 있다. 이 탐색적 연구는 한국적 효사상이 현대의 사회복지사상과 구체적으로 어떻게 접목하고 발전할 것인지에 대한 후속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로서의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begins from the need of new perception about Korean filial piety. There are much discourses about filial piety - not only has it to be renounced, but also it has to be preserved. With acceptance of traditional filial piety's practical limitation in the contemporary society, researchers try to find new concepts of Korean filial piety which can be applied to social welfare system. This paper explores the development of the ideas of filial piety through analysis of historical context in Korea and also comparison with Western thoughts. The results are 1) Korean filial piety has developed from ancient times to modem times with influence by religions-Ancient worship thoughts, Confucianism, Buddhism, Dong-Hak, and Christianity. 2) It includes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equity in the Western ideas as well as the self-culture, ancient-worship, parent-child co-existence(Sang-Saeng), the respect to adult/old in the community, and equality in the Oriental ideas. These ideas of Korean filial piety suggest filial piety should be socially practical for modem family relationship, especially the multi-generations relationship. These Korean filial piety thoughts can be based on the thoughts of social welfare policy and practice as well.

      • 지역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수퍼비전 프로그램 개발 : 임파워먼트 접근을 중심으로

        이민영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센터 2002 이화사회복지연구 Vol.1 No.-

        지역사회복지관이 당면한 도전들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 사회복지사를 위한 전문적이고 적절한 수퍼비전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그동안의 지역사회복지관 수퍼비전은 비공식적으로 이뤄졌으며, 다양한 수퍼비전의 이론들을 제대로 숙지하지 못한 채 비전문적으로 수행되어 온 상황이다. 지역사회복지관의 조직, 업무, 개인적 환경의 도전에 대응하는 수퍼비전의 중심 개념으로 임파워먼트 개념이 활용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복지관의 수퍼비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서 지역사회복지관의 서비스 질 및 사회복지사 전문성 향상을 위해 일상적 비공식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수퍼비전을 임파워먼트 개념에 맞추어 재정리 하고, 각 과정에서 핵심적으로 다뤄야하는 부분을 수퍼비전 이론에 근거하여 제시하고 있다.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복지관의 저소득가족지원사업의 과정에 따른 수퍼비전 프로그램을 설계하였으며, 구체적인 전락과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의의는 복지관의 다양한 서비스들의 개업과정에 따른 구체적인 수퍼버전 내용과 방법을 소개하고 있어 지역복지관 수퍼비전의 기본틀로서 활용될 수 있다는 것과 사회복지의 각 분야 및 세팅에 맞는 적절한 수퍼비전 프로그램 개발에 초안을 제공하였다는 데에 있다. Social work supervision is an essential instrument for training of professional social worker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eventually plays a important role in providing effective and efficiency social work service with their clients. An empowering approach helps supervision enhance personal as well as professional competences and strengths. This study drew out concept and components of social worker's empowerment on the basis of strength perspective and supervision on the basis of evocative teaching. In this study it was focused on the literature reviews and applied practical program -lone parent support program- about supervision with an empowering approach. This program was performed about traditional function of social work supervision which can be divided into administrative, educational, and supportive function as followed the empowering process which are discovery, dialogue and development phase. Supervision with an empowering approach includes competence of individual, relationship, task, and environment as well. In conclusion, this program for supervision suggests the necessity of supervision program with an empowering approach focused on strength perspective in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for improving accountability of social work service. Supervision program should be defined as a compulsory task of the agency and direct service process. This study suggests a framework of supervision in the community center and a basis of further studies on supervision for social workers.

      • 박애사상을 중심으로 한 21세기 사회복지의 방향성 고찰

        권금주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센터 2002 이화사회복지연구 Vol.2 No.-

        본 연구는 현대사회의 대표적 이념인 자유와 평등의 갈등적 사상을 해결할 수 있는 3의 원리로 박애주의를 고찰해 봄으로 21세기 한국 복지사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대사회의 변화를 살펴봄으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제3의 원리로 박애사상의 개념과 역사를 살펴보았고, 이 사상을 21세기 한국사회복지에 적용할 수 있는 실천요소들을 고찰해 보았다. 박애사상의 고찰을 통해 이 사상은 자선(charity)이나 동정 (sympathy)의 의미에만 국한된 것은 아닌, 개인이 소속된 집단 또는 지역사회의 공동 목표를 위하여 바람직한 일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연대의식임을 알 수 있었고, 개인의 이익보다는 전체의 이익을 높이며, 단순한 물질적 차원의 시혜를 넘어 합리적이고 거시적인 의미의 '사랑 행위'임을 발견할 수 있었다. 논자는 이런 박애사상을 현대사회의 중요한 시대정신으로 보고, 이 사상을 21세기 한국 사회복지 현실에 실천하는 요소로 첫째, 필요한 재원을 기꺼이 나누는 "기부문화의 확산"과 둘째, 서로에게 필요한 도움을 주고받는 "자원봉사의 확대"와 셋째, 공공의 문제를 함께 해결해 나가는 "시민사회의 전개"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hilanthropy as the third principle to solve the conflicting ideas of freedom and equality, the key concepts that have prevailed current society thus to present new paradigm for the Korean welfare society in the 21st century. For this purpose, I studied first the concept and history of philanthropy, the third principle to solve the conflict between freedom and equality, and then found out about practicable elements to apply this principle to Korean social welfare system in the 21st century. As the result of the study of philanthropy, I found that this philosophy does not simply belong to charity or sympathy, but is a sense of joint responsibility created in the process of fulfilling reasonable activities to achieve a joint objective of a group or a local society. Furthermore, I found that philanthropy enhances benefits for all rather than a single person, and is a 'loving action' in reasonable and macroscopic analysis exceeding a simple donation. I found that this philanthropy as an important spirit of the age, and presented three practical elements to be applicable to the current Korean social welfare situation. The First one is the 'propagation of the donation culture' that distributes and shares necessary resources. The Second one is the 'expansion of voluntary services' that give and take necessary assistances. And the Third one is the 'fulfillment of civil society' that solves common problems together.

      • 청소년복지 실천방법의 방향에 관한 연구 -임파워먼트 및 권익옹호 접근방법을 중심으로-

        노충래 ( Choong Rai Nho ),김성이 ( Soung Yi Kim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센터 2004 이화사회복지연구 Vol.4 No.-

        현대를 살아가는 청소년들은 이전의 기성세대와는 다른 문화 속에서 삶의 질을 추구하고 있으며, 청소년들의 문제와 서비스 욕구도 다양해지고 복잡해지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문제와 서비스 욕구에 대한 변화를 인식하고 이들의 문제와 욕구를 충족시키는 청소년복지의 접근방법에도 변화가 필요함을 강조하여 최근 사회복지실천에서 부각되고 있는 임파워먼트 및 권익옹호 접근방법을 살펴봄으로써 청소년복지 실천방향에 주는 함의를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임파워먼트 접근방법의 개념적 정의와 특성, 실천원칙과 과정, 그리고 결과와 적용상의 한계점을 살펴보았다. 권익옹호에 대한 논의는 국내에서는 아직 매우 미약한 상황인데, 이에 대한 개념적 정의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이를 실천할 수 있는 청소년복지 영역을 제시해보았다. Compared to their old generation, youths in the modem society live quite different lives due to rapid exchanges of information in a virtual digital & cybernetic world. Accordingly, their problems and services needs have been changed. Due to these changes in development of youth and its surroundings, social welfare with youth necessitates to accomodate their service needs, and social welfare practice approaches to youth needs to be accordingly modified. This paper aims to explore two practice approaches, that is, empowerment approach and advocacy by examining their concepts, practice principles and characteristics, phases, outcomes, and applicability to social welfare practice with youth.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of previous studies, this paper taps on empowerment approach and advocacy in relation to social work practice. At the end, discussion on their limitations were presented with possible areas to which they can be applied.

      • 저소득모자가정과 함께 하는 사회사업실천모형의 탐색 -생태체계관점 및 강점관점을 중심으로-

        김영자 ( Young Ja Kim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센터 2002 이화사회복지연구 Vol.2 No.-

        본 연구에서는 저소득여성가구주 가족을 다룰 때 암묵적으로 전제하고 있는 문제(결핍) 모델과는 다른 강점 관점에서 이들을 새롭게 이해해 보고 이를 기초로 사회사업실천모형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저소득여성가구주 가족은 어려운 조건 속에서 발탈시켜온 적응유연성이 있으며, 이는 변화를 위한 긍정적 요인으로 기능할 수 있다. 한편, 이들 가족을 둘러싼 환경적 자원은 대체로 열악한 상황이지만, 양성평등한 사회정책에 대한 강조, 사회복지 정책에 있어서 권리적 요소의 확대 등은 저소득여성가구주 가족의 사회적 자원 확대에 유리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강점 관점의 임파워링 접근을 활용해 저소득여성가구주 가족과 함께 하는 사업사업실천 모형을 위해서는 사정과 개입의 수준을 실천의 방법론적 요소, 그리고 실천과정에 있어서의 핵심적 과정 등을 논하였다. 임파워링 접근의 실천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사정과 개입의 수준들로는 개인체계와 환경체계 및 이것의 상호작용과 발달적 변화 등이며, 사정과 개입시에는 각 체계(혹은 체계의 변화)가 가지는 도전과 강점을 찾아내는 것과 그것의 역동적 상호작용 역시 중요하다. 임파워링을 위한 주요 방법론적 요소는 이야기와 대화, 이를 통한 비판적 성찰, 그리고 비판적 성찰을 통한 신념체계의 재구성 등이며, 클라이언트와 워커의 동등한 참여 역시 매우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임파워링 접근의 핵심적 과정으로서 대화, 자원발견과 주인되기, 그리고 파워사용과 확장하기 등의 세 가지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강점 관점에서 저소득여성가구주 가족의 삶을 이해하고 이들과 함께 하는 사회 사업실천 모형을 구성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기존의 결핍 또는 문제 관점에 의한 실천과 달리, 클라이언트의 존엄성과 가치를 존중하는 사회사업의 본질적 목적에 좀더 부합 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In this study, I proposed the social work practice model for law-income female-headed families with the view of strength perspectives. In the light of the strength perspectives, I reviewed the challenges and the change opportunities of those families, and then presented the social work practice model for them. Through the critical reviewing the existing studies, I showed the change opportunities could function for the female-headed family. The resilient features of their lives such as combining work and welfare, choosing the job mitigating housework-burden, and more strengthening role of the family members could be positive in achieving the changes.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around the female-headed families are not favorable to enhance their life quality but some social factors, the stress of the gender equality in social policy and of the welfare as the social rights, could supply encouraging conditions for those families. 2As the social work practice model for the female-headed family, I demonstrated it applying the empowering approach. The critical elements of the model are as follows: the assessment/intervening levels; the methodological components in the practice; and the key processes in practice. When the levels of assessments and interventions are considered,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interaction between micro system and environmental systems, and the developmental changes of the systems. Also it is stressed to define the challenges and the strengths of the family. Next, as the methodological points, I discussed stories, narration, critical reflection, and reorganizing the belief system through the reflection. Finally, the key processes to empower are dialogue, resource-discovery, and exercising(controling) power and expanding it.

      • 다원문화의 경험이 미주교포청소년의 자아정체감 형성에 주는 영향에 관한 연구

        노충래 ( Choong Rai Nho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센터 2002 이화사회복지연구 Vol.1 No.-

        미국에 거주하고 있는 교포 수와 교포 청소년이 증가추세에 있지만 이들을 대상으로 한 자아정체감 및 민족정체감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형편이다. 본 연구는 다원문화를 경험하고 있는 교포청소년들의 자아정체감 및 민족정체감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다원문화의 경험이 자아정체감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포청소년의 자아정체감 및 민족정체감과 관련된 연구에는 어떤 것이 있으며, 교포청소년의 자아정체감 및 민족정체감의 형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이론적 틀은 어떤 것이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에릭슨의 자아정체감 및 자아정체감혼란에 관한 이론적 논의를 기반으로, 자아정체감의 네 단계, 그리고 자아정체감에 대한 비판을 먼저 살펴본 후에, 민족정체감의 개념적 논의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살펴 보았다. 나아가 본 연구에서는 아시아인 및 한인교포의 민족정체성에 대한 연구를 토대로 교포청소년의 자아정체감 및 민족정체감에 관련된 이론을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자아정체감 및 민족정체감이 사회복지 실천 및 조사연구, 그리고 정책에 미치는 함의를 논의하였다. Despite the increase in numbers of Korean American adolescents, little is known on identity formation and ethnic identity. This study aims to explore various theories on identity and ethnic identity, focusing on Korean American adolescents. This study relies on Erikson`s identity formation as a basis for discussion and then taps on concepts and four stages of identity development as suggested by Marcia. This study further explores several criticism from various theoretical perspectives. A related topic to identity is ethnic identity, which Korean American adolescents need to incorporate to identity as they simultaneously experience multiple cultures. Furthermore, this study explores various factors affecting identity and ethnic identity development among Asian and Korean American adolescents and then discusses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research, and policies.

      • 노인부양정책 개선방안 연구 : 노인부양서비스의 대상 및 서비스내용을 중심으로

        정진경,황정임,김영자,이민영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센터 2002 이화사회복지연구 Vol.2 No.-

        우리나라는 '선가정부양 후사회보장'이라는 정책기조 하에 노인부양의 책임을 가족에게 전가함으로써 국가의 책임을 회피해 왔음. 그로 인해 노인부양정책의 대상은 가족에서 부양되지 못하는 저소득중 노인을 중심으로 제공되었으며, 서비스 수준도 미흡하고 제한적이며 잔여적인 수준에 머물고 있음. 그러나 노인인구의 중가, 평균수명 연장 등의 인구사회학적 변화와 핵가족화, 기혼여성의 경제활동 참가 증가 등으로 인한 가족구조의 변화로 노인부양 문제 심각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부양서비스를 중심으로 우리나라 노인부양정책의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 향후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함. 노인부양서비스를 분석함에 있어서 노인의 부양욕구에 대한 충족성, 부양자에 있어서의 가족부양과 공적부양의 역할에 대해 초점을 둘 것임. 즉, 첫째, 현행 노인부양서비스의 대상과 서비스내용이 노인의 부양관련 욕구를 충족시키에 충분한지 둘째, 기존의 주부양자였던 가족의 변화하는 추세를 반영하고 있는지, 현행 노인부양서비스틀 통해 가족부양과 공적부양에 대해 어떻게 전제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함. 이외에도 외국의 사례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의 노인부양서비스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 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노인부양정책의 개선방안은 첫째, 노인의 부양욕구를 충족시킬만한 다양한 서비스를 확충해야 하고 둘째, 노인부양 역할을 수행했던 가족의 변화를 고려해 공적부양의 개입을 확대함으로써 가족부양의 노인부양책임을 분담해야 할 것이다. For a long time in Korea, there has been policy ideology of 'family caregiving first, social security next'. So, government has avoided it's responsibility with referring it to family in such that policy ideology. Therefore, the service target has being only focused on the poor elderly and the level of services have been so insufficient, restricted and residual. But elderly caregiving problems become more serious for the reason of elderly demographic change, growth of nuclear family and participation rates of married women in economic activities. This study aims for suggesting the improvement plan of elderly caregiving service policy with analyzing policies and their problems. For this study, we focus on the sufficient for elderly's caregiving needs, and the role of family and public caregiving. And also we obtain lessons from analyzing foreign county's - UK and Japan - policy. As a result, we suggest following improvement plan. First, there must be expanded various services for the fulfillment of elderly's caregiving needs. Second, there must be shared with family and public responsibility with considering family's chan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