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텍스트구조 표지를 활용한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

        이효인(Lee Hyo 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8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쓰기를 어려워하는 하는 이유 중 하나는 한국어 담화 체계에 적합한 글을 쓰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TOPIK 쓰기 문항에 적합한 쓰기 교육 방법으로 텍스트구조 유형과 텍스트구조 표지를 활용한 쓰기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 다. 이를 위해 먼저 TOPIK 쓰기 영역의 평가 내용을 분석하고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쓰기를 어려워하는 이유 중 하나로 한국어 담화 체계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글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장르 중심 쓰기 교육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둘째, TOPIK 쓰기 문항 및 모범 답안의 텍스트구조 분석을 통해 TOPIK 쓰기 평가에 등장하는 텍스트구조 유형을 밝혔다. TOPIK 쓰기 53번 문항에서 요구하는 텍스트 유형은 ‘설명하는 글’이며, 텍스트구조 유형은 ‘나열구조’와 ‘대응구조’ 혹은 ‘인과구조’가 결합한 복합 구조임을 보였다. 그리고 가장 많이 사용된 텍스트구조 유형은 ‘나열구조’임을 밝혔다. 셋째, ‘나열구조’, ‘대응구조’, ‘인과구조’에서 주로 사용하는 텍스트구조 표지를 개념어와 연결어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텍스트구조 표지를 이용한 효과적인 TOPIK 쓰기 교육을 위해 ‘텍스트구조 파악하기’, ‘텍스트구조 표지 선택하기’, ‘텍스트구조 표지를 활용한 글 작성하기’로 이루어진 세 단계 ‘TOPIK 쓰기 교수 학습 모형’을 제안하였다. Among the TOPIK, the writing area is the most difficult for learners. One of the reasons why foreign learners of Korean are finding it hard to write is because it is difficult to write a piece suitable for the Korean discourse system. This paper presented a method of writing training using text structure type and text structure labeling as a suitable method for writing TOPIK. To this end, the assessment of the TOPIK writing area was first analyzed. And the main reason why it is difficult for foreign learners to write in Korean language is because it is difficult to organize their writing in a way that conforms to the Korean discourse system, and the need for genre-oriented writing education to learn the type of writing used by the Korean community. This paper revealed the type of text structure featured in the TOPIK writing assessment by analyzing the text structure of the TOPIK writing questions and best answers. The type of text required by paragraph 53 of TOPIK was shown to be a statement of text , and a text structure type was a combination of list structure and corresponding structure or cause and result structure . It also revealed that the most commonly used type of text structure is list structure . Next, text structure markers that are commonly used in List Structure , Response Structure and Cause and Result Structure are presented in the following terms, dividing them into conceptual and conjunctive terms. Finally, for effective TOPIK writing education using text-structure markers, three steps were proposed: Identify Text Structure , Select Text Structure marker and Write Text Using Text Structure marker .

      • KCI등재

        이러닝 학습환경에서 텍스트 구조 파악 및 내용 이해 촉진을 위한 텍스트 정보 구조의 시각적 설계전략 개발 및 효과성 연구

        성은모 ( Eun Mo Sung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09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5 No.2

        이러닝 학습활동 가운데서 텍스트를 읽고 텍스트의 구조를 파악함으로서 그 내용을 이해하는 과정은 성공적인 학습활동을 영위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따라서 이러닝 콘텐츠에서 텍스트 및 텍스트 정보의 구조를 어떻게 시각적으로 제시할 것인가에 대한 처방적 설계 전략의 논의는 매우 중요한 이슈가 된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닝 학습환경에서 텍스트 정보 구조를 효과적으로 파악하여 텍스트의 내용이해를 도와줄 수 있는 텍스트 정보 구조의 시각적 설계전략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선행문헌 고찰을 통해 텍스트 정보 구조의 시각적 설계를 위해 필요한 설계 구성 요소 및 여러 전략들을 분석되었고, 텍스트 정보 구조의 개념 및 설계전략이 개발되었다. 그리고 개발된 텍스트 정보 구조의 설계 전략을 적용하여 이러닝 콘텐츠를 실제 개발하고 이를 실행하여 학습 효과성을 확인해 봄으로서 설계전략의 타당성을 타진하고자 하였다. 실험연구에서는 텍스트 정보 구조의 시각적 설계전략을 구분 적용하여 네 가지 유형의 이러닝 콘텐츠가 개발되었다. 이 유형에 따라 대학생 126명을 무선할당 배정하여 네 개의 집단을 구성한 후 학습자들의 학습과제 수행능력으로써 텍스트 정보 구조 파악 및 내용 이해의 정도가 측정되었다. 실험 결과, 텍스트 정보 구조 파악(F=12.80, p<.01) 및 텍스트 내용 이해(F=5.83, p<.01)에 있어서 텍스트 정보 구조의 외형적 형태에 대한 설계전략을 적용한 이러닝 콘텐츠 유형에서만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텍스트 정보 구조의 전체적 외형에 대한 시각적 설계전략이 텍스트를 읽는 방식에서 보는 방식으로 전환하게 만들었으며, 텍스트 정보 구조에 대한 정보를 보다 직관적으로 파악하게 함으로써 텍스트 내용이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be explored the visual design strategies of text information structure for developing e-Learning content. The present study has comprised two types of research: the initial developmental research and the experimental research. In the initial development stage, factors including properties of text structure have been drawn on the basis of existing researches, and then visual design strategies have been devised. To visually represent the text structure available Human Visual Intelligence were explored. In the experimental stage, for the purpose of verifying those principles, an e-learning contents in four types covering the principles has been developed. 126 undergraduate students were randomly sampled into four groups, and read the digital texts, whose topic is the concept and some theories of distance education. The experiment was designed in such a way that it can depict the students` awareness of text structure and text comprehension. As a result of development research, physical factors including properties of text structure are categorized into macro and micro ones. As for macro properties, outline, space, volume, density, and depth are included; as for micro properties, layout, size, length, and signals of the texts are included. Design strategies for visual representation of text structure included design of information display, browsing, navigation, and learning environment control. As a result of experiment research, findings regarding to usability and learning effectiveness(awareness of text structure, text comprehension) were as follows; As awareness of text structure concerned, design principles for visual representation of the text structure form was most effective(M=8.20, SD=4.74, F=12.80, p=.00). As text comprehension concerned, design principles for visual representation of the text structure form was most effective(M=17.57, SD=1.37, F=5.83, p=.01). In designing digital text, the result of this study seemed to explain the positive potential of visual representation design strategies of text structure. Online learners tend to construct mental model and learn by constructing the meaning, using visual representation referential processing which readers comprehend the details of the texts.

      • KCI등재

        텍스트구조표지를 활용한 초등사회교과서 서술 분석

        이해영(Lee, Hae 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6

        이 글은 텍스트구조표지를 이용하여 초등 5학년 2학기 사회교과서 역사영역의 서술에서 응집성과 결속구조 정도를 분석하였다. 텍스트구조표지가 설명텍스트에 사용된다는 점을 감안하여 설명텍스트로 구성된 문화단원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단원별 저자에 따라 결속구조나 응집성에서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어떤 단원은 주제에 맞는 서술들로 텍스트구조가 위계화되어 있고 텍스트구조 유형에 맞는 텍스트구조표지가 적절하게 들어가 있었다. 그러나 대부분 단원들은 꼭 필요한 텍스트구조표지가 생략되어 의미관계가 달라졌다. 이로 인해 저자의 의도가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였다. 심지어 텍스트구조표지의 생략으로 인해 역사적 오류로 보이는 서술도 보였다. 한편, 문화단원에서 여러 문화재들을 소개하고 우수성만 강조 하다보니 나열관계가 많이 보였다. 역사에서는 ‘왜’와 ‘어떻게’가 중요하다는 점을 감안하여 인과관계표지를 비롯해 다양한 표지들을 사용할 수 있는 서술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was to analyze the description of social studies textbook in elementary school using maker of text structure. The maker of text structure is kind of cohesive makers. It shows how the semantic relations of text structures are closely united. The results of this paper was as follows. While Some author had no cohesion and coherence in writing, some author had completely. Though every author had own style of writing, the textbook authors kept the cohesion and coherence in writing at the very least. Also, textbook authors tended to omit the cohesive makers which make readers understand easily in description. It prevented young readers from understanding of the text. The last, the description of textbook was excessively used arrangement relations in text structure. It needed to use diverse types of text structure. Especially it was often necessary to use the causation maker of text structure in history textbook because the causation in history was important.

      • KCI등재

        문학텍스트의 구조를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 텍스트 구조의 유형화를 위한 시론

        김상현(Kim Sang Hyun) 한국노어노문학회 2010 노어노문학 Vol.22 No.1

        강의 경험에 기초한 본 연구는 문학 텍스트의 이해가 왜 중요한지를 점검하면서, 대표적인 문학 텍스트 유형화를 시도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전화된 텍스트의 모범적 구조가 주로 19세기 문학, 특히 단편문학에 집중되어 있는 점을 기초로 하여, 본 논문은 텍스트의 외형적 구조 파악과 함께 이같은 구조 분석이 텍스트의 주제론 이해에 어떻게 효과적으로 접목되어 기능하는지를 종합적으로 살펴본다. 문학이론과 관련하여 본 연구의 출발점은 형식주의 (Russian formalism)의 모토인 ‘문학성’과 ‘문학의 내적 자율성’개념을 부분적으로 극복하고, 신비평 (New Criticism)이 반대하는 ‘의도적 오류’를 찬성하는 견지에 들어있다. 즉, 문학 텍스트 속에 숨어들어 있는 구조적 코드의 문제뿐만 아니라, 주제론적 연관성으로 보아도 문학 텍스트에는 작자의 의도에서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 없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는 것이다. 텍스트 구조 유형학이란 연구 주제가 가장 잘 어울리는 본 연구는 러시아 문학 텍스트의 발생학적 특징이 텍스트 연재의 전통에서 생성되었음을 근본적으로 이해하는 방식에서 출발하고 있음을 아울러 밝혀 둔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not only to substantiate literary texts, but also to expound a new concept of typology of texts, mainly drawing upon short stories from the 19th Russian literature. To this end, this article places its focus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s such as Russian Formalism and its one of most important concepts, literaturnost', and the so-called ‘'intentional fallacy’' coined and rejected by New Criticism. Beyond these theories' contribution to the study of literary texts, this attempt presents a sort of guideline through which both students and lecturer create and learn how literary texts might be interpreted different, more importantly have skills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ypical short stories in the classroom. Specifically, this study tries to provide a typology of structure of literary texts, dividing most of texts into those four groups: 1) type one - cycled structure (as a collection of short stories), 2) type two - folding screen or mirror structure, 3) type 3 - parallel structure, and 4) type 4 - semi-epilogue structure.

      • KCI등재후보

        담화표지 교육을 통한 학문 목적 텍스트 구성 교육

        차봉준 한국교양교육학회 2015 교양교육연구 Vol.9 No.3

        This study aimed to discuss on the teaching methods for the foreign university students who entered the universities regarding their writing of academic purposes. The purpose of the education on the writing of academic purposes in the foreign students is to prepare the communication tool by writing text. Therefore, we emphasized in this article that the knowledge on the text organization as well as the process to learn about the text organization skill should be included in writing courses as the learning practices. Moreover, we added that writing knowledge was not only for contents in the academic purpose text, but also for organization of academic purpose text, hence, writing discourse other than writing paragraph should be a category of education courses including writing knowledge. On the other hand, text organization skills of academic purpose discussed in this article include the meaning as well as logical structure required for the organization of paragraphs other than sentences. Therefore, the process to use discourse marker was demonstrated to be effective to develop the organizing skill of academic purpose text as the contents of education. The text structures provided for discussion were based on explanatory text and logical text which were the representatives of the academic purpose text. Since the types of both text structures were shown to be relatively simple and typical, we suggested discourse marker, which are frequently used in the types of logical text structure, to find out the text organization knowledge using this as the education method of writing knowledge. By this discourse marker education of text structure, we aimed to show the writing students to prepare the academic purpose text effectively and to perform the writing practices which were appropriate to the type and purpose of the text. 본 연구는 대학에 입학한 외국인 대학생의 학문 목적 쓰기 텍스트 작성을 위한 교육 방법을 논의함에 중점을 두었다. 외국인 학습자의 학문 목적 쓰기 교육은 문어 텍스트를 통한 소통 도구 작성에 있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쓰기 교육 내용에 텍스트 구조에 대한 지식이 포함되어야 하며, 교육 활동으로서 텍스트 구성 능력을 습득하는 과정이 포함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나아가 쓰기 지식은 학문 목적 텍스트에 나타나는 내용뿐만 아니라, 학문 목적 텍스트의 구조에 대한 지식이며, 쓰기 지식을 교육의 내용으로 포함하여 단락 이상 담화 쓰기가 쓰기 교육의 범주가 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한편 본고에서 논의하는 학문 목적 텍스트 구성 능력은 문장 이상 단락 간 구조 구성에 필요한 의미 구조이자 논리 구조를 포함한다. 따라서 교육 내용으로서 학문 목적 텍스트 구성 능력을 기르기 위해 담화 표지 사용 과정이 효과적임을 주장하였다. 논의를 위해 제시하는 텍스트 구조는 학문 목적 텍스트의 대표적 유형인 설명 텍스트와 논증 텍스트를 기준으로 하였다. 두 텍스트의 구조 유형이 비교적 단순하고 전형적인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에 텍스트의 논리 구조 유형별로 자주 사용되는 담화 표지를 제시하고, 이를 사용하여 텍스트 구조 구성 지식을 쓰기 지식으로 교육 방법을 모색하였다. 이러한 텍스트 구조 담화표지 교육을 통해 쓰기 학습자는 결과적으로 학문 목적 텍스트를 보다 효과적으로 작성하고, 텍스트 유형과 목적에 적합한 쓰기 수행을 할 수 있음을 보이고자 했다.

      • 윤동주 시(詩)의 결속구조와 결속성에 대하여

        최유림 문화예술콘텐츠학회 2017 콘텐츠 문화 Vol.9 No.-

        우리는 시인 윤동주를 유고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를 통해 만나왔다. 그리고 오늘날은 시집에 담긴 윤동주의 시 텍스트를 배경으 로 영화, 연극, 뮤지컬 등 다양한 매체로 시인 윤동주와 그의 시가 재 현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영화 「동주」(2016) 개봉 이후, 시인 윤 동주에 대한 재조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모두 시 텍스 트를 바탕으로 변용된 양상이다. 텍스트로서 윤동주 시는 한편으로는 독자적인 텍스트가 되며 그 텍스트는 하나의 망(Network)을 형성하며 작품 전체로서 보다 큰 망을 그리기도 한다. 본고는 보그란데·드레슬 러의 일곱 가지 텍스트성 중 결속구조와 결속성을 중심으로 윤동주 시를 분석하였다. 이는 시 텍스트자체의 단편적인 해석을 지양하고 텍 스트-담화 층위를 바탕으로 분석하는 데에 의의가 있다. 특히 시는 텍 스트의 특징상 결속구조가 다소 완전하지 않으며, 그 결속성의 의미도 모호하다는 오해를 받기 쉽지만, 결코 그것이 좋지 않은 텍스트로 평 가받는 것은 아니다. 텍스트언어학적 관점에서 시를 분석하는 것은, 시의 의의를 밝히고 그 이면을 공감함으로써 보다 깊은 시인의 세계 관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줄 것이다. We have met poet Dong-ju Yun through posthumous collection of poems "Heaven and Wind and Stars and Poems". Today, Dong-ju Yun and his poetry are being reproduced in various media such as movies, plays, musicals, etc. Especially after the opening of the movie "Dongju" (2016), the poet Dong-ju Yun is actively researched. This is all a variation on the basis of poetic text. As a text, Dong-ju Yun has a unique text on the one hand, and the text forms a network, and the whole work draws a larger net. This paper analyzed Dong-ju Yun's poetry on the basis of cohesion and coherence among the seven textualities of Beaugrande Dressler. This implies that the interpretation based on the text - discourse level is not enough to avoid the fragmentary interpretation of the text itself. In particular, poetry is susceptible to misunderstanding that the structure of the text is somewhat incomplete, and that the meaning of its cohesion is ambiguous, but it is not always appreciated as a bad text. Analyzing poetry from a textual linguistic point of view will help to understand the world view of a deeper poet by revealing the significance of poetry and reemphasizing it.

      • 설명적 텍스트를 활용한 논리적인 글쓰기 방안

        오현희 국어교과교육학회 2011 국어교과교육연구 Vol.19 No.-

        본 연구는 읽기와 쓰기의 통합을 통해 쓰기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논문으로, 설명적인 텍스트를 구조적으로 읽고 파악하는 능력을 이용하여 논리적으로 글을 쓸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즉, 설명적인 텍스트 읽기를 통해 얻어진 글의 구조적인 파악 능력을 논리적인 글쓰기로 통합하여 활용할 수 있는 쓰기 지도 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읽기와 쓰기는 문자언어를 매개로 하는 활동으로, 음성언어와 구별되는 공통점을 지니며 능동적으로 의미를 구성하는 하나의 사고 과정이기 때문에 유사한 의미 구성 과정을 가진다. 따라서 읽기와 쓰기 능력을 공통적으로 신장시킬 수 있는 전략을 알고 논리적인 글쓰기 지도에 적용하면 효과적이다. 이를 위하여, 설명적인 텍스트 읽기를 글의 구조를 파악하는 이해의 단계와 본격적으로 과제를 해결해 나가는 논리적인 글쓰기의 2단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때 1단계인 읽기는 수집 구조, 비교/대조 구조, 원인/결과 구조, 문제/해결 구조, 기술구조의 다섯 가지 수사적 구조를 중심으로 각 구조마다 2차시의 시간을 설정하고,2단계인 논리적인 글쓰기에서는 3차시에 걸쳐서 설명적인 텍스트의 구조를 다양하게 보안하거나 더 나은 방안을 제시하도록 하였다. 전자교과서 등이 도입될 예정인 학교의 경우, 교과서 중심의 단편적인 텍스트를 넘어서 다양한 소셜 매체와 뉴스 등의 정보들이 언어적인 소통을 활발하게 벌이게 될 것으로 보인다. 그에 따라 설명적인 텍스트가 학생들에게 과거보다 더 자주 노출이 되고 국어과 수업에서도 그러한 텍스트들을 구조적으로 잘 이해하고 다시 논리적으로 활용하게 되는 기회가 보다 빈번해질 것이다.

      • KCI등재

        <진대방전>의 교육 텍스트적 구조와 특징

        강연임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인문학연구 Vol.58 No.3

        이 논문은 서사 텍스트인 <진대방전>이 유교 이념을 교육하기 위한 교육 텍스트로 기능할 수 있음을 서사 구조 분석과 텍스트 특징을 중심으로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작품은 조선시대 유교적 삶의 가치가 얼마나 중요한지 피력하고, 그러한 삶을 살았을 때 제공될 수 있는 보상까지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당시의 교육 텍스트로 기능할 수 있도록 했다. <진대방전>은 텍스트의 구조가 독특하다. 이 작품은 반 데이크의 서사구조에 부합하여 소설 텍스트로 분류할 수 있으며, 교육적 효과를 도모한 것이 특징이다. 진대방과 어머니의 갈등을 사또가 적합한 훈화 내용을 들어 교육한다. 또한 사또는 소설의 각 등장인물에게 적절한 교훈담을 제시하면서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지적한다. 훈교 결과 개과천선한 인물의 변화 양상을 기술하여 교화를 통한 갈등 해결을 구체적으로 명시한다. 나아가 소설의 말미에 텍스트 생산자의 의도를 구체화하여 첨언하기도 한다. 따라서 전반적으로 교육 텍스트를 전제하고 구조화한 특성이 있다. <진대방전>의 텍스트 구조는 교육 목적으로 활용하기에 유용하다. 즉 교육적 효과를 수월하게 달성할 수 있도록 텍스트 구조를 특화하였다. 옴니버스식 구성으로 텍스트의 융통성을 확보한 것이 그것이다. 나아가 사건 해결을 요약 제시함으로써 교육적 주제가 수월하게 전달되도록 의도하기도 했다. 곧 서사 텍스트가 교육 텍스트로 변모·기능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 작품이 교육 방안을 구체적으로 모색하면서 계몽적 성격까지 구비할 수 있었던 이유이기도 하다. <진대방전>의 텍스트 구조는 다양한 면에서 교육적으로 활용할 만하다. 이 작품은 첨예한 대립구조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기보다는 중개자인 사또가 교화를 통해 사건을 해결한다. 교화의 방법은 교훈적 삽화를 다양하게 제시하는 것이라 하겠다. 그래서 거시적으로는 삽화 편집 구조의 소설이면서도 한편으로는 교육용 텍스트로 활용하는 데 불편함이 없도록 했다. 따라서 이 작품에 대해 교육 텍스트로 접근하여 지향하는 바의 의도를 주밀하게 살펴야 할 필요성이 있다. This thesis's aim is to examine the narrative structure, functions, and features of the Jindaebang-jeon. Jindaebang-jeon is an educational narrative text for the purpose of educating Confucian ideology. It borrowed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novel as a way to stimulate education. And it is the result of teaching Confucian ethics to enlighten people. Furthermore, if a leader live according to Confucian values, it indirectly show how compensation is given to him. And the novel is reaping the enlightenment effect to readers. To summarize the above discussion, it is as follows. First, Jindaebang-jeon is suitable for the narrative structure of Van Dijk. And it presupposes conflict and solution composition, and suggests moral of text through solution. The novel emphasizes benevolence, righteousness, propriety and wisdom and the Three Bonds and Five Relationships in Confucianism, and reveals its educational purpose by directly mentioning it in narrative structure. The conflict and solution structure of narrative text is simple, but there are various educational stories in governor's apologue. Second, Jindaebang-jeon is an omnibus configuration, so the text is likely to expand. And by summarizing the events, the subject's pre-calendar of the novel is so strong. The omnibus configuration allows to add or remove educational stories. By presenting a summary of the same topic, it makes easy to understand what the message the novel wants to deliver. So readers can easily understand and accept topics that are emphasized in text. Third, the narrative text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Jindaebang-jeon are to prioritize education. The composition of this text is useful in terms of enlightenment because it is clear that the purpose of education is achieved and moral is concrete. And as a conclusion of the novel, it mentions the wealth, honor and the happy life of Jindaegbang family specifically. Thus, it shows that it is possible to compensate life by Confucian lesson. Therefore, it can gather the enlightenment effect that leader can enjoy wealth and honor if they live like Jindaebang. Jindaebang-jeon does not have a dramatic structure in which conflict and resolution were sharply opposed. But It is a text that can be used as an educational text to point out the problem of Jindaebang and to educate the reader as governor solves it.

      • KCI등재

        그림책 장르의 텍스트 구조와 특징에 대한 유아의 이해

        박진희,권민균 한국유아교육학회 2010 유아교육연구 Vol.30 No.5

        본 연구는 학령전 유아와 초등 1학년에게 이야기 그림책과 정보 그림책을 읽어주고 다시 말하기에서 드러난 두 장르가 갖는 텍스트의 구조와 특징에 대한 이들의 이해와 지식이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D시 소재 2개의 유치원 6세반(30명), 7세반(30명)과 같은 시 초등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아동(31명)으로 총 91명이었다. 이야기 텍스트 구조로 된 「개구리 아가씨」그림책과 설명적 텍스트 구조로 된 「개구리」정보그림책을 소그룹으로 읽어준 후 개별 면접을 통해 각 장르에 대한 진술문을 유아당 두번씩 총 4회 녹음하여 전사하였다. 두 장르간의 텍스트 구조와 특징에 대한 유아의 지식은 Kamberelis와 Bovino(1999)의 분류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장르별 텍스트의 구조적 요소는 합산하여 점수화하였으며 텍스트적 특징은 유아의 전체 발화에 대한 각 특징의 비율로 계산하였다. 그 결과 첫째, 텍스트 구조에 대한 지식은 설명적 텍스트보다 이야기 텍스트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재화에 나타난 장르별 문장수와 텍스트적 특징 비율은 전체적으로 설명적 텍스트보다 이야기 텍스트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텍스트의 특징 각 요소 중 현재시제와 고유의 레지스터는 이야기 텍스트보다 설명적 텍스트에서 더 높게 나타나고, 연결어는 이야기 텍스트에서 높게 나타나서 유아들은 장르에 따라 구별되는 지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셋째, 각 텍스트의 필수적 구조에 대한 지식은 연령간 차이가 있어서 만 6세가 되면 텍스트의 기본구조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는 것으로 보인다. 넷째, 이야기 텍스트의 특징 요소에 대한 지식은 조사 대상 연령 간 차이가 많이 보이지 않은 반면 설명적 텍스트에서는 특징 요소에서 연령 간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형식적 문해교육이 시작되기 전의 학령전 유아도 각 장르의 텍스트 구조와 특징을 이해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This study attempts to ascertain young children's knowledge of picture book genres using narrative and expository texts. Subjects in the study are 60 children from two kindergartens and 31 first grade elementary students in D city. Two picture books were used to analyze the children's genre knowledge: The first is a picture book with a fictional narrative text,「The Frog Lady」and the other is an expository, non fiction text picture book, 「The Frogs」. After being read aloud to, the children's retelling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The transcribed data were scored and tallied to measure children's knowledge of the structure and text features by Kamberelis and Bovino's classification taxonomy (1999).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a SPSS 12.0 program. The children's differential knowledge of the text structure and the text features in the two different texts were analyzed by t-test and age related developmental differences of knowledge of the two genres were analyzed by one-way MANOVA. Analyses of the data finds 1) that the text structure score in the story picture book with narrative text is higher than in the information picture book with expository text; 2) the number of sentences in the children's retelling of the two genres and the average frequency of their retelling of textual features are more frequent in the narrative text of the story picture book than in the expository text of the information picture book. However, such text features as the present tense and the register specific to a genre were more frequent in the information picture book than in the story picture book. 3) Developmental differences in the ability to note in retelling the obligatory elements representing a genre were found between the ages of 5 and 6/7. Finally, 4) the developmental differences apparent in the retellings of the text features were not as prevalent in the story book as they were in the expository text of the informational book. The contested assumption that children understand narrative text before they are able to understand expository text is discussed in the study's conclusion for the findings suggest that young children obtain knowledge of genre differences even before they have formal literacy education.

      • KCI등재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텍스트 구성 능력 연구-일기 텍스트를 중심으로

        안정아 배달말학회 2013 배달말 Vol.5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ext organization ability of 1st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In chapter2, we investigated the generative principal in their diary text. As a result, the first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completed the diary text using the story structure. They showed gradual improvement on the text organization ability, so they organized <setting-episode-comment> structure. In chapter3, we investigated the unique structure of the diary, i.e. <setting-episode-comment> structure. According to development of text organization ability, they produced various types derived from <setting-episode-comment> structure. As a result, three types are induced : <episode> type, <setting-episode> type, <setting-episode-comment> type. Although they can organized <setting-episode-comment> structure, they can't handle this structure skillfully because they made mistake occasionally in sequencing relationships among the episodes or events, or reversing the constituent of <setting-episode-comment>. 이 연구에서는 학령기에 들어서는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일기 텍스트를 중심으로 텍스트 생성 원리와 구성 방식에 대해 고찰해보았다. 이 시기 학생들은 구어 문법에는 익숙하지만, 텍스트를 생성하는 데 필요한 문어 문법에는 아직 익숙지 않아서 맞춤법, 띄어쓰기는 물론이고, 어휘의 선택이나 문장 쓰기, 나아가 텍스트 층위의 의미 내용과 구조를 구성하는 모든 일에 어려움을 겪는다. 이 시기 학생들은 아직까지 글의 목적과 의도에 맞게 의미 내용을 조직하는 방법을 학습하지 않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기 텍스트를 완성할 수 있었던 것은 일기의 기술 방식이 이들에게 너무나 익숙한 ‘이야기’와 닮아 있기 때문이다. 즉 학생들은 이야기 구조를 활용하여 일기 텍스트를 생성해내는데, 이 이야기 구조를 문어 텍스트(written text) 형식으로 구성하는 과정에서 텍스트성이 점차 발달하면서 일기 텍스트의 전형적인 구조인 <배경-일화-논평> 구조가 확립되었다. 즉, 텍스트 구성 능력이 미숙한 시기에는 일기 텍스트의 구성 요소인 <배경>, <일화>, <논평>이 모두 출현하지 못하고 결여된 구조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았는데, 초기에는 구성 요소들 간에 특별한 관계를 부여하지 못하고 <일화> 범주로만 텍스트를 구성하다가, 사건과 사건을 나열하는 데 인과적 연결에 집중하면서 <배경-일화> 구조로, 다시 이 구조에 필자의 주관적인 견해를 덧붙임으로써 일기를 마무리하는 방식인 <배경-일화-논평> 구조로 발달해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텍스트 구성 능력에 따라 1단 구성에서 3단 구성으로 발전하는 양상을 띠지만, 한편으로는 아직까지 <배경>, <일화>, <논평>의 순서를 뒤바꾸어 배열하기도 하고 다른 구성 요소 중간에 삽입시키기도 하며, 어느 한 범주를 생략하거나 지나치게 단순하게 기술하는 등 의미적 결속성을 위배하는 현상들도 자주 관찰되었다. 이야기를 구성하는 능력은 일기뿐만 아니라 모든 장르의 글쓰기에 적용될 수 있는 기본적인 원리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관찰되는 텍스트 구성 방식의 다양한 유형과 결속성을 위배하는 오류 양상들은 다른 장르의 텍스트 구성 연구에도 활용될 수 있으리라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