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공무원의 BSC 인식도 제고요인에 관한 사례연구

        오현희,원성수 한국인사행정학회 2010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9 No.1

        2001년부터 공공부문에 도입되기 시작한 균형성과표(BSC)의 성공은 조직구성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나, 아직 시행 초기로서 성과중심의 조직문화가 제대로 형성되지 못한 우리나라 공공부문에서는 특히 BSC에 대한 인식이 긍정과 부정 사이에 혼재되어 있어 새 제도의 정착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 따라서 BSC를 도입 취지대로 시행 정착시키기 위한 공공조직의 노력이 더욱 필요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충청남도교육청을 사례로 경험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는 공무원들의 BSC에 대한 인식이 보다 긍정적이고, 관련 교육 등에 대한 참여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상대적으로 상위직급에서 BSC에 대해 보다 긍정적인 인식을 보이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따라서 저자들은 위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공공조직의 BSC 인식도를 제고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들을 결론으로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大日經』에 나타난 밀교의 보리심관 연구 - 삼매야계를 중심으로 -

        오현희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22 禪文化硏究 Vol.32 No.-

        The Esoteric Buddhism has its own idea of precepts to be practiced by Bodhisattvas practicing Mantra Gate(眞言門) as described in the Mahāvairocana Sūtra (大日經) which describes an independent system that is different from the traditions of precepts of Mahayana Buddhism. The precepts in Mahāvairocana Sūtra are divided into saṃskrta śīla (有爲戒) and asaṃskrta śīla(無爲戒) which the saṃskrta śīla is composed of so called the Five Basic Precepts and the Ten Good Precepts and the asaṃskrta śīla includes the Four Major Prohibition precepts(四重禁戒) and the Ten Major Prohibitions Precepts(十重禁戒). In Mahāvairocana Sūtra, it is said that the Five Precepts are used to save Bodhicitta and the Ten Commandments are also for the Bodhisattva. The doctrine based on the bodhisattva is also adopted in the asaṃskrta śīla in the Samaya vrata. The practice of Bodhicitta is also emphasized in Four Major prohibitions precepts and the Ten Major Prohibitions Precepts(十重禁戒). Since Esoteric Buddhism takes the Bodhisattva as the principle of practices of Mantra Gate which it is clearly different from the precepts of Bodhisattvas practices of Exoteric Buddhism (顯敎). The principle of practice of the esoteric doctrine can be seen in the Teaching of Three Verses(三句法門) as it firstly emphasized on Bodhisattva. In this way this writer examined the thought of Bodhicitta appearing in Mahāvairocana Sūtra(大日經) which clarify the systems of Samaya vrata and it's relationship of Samaya vrata and Teaching of Three Verses (三句法門) which shows the backgrounds of Bodhicitta ideas and practices of Mantrayana which reflects the ideas of early stage of Madhyamaka - yagacarya school of 7th century. 밀교경전에는 진언문을 수행하는 보살이 지켜야할 독자적인 계를 설한다.『대일경』에는 이전의 대승계를 유위계(有爲戒)라 정의하고 아자관의 수습을 무위계(無爲戒)라 정의하였다. 최초 무위계는 아자문의 수습을 위해 지키는 내면적 마음을 가리키는 것이었으나 『대일경』은 그것을 구체화하였다. 즉, 유위계는 오계와 십선계, 무위계는 사중금계(四重禁戒)와 십중금계(十重禁戒)라 하였다. 『대일경』에서는 보리를 구하기 위하여 오계를 수지한다고 하고, 십선계 또한 보리심을 지향한다고 설한다. 또한 유위계와 무위계 모두 보리심을 기반하고 있다고 설한다. 사중금계와 십중금계는 보리심을 계체로 하여 보리심의 실천이 강조된다. 보리심에 기반을 둔 교설은 무위계에 대해 삼매야계에서도 동일하다. 밀교는 보리심을 실천수행의 원리로 삼기에 현교의 계와는 명확한 차이를 보이며, 밀교의 보리심 사상은 삼구법문에서 그 실천원리를 엿볼 수 있다. 『대일경』에서 보이는 밀교의 계사상은 경전성립 당시 7세기 전후 초기후기중관파의 보리심사상과 진언문의 아자관과 일체지지의 영향을 받은 시대적 배경을 전하는 것이다.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 불교 융합교육에 대한 一考- 불교 자비명상의 융합교육을 중심으로 -

        오현희 한국윤리교육학회 2023 윤리교육연구 Vol.- No.67

        우리는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으로 인하여 사회, 경제, 문화, 교육 환경에 있어 급격한 변화를 체험하였다. 코로나19 팬데믹이라는 시대 변화에 따라 새롭게 부상한 것으로는 새 일상(New Normal)에서의 ‘언 콘택트(UN contact)’를 꼽을 수 있다. ‘언 콘택트’란 용어는 비대면 또는 비접촉을 의미한다. 이러한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비대면의 교육 지향점은 우리에게 ‘관계’의 재정립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코로나-19 이전에 이미 우리는 포스트 디지털 세대(Post Digital Generation)를 맞이한 바가 있다. 이전의 아날로그 세대나 디지털 세대와는 달리 포스트 디지털 세대의 가장 큰 특징은 디지털 생활 가운데에서도 인간관계를 중요시한다는 점이다. 즉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교육은 인간관계를 중요시하며, 자비의 정서를 기반으로 한 디지털 교육문화를 지향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논문은 융합교육의 하나로 불교의 자비명상을 고찰하고자 한다. 오늘날 불교의 자비명상을 토대로 개발된 프로그램 중에는 마음챙김(MBSR)과 마음 챙김-자기연민(MSC)이 있다. 이 프로그램들은 꾸준한 훈련을 통해 자비심이 함양될 수 있다는 점을 전제로 공통된 인간성과 상호의존성을 자각하여 자신과 타인에게 자비심을 일으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는 불교 전통에서 자애와 연민의 대상을 일체중생으로 여기는 것과 같다. 본 논문은 자비명상의 목적과 내용 등을 통하여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청소년을 위한 윤리교육의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 설명적 텍스트를 활용한 논리적인 글쓰기 방안

        오현희 국어교과교육학회 2011 국어교과교육연구 Vol.19 No.-

        본 연구는 읽기와 쓰기의 통합을 통해 쓰기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논문으로, 설명적인 텍스트를 구조적으로 읽고 파악하는 능력을 이용하여 논리적으로 글을 쓸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즉, 설명적인 텍스트 읽기를 통해 얻어진 글의 구조적인 파악 능력을 논리적인 글쓰기로 통합하여 활용할 수 있는 쓰기 지도 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읽기와 쓰기는 문자언어를 매개로 하는 활동으로, 음성언어와 구별되는 공통점을 지니며 능동적으로 의미를 구성하는 하나의 사고 과정이기 때문에 유사한 의미 구성 과정을 가진다. 따라서 읽기와 쓰기 능력을 공통적으로 신장시킬 수 있는 전략을 알고 논리적인 글쓰기 지도에 적용하면 효과적이다. 이를 위하여, 설명적인 텍스트 읽기를 글의 구조를 파악하는 이해의 단계와 본격적으로 과제를 해결해 나가는 논리적인 글쓰기의 2단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때 1단계인 읽기는 수집 구조, 비교/대조 구조, 원인/결과 구조, 문제/해결 구조, 기술구조의 다섯 가지 수사적 구조를 중심으로 각 구조마다 2차시의 시간을 설정하고,2단계인 논리적인 글쓰기에서는 3차시에 걸쳐서 설명적인 텍스트의 구조를 다양하게 보안하거나 더 나은 방안을 제시하도록 하였다. 전자교과서 등이 도입될 예정인 학교의 경우, 교과서 중심의 단편적인 텍스트를 넘어서 다양한 소셜 매체와 뉴스 등의 정보들이 언어적인 소통을 활발하게 벌이게 될 것으로 보인다. 그에 따라 설명적인 텍스트가 학생들에게 과거보다 더 자주 노출이 되고 국어과 수업에서도 그러한 텍스트들을 구조적으로 잘 이해하고 다시 논리적으로 활용하게 되는 기회가 보다 빈번해질 것이다.

      • 포스트 코로나 시대 불교윤리에서의 자비 실천과 지혜 윤리 - 불교윤리의 지혜 특성을 중심으로 -

        오현희,신희정 한국윤리교육학회 2022 한국윤리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11

        코로나(corona) 시대 이후 우리는 다양한 삶의 도전에 반응해야 한다. 실제로 현 자들은 실존적 도전에 지혜로서 능숙하게 자비로운 반응성을 보인다. 즉 실용적인 지혜는 삶의 중대한 실존 문제에 대해 능숙하게 반응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나타 내는 능숙함이란 불교 심리학과 서양의 양자 모두에서 지혜의 정의와 특성에 직접 적으로 관련된다. 불교윤리에서의 지혜는 불교의 해탈에 대한 이해와 지적인 학습 에 근거한 수행에서 얻어지는 모든 현상과 체험적 통찰 및 일체지(一切智)인 깨달 음까지를 포함한다. 이러한 지헤 윤리의 운용은 지혜가 자비를 발현시키는 역할을 하며, 자비 사상을 실천하는 것에 먼저 수반되어야 할 것이 ‘지혜’의 함양임을 제시 한다. ‘지혜’와 ‘자비’는 불교윤리의 핵심적 요체라 할 수 있으며, 자비가 없으면 지 혜의 선법(善法)을 구축하려는 동기를 구하기 어렵다. 주지하듯이 불교윤리에서 지 혜·자비는 단순한 결정과 선택이 아닌 인격 형성의 토대를 이루는 윤리적 조건이며, 우리에게 ‘고통’이라는 근본적인 문제 해결의 실마리가 될 수 있는 중심적 요건이 다. 본 논문은 불교윤리의 지혜 특성에 나타나는 지적인 성찰을 통하여 보편적 윤 리 상황에서의 ‘지혜’의 역할과 불교 특성을 나타내는 ‘반야’의 본의를 살펴보려 한 다. 이것은 불교의 반야지혜에 대한 바른 이해를 통한 바른 인식으로 지혜로운 삶 을 고찰하기 위함이다. 바른 인식의 지혜를 통해 펜데믹(pandemic)시대 이후의 사 회변화에 대응하여 상호관계 확대와 관용에 의한 지혜가 우리의 삶을 얼마나 풍요 롭고 행복하게 만들 수 있는가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Since the pandemic, we have to respond to various life challenges. Indeed, the wise men skillfully show a benevolent responsiveness as wisdom to existential challenges. In other words, practical wisdom is able to respond skillfully to life's vital existential problems. The proficiency displayed here is directly related to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wisdom in both Buddhist psychology and the West. The wisdom seen in Buddhist ethics includes all phenomena obtained from practice based on Buddhist relief understanding and intellectual learning, empirical insights, and enlightenment, which are integral. This practical operation plays a role in expressing mercy in wisdom. It can be seen that this is in line with the interdependence ethics implied in the idea of mercy of Buddhist ethics. In other words, the 'compassion' paradigm of Buddhist ethics contained in the mercy pavilion well represents other acting ethics that the interests of others must be together in order to obtain practical benefits. However, the first thing that must accompany the practice of mercy ethics is to gain wisdom. Wisdom and mercy can be said to be key elements of Buddhist ethics, and in the absence of mercy, it becomes difficult to obtain active means of establishing wisdom. As is well known, wisdom and mercy in Buddhist ethics are not just decisions and choices, but ethical conditions that form the basis of personality formation, and are central requirements that can serve as the basis for solving the fundamental problem of pain. This paper examines the role of 'wisdom' in universal ethical situations and the nature of Buddhist wisdom[般若] which represents Buddhist characteristics through intellectual reflection on the wisdom characteristics of Buddhist ethics. This is to consider the wise life with a correct understanding of Buddhist wisdom[般若]. Through this process, we hope to reveal that the situational ethics of wisdom and mercy in the post-corona era can be realized as a result of mutual benefit.

      • KCI우수등재

        재정패널 데이터를 이용한 국내 및 해외여행 결정요인 분석

        오현희,김수정 한국관광학회 2020 관광학연구 Vol.44 No.3

        본 연구는 한국재정패널 제6차~제10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가구의 인구 및 경제학적 특성이 해외여행 및 국내여행 지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여행지출액은 종속변수가 0의 값을 갖는 관측치가 많기 때문에 절단회귀모형의 한 형태인 패널 토빗(panel tobit model)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여행 지출 여부를 종속변수로 하는 모형은 패널 프로빗 모형(panel probit model)으로 추정하였다. 분석결과 국내 및 해외여행지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가구의 소득으로, 경제 성장 및 국민 소득 증대에 따라 여행수요 및 여행지출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가구주가 여성인 경우, 가구원수가 적을수록, 가구주 연령이 높을수록 해외여행 지출과 결정을 늘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변수가 국내여행 결정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여성가구주 증가 및 1인 가구 증가, 고령화 및 노인인구 증가 등 우리나라의 인구사회학적 변화에 따라 해외여행 지출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This paper examines the impact of demographic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of households on domestic and overseas travel expenditure. We used the Korea Financial Panel data from 2013 through 2017. Since travel expenditure has many observations that have a value of zero, we use a panel tobit model which is a form of truncation regression model, as well as a panel probit model, We found that household income is the mos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omestic and overseas travel expenditure; thus, travel demand and expenditure are expected to continue to increase as the economy grows and the national income increases. Furthermore, overseas travel expenditure and demand are greater when the head of household is female,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 is small, and the head of household is old. However, domestic travel expenditure and demand are not associated with those factor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ocio-demographic changes in Korea, such as increase in female-head households, single-person households, and aging population, are expected to expand overseas travel expenditure.

      • KCI우수등재

        불교 윤리 관점에서 본 현대 공감 이론의 도덕 심리학적 고찰

        오현희 불교학연구회 2023 불교학연구 Vol.77 No.-

        우리는 현대 사회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윤리적 문제들에 대해 유사한 감정과 의견을 공유하기도 하고, 각자의 생각과 의견이 다름을 확인하기도 한다. 이 같은 감정과 의견의 불일치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타인의 입장에 대한 공감적 이해가 필요하지만, 우리는 때때로 전략적으로 우리에게 일어나는 공감 행위를 멈추기도 한다. 그런데 우리가 타인과 감정을 공유할 수 있는 기제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우리는 윤리적 존재나 사회적 존재로서의 인간 특성을 말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공감 자체가 도덕 감정을 뜻하는 것은 아니지만 공감이 도덕 감정을 유발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현대의 공감 이론은 불교 윤리 관점에서 보면 초기불교 사무량심(四無量心)의 자·비·희·사(慈·悲·喜·捨) 관념과 유사함을 알 수 있다. 불교의 사무량심은 “모두가 안락하길 바라는 마음, 모두가 고통에서 벗어나길 바라는 마음, 남의 즐거움을 함께 기뻐하는 마음, 친소(親疏)의 구분 없이 모두를 평등하게 대하는 마음에 대하여 자기감정을 이입하여 함께 느끼는 것”이라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불교 윤리 입장에서 보았을 때, 타인을 돕는 이타행이 자기에게도 이익이 되는 자리이타(自利利他)의 원리에 대한 인식은 현대의 인지적 공감(cognitive empathy)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고, 타인에 대한 사랑과 연민 그리고 기쁨과 평등심에 대한 정서적 교감은 현대의 정서적 공감(emotional empathy)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은 현대 공감 이론의 도덕 심리학적 고찰을 통하여 공감의 도덕적 중요성을 고찰하고 현대 공감 이론에 상응하는 불교적 공감 개념과 그 작동 원리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불교 사무량심에서의 공감적 요인이 개개인의 마음 수행은 물론이거니와 타인과 공존하는 현대의 미덕이 될 수 있음을 밝혀보고자 한다. We share similar feelings and opinions on a variety of ethical issues in modern society, and we also identify differences in our thoughts and opinions. An empathetic understanding of others' positions is needed to resolve these feelings and disagreements, but we sometimes strategically shut down the empathy that occurs in us. However, if we do not have the mechanism to share it with others, it would be hard to say what characterizes us as human beings as ethical or social beings. This is not to say that empathy itself is a moral emotion, but rather that empathy can trigger moral emotions. From a Buddhist ethics perspective, these modern theories of empathy are similar to the early Buddhist notion of the four immeasurable minds. concepts of loving-kindness, compassion, joy, and renunciation. This means that the four senses of Buddhism are “the desire for everyone to be comfortable, the desire for everyone to be free from pain, the desire to rejoice in the joy of others, and the desire to treat everyone equally regardless of age and gender.” Furthermore, from the perspective of Buddhist ethics, recognizing the principle of coexistence—namely, the understanding that altruism that helps others is also beneficial to oneself—can be seen as similar to the cognitive empathy in modern empathy theory. and feelings of love, compassion, joy, and equality for others are similar to emotional empathy in modern empathy theory. Accordingly, this paper examines the moral importance of empathy through moral and psychological considerations of modern empathy theory, and examines the Buddhist concept of empathy and its operating principles that correspond to modern empathy theory. Through this study, we would like to demonstrate that the empathetic element shown in Buddhism (i.e., the four immeasurable minds) is an essential modern virtue that not only applies to individual practice but also to coexistence of others.

      • KCI등재

        Colloidal synthesis of monodisperse ultrathin LiFePO4 nanosheets for Li-ion battery cathodes

        오현희,주진 한국화학공학회 2021 Korean Journal of Chemical Engineering Vol.38 No.5

        Lithium-ion conductivity is one of the critical factors in improving the rate capability of LiFePO4 in lithium- ion batteries. The one-dimensional diffusion pathway of lithium ions slows the charging/discharging rates in the olivine structure of LiFePO4. Herein, ultrathin LiFePO4 nanosheets were synthesized using surface-passivating ligands to address the rate capability issue.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nanosheets is the [010] direction in which the lithium ions are inserted or extracted during cycling. The structur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zations were performed vi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and X-ray diffraction. A thickness of 7.5 nm was obtained from the atomic force microscopy height profiles, which is in the scale of twelve unit cells of LiFePO4. Electrochemical performance test results revealed that the Li-ion batteries had superior rate capability during the charging/discharging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