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어교육학과 언어병리학 그리고 청각학의 학문 간 융합 연구 시론

        이효인(Hyo-In Lee),이미경(Mi-Kyung Lee),신은영(Eun-Young Shin),조수진(Soo-Jin Cho)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24 한국어교육연구 Vol.- No.21

        한국어교육학의 연구 영역 확장을 위해 본고는 언어병리학과 청각학과 같이 한국어라는 공통점을 갖는 학문 분야와의 융합 연구 과제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언어병리학은 본질적으로 의사소통에 문제점을 겪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는 학문 영역이다. 청각학 역시 말소리 지각 특성을 바탕으로 말소리를 이용한 의사소통능력 장애를 극복하는 방법에 관심을 두는 학문 영역이다. 이처럼 한국어의 본질과 그 사용 양상에 대한 관심을 두고 있다는 점에서 각기 학문 영역에서 독자적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융합연구의 필요성은 크다고 할 수 있다. 언어병리학 분야의 경우 언어발달과 관련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언어발달 정도를 정확히 측정하고 발달이 지체되거나 장애를 갖는 사람들을 치료하기 위한 기준이 필요하다.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필수적인 어휘와 문법 내용은 물론 읽기, 쓰기, 말하기, 듣기와 같은 언어 기능 등을 연령과 학령에 따라 기준을 마련하고 이를 지도하는 방법 등에 대해 한국어교육학과의 융합 연구가 필요함에도 이런한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명확한 언어능력 발달 기준을 명확히 제시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를 치료하는 기준이 없으며 교육 방법론적인 측면에서도 적절하고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어렵다. 이런 점에서 언어발달 진단도구의 개발과 재활 방법에 대한 향후 연구가 이루어져야 함을 주장하였다. 청각학 분야의 경우 말지각검사 도구 개발과 관련한 연구가 필요하다. 온전한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음소 단위의 말소리자극을 넘어 단어, 구, 문장, 담화 단위의 의사소통 능력을 검사할 수 있는 도구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명확한 기준 마련을 통한 검사 도구와 재활 방안이 필요함에도 이에 관련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한국어교육학과 언어병리학 그리고 청각학의 경우 교육하는 대상에 따라 교육 방법의 차이는 있으나 교육하는 본질적 내용은 서로 공유하고 있는 부분이 매우 큰 학문이다. 연구자들의 경우 한국어교육학이 언어병리학과 청각학에 비하여 한국어의 특질과 관련한 연구를 상대적으로 많이 수행하였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정작 인접 학문분야에서 요구하는 한국어 본질에 대한 연구 성과가 미미함을 인정하고 인접 학문과의 소통과 협력을 통해 한국어의 본질과 사용 양상을 규명하는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In order to expand the research area of Korean language pedagogy, this paper attempted to explore convergence research tasks with academic fields that have the commonality of Korean, such as Speech-Language Pathology and auditory studies. Speech-Language pathology is essentially an academic field that seeks ways to solve problems for people who have communication problems. Audiology is also an academic field that focuses on how to overcome communication difficulties using speech sounds based on the perception characteristics of speech sounds. As such, the need for convergence research to solve tasks that are difficult to solve independently in each academic field is great in that they are interested in the nature of Korean and its usage patterns. In the field of Speech-Language Pathology, in order to solve problems related to language development, standards for accurately measuring the degree of language development and treating people with delayed development or disabilities are needed. Although there is a need for convergence research with the Korean Language Pedagogy on how to prepare standards and guide language functions such as reading, writing, speaking, and listening, as well as essential vocabulary and grammar dlements used in everyday life, according to age and school age, such research has not been sufficiently conducted. There is no standard for treating this because it does not clearly present clear standards for language ability development, and it is difficult to present appropriate and effective educational methods in terms of educational methodology. In this regard, it was argued that future research on the development and rehabilitation methods of language development diagnostic tools should be conducted. In the field of Audiology, research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speech perception test tools is needed. For full communica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ool that can test the communication ability of words, phrases, sentences, and discourse units beyond the stimulation of speech sounds at the phoneme level. Although there are differences in educational methods depending on the subject of education, linguistic pathology, and audiology, the fundamental content of education is very large. In the case of researchers, there may be a tendency to think that Korean language pedagogy has conducted relatively more research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nguage than speech-language pathology and audiology. However, it is necessary to acknowledge that the research results on the nature of the Korean language required by neighboring disciplines are insignificant, and to conduct research to identify the nature and usage patterns of the Korean language through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with neighboring disciplines.

      • KCI등재

        일반논문 : 자유로운 유대를 향한 수의 열망: 토마스 하디의 『무명의 주드』

        이효인 ( Hyo In Lee )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1 용봉인문논총 Vol.39 No.-

        본 글은 토마스 하디(Thomas Hardy, 1840-1928)의 『무명의 주드』 (Jude the Obscure, 1895)가 19세기 영국 사회에 등장한 페미니스트적 특성을 가진 여성을 일컫는 ‘신여성’을 작품 속에 등장한 여주인공 수(Sue)를 통해 재현한 것으로 보고, 당시 사회가 여성에게 요구하는 관습과 가치관에 여성으로서, 그리고 개인으로서 어떻게 저항하는가를 살펴보고 구체적으로는 그 저항 대상을 결혼이라는 관습과 종교 이념이라는 두 가지 형태로 구체화하고 당대의 환경을 살펴봄으로써 다각적 접근을 통해 수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도모하는 데에 그목적이 있다. 빅토리아조 사회의 기독교 전통과 이념은 여성에게 수동적 역할을 강요하고 여성의 자연스러운 본능적 욕망을 죄악시함으로써 당시 사회가 여성에게 부여하던 여성성을 강화시켜 여성을 독립적 주체로 인정하기보다 정형화된 틀에 가두어 왔다. 수는 이러한 종교 이념에 반해 남성과 동등한 위치에서 남성에게만 가능했던 사회 속에서의 자기 실현을 열망한다. 그녀는 성적인 욕망의 대상으로서의 여성이 아닌 남성과 똑같이 지식과 이성을 바탕으로 하는 동료애적인 유대를 기반으로 서로가 존재하기를 원한다. 따라서 결혼은 그녀가 이상적으로 바라는 유대의 실현이 될 수 없다. 필롯슨(Phillotson)과의 결합이 실패함에 따라 수는 사회에서 공식적으로 서로에게 얽매이게 되는 결혼이라는 약속이 자신이 바라던 이상적인 유대의 모습이 될 수 없음을 깨닫는다. 비록 수가 자신의 본능적 욕망과 이상 사이에서의 갈등으로 인해 그녀가 딛고 일어서고자 했던 관습도, 생물학적 한계도 초월하지 못한 것으로 결론 내려질 수 있으나 결과로 향하기까지의 일련의 과정을 추적한다면 수가 원하는 자유로운 유대가 어떠한 형태의 것인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Sue Bridehead, a heroine in Thomas Hardy’s Jude the Obscure, as an antagonistic figure against the convention and ideology of women in the Victorian Age. However, the industrial development is a distinguished feature in this period; thus, women gradually participated in practical labor in society. According to this change, women claim their own rights and struggle with conventional ideology, which is determined by men’s voices. Mrs. Lynton calls those women “the girls of the period”, who refuse convention and live to fill their own amusement. The word “new woman” was another word to call women that Mrs. Lynton refers to; Sue is the representative of these new women. According to the Christian view of women, they should be passive and their natural desire was treated as a sin. Generally, women are classified as either a saintess or a harlot. Sue wants to be able to confront men as an equal instead of being regarded as a both ways of classification to women. She refuses to assume the conventional role of women and ardently longs to obtain reason and knowledge in order to achieve self-realization. Marriage, which forces women to submit to their husband, bounded in the “Nature’s law”, is not an ideal relationship for Sue. Rather than marriage, free union, based on friendship that not entirely tied each other as a being existed individually, is her ideal way of harmonized with men. Though it seems to Sue that she did not accomplish her goal, her desire to achieve free union was meaningful itself because it is the first step towards women’s liberation.

      • KCI등재

        일반논문 : 중도입국 자녀 대상 한국어 교육 연구 -전남지역의 현황과 과제를 중심으로-

        이효인 ( Hyo In Lee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5 호남학 Vol.0 No.58

        본 연구는 전라남도에 거주하는 중도입국 자녀를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한국어교육의 현황을 살피고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과제와 정책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첫째, 전남지역 다문화 배경 자녀의 현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교육부를 중심으로 파악된 다문화 배경학습자와 그 중 중도입국 자녀의 수와 그들이 전체 학습자 중 차지하는 비중을 보여줌으로써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 정책의 수립이 절실함을 보여주고자 한다. 둘째, 중도입국 자녀를 대상으로 하는 전남지역의 한국어 교육 현황을 살펴보고 문제점을 기술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중도입국 자녀를 위한 한국어 교육의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2장에서는 전라남도의 다문화 배경 학습자(중도입국 자녀 포함)의 수와 한국어교육 현황에 대해 기술하였다. 이를 통해 전라남도 지역에 거주하는 다문화 배경학습자가 전국의 평균에 비하여 2배가 넘게 거주한다는 것을 보였다. 뿐만 아니라 교육부가 주도하는 한국어 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러한 한국어 교육이 중도입국 자녀를 대상으로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3장에서는 2장에서의 논의를 바탕으로 국가 차원에서의 과제 4가지와 전라남도 차원에서의 제안 2가지를 제시하였다. 먼저 중도입국 자녀의 공교육 진입 유도를 위한 제도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입국 초기 단계에서 법무부가 중도입국 자녀의 상황을 보다 세밀하게 분류 파악하고, 이에 대한 정보가 교육부와 교육청 그리고 일선 학교에까지 전달할 수 있는 제도의 마련이 필요하다. 둘째, 보다 세밀한 한국어 교육과정(KSL)의 설계를 주장하였다. 셋째, 다문화 배경 학습자 전문 교원의 양성을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교사가 학급에 필요한 교육 자료를 개발할 수 있도록 실용적이고 직접적인 교원 연수 프로그램을 구성해야 한다. 넷째, 중도입국 자녀(다문화 배경 학습자 포함)를 대상으로 그들의 한국어 능력을 평가하는 평가 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중도입국 자녀의 한국어 수준을 정확하게 파악하기위해서는 그들의 연령(학령)에 요구되는 한국어의 수준이 명확히 설정이 되어야 하며, 이를 평가할 도구가 있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또한 전라남도의 특성에 맞는 유연한 한국어 교육 정책을 제시하였다. ‘전담 교사제’와 ‘순회 교사제’를 실시하면 여러 지역의 교사를 공유하게 되므로 학습자의 한국어 숙달도를 고려한 수준별 학급을 운영할 수 있으며 교사 또한 담당하는 수업이 동일한 수준의 내용이므로 전문성을 높일 수 있고 교사의 수업 부담 덜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전남지역에 거주하는 중도입국 자녀의 한국어 교육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개선하기 위한 과제와 정책을 제시하였다. A systematic education support for multicultural background learners has been formulated in our society. And ensued by political efforts in developing curriculum textbook and cultivating professional personnel. This has been to meet our desire for standardized education provision. And yet, classrooms are now witnessing the need and desire for diversity and flexibility in order to respond to their students who are characterized as nothing but diverse and susceptible to change. Among the multicultural background learners, our education support systems for immigrate children are relatively very poor but not systematically. In response, this paper aims to review the state of Korean education for immigrate children and suggests research tasks. The measures highlighted here is that 1) establishment of national institutions to identify the exact number of immigrate children; 2) systematic curriculum aimed at improving those children’s Korean language proficiency from kindergarten to high school is needed; 3) developing a teacher training program to support teachers to build up their professional competence to teach Korean; 4) developing a evauation tool to measur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is needed; 5) considering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Jeollanamdo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polices flexibly. And this paper suggested ‘dedicate teacher system’ and ‘itinerant teacher system’ for Jeollanamdo.

      • KCI등재

        텍스트구조 표지를 활용한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

        이효인(Lee Hyo 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8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쓰기를 어려워하는 하는 이유 중 하나는 한국어 담화 체계에 적합한 글을 쓰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TOPIK 쓰기 문항에 적합한 쓰기 교육 방법으로 텍스트구조 유형과 텍스트구조 표지를 활용한 쓰기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 다. 이를 위해 먼저 TOPIK 쓰기 영역의 평가 내용을 분석하고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쓰기를 어려워하는 이유 중 하나로 한국어 담화 체계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글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장르 중심 쓰기 교육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둘째, TOPIK 쓰기 문항 및 모범 답안의 텍스트구조 분석을 통해 TOPIK 쓰기 평가에 등장하는 텍스트구조 유형을 밝혔다. TOPIK 쓰기 53번 문항에서 요구하는 텍스트 유형은 ‘설명하는 글’이며, 텍스트구조 유형은 ‘나열구조’와 ‘대응구조’ 혹은 ‘인과구조’가 결합한 복합 구조임을 보였다. 그리고 가장 많이 사용된 텍스트구조 유형은 ‘나열구조’임을 밝혔다. 셋째, ‘나열구조’, ‘대응구조’, ‘인과구조’에서 주로 사용하는 텍스트구조 표지를 개념어와 연결어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텍스트구조 표지를 이용한 효과적인 TOPIK 쓰기 교육을 위해 ‘텍스트구조 파악하기’, ‘텍스트구조 표지 선택하기’, ‘텍스트구조 표지를 활용한 글 작성하기’로 이루어진 세 단계 ‘TOPIK 쓰기 교수 학습 모형’을 제안하였다. Among the TOPIK, the writing area is the most difficult for learners. One of the reasons why foreign learners of Korean are finding it hard to write is because it is difficult to write a piece suitable for the Korean discourse system. This paper presented a method of writing training using text structure type and text structure labeling as a suitable method for writing TOPIK. To this end, the assessment of the TOPIK writing area was first analyzed. And the main reason why it is difficult for foreign learners to write in Korean language is because it is difficult to organize their writing in a way that conforms to the Korean discourse system, and the need for genre-oriented writing education to learn the type of writing used by the Korean community. This paper revealed the type of text structure featured in the TOPIK writing assessment by analyzing the text structure of the TOPIK writing questions and best answers. The type of text required by paragraph 53 of TOPIK was shown to be a statement of text , and a text structure type was a combination of list structure and corresponding structure or cause and result structure . It also revealed that the most commonly used type of text structure is list structure . Next, text structure markers that are commonly used in List Structure , Response Structure and Cause and Result Structure are presented in the following terms, dividing them into conceptual and conjunctive terms. Finally, for effective TOPIK writing education using text-structure markers, three steps were proposed: Identify Text Structure , Select Text Structure marker and Write Text Using Text Structure marker .

      • KCI등재

        전남지역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 오류 연구 - 평파열음 뒤 경음화 오류를 중심으로 -

        이효인 ( Lee Hyo-in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6 호남학 Vol.0 No.60

        이 연구는 전남 지역 중국인 학습자의 발음 오류 양상을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부정확한 발음은 경우에 따라 원활한 의사소통을 막는다. 경음화 현상은 한국어의 음운 현상 중 가장 빈번하게 일어나는 것이며 이 중에서도 평파열음 뒤에서 일어나는 경음화 현상은 음운론적 조건에 따라 예외없이 일어나는 필수 음운 변화이다. 중국인 학습자의 평파열음 뒤 경음화 오류 양상을 음운론적 환경에 따라 분류하여 경음화의 구체적인 오류 양상을 분석하고 학습자의 한국어능력과 학습기간 등을 나누어 각 요인들 간의 관계성을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초·중급 학습자 20명을 대상으로 경음화가 일어나는 환경을 단어 환경과 문장 환경으로 나누어 경음화 오류의 유형을 살펴보았다. 실험 결과 중국인 학습자가 단어 발화 상황에서 경음화 오류를 가장 많이 범하는 경우는 선행 받침이 “ㄷ”인 경우였다. 선행 받침이 “ㄱ”과 “ㅂ”인 경우 경음화 오류가 그 뒤를 이었으며 선행 받침이 “ㄼ, ㄾ”인 경우는 오류의 건수가 다른 환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장 적었다. 학습자들이 주로 범하는 경음화 오류 양상은 후행음절의 초성을 경음이 아니 격음으로 발음하는 경우, 후행음절의 초성을 표기와 같이 평음으로 발음하는 경우, 선행음절의 종성이 탈락하고 후행음절의 초성을 평음으로 발음하는 경우, 선행음절의 종성이 탈락하고 후행음절의 초성을 격음으로 발음하는 경우, 선행절의 종성 `ㄱ`, `ㅂ`를 `ㄷ/ㄴ`, `ㅁ`로 바뀌어 발음하고 후행음절의 초성을 평음으로 발음하는 경우, 선행음절의 초성을 격음으로 잘못 발음하고 후행음절의 초성을 평음으로 발음하는 경우로 나타났다. 학습자의 한국어 숙달도 정도나 한국어 학습기간은 오류의 정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at whether pronunciation environment, korean proficiency level and learning time affect the realization of glottalization, and analyze various types of glottalization errors for Chinese learners in Jeonnam.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alization of glottalization for Chinese learners, I have randomly selected 10 beginners and 10 intermediate Chinese students to read 34 words and 34 sentences. According to the result, the error rate of same character`s glottalization in words is slightly higher than in sentences. However, Korean proficiency level and learning period have little impaction on the realization of glottalization. This research concludes that there are 6 major types of errors. The first one is pronouncing which is on the basis of writing. The second one is that the consonant of preceding syllable is eliminated and the initial sound of back syllable is pronounced as lax consonant. The third one is that the consonant `k/g`, `b` is pronounced as `d/n`, `m` and the initial sound of back syllable is pronounced as lax consonant. The fourth one is that the initial sound of back syllable is pronounced as aspirated. The fifth one is that the initial sound of the preceding syllable is pronounced as aspirated and the initial sound of back syllable is pronounced as lax consonant. The last error is that the consonant `ㄼ, ㄾ` of the preceding syllable is pronounced as `[b]/[t]` instead of `[l]` and the initial sound of back syllable is pronounced as lax consonant.

      • KCI등재

        한국어 순회교사 제도 운영 방안 연구

        이효인(Lee, Hyo In)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2018 현대사회와 다문화 Vol.8 No.1

        이 글은 제2언어 혹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를 학습하는 다문화 배경 학습자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들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한국어 교육 방안의 일환으로 한국어 순회교사 제도의 운영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절에서는 모국어로서 한국어를 습득하는 국내출생 자녀에 비해 제2언어로서 한국어를 학습하는 중도입국 자녀와 외국인 자녀의 현황과 특성을 살펴보고 이들을 지원할 수 있는 교육 지원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3절에서는 한국어 교육과정(KSL) 운영 현황을 살펴보고 먼저 편입생의 한국어 능력 수준을 평가할 평가 도구의 미비를 지적하였으며, ‘다문화 예비학교’를 통한 한국어 교육이 도시지역에는 적합할 수도 있으나 도서산간지역과 같이 접근성이 떨어지는 곳에서는 효율적인 방안이 될 수 없으므로 효율적인 교육 방안이 될 수 없다는 것을 보였다. 제4절에서는 효과적인 한국어 교육을 위해 순회교사 제도의 필요성과 그 운영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효과적인 순회교사 제도의 운영을 위해 세 가지 방안을 주장하였다. 첫째, 순회교사 제도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먼저 한국어교사의 자격을 명확하게 규정할 것을 제안하였다. 둘째, 교육지원청별로 순회교육을 전담할 순회교사를 확보해야 하며 이를 위해 순회교사를 위한 행정적 재정적 우대정책이 있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셋째, 일선 학교에서 순회교사를 위한 적절한 공간과 충분한 기자재를 제공해 주어야 함을 언급하였다. This study is to looks at the current status of multicultural background learners learning Korean as a second or a foreign language. And aims to propose the operation of the Korean itinerant teacher system for a systematic and effective Korean language education plan for multicultural background learners. For this reason, we looked at the characteristics of immigrant children and foreign children learning Korean as a second language compared to children born in Korea who acquire it as their first language and assert the necessity of an education support program to support them. After looking at the current status of KSL (Korean Language Education Course), we pointed out the lack of assessment tools to evaluate the level of Korean proficiency of immigrant students. In additio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rough ‘multicultural preparatory schools’ may be appropriate for urban areas, but it was effective because it could not be an efficient way to provide access to less accessible areas such as mountainous islands. Finally, we discussed the need for a itinerant teacher system and how to operate it for effective Korean education. First, in order to operate the itinerant teacher system, it was suggested to clearly define the qualifications of Korean teachers. Second, it argued that each district education office should have a itinerant teacher who would be exclusively responsible for itinerant education, and that there should be a policy of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preference for itinerant teachers. Third, I mentioned that schools should provide adequate space and sufficient equipment for the itinerant teachers.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