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가족력, 산과적 합병증 및 신체미세기형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안용민,김용식,정희연,신지용,윤세창,배안,이중서,주은정,이창인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9 신경정신의학 Vol.38 No.2

        연구목적 : 저자들은 태생기 동안에 받는 유전외적 요인, 즉 환경적 요인이 산발성 정신분열병 환자들의 발병에 크게 관여할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형제 중 1인 이상이 발병하여 가족력을 분명히 알 수 있는 정신분열병 환자군(이하 형제 환자군)과 가족력이 없는 산발성 정신분열병 환자군(이하 산발성 환자군) 및 정상대조군을 대상으로 산과적 합병증, 신체미세기형 및 정신분열병의 임상 양상을 비교하였다. 방 법 : 연구 대상은 형제 환자군 43명(남 22명, 여 21명), 산발성 환자군 43명(남 23명, 여 20명), 정상대조군 43명(남 20명, 여 23명)이었다. 산과적 합병증은 Lewis 척도를 이용하여 평가하였고 신체미세기형은 Waldrop 척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임상 양상으로서 발병 연령, 병전 기능 수준, 정신병리, 약물에 대한 반응, 회복시의 전반적 기능 수준, 지연성 운동장애의 유무를 평가하였다. 결 과 : 정상대조군과 정신분열병 환자군 전체를 비교하였을 때 산과적 합병증과 신체미세기형의 총점과 각 소항목의 점수에 차이가 없었다. 산발성 환자군과 형제 환자군을 비교하였을 때 산과적 합병증의 전체 점수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출생 당시에 태아가 받은 스트레스 항목의 점수가 산발성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신체미세기형에서는 전체 점수 및 입의 미세기형 점수가 산발성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신체미세기형의 전체 점수가 4점 이상인 환자수도 산발성 환자군에서 높은 경향성을 보였다. 산과적 합병증과 신체미세기형 사이의 상호 연관성은 찾을 수 없었다. 정신분열병의 임상 양상 중에서는 Krawiecka 척도의 총점 및 양성 증상 점수와 회복시의 전반적 기능 수준만이 형제 환자군에 비해 산발성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성별에 따라서는 형제 환자군에서 남자 환자의 산과적 합병증이 유의하게 높았다. 결 론 : 본 연구를 통해 산과적 합병증 및 신체미세기형 연구가 정신분열병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유용한 방법임이 시사되었지만, 가족력, 산과적 합병증 및 신체미세기형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분명한 결론을 내리지 못하였다. The authors hypothesized that sporadic schizophrenic patients had more chances of receiving environmental insults during the fetal neural development compared with familial schizophrenics. We tested our hypothesis by comparing obstetric complications(OCs), minor physical anomalies(MPAs) and other clinical features, and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OCs and MPAs in schizophrenic patients who had one or more sibling with schizophrenia(sibling group) and sporadic schizophrenics(sporadic group) and normal controls. OCs were evaluated by the scale of Lewis, and MPAs were measured by the Waldrop scal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Cs and MPAs between schizophrenic and control groups. Sporadic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fetal distress, total Waldrop score and Waldrop score for mouth than sibling group. And there was a tendency that the number of subjects having the Waldrop score over 4 points was greater in the sporadic group.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CCs and MPAs. The scores of initial psychopathology and post-treatment functioning were much higher in the sporadic group, but the other clinical feature showed no difference. Although male patients had more OCs than female patients in sibling group, no sex difference were observed as a whole. Our results suggest that, if the methodological weakness were complemented, OCs and MPAs would be useful tools in the search for the cause of schizophrenia.

      • 넙치 및 조피볼락용 습사료의 보관조건에 따른 안정성 평가

        안창범,주용석,정관식,서경란,신태선 여수대학교 1998 論文集 Vol.13 No.2

        본 실험은 습사료를 대상으로 보관조건(온도별, 시간별)에 따른 지질의 산화진행 정도를 파악하여 사료의 효율적인 이용성을 구명하고자 산가(acid value, AV), 과산화물가(peroxide avlue, POV) 및 비타민 함량을 분석하였다. 생사료와 분말배합사료를 혼합하여 제조한 습사료는 혼합비가 8:2 사료에서 5:5 사료보다 높은 AV와POV를 나타내었고, 보관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보관조건과는 상관없이 8:2 사료에서 빠른 산패를 보였다. 산화진행속도는 4℃ 보관조건하에서는 48시간째, -15℃ 보관조건하에서는 72시간째에서 빠르게 일어났다. 60,000 Lux이상의 직사광선 노출하에서의 AV,POV는 노출시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였고, 8:2사료에서 빠르게 변화하였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rancidity in moist pellet(MP) during various practical condition of handling and storage conditions. The experimental moist pellet diets were prepared by mixing frozen raw fish (FRF) and commercial compound meal (CCM) in ratio of 8:2 and 5:5, respectively. Immediately before and after manufacturing of MP, the MPs were stored at 4℃ and -15℃, and exposed under the sunlight(30±2℃, 60000Lux). The rancidity of each MP was determined from 1 to 96 hours after pellting. The acid value (AV) and peroxide value (POV) in the diets stored at 4 and -15℃ increased rapidly after 48 and 72 hours, respectively. For the sample exposed sunlight, AV and POV were slightly increased with the exposed time. The rancidity increased in the 8:2MP(FRF : CCM) than in the 5:5MP(ERF : CCM) at all storage condition and the amount of vitamin E in MPs decreased rapidly as AV and POV increased.

      • 쿠싱증후군 환자에서 당 대사 이상 정도에 따른 인슐린 감수성과 인슐린 저항성의 변화

        정인경,김성훈,정재훈,민용기,이명식,이문규,유형준,안규정,노정현,김동준,김광원 대한내분비학회 2003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18 No.4

        연구배경 당질 코르티코이드는 당 대사에 매우 중요한 호르몬으로 내인성 당질 코르티코이드 과다상태인 쿠싱증후군에서는 말초조직에서 인슐린 저항이 증가하고 이를 보상하고자 인슐린 분비의 증가로 고인슐린혈증이 동반된다고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생체 내에서와 달리 시험관내에서는 췌도세포에 당질 코르티코이드를 장시간 처리하면, 인슐린 분비 및 생합성이직접적으로 억제됨이 확인된 바 있어 쿠싱증후군 환자에서 당뇨병의 원인으로는 아마도 말초조직에서 증가된 인슐린 저항성 뿐 아니라 이를 충분히 보상하지 못하는 췌장에서의 인슐린 분비 저하가 같이 동반되어있지 않을까 하는 가설을 세우게 되었고, 아직까지 당질코르티코이드가 당대사 이상을 일으키는 기전에 대해 쿠싱증후군을 당대사 정도에 따라 인슐린 감수성과 분비능을 분석한 연구는 없었기에 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삼성서울병원에서 쿠싱증후군으로 진단 받은 환자 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에 대한 대조군으로는 쿠싱증후군 환자와 같은 성별 그리고 체질량지수를 갖은 15명의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비교 하였다 쿠싱증후군 환자를 대상으로 경구당부하 검사를 통해 당대사 정도를 정상군, 내당능장애군, 그리고 당뇨병군으로 나눈 후 정맥 당부하 검사를 시행하여 각군의 인슐린 저항성과 인슐린 분비능의 지표를 비교하고, 수술 후 쿠싱증후군이 완치된 상태에서 수술 전후의 당대사 지표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결과: 1) 쿠싱증후군 환자 중 정상인은 20%, 내당능 장애는 27%, 그리고 당뇨병은 53%였다. 체질량지수, 나이, 그리고 발병 기간은 세 군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으나, 24시간 소변검사의 코르티솔 농도는 당뇨병군에서 의미있게 높았다. 2) 정맥당부하 검사 결과, 인슐린 감수성 지표인 Sl는쿠싱증추린」서 1.58±0.10[×10^(-4)(min^(-1)(μU/mL)^(-1)]로 정상 대조군의 3.37±0.49[×10^(-4)(min^(-1)(μU/mL)^(-1)]에 비해 의미있게 낮았으나(P=0.024), 쿠싱증후군 환자 중 NGT, IGT, DM 군간에 서로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3) SG는 정상 대조군과 쿠싱증후군 환자간에는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고, 쿠싱 증후군에 있어서 당대사가 악화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4) 인슐린 분비능의 지표인 AIRg는 정상인에 비해 전체 쿠싱증후군 환자의 경우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쿠싱증후군 환자중에서 당대사 상태에 따라 NGT군은 1299 (1297∼1310)(mu/g/min ×10^(-2))로 정상 대조군(368.9±98.6[mu/g/min ×10^(-2)]) 보다도 의미있게 높았고, DM군{202.2 (91.1~371.4) [mu/g/min ×10^(-2)}은 NGT군에 비해 의미있게 낮았다(P=0.0031). 5) 15명중 현재 완치 상태에 있는 6명에 대해 수술전과 후로 비교하였다. 수술 전 당대사 상태가 1명은정상, 1명은 내당능 장애, 그리고 4명은 당뇨병이었으나 수술 후 시행한 경구 당부하 검사상 모두 정상 당대사 상태를 보였다. 6) 수술 후 완치된 환자 6명에 있어 인슐린 감수성지표인 Sl는 수술전에 중앙값이 1.22[×10^(-4)(min^(-1)(μU/mL)^(-1)]로 대조군에 비해 의미있게 감고』어 있었으나(p.0.05), 수술후 10.95 [×10^(-4)(min^(-1)(μU/mL)^(-1)]로 정상 수준으로 회복되었고(P=0.0022), 인슐린 분비능을 나타내는 AIRg [mu/g/min ×10^(-2)] 값도 정상수준으로 회복되었다. 특히 인슐린 분비능의 회복양상은 혈당농도에 따라 판이하게 나타나서, 정상과 내당능장애 상태에 있던 2명은 수술전에 1201 [mu/g/min ×10^(-2)]로 증가되어 있던 AIRg 값이 수술 후 정상 수준으로 감소하였고, 수술 전에 당뇨병 상태에 있던 4명의 경우 245.9 [mu/g/min ×10^(-2)]로 인슐린 분비능이 감고il어 있었는데 이들은 수술 후 모두 정상 수준으로 증가되었다 (P=0.0286). 결론: 쿠싱증후군 환자에서 당대사 이상은 80%로 높은 유병률을 보였다. 모든 쿠싱증후군환자에서 인슐린 감수성은 정상인에 비해 저하되어 있어 말초조직의 인슐린 저항이 선행됨을 시사하며, 인슐린 분비능은 당대사의 정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정상 당대사군에서는 인슐린의 저항성을 극복할 만큼 정상 대조군보다 더 많은 양의 인슐린 분비를 하다가 고코르티솔혈증이 심할수록 인슐린 분비능의 감소로 당뇨병으로 진행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런 인슐린 저항성과 인슐린 분비장애는 수술 후 다시 회복되는 가역적인변화를 보였다. Background: Glucocorticoid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control of carbohydrate metabolism. Patients with Cushing's syndrome have been reported to have an increased incidence of carbohydrate intolerance due to peripheral insulin resistance and hyperinsulinemia, although the exact incidence and nature of this disorder have remained unclear. Few results have been published about insulin resistance and insulin secre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glucose concentration, or about the reversibility of such defects in patients with Cushing's syndrome. Methods: To assess the effect of glucocorticoid on the insulin sensitivity and insulin secretion in Cushing's syndrome, 15 patients with Cushing's syndrome were classified into 3 groups (normal glucose tolerance: NGT, impaired glucose tolerance: IGT, diabetes: DM) according to the degree of glucose tolerance based on the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 Insulin modified, frequently sampled, intravenous glucose tolerance test (FSIGT) was performed before and after curative surgery on these patients and on 15 healthy control subjects. Data were evaluated by non-parametric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1) Among the 15 patients with Cushing's syndrome, 3 (20%) were NGT, 4 (27%) IGT, and 8 (53%) DM, based on OGTT. Twenty-four hour urinary free cortisol (UFC)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DM group. 2) Insulin sensitivity index (SI) of Cushing's syndrom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p=0.0024), bu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hree Cushing's syndrome groups of NGT, IGT and DM. 3) Glucose mediated glucose disposal (SG) (Ed- confirm this abbreviation; it does not seem to match the definition) of Cushing's syndrom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ntrol group. 4) Insulin secretion (AIRg) of Cushing's syndrome tended to be high, but i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control. However, according to the level of glucose concentration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AlRg among the three Cushing's syndrome groups p=0.0031); AIRg of DM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NGT. 5) After surgical treatment, parameters of insulin sensitivity and insulin secretion were normalized in 6 cured patients; 1 with NGT, 1 with IGT, and 4 with DM, preoperatively. Median SI of all 6 patients was significantly improved up to the normal range postoperatively p=0.0022). Median AIRg of these 6 patients was balanced around that of normal control postoperatively p=0.0286). Conclusion: Eighty percent of patients with Cushing's syndrome had abnormality of carbohydrate metabolism. Insulin sensitivit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Cushing's syndrome. Insulin secre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only in the NGT and IGT groups of Cushing's syndrome. As the hypercortisolemia is exacerbated, insulin secretion is significantly decreased and causes DM, suggesting that glucocorticoid has a direct or indirect toxic effect on the pancreatic beta cell (J Kor SOC Endocrinol 18:392-403, 2003).

      • Ion Beam을 이용한 Ni-Co-Cu Alloy Thin Film의 Dry Etching에 관한 연구

        안정식,장문식,이규용 경북대학교 센서기술연구소 1998 센서技術學術大會論文集 Vol.9 No.1

        Much effort has been made worldwide in dry etching of new thin film by IBE, IRE, ECR etc. In this study, dry etching of Ni-Co-Cu alloy thin film grown by IBD on a glass substrate was performed using Ar^(+) or N_(2)^(+) ions of 2KeV as a function of ion dose by high current DuoPigatron type ion source.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surface morphology of the Ar^(+) beam etched PR was rough at 2KeV energy, but the N_(2)^(+) beam etched was smoother. It could be surmised that an increase in the atomic radius was correlated to an increase in the energy of the bombarding ions, which leaded to damaged PR layer due to the thermal phenomena, such as thermal spike, cascade, etc. in PR surface. As the result, pattern were destroyed partially with the melted and flowed over area. Dry etching of the thin film, in turn, was more successful in N_(2)^(+) beam etching than in Ar^(+) beam and it seemed that N_(2) ion was more effective in removing the currently used PR. Observed results from SEM showed that the resolution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N_(2) ion dose up to 3.6X10^(19) ions/cm^(2) at 2KeV, beyond this proper ion dose the resolution was decreased and leaded the damaged pattern.

      • 소화성 궤양에 대한 Nizatidine의 임상효과

        안정기,이기천,허승식,이종선,정현용,이헌영,김영건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지역사회의학연구소 1990 충남의대잡지 Vol.17 No.1

        Nizatidine is a newly introduced potent H2-receptor antagonist of acid secretion with long duration of action. For evaluation of clinical efficancy and safety, twenty one patients with endoscopically proved thirteen gastric ulcers and eight duodenal ulcers were treated with nizatidine 300mg at bed time via per os for 6 week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rate of complete endoscopic healing of duodenal ulcer 92.3% and 87.5% after 6 weeks. The overall healing rate of peptic ulcer was achieved in 89.9% at 6 weeks. 2. Clinical symptoms disappeared in 84.6%, 92.3% and 100% of patients with duodenal ulcer and 75.0%, 87.5% and 87.5% patients with gastric ulcer at 2, 4 and 6 weeks respectively. 3. There were not developed any symptoms and signs suggesting side effect of drug. In conclusion, data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nizatidine 300mg p.o. at sleeping time is effective and safe in treatment of peptic ulcer disease, and is well tolerated on a short-term basis.

      • 정신분열병 및 정신분열형 장애에 대한 올란자핀의 효과와 안전성

        안용민,강대엽,권준수,김창윤,김철응,반건호,신영민,이기철,이동우,이중서,조현상,채정호,김용식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1 신경정신의학 Vol.40 No.4

        연구목적 : 본 다기관 공동임상연구는 국내 환자를 대상으로 새로운 항정신병약물인 올라자핀의 치료 효과와 안전성을 확인하고자 시행되었다. 방 법 : 1999년 7월부터 2000년 3월까지 국내 10개 병원에 방문한 정신분열병 및 정신분열형 장애 105명을 대상으로 비대조 개방 임상연구를 시행하였다. 중등도 이상의 정신병 증상을 지니거나, 부작용으로 약물교체가 필요한 경우 또는 기분장애 증상의 치료가 필요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2∼7일간의 약물 배설기간 후에 1일 10mg의 올란자핀을 투여하였고, 이후로 3∼7일 간격으로 용량을 조절하여 총 8주간 투여하였다. 치료 효과는 PANSS(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BPRS(Brief Psychiatric Rating Scale), CGI(Clinical Global Impression-Severity), MADRS(Montgomery-Asberg Depression Rating Scale), HAM-A(Hamilton Rating Scale for Anxiety)로 판정하였다. 안전성 평가는 자발적인 이상반응 보고, 활력징후와 혈액 검사 및 SAS(Simpson-Angus Scale), BARS(Barnes Akathisia Rating Scale), AIMS(Abnormal Involuntary Movement Scale)척도를 이용하였다. 결 과 : 105명중에서 85.7%인 90명이 8주간의 치료를 완료하였다. 평균 최빈 용량은 일일 16.1(±4.7)mg이었고, 종료시점에서의 BPRS전체 점수가 기저 상태에 비해 40%이상 감소된 반응군은 69.5%이었다. PANSS의 양성 증후군과 일반정신병리 뿐만 아니라 음성 증후군 소척도에서도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 이 감소들은 치료 초기부터 나타나서 8주간 지속되었다. 43.8%의 피험자가 중등도 이상의 우울증상을 같이 지니고 있었으며, 올란자핀에 의해 MADRS와 HAM-A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치료 기간 동안에 활력징후에는 뚜렷한 변화가 없었으나 체중은 8주간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SAS와 AIMS는 감소하였으며, 정좌불능증을 제외한 나머지 추체외로 증상의 발생비율도 낮았다. 임상적인 증상이나 징후를 동반하지 않는 ALT/SGPT의 상승을 보였지만 프로락틴을 포함하는 대부분의 혈액 검사상 뚜렷한 이상 변화는 없었다. 결 론 ; 비록 본 임상연구가 비대조 개방 임상연구로서 많은 제한점을 가지고 있지만, 올란자핀이 기존 약물에 내약성을 보이거나 기분증상을 동반하는 정신병에 치료 효과가 있었다. 그리고 기존 항정신병약물 치료시에 문제가 되었던 추체외로 증상과 고프르로락틴 혈증을 포함하는 대부분의 부작용면에서 안전성을 보여 주었다. Objective : This multicenter clinical trial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icacy and the safety of olanzpine for the treatment of Korean patients. Mothod : 105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schizophreniform disorder, visited at 10 mental or university hospitals, had received an open and non-comparative treatment with olanzapine for 8 weeks. Patients had psychotic or depressive symptoms with the severity above moderate degree or intolerable side effects to previous antipsychotics. After a wash-out period of 2-7 days, 10mg olanzapine was prescribed initially to all the patients, and then the dosage could be adjusted within the range of 5-20mg/day of olanzapine by 3-7 days. Results : 90(85.7%) of 105 patients completed the 8-weeks trial and the mean modal dose of olanzapine was 16.1(±4.7%)mg/day. At the end of the trial, 73 patients(69.5%) were classified as responder, which was defined as 40% or more improvement in BPRS(Brief Psychiatric Rating Scale) score comparing to baseline. There was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scores of PANSS(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and subscales including negative symptom scores and CGI. Also weekly analysis showed that the reductions in scores were kept on for the whole period of the trial. 43.8% of all the patients had depressive symptoms at the baseline and total scores of MADRS(Montgomery-Asberg Depression Rating Scale) and HAM-A(Hamilton Rating Scale for Anxiety) were also reduced after the trials. Vital signs revealed no clinically significant changes but continuous weight gain was observed during the treatment with olanzapine. The scores of SAS(Simpson-Angus Scale) and AIMS(Abnormal Involuntary Movement Scale) for assessing the EPS(extrapyramidal symptoms)and tardive dyskinesia respectively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nd only a few patients reported EPS as adverse events. Although mild and clinically non-significant of ALT/SGPT was observed, most laboratory parameters including plasma prolactin level showed to significant changes during the trial. Conclusions : Although this trial had many limitations because it was a non-comparative and open study, olanzapine showed high efficacy on the positive, negative and depressive symptoms in schizophrenia and schizophreniform disorder.In addition to that, olanzapine showed a substantially favorable safety profile, such as low incidence of EPS and hyperprolactinemia.

      • 1998-1999년 절기에 부산지역에서 유행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분리

        정영기,정명주,이주연,안정배,김지희,김만수,조경순 동의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000 基礎科學硏究論文集 Vol.10 No.1

        Investigate the epidemics for influenza outbreaks. The outbreak pattern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patients housed in the 10 designated hospitals was monitered to investigat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rus isolates are as follows. 232 strains of influenza virus was isolated from the oral specimen of 1,320 respiratory disease patients in Pusan from Oct. 1998 to Jun. 1999. Among these isolates, 222 strains were A-type and the rest were B-type. The outbreak pattern for sex-and age-group is as follows. The male outbreak was similar to the female outbreak: male outbreak, 47.4% and female outbreak, 52.5%. Most of the patients were less than 10 years old. The monthly influenza outbreak was consistent from Dec. 1998 to Apr. 1999. and The 113 strains from the A-type isolates were A/Sydney/05/97(H3N2)-like, the 109 strains were A/Beijing/262/95(H1N1)-like, and all of the 10 B-type isolates were B/Harbin/07/94-like.

      • KCI등재

        성남시 보건소 유아구강사업 개발을 위한 구강건강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안용순,김미정 한국치위생교육학회 2001 한국치위생학회지 Vol.1 No.2

        Dental caries causes the majority of tooth loss among Koreans. Korea is experiencing an increase in dental caries. And it shows a high prevalence of caries in preschool children. which contrasted with the much-improved situation in developed countries. So. it is important to control caries from preschool periods in Korea. Recently. inspections of the teeth of preschool children for evidence of dental disease became a legislative duty in Korea following Oral Health Act(2000). But. standardized oral health programs in preschool children is not yet propos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community based oral health program in preschool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community based oral health program in preschool children of Sungnam city. Oral health status in primary dentition were surveyed in 862 2-6 year-old preschool children of Sungnam city by WHO criteria. From the data. df rate. percentage of preschool children with active caries, dft index. dt rate, percentage of preschool children with pit and fissure sealant of each age were calculated. and discussed.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experience of dental caries in primary dentition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quickly between 2 and 3 year old children. So. the oral health program in preschool children should be developed to prevent dental caries and control their oral health under three years of age. 2. In 5 year-old children. the percentage with active caries was 60.8% and dft index was 5.06. The dt rate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as proportion to age. but even though 6 year-old children. the dt rate was 47.7%. Therefore. the annual screening dental examination and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s at the institution for preschool children should be developed to detect and treat dental caries in primary dentition at early stage. 3. The percentage of preschool children with pit and fissure sealant at six years of age was 10.2%. So. pit and fissure sealant and professional fluoride application programs in Public Health Center should be developed to prevent dental caries. 4. Also.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oral health goals in preschool children and develop water fluoridation program to improve and preserve oral health of preschool children in Seongnam city. effectively.

      • 분리된 뇌조직의 수초화세포에 관한 연구

        고선용,안의태,양남길,고정식,박경호 순천향의학연구소 1995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1 No.2

        중추신경계통의 신경세포들은 긴 축삭돌기로서 다른 신경세포와 연접을 이루기 때문에 뇌손상시 나타나는 반응도 신경로의 방향과 관계가 깊다. 대부분의 긴 축삭은 수초집으로 둘러싸여 보호를 받고 있고 또 수초는 축삭의 대사활동에 중요한 기능을 발휘한다. 뇌가 손상받아 축삭들이 절단될 때 퇴행되는 축삭을 둘러싼 수초집의 다양한 변화는 손상부위의 괴사과정, 치유과정 및 부분적 재생기능에 중요한 요소가 된다. 본 실험에서는 뇌속에 주위의 다른 신경세포와 의 연결이 단절된 뇌조직의 기둥을 만들고 그속에서 일어나는 형태학적 반응 가운데서 특히 수초구조물의 특수한 반응을 연구하였다. 3Kg 정도의 고양이를 nembutal로 마취시키고 뇌정위고정대에 고정시킨 다음 전두골의 일부를 절개한 후 직경 5mm 크기의 원통형칼날을 내려 눌러서 뇌조직의 기둥이 주변으로 부터 분리되도록 했다. 이때 부위선택은 뇌지도를 이용하여 중간줄무늬체동맥이 아래로 부터 올라오는 것이 손상되지 않도록 해서, 분리된 뇌조직이 계속하여 혈액공급을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3~4주동안 생존 시킨 후 1% glutaraldehyde 와 1% paraformaldehyde 용액으로 뇌를 고정시켰고 일반적인 술식으로 표본을 작성하여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관찰 결과 손상된 줄무늬체기저핵 안에서는 많은 수초구주물들이 불규칙한 모습을 지녔으며, 특히 수초집이 팽되되고 심하게 쭈그러드는 것들이 많았으나 이때도 수초의 기본구조는 흐트러지지 않고 정상에 가까운 것이 많았다. 이는 비록 절단된 축삭이 괴사하여 소멸되더라도, 이를 둘러싼 수초집을 만들고 유지해 온 희돌기아교세포가 건재하기 때문에 아직도 기본구조를 유지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특히 전체적인 모양 심하게 변하는 것은 희돌기아교세포가 오히려 활성화되어 새로운 변형을 시도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그 대표적인 예로서 여유분의 수초집이 신경종말을 비롯한 다른 구조물을 흡인하거나 둘러싸는 현상을 보였다. 가장 특이한 경우로는 거대화된 수초집 속에 상당수의 세포들이 들어 있는 수초화세포의 출현이었다. 이들 세포의 성분을 확정하기는 어려우나 형태학적 특징과 세포의 이동특성, 포식형태등으로 볼때 이 세포들이 별아교세포 성분인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와 같은 별아교세포의 수초화는 이 세포들이 손상받은 뇌조직이 치유과정에서 수초집 안팎의 섬유화를 유도하고, 새로이 재생되려는 축삭의 자라나갈 자리를 차지하므로써 손상된 축삭의 재생을 막는 원인이 될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 Since the neurones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make contact with other neurones through their long axons, the tissue reactions following brain damage are complicate, and the reactions appear largely along the course of transected axons. Myelin sheaths around transected axons have to show curious reactions. because they belong to oligodendroglia instead of belong to component. In this experiment, a tissue column of fundus striati nucleus was made by pressing a tube-knife of 5 mm diameter down toward the basal forebrain area, where the middle striatal arteries penetrate the brain. Three to four weeks after the stereotaxic isolation, tissue blocks are punched out from fundus striati nucleus. Ultrathin sections are obtained through the observations are discussed and the following results are obtained. Many axons and their myelin sheaths showed various transformations, including the redundant myelin sheaths and myelinated cells. Many redundant myelin sheaths are wrapped around, or sucked in the axon terminals or other structures. Redundant myelin sheath should be very active structures, even after the degeneration of axon within it, since the myelin sheath is a component of oligodendroglia instead of axonal component. Myelinated cells, the cells dwelled within some giant-swelled myelin sheaths, are observed. They contained relatively light cytoplasm with scanty cell other cell components or axon terminals, within the giant myelin capsule.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the moldability into the myelin sheath, of these myelinated cells suggested that they are activated astroglial cells. Astroglial activities within or out of the transected myelin may prohibit the new axonal sprouts growing into the myelin sheath during regeneration course of nerve fiber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