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도 신장 절위 경엽의 형태변이에 관한 연구

        김만수 한국작물학회 1969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 No.5

        Attempts were made to obtain the fundamental knowledge on the quantitative constitution status of leaves and stem of elongating node-part,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s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long with the nitrogen contents of leaves and grain yield were examined varing application amounts of nitrogen in rice plant. I. The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leaves and nodes of elongation node-part (4-node parts from the top of stem) were observed at heading stage with 20 leading rice varieties of Kang Won district.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Leaf area magnitude of the flag and the fourth leaf was smaller than that of the second and the third with the average value of flag leaf 18.61 $cm^2$, the second leaf 21.84 $cm^2$, the third 21.52 $cm^2$ and the fourth 18.56 $cm^2$. The weight of leaf blade showed an isotonic tendency with the magnitude of leaf area with the value of the flag leaf 97.0 mg, the second leaf 117.1 mg, the third 115.4 mg, and the fourth 95.3 mg. The weight of each leaf sheath was remarkably larger at the higher node-part than at the lower node-part of the stem with the value of flag leaf sheath 176.3 mg, the second 163.7 mg, the third 163.4 mg and the fourth 123.9 mg. Accordingly, the total leaf weight of each part was larger at the second and the third leaf than at the first and the fourth. Total plant weight of each part (weight of leaf blade, leaf sheath, and culm) also was larger at the middle node-part. 2. Coefficients of variation for the varietal differences of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elongating node-part were 12.75% for the leaf area, 15.29% for the weight of leaf blade, 15.90%, for the weight of leaf sheath, 11.42% for the weight of internode, 15.45% for the leaf weight (leaf blade & leaf sheath) and 13.24% for the straw weight. And these coefficient values of the most characteristics were, on the whole, smaller at the second and the third node-part than at the first and the fourth node-part, but the coefficient value of the internode weight was rather small at the third and fourth node-part. 3. Constitutional ratio of each plant organ to the total plant weight in term of dry matter weight (excluding head and root wight) was 39.2% for the leaf sheath, 34.2% for the culm, 26.6% for the leaf blade. And ocnstitutional ratio of leaf sheath in term of dry matter weight was larger at the higher position in contrast with that of culm. 4. Average weight ration of leaf blade to culm, leaf sheath to culm, leaf blades to sheath and the leaf blades to culm plus leaf sheath were 77.7 %, 114.5%, 67.9% and 36.2%, respectively. With regard to the position of the plant organ, the weight ratio of leaf blade to culm and that of leaf sheath to culm were larger at higher part in contrast with that of leaf blade to leaf sheath. 5. Generally, there founded deep relationships between grain yield and each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lant organ of elongating node-part as follows;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otal area of 4 leaves (from flag to the fourth leaf) and grain yield was ${\gamma}$=0.666$^{**}$ In regard to the position of leaves, correlation coefficient values of flag, the second, the third and the fourth leaf were ${\gamma}$=0.659$^{**}$, ${\gamma}$=0.609$^{**}$, ${\gamma}$=0.464$^{*}$ and ${\gamma}$=0.523$^{*}$, respectively.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otal weight of leaf blades and the grain yield was ${\gamma}$=0.678$^{**}$. In regard to the position of leaves, that of flag leaf was ${\gamma}$=0.691$^{**}$, and ${\gamma}$=0.654$^{**}$ for the second leaf, ${\gamma}$=0.570$^{**}$ for the third, and ${\gamma}$=0.544$^{**}$ for the fourth. Correlation between the I. 강원도 춘천지방에서 주로 재배되는 수도 품종 20개를 공시재배하여 출수기에 신장절위(간선단으로부터 4 개절위)경엽에 대한 형태조사를 한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공시한 20 개품종의 평균엽면적은 제 1 엽 18.61 $cm^2$, 제 2 엽 21.84 $cm^2$, 제 3 엽 21.52 $cm^2$, 제 4 엽 18.56 $cm^2$로서 제 2 엽과 제 3 엽이 크고 제 1 엽과 제 4 엽이 작았으며 엽신중은 제 1 엽 97.0 mg, 제 2 엽 118.1 mg, 제 3 엽 115.4mg, 제 4 엽 95.3 mg로서 엽위별의 비중은 전기 엽면적의 경우와 같았고 엽초중(절당)은 제 1 엽초 176.3 mg, 제 2 엽초 163.7 mg, 제 3 엽초 163.4 mg, 제 4 엽초 123.9 mg 로서 절위가 상승함에 따라 현저히 컸다. 또한 엽중(엽신+엽초)은 절위당 제 1 엽 273.3 mg, 제 2 엽 281.8 mg, 제 3 엽 278.8 mg, 제 3 엽 219.1 mg로서 엽위별의 제2 및 제3엽이 컸고 제1엽과 제4엽이 적었으며 고간중(엽신+엽초+간)은 제1절위 374.4 mg, 제2절위 418.2 mg, 제3절위 446.1mg 및 제4절위 362.1 mg로서 역시 중간절위가 크고 상위와 하위에서 적었다. 2. 신장 절위 경엽의 품종간 변이계수를 산출하여 본즉 엽면적에 있어서 12.75%, 엽신중 15.29%, 엽초중 15.90%, 절간중 11.42%, 엽중(엽신중+엽초중) 15.45% 그리고 엽중 13.24%였으며 각절위에 있어서 엽면적, 엽신, 엽초, 간중등의 품종간 변이계수는 간중을 제외하고는 모두 제2 및 제3절위에 있어서 작았고 제3 및 제4절위에서 컸으며 절간중에 있어서는 제3 및 제4절위의 변이계수가 작았다. 그리고 각 절위간 경엽의 변이계수는 엽면적 8.90%로서 가장 적고 엽신중 11.24%로서 적은 편이었으며 간중은 20.02%로서 가장 컸다. 3. 수도의 엽간중에 대하여 엽신 엽초 및 절간이 각각의 고유하는 중량의 비율은 29.2%로서 가장 높고 간중 34.2%, 엽신중 26.6%로서 낮으며 각 절위에 있어서도 각 부분이 점유하는 비율은 대체로 같은 경향이지만 엽신중의 비중은 제2엽에서 크고 엽초중은 상위절에 갈수록 간중은 반대로 하위절일수록 비중이 높았다. 4. 4개절위를 합한 엽신/간비는 77.7%, 엽초/간비 114.5%, 엽신/엽초비 67.9% 및 엽신/간+엽초비 36.2%이며 상위벌에서 엽신/간비 및 엽초/간비는 높고 엽신/엽초비는 하위절에서 높았다. 5. 수도의 신장 절위 경엽과 수량과의 관계는 전체엽면적의 4개엽과 정조수량과의 상관관계(r)는 0.666이었고 제1엽 및 제2엽은 0.659 및 0.609로서 각각 고도의 정(+)의 상관을 보였으며 제3엽과 제4엽은 0.464, 0.523으로서 유의상관을 인정하였으며 전체엽신중과 정조수량간에는 0.678, 제1엽 0.691, 제2엽 0.654, 제3엽 0.570으로서 각각 고도의 정(+)의 상관을 보였고 제4엽에 있어서는 0.544로서 유의상관을 보였으며 엽중(엽신중+엽초중)과 수량과의 상관은 엽면적의 경우와 동일한 경향을 보였고 엽간중과 수량과의 상관은 총고간중 및 제1절위고간중에서만 고도의 정(+)상관을 보였고 그 밑에 절위에서는 유의상관을 보였다. 한편 전체엽초중과 정조수량간에 있어서는 0.572, 제1엽초 0.623으로서 각각 고도의 정(+)상관을 보였고 제2, 제3 및 제4엽초에 있어서는 각각 0.486, 0.513 및 0.450 으로서 유의상관을 보였고 간중과 정조수량과의 상관은 모두 0.377 이하로서 낮은 상관을 보였다. 6. 수량계급에 따르는 품종들의 신장 절위 경엽의 평균치로 본 엽신중, 엽면적 1 $cm^2$당 엽신중, 엽초중, 간중, 엽중은 모두 다수품종에서 컸으며 중수>소수품종의 순위로 낮았고 각 절위별에 있어서도 대체로 같은 경향을 보였으며 그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