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만삭 전 조기양막파수 임신부에서 양수 내 백혈구 수와 태반 염증성 병변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정은하 ( Eun Ha Jeong ),박교훈 ( Kyo Hoon Park ),오경준 ( Kyung Joon Oh ),이성윤 ( Sung Youn Lee ),김시내 ( Shi Nae Kim ),정희정 ( Hee Jung Jung ),이정연 ( Jeong Yeun Lee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4 No.2

        목적: 만삭 전 조기양막파수 임신부에서 양수 내 백혈구 수와 태반 염증성 병변의 존재 및 정도와의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만삭 전 조기양막파수로 입원한 단태임신 임신부 중 양수 내 백혈구 수 측정 및 양수 배양검사를 위해 경복부 양수천자가 시행되고, 양수 천자 후 72시간 내에 조기분만(임신 24.0-35.6주 사이)되었으며, 태반의 조직학적 검사가 시행된 90명의 임신부를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조직학적 융모양막염의 빈도는 32%였으며 양성 양수 배양인 경우는 21%였다. 태반 염증성 병변이 존재하는 경우는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양수 내 백혈구 수가 유의하게 많았다. 양수 내 백혈구 수는 교란변수의 영향을 보정한 후에도 태반 염증성 병변의 존재와 유의한 관련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양수 내 백혈구 수는 각각의 태반 부위별 염증 정도가 심할수록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태반 염증성 병변 존재를 가장 잘 예측할 수 있는 양수 백혈구 수의 절단치는 25개/mm3였고 이때 민감도 62%, 특이도 77%를 나타내었다. 결론: 만삭 전 조기양막파수 임신부에서 양수 내 백혈구 수는 태반의 염증성 병변의 존재 및 정도와 유의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으며 산전에 이의 존재 유무를 예측할 수 있는 독립적 인자이다. Objective: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mniotic fluid (AF) white blood cell (WBC) count and the presence and severity of inflammatory lesions of the placenta in women with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PPROM). Methods: This retrospective cohort study included 90 consecutive women with PPROM (24.0-35.6 weeks) who met the following criteria: singleton gestation; transabdominal amniocentesis performed to obtain AF for culture and WBC count; delivery within 72 hours of amniocentesis; placental histologic examination after preterm delivery. Results: The prevalence of histologic chorioamnionitis was 32% (29/90) and that of positive amniotic fluid culture was 21% (19/90). Patients with histologic chorioamnionitis had a significantly higher AF WBC count than those without this lesio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demonstrated that AF WBC count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histologic chorioamnionitis after controlling for gestational age and AF culture. The median AF WBC count increas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higher severity of inflammation in each type of placental histologic section. According to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analysis, the best cut-off value of AF WBC count for predicting histological chorioamnionitis was 25 cells/mm3, with a sensitivity of 62% and a specificity of 77%. Conclusion: Both the presence and greater severity of inflammatory lesions of the placenta are associated with an elevated AF WBC count. AF WBC count is an important and independent predictor for inflammatory lesions of the placenta in women with PPROM.

      • KCI등재

        COVID-19로 인한 가정경제 악화 인식이 음주 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제17차(2021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정은하(Eun-Ha Jeong) 한국콘텐츠학회 202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3

        본 연구는 음주 청소년을 대상으로 COVID-19로 인한 가정경제 악화 인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제17차(2021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현재 음주자인 5,761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SPSS/WIN 2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변수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음주 청소년 중 37.4%가 COVID-19로 인해 가정경제가 악화되었다고 인지하였다. 음주 청소년에서 사회인구학적 요인 및 건강행동-심리적 요인을 보정한 후에도 COVID-19로 인해 가정경제가 악화되었다고 인지할수록 우울 위험성은 높아졌다. 음주 청소년과 같은 취약한 청소년의 우울을 예방하기 위해 사회경제적 격차를 줄이기 위한 다각적 개입뿐 아니라 학교에서의 정신건강 증진 활동이 우선시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perceived household financial difficulties caused by COVID-19 on depression among Korean adolescent drinkers. Data on 5,761 current drinkers were obtained from the 17th(2021)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 The data were analyzed via SPSS/WIN 29.0 to run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37.4% of respondents reported that they perceived household financial difficulties caused by COVID-19. After adjusting for sociodemographic and health behavior-psychological factors, respondents who perceived household financial difficulties caused by COVID-19 were more likely to have experienced depression. In order to prevent depression among vulnerable adolescents such as adolescent drinkers, mental health promotion activities in schools as well as multifaceted interventions to reduce the socioeconomic disparities should be prioritized.

      • KCI등재

        대학생의 전공선택 동기와 직무일치 취업과의 관계 및 전공만족도의 매개‧조절 효과 분석

        정은하(Jeong, Eunha),김이경(Kim, Eegyeong) 한국교육정치학회 2020 敎育政治學硏究 Vol.27 No.4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전공선택 동기와 전공만족도, 직무일치 취업이 서로 관련이 있으며, 전공만족도가 전공선택 동기와 직무일치 취업 간의 관계를 매개 또는 조절할 것이라는 가정 하에 세 변인 간의 관계를 밝히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의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자료 중 2018년도에 수집된 4년제 대학교 졸업자 10,181명의 응답 자료를 토대로 기술통계, 다중회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매개효과 분석, 조절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대학생의 직무일치 취업 정도와 전공만족도 수준은 보통 이상이었고, 내재적 동기에 의해 전공을 선택하는 학생은 절반 이하로 확인되었다. 둘째, 내재적 동기에 기반한 전공 선택은 전공만족도 증가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셋째, 전공선택 동기는 직무일치 취업의 하위요소 중 전공일치 취업과 정적 관계가 있었다. 넷째, 전공만족도는 직무일치 취업의 하위요소인 교육일치, 기술일치, 전공일치 취업과 모두 정적 관계가 있었다. 다섯째, 전공만족도는 전공선택 동기와 전공일치 취업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지만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대학생이 전공 관련 분야로 취업할 수 있는 동인을 만들어 주기 위해서는 전공선택 시점의 내재적 동기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대학 입학 후 전공만족도 증진을 통해 더욱 강화될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고등학교 단계에서의 진로교육 강화, 대학차원에서의 전공선택 지원제도 마련, 전공교육의 질 제고라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among university students major selection motivation, job-match employment, and major satisfaction. Utilizing responses from 10,181 university students surveys collected 2018GOMS, descriptive statistic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mediator and moderator effect analysis were performed. Firstly, it was confirmed that less than half of the students choose their major according to their intrinsic motivation. Secondly, choosing a major based on intrinsic motivation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an increase in major satisfaction. Thirdly, major selection motiva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major-match among the sub-elements of job-match employment. Fourthly, the degree of major satisfac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sub-elements of job-match employment, such as education-match, technology-match, and major-match employment. Fifthly, major satisfaction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major-match employment, a sub-element of job-match employment, but no moderating effec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olicy implications such as reinforcing career education,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major education were suggested.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최고경영자의 기업가정신이 사회복지기관 조직구성원의 혁신적 업무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은하(Eun-Ha Jeong),엄미선(Mi-Sun Ohem) 한국인사조직학회 2012 인사조직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최고경영자의 기업가정신과 사회복지기관의 조직구성원의 혁신적 업무 행동 사이에 작용하는 구조유기성과 조직공정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 그 과정에서 발견된 변수 간 관계를 통해 조직구성원의 혁신적 업무행동 활성화를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안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는 115개소의 사회복지기관 조직구성원 787명으로부터 수집된 것으로, 가설의 검증은 위계적 회귀분석에 기초한 조절적 다중 회귀분석(MMR)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최고경영자의 기업가정신은 사회복지 기관의 조직구성원의 혁신적 업무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업가정신과 혁신적 업무행동간 관계에서 구조분권성은 부정적 조절효과를, 분배 공정성은 긍정적 조절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사회복지기관 구성원의 혁신적 업무행동을 제고시키기 위해서는 최고경영자를 대상으로 하는 조직혁신 관련 교육 프로그램의 실시가 무엇보다 중요하며, 더불어 분권화된 사회복지조직 설계와 분배공정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도입이 필요하다. Recently, innovation needs for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have grown to a greater extent. However, there is rarely academic debate or practical assessments on the innovation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Nevertheless, this subject is an important issue because innovation is a core component of organizations. Our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relationships between entrepreneurship, innovative work behavior, organic structure, and organizational justice. Furthermore, our study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vitalizing social workers’ innovative work behavior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This study was conducted by setting worker’s innovative work behavior as a dependent variable, CEO’s entrepreneurship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organic structure and organizational justice as moderating variables. Then, the hypotheses were constructed to test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on innovative behavior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organic structure and organizational justi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survey by social workers who were working at 316 different welfare organization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areas of South Korea. Each agency received 5-10 questionnaires. The surveys were collected in July 2010 to September 2010 and the study gathered 787 responses from 115 organizations. The findings of our study show that a CEO’s entrepreneurship has a positive effect on innovative work behavior on social workers. Further, decentralization which is a subordinate concept of organic structure has a negative moderating rol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and distributive justice which is a subordinate concept of organizational justice has a positive moderating role on the relationship. In other words, the results of the moderating effects on this study show that higher entrepreneurship is displayed in a group of high centralization as innovative work behavior increases. At the same time, higher entrepreneurship is displayed in a group with high distributive justice, again resulting in increased innovative work behavior.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introducing an educational program of innovation for CEOs to enhance the innovative work behavior for social workers. Furthermore, this study suggests that decentralization and organizational justice can further enhance innovative work behavior.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s an integrated research model including organizational attributes as a moderating variable so that research subjects of organizational innovation could be expanded. Also, our study indicates that a CEO’s role can facilitate innovation. Last, several limitations can be mentioned. First, our study sample was limited in terms of geographic regions. Second,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should be considered. Third, developing an innovative work behavior scale for social workers should be considered and fourth, a qualitative study should also be conducted within research.

      • KCI등재
      • KCI등재

        폐경 여성에서 3년 동안 호르몬 요법, Raloxifene, Alendronate 치료 후 골밀도의 변화

        정은하 ( Eun Ha Jeong ),최훈 ( Hoon Choi ),정희정 ( Hee Jung Jung ),이경 ( Kyung Lee ),정희라 ( Hee Ra Jung ),김명환 ( Myoung Hwan Kim ),고지경 ( Ji Kyung Ko ),이철민 ( Chul Min Lee ),조용균 ( Yong Kyoon Cho ),김복린 ( Bok Rin K 대한폐경학회 2009 대한폐경학회지 Vol.15 No.1

        Objectives: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ree-year hormone therapy with raloxifene and alendronate treatment on bone mineral density (BMD) and vertebral fractures in postmenopausal Korean women. Methods: We studied 127 postmenopausal women who had visited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of Inje University Sanggye Paik Hospital between January 2000 and June 2008. These patients were divided into alendronate (n=26), raloxifene (n=18), estrogen therapy (ET) (n=43), and estrogen-progesterone therapy (EPT) (n=40) groups. We measured BMD in the lumbar spine (L1-L4) and femoral neck at baseline at one, two, and three-years after treatment. Vertebral fractures were also assessed at baseline and at three years after treatment initiation. Results: The BMD of the lumber spine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alendronate group by 7.2, 8.8%, and 9.5% at 1, 2, and 3 years after treatment initiation, respectively. It increased by 0.8% in the EPT group at 1 year. The BMD of the femoral neck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alendronate group by 3.4, 5.3%, and 5.8% at 1, 2, and 3 years, respectively. It increased in the raloxifene group by 3.5% at 2 years. It increased in the EPT group by 3.6, 2.6%, and 2.4% at 1, 2, and 3 years, respectively. After 3 years of hormone therapy, women with osteopenia or osteoporosis showed a greater increase in BMD than did women with normal BMD, but not t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gree. There were no new vertebral fractures in any of the four groups three years after treatment initiation. Conclusion: In postmenopausal women, treatment with alendronate, raloxifene, or hormone therapy increases bone mineral density in the spine and femoral neck and is helpful in preventing new vertebral fractures. 연구목적: 폐경 여성에서 3년간 호르몬 요법, raloxifene, alendronate 치료 후 골밀도와 척추 골절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상계백병원 산부인과에서 3년간 호르몬 요법, raloxifene, alendronate 치료 중 한가지 치료를 받은 폐경 여성 중 선별된 127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통해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이들을 alendronate군 (n=26), raloxifene군 (n=18), ET군 (n=43), EPT군 (n=40)으로 나누어 기저치와 치료 1, 2, 3년 후 골밀도를 측정하고 3년간 척추 골절의 발생 유무를 평가하였다. 결과: 요추 골밀도는 alendronate군, EPT 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Alendronate 군에서는 1, 2, 3년 후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각각 7.2, 8.8, 9.5%). EPT군에서는 1년 후 0.8%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Raloxifene군에서는 1, 2년 후 각각 1.4%와 0.4% 증가하고 3년 후 0.1%감소하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ET군에서는 3년 후 0.1%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대퇴골 경부 골밀도는 alendronate군, raloxifene군, EPT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Alendronate군에서는 1, 2, 3년 후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각각 3.4, 5.3, 5.8%), raloxifene군에서는 2년 후 3.5%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1, 3년 후에는 증가하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EPT군에서는 1, 2, 3년 후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각각 3.6, 2.6, 2.4%). ET군에서는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호르몬 요법군에서 요추 및 대퇴골 경부 골밀도가 정상인 여성보다 저골량인 여성에서 골밀도가 증가 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3년 후 새로운 척추 골절의 발생은 네 군 모두에서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폐경 여성에서 3년간의 호르몬 요법, raloxifene, alendronate 치료는 골밀도를 증가시키며 골절 예방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가구소득에 따른 장학금 수혜가 대학생의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정은하(Jeong, Eunha),윤예지(Yoon, Yeaji),김이경(Kim, Eegyeong) 한국교육행정학회 2021 敎育行政學硏究 Vol.39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장학금 수혜 여부와 취업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취업준비행동과의 관련성에 주목하고, 장학금 수혜집단에도 여러 층위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여, 가구소득에 따른 장학금 수혜 여부가 대학생의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장학패널’의 제 2~4차연도 4년제 대학생의 응답 자료를 활용하여 장학금 지원 금액에 근거해 수혜집단을 3개 집단으로 구분하고, 비 수혜집단과 비교하여 기술통계분석, 패널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소득이 높은 비 수혜집단이나 3소득 장학금 수혜집단(중위소득 100% 이상)은 대학 입학 이후 지속적으로 학점관리, 자기계발 및 취업 진로준비 시간이 증가하는 반면, 기준 중위소득 50%미만에 해당하는 1소득 장학금 수혜집단은 대학입학 중기 시점 이후로 학점관리 시간이 급격하게 감소하고, 자기계발 및 취업·진로준비 시간은 급격하게 증가하는 등 시점에 따라 취업준비행동에 변화가 나타났다. 둘째, 패널회귀 분석 결과, 1소득 장학금 수혜집단의 경우 비 수혜집단에 비하여 학점관리, 자기계발 및 취업·진로준비에 사용하는 시간이 유의하게 감소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저소득층 대학생의 경우 장학금 수혜가 취업준비행동의 증가로 이어지지 않으며, 이에 따라 대학 졸업 후 노동시장 진입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정책적, 학술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larship recipients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household income. For this study, data of 4-year university students from the 2nd to 4th year of the "Korea Student Aid Panel Survey(KSAPS)" were used, and the scholarship recipient group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 amount of scholarship grant. grant.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d pane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major findings showed that the scholarship effect for low-income groups is not linked to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This study ve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preparation behavior and scholarship recipients through longitudinal analysis and has recommendations for the design of scholarship policy.

      • 고령자 취업훈련의 취업 및 임금효과

        정은하 ( Eun Ha Jeong )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07 사회복지리뷰 Vol.12 No.-

        본 연구는 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취업훈련이 취업과 임금수준에 미치는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서 서울시 13개 고령자취업알선센터에 등록되어 있는 55세이상의 고령 구직자 6,275명의 인구학적 특성 및 훈련과 취업 현황에 관한 자료를 활용하였다. 취업훈련의 취업효과는 우선 취업훈련 여부와 취업 여부의 교차분석을 통해 살펴 보았는데, 취업훈련을 받은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다소 높은 취업률을 보였다. 그러나 취업 여부라는 종속변수에 대하여 취업훈련 여부와 인구학적 특성을 함께 독립변수로 투입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취업 가능성에 대한 취업훈련의 예측력은 유의미하지 않았고, 여성이며 대졸자이고 건강한 구직자일 경우 취업 확률이 높아지는 등 고령 구직자의 인구학적 특성들이 취업 가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임금효과에 대한 분석에서는 취업훈련을 받은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 각 집단의 임금수준은 T검증을 통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이 또한 취업훈련 여부와 인구학적 특성을 독립변수로 하고 임금수준을 종속변수로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했을 때, 취업훈련의 임금수준에 대한 영향력은 유의미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자의 취업에 있어서는 취업훈련보다는 인구학적 특성의 임금수준에 대한 영향력이 유의미하여, 남성으로서 저연령이며 건강할수록 임금수준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결국, 연구의 주된 초점인 고령자 대상 취업훈련의 취업 및 임금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고 있더라도 미미하였다. 그렇지만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고령자 대상 취업훈련은 보다 다양한 측면에서 접근 및 분석되어야 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한편으로는 고령자 대상 취업훈련 프로그램의 발전을 위한 여러가지 유용한 제안이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job training for the elderly or aged on employment and wage. This study utilized demographical characteristic, employment and job training data of 6,275cases who had been on the books of job placement center for elderly. Crosstab anaysis between training experience and employment status showed that those who having a job training experience was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be employed than their conterparts. However,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doesn`t show any strong significance about the percentage of employment under conditions where the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are controlled job training experience. And, T-test revealed job training group to be significantly high wage level. But, The results of a regression analysis dosen``t revealed that job training was significant effect variable on wage level status. In conculsion, the job training for the elderly had no or slightly significantly effect on employment and wage. However, this result showed that job training for the elderly must be accessed and analyzed in the various aspects.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indicated variety useful proposals to build effective and well-developed job training programs for elder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