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교육정치학의 연구동향 분석

        가신현 한국교육정치학회 2012 한국교육정치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33 No.-

        이 연구는 세계적으로 가장 활발한 연구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는 미국 교육정치학의연구동향과 특성을 분석·제시함으로써 향후 우리나라 교육정치학의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미국 교육정치학 연구의 독자적 특성과 연구동향을 가장 잘 웅변해 줄 수 있는 미국교육정치학회 연보에 수록된 학술논문을 대상으로 1990년 이후 최근까지 발표된 총 259편의 논문을 연구 영역 및 주제별로 분석하였다. 연구주제 분석을 위해서는 ‘정치’, ‘사회·문화’, ‘경제’, ‘조직·행정’, ‘교육정치학 기초연구’ 등 다섯 가지 영역의 18개의 하위주제를 설정하여 분류기준으로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미국 교육정치학 연구는 권력, 이익집단, 소수민족, 성 등 전통적으로 정치적 관점에서 주요한 주제로 인식되어 왔던 영역에 꾸준한 관심을 갖고 지속적인 연구를 수행함과 동시에 시기별로 쟁점으로 부상했던 교육정책, 교원교육·평가 등에 대해서도 적절히 대처함으로써 교육 부분에서의 정치적 현상에 대한 해석적 틀을 제공해 온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교육정치학의 학문적 정체성을 확립하고 독자적 연구 영역을 지속적으로 확대·발전시키기 위해 꾸준한 노력을 기울여 온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시사점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교육정치학의 발전 방안을 논의하였다.

      • 교육정치학의 학문적 정체성: 진단과 과제의 탐색 (2012년 연차 학술대회)

        신현석 한국교육정치학회 2012 한국교육정치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33 No.-

        한국교육정치학회가 1994년 4월 2일 ‘교육정치학 연구의 현황과 과제’라는 주제로 학회 창립 학술대회를 가진 이후 교육정치학의 학문적 정체성에 대한 연구가 개인적 연구차원과 학회의 학술대회 차원에서 계속되었다. 2004년에는 ‘한국교육정치학 연구의 10년 성과’라는 주제로 ‘학문적 정체성’, ‘연구동향’, ‘학회의 발전’, ‘한국교육정치학의 발전과제’라는 논문들이 발표되었다. 특히 이일용(2004)은 한국교육행정학회에서 ‘교육정치학의 지식의 구조와 범위’라는 주제로 발표하기도 하였다.

      • 교육정치학 연구의 특징

        박대권 한국교육정치학회 2014 한국교육정치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37 No.-

        1994년 4월 2일은 한국교육정치학회가 창립된 날이다(김용일, 2013. p.31). 창립을 기념하여 그해 6월 17일 고려대학교 인촌기념관에서 창립기념 학술대회가 개최되어, 한국교육정치학의 태동을 알렸다. 안기성(1994a)은 창간사에서 1980년 이래 한국사회는 모든 영역에서 정치화의 경향이 두드러지게 확산되었다고 진단하여 교육도 예외가 아니라고 주장하였다. 대학가의 학생운동, 교사들의 노조 구성, 교육개혁의 정치권 주도를 단순한 이념적 문제나 예외적 상황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교육정치학이라는 학문적 영역의 연구대상이라고 선언한 것이다. 학계에서 ‘교육’과 ‘정치’는 함께 할 수 없고 함께 해서도 안 되는 것으로 여겨져 왔다. 하지만 한국교육정치학회의 창립은 교육과 정치를 함께 언급하면 안 된다는 허구의 미신에 과학을 빛을 비춘 역사적 사건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한국교육정치학연구의 특징과 미국교육정치학연구의 연구동향

        박대권 한국교육정치학회 2015 敎育政治學硏究 Vol.22 No.2

        Korean Society for the Politics of Education (KSPE) has been weathered two decades of its academic journey in Korea and achieved monumental academic progress so far. Most of all, the pioneers in 90s challenged the myth of ‘education out of politics’ and sawed a seed of ‘the political approach in education’. The author cannot appreciate too much for its work and accomplishment of KSPE since inception. This paper focused on the accomplishment of KSPE’s second decade for the first decade was covered by the special issue of celebrating its 10th anniversary. Based on the then-made rubric, the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Politics of Education were analyzed. Former decade focused on education reforms for their were many historic venues in education like the inauguration of civil administration, the unveil of 5·31 education reform plan, and the new education agenda of Kim Dae Jung administration, etc. As those education agenda were planned and implemented, the research of latter decade mainly dealt with policy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Also, welfare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were discussed in politics of education area. This study also shed light on the research and education of politics of education terrain of the U.S. and compared and contras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ademia and its components of two nations. Explaining two major conflicting forces of market and government in education, this study adopted Dahl’s concept of ‘Homo Civicus’ and Labaree’s framework of ‘citizen vs consumer’ to bring more productive arguments aiming consensus in common good and better aim of education. 한국교육정치학회 창립 20주년을 기념하여 지나간 20년간의 성과를 살펴보았다. 창립 10주년 당시 그때까지의 연구 결과물과 성과에 대한 정리와 회고가 있었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그 이후를 주로 살펴보았다. 전반 10년과 최근 10년을 비교할 때 두드러진 특징은 교육개혁관련 연구는 감소한 반면 교육정책 및 평가관련 연구는 증가했다는 점이다. 교육정치학회가 출범할 당시의 10년은 문민정부의 출범, 5·31교육개혁, 국민의 정부 출범 등으로 인한 개혁 아젠다가 교육정치학 논의의 주류를 이루었다고 하겠다. 이후 10년은 그러한 개혁아젠다들이 구체적인 교육정책으로 반영되고 그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는 시기여서 연구의 초점도 자연스럽게 변화한 것이다. 아울러, 그 이전과 다르게 교육복지, 유아교육 같은 영역들이 교육정치학 연구의 새로운 영역으로 등장한 것도 특징이다. 한국의 교육정치학이 교육행정학의 이원론적 특성에 대한 성찰적 접근에서 교육학계 내부에서 시작되었다면, 미국은 정치학계와 행정학계의 정치학자들이 관련 연구를 주도한 특징이 있다. 교육학계의 교육정치학자들이 중심이 되어 이끌어온 미국의 교육정치학회가 2010년대 이후 활동이 둔화되는 것에 반해서, 미국 내에서 보수적인 정치학자들을 중심으로 한 교육정치학 연구와 교육은 더욱 활발해지고 있는 특징이 있다. 한국교육정치학연구의 당면 과제로 시장과 정부의 이분법적 대립을 극복할 수 있는 이론적 틀로 Dahl과 Labaree의 관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교육정치학의 학문적 성격 탐색: 교육행정학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김용일 한국교육정치학회 2014 敎育政治學硏究 Vol.21 No.2

        The article aims to review the disciplinary distinctiveness of the politics of education. It is the 20th anniversary of the establishment for Korean Society for the Politics of Education(KSPE) that stirs up undertaking this study. For this, the author concentrates on the academic relations between politics of education and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ducational administration is basically rooted in an organizational administrative tradition. Second, on the other hand politics of education has the characteristics of complimentary goods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which extends the domains of research. Third, politics of education also has the disciplinary identity of the substitute for educational administration. Fourth, especially on the latter dimension we can not say any definite conclusions as the relations between the two are now evolving. 이 연구는 한국교육정치학회 창립 20주년을 맞이하여 교육정치학의 학문적 성격을 검토해보려는 목적에서 마련되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특별히 교육행정학과의 관계에 주목하고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 네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교육행정학은 19세기 말 효율 위주의 행정개혁운동을 배경으로 등장하여 관리론적 행정학 전통을 지니게 된다. 둘째, 이에 비해 교육정치학은 관리론적 전통의 교육행정학이 관심을 두지 못했던 교육정치(educational politics) 영역으로 연구관심을 확장했다는 점에서 교육행정학의 보완재적 성격이 짙다. 셋째, 나아가 교육정치학은 교육행정학의 대체재적 성격도 함께 지니고 있다할 수 있다. 교육정치학이 정치-행정 이원론을 넘어 정치-행정 일원론으로 교육행정학을 재구성하려는 학문적 대응이었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넷째, 그러나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를 포섭 내지 압도할 수준이라고 말할 단계는 아니며, 향후 대체재 차원에서 양자의 관계가 어떻게 전개될지는 좀 더 두고 볼 필요가 있다.

      • 국가수준 정치권력의 교육개입 분석

        이덕난 한국교육정치학회 2012 한국교육정치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32 No.-

        교육에서 ‘非政治의 神話’는 사실(事實, fact)과 상관없이 특정 관점에서 교육(행정)과 정치의 관계, 나아가 교육부문의 정치적 이슈(issues)를 설명하려는 허구적 신념체계이다(김용일, 1995:79).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육(행정)과 정치를 분리하자는 식의 ‘비정치의 신화’ 에 입각한 교육정책이 추진되고 있고, 국가수준 정치권력의 교육개입에 관한 논란이 일고 있다. 국가수준 정치권력의 교육개입에 대해 ‘교육의 자주성ㆍ전문성ㆍ정치적 중립성을 훼손할 수 있기 때문에 경계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으나, ‘지역과 학교의 재원과 자율적 통제가 미흡하기 때문에 국가수준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개입 및 지원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그러므로 현정부가 지금까지 추진한 주요 교육정책을 대상으로 국가수준 정치권력의 교육개입 실태를 분석하고, 적정한 교육개입의 방향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교육정치학의 학문적 성격 재고: 정체성과 경계 확장의 사이에서

        신현석,정용주 한국교육정치학회 2022 敎育政治學硏究 Vol.29 No.3

        At the time of anxiety and expectation for new paradigm shift are crossing, this study intends to understand the reality which the politics of education faces, attempts to expand inquiry on its disciplinary features, and explores future-oriented nature. Corona 19 pandemic and digital transformation have emerged as new challenges in the politics of education research. Under these current situations, the politics of education stood at the point of examining its identity and seeking its boundary spanning through the revisit to its disciplinary nature. It is expected that inquiries on the relations of both education and social justice, and the logic of political rationality would contribute to expanding discussions about the nature of the politics of education beyond its traditional approach to the nature. This study suggests the future oriented disciplinary natures of the politics of education as interdisciplinary science, the nation’s dynamic academics, and field-based futurology. Therefore, the areas of inquiries would be listed in variety as apparent behaviors and modes at the individual, organizational levels, the nation, government, national assembly, local legislative councils, market system, civil society and interest groups at the institutional level. For the research approach, social structure needs to be analyzed using clear and definitive language in education problem and problem solving processes, and it is required to develop the logic of integrative inferences to understand the interactions between actors, structure, and its practical methods. 본 연구는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우려와 기대가 교차하는 시점에서 오늘날 교육정치학이 경험하고 있는 현실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학문적 성격 탐구의 확장을 시도하면서 이에 부합하는 미래지향적인 교육정치학의 학문적 성격을 탐색하고자 한다. 코로나19 팬데믹과 디지털 전환은 교육정치학 연구에 새로운 도전으로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교육정치학은 학문적 성격의 검토를 통해 정체성을 점검하고 학문의 경계 확장을 모색해야 할 지점에 서 있다. 이런 점에서 교육과 정의에 관한 탐구와 정치적 합리성으로 대변되는 논리의 탐구는 교육정치학의 성격을 내재적으로 접근하던 전통적인 방식의 확장을 가져다 줄 것이다. 이러한 논구를 통해 미래지향적인 교육정치학의 학문적 성격은 융합학으로서의 교육정치학, 국가의 동학으로서의 교육정치학, 현장기반 미래학으로서의 교육정치학으로 확립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교육정치학의 탐구 영역은 개인적 행위 양식의 차원, 조직의 행위 양식 차원 그리고 제도적 수준에서 국가, 정부, 시도의회, 사법제도, 시장제도, 시민사회와 결사체 등을 대상으로 다양하게 연구할 수 있다. 교육정치학의 연구접근에 있어서는 교육문제와 그 해결 과정에서 분명하고 명료한 언어를 사용하여 사회구조를 분석하고, 행위자와 구조의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통합적 추론 논리와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교육정치학의 학문적 정체성: 진단과 과제의 탐색

        신현석,정용주 한국교육정치학회 2013 敎育政治學硏究 Vol.20 No.3

        This study is intended to explore the disciplinary identity of the politics of education in an effort of establishing its academic status developed continuously since 1994. To attain the purpose it unravels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politics and the perspectives of it inquiry, and analyzes and diagnoses its identity from the views of scientific, boundary, and scholarly group identity which are conceptualized to mean the identity of an academic discipline. As a result, academic identity of educational politics have progressed a little in each area of identity, but have been sluggish in combined effort of them.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e tasks in order to establish the disciplinary identity of the politics of education as the followings: (1) to construct scholars' continuous research competency for stabilizing research paradigms and settling the discipline down into the nation, (2) to develop various research themes and methods for improving cohesiveness and bond of academic community, and (3) to scrutinize theoretical system, concepts, and methodology of the politics of education as an integrated and interdisciplinary field. 본 연구는 한국의 교육정치학이 1994년 이래 지속된 교육정치학의 학문적 위상을 정립하기 위한 부단한 노력의 하나로 교육정치학의 학문적 정체성을 논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교육정치학의 학문적 성격과 학문적 탐구의 관점을 밝히고, 교육정치학의 학문적 정체성을 과학적 정체성, 경계 정체성, 집단 정체성으로 개념화하여 각각의 관점에서 분석·진단하였다. 진단 결과, 교육정치학의 학문적 정체성은 학회 창립 이래 개별적으로는 진보되었으나 응집된 공동체의 일관성있는 정체성 확립 노력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교육정치학의 학문적 정체성 확립을 위한 과제로 패러다임의 정착과 교육정치학의 토착화를 위한 지속적인 연구역량의 구축, 학문공동체의 응집력과 결속력을 높이는 다양한 연구 주제와 방법의 강구, 융합적·간학문적 학문으로서 교육정치학의 이론체계, 개념, 연구방법론의 정교화 등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

        비교교육학과 교육정치학: 연구동향 분석을 통한 협력적 관계의 모색

        신현석,박대권 한국교육정치학회 2017 敎育政治學硏究 Vol.24 No.4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two different fields in education, comparative education and politics of education, have shed lights on each other. So the authors compare the contents of two journals from different field, respectively; ‘Korean Journal of Comparative Education (KJCE)’ the journal of ‘Korean Comparative Education Society’ (KCES), and ‘the Journal of Politics of Education (JPE)’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Politics of Education (KSPE).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education policy and education reform in the area of politics of education are the main focus of KJCE. Themes of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policy and the higher education reforms Iwere more discussed. Second, comparative education was located as a salient domain in JPE; comparative research in politics of education and education policy were mostly investigated areas. Third, cooperative endeavors would be encouraged to extend to more diverse research themes and methods in both fields. 본 연구에서는 한국비교교육학회의 학술지인 ‘비교교육연구’와 한국교육정치학회의 학술지 ‘교육정치학연구’에 게재된 상대 학문의 연구현황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 발견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교교육연구’에 게재된 논문 중 교육정치 및 정책 분야의 연구동향은 교육정책과 교육개혁에 관한 연구가 교육정치학 본연의 탐구보다 더 활성화 되어 있다. 특히, 교육정책 분야 가운데에서는 학교정책(유초중등교육) 영역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교육개혁 분야에서는 고등교육 영역에 관한 연구가 제일 많았다. 둘째, ‘교육정치학연구’에 게재된 비교교육분야 연구는 그 편수는 많지 않지만 교육정치학 분야에서 탐구의 한 분야로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연구 분야별 비중을 비교해보면 교육정치와 교육정책의 비교연구가 9편으로 동일하고 교육개혁 비교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셋째, 상호 관련성 분석을 통하여 본 비교교육학과 교육정치학의 협력적 발전방향은 연구의 주제와 방법론 면에서의 확장을 위한 상호 관심사의 교류와 소통을 통한 공동 및 협력연구의 활성화이다.

      • KCI등재

        미국 교육정치학의 연구동향(II): 학문적 도약과 정착 시기의 주제 분석을 중심으로

        신현석,박수아,선애경 한국교육정치학회 2023 敎育政治學硏究 Vol.30 No.3

        교육정치학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등장하기 시작한 이래로 1969년 미국 교육정치학회 출범, 1987년 PEA 연보 및 EP 저널 출간, 1997년 AERA의 분과 L로의 자리매김 등을 거치며 교육학의 분과학문으로 입지를 확고히 하고 있다. 미국 교육정치학의 발전 경로는 꾸준히 한국 교육정치학 연구에 다방면의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한바, 출범 30주년을 앞둔 우리 교육정치학의 향후 발전 방향 모색을 위하여 미국 교육정치학의 연구동향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신현석(1994) 연구의 후속으로써 미국 교육정치학회 연보(PEA Yearbook)가 발간된 시기를 기점으로 도약기(1987~1996), 정착기(1997~현재)로 구분하여 시대적 배경과 연구주제 분석을 통해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미국 교육정치학의 도약기는 교육개혁을 중심으로 교육정책, 교육행정, 경제적 관점에서의 교육과 불평등, 교육공동체 등의 주제를 탐구하는 방향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정착기는 도약기와 유사하게 교육개혁이라는 큰 틀에서 논의가 전개되었으나 분야·집단에 대한 새로운 관심 확대와 함께 사회정의·두려움·분산 등과 같은 비가시적 주제로의 확장이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고등교육, 영유아, 학생 등과 같은 다양한 연구영역으로의 확대 및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비가시적 영역에의 관심을 기울일 것을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