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절차적 공정성과 경찰협력의사의 관계에서 경찰신뢰의 매개효과: 경찰효과성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전준하,조영일 한국경찰학회 2022 한국경찰학회보 Vol.24 No.3

        이 연구는 경찰협력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이 관계 속에서 절차적 공정성, 경찰신뢰, 경찰효과성이 어떻게 경찰협력의사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반 시민 543명을 대상으로 절차적 공정성과 경찰협력의사 간의 관계에서 경찰신뢰의 매개효과와 경찰효과성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활용한 SPSS Macro Process v4.0가 이용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절차적 공정성은 경찰협력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절차적 공정성과 경찰협력의사 간의 관계에서 경찰신뢰의 매개효과가 유의했다. 마지막으로 높은 수준의 경찰효과성은 절차적 공정성이 경찰신뢰를 매개하여 시민의 경찰협력의사를 설명하는 관계를 조절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시민의 경찰협력의사를 설명함에 있어 절차적 공정성과 경찰신뢰가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검증했고 시민의 경찰협력의사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경찰효과성 수준을 높일 수 있는 정책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따라서 경찰조직에서 절차적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교육 및 지원이 수행되고 이와 더불어 시민들에게 경찰효과성을 증가시키는 노력까지 동반된다면 일반 시민들의 자발적인 경찰협력의사를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라 제언한다.

      • KCI등재

        시민들의 CPTED 인식과 범죄두려움의 관계에서 무질서 인식의 매개효과: 성별에 따른 다집단 분석

        전준하,최응렬 한국공안행정학회 2023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32 No.3

        이 연구는 서울시에 거주 중인 539명의 시민들을 대상으로 CPTED 요소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과 범죄두려움의 관계에서 무질서 인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CPTED 인식의 개념을 영역성, 감시, 활동지원으로 조작화하고 해당 변수들이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효과를 개별적으로 검증했다. 그리고 성별에 따른 범죄두려움의 차이에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기반으로, 범죄두려움에 대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검증된 남성과 여성이라는 두 집단에 대한 다집단 분석을 통해 CPTED 인식, 무질서 인식 그리고 범죄두려움의 관계를 더욱 명확하게 검증했다. 분석결과 첫째, 남성 집단에서 활동지원이 무질서 인식을 완전 매개하여 일반적 범죄두려움 및 구체적 범죄두려움의 감소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예측했다. 또한 여성 집단에서 활동지원과 일반적 범죄두려움의 관계를 무질서 인식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성 집단에서 감시와 일반적 범죄두려움 및 구체적 범죄두려움의 관계에서 무질서 인식의 부분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검증됐다. 셋째, 남성 집단에서 영역성이 일반적 범죄두려움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설명했고, 여성 집단에서 영역성이 무질서 인식을 완전 매개하여 구체적 범죄두려움의 감소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설명했다. 이처럼 이 연구에서는 표본을 성별이라는 기준으로 구분하여 CPTED 인식, 무질서 인식 그리고 범죄두려움의 관계를 세부적이고 정확하게 검증했고, 이를 기반으로 CPTED 정책에 대한 활성화가 시민들의 범죄두려움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경험적 근거를 제시했다. 또한 이를 기반으로 현재 다양한 방향으로 활용되고 있는 CPTED 사업에 대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disorder percep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itizens' perception of CPTED and fear of crime in 539 citizens living in Seoul. Specifically, in this study, the concept about perception of CPTED was operationalized into territoriality, surveillance, and activity support, and the effect of these variables on crime fear was individually verified. And based on previous studies related to differences in fear of crime according to gender,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f CPTED, disorder perception, and fear of crime was more clearly verified through multi-group analysis of two groups, men and women. First, in the case of men, activity support completely mediated perception of disorder, statistically significantly predicting reduction in general and specific fear of crime. In addition, in the case of women, it was found that perception of disorder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ity support and general fear of crime. Second, in the case of women,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perception of disorder has been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rveillance and general, specific fear of crime. Third, in the case of women, territoriality completely mediated perception of disorder, statistically significantly explaining the reduction in specific fear of crime.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CPTED perception, disorder perception, and fear of crime was verified in detail and accurately by dividing the sample based on gender. Also based on the results, empirical evidence was presented that activation of CPTED policies could reduce fear of crime among citizens. In addi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s policy suggestions for the CPTED project, which is currently being used in various directions, based on these grounds.

      • KCI등재

        절차적 공정성 인식이 경찰협력의사에 미치는 영향 : 합법성 인식과 경찰신뢰의 연속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전준하,조영일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2023 치안정책연구 Vol.37 No.4

        본 연구는 절차적 정의 이론에 대한 의의를 시민들이 법집행 기관에 협력하고 법에 순응하는 ‘인지적 그리고 심리적인 경로를 설명’하는 점에 집중하여 절차적 공정성의 증가가 경찰 협력 의사 제고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심리적 경로를 세부적으로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선행연구에 기반하여 절차적 공정성 인식과 경찰 협력 의사의 관계를 매개하는 변수로서 합법성 인식과 경찰 신뢰를 선정하였다. 또한 절차적 공정성 인식의 증가가 경찰 협력 의사 제고까지 이어지는 인지·심리적 경로를 세부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연속 매개모형을 설정하였다. 연구분석을 위해 SPSS 25.0과 Mplus 8.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절차적 공정성 인식이 경찰 협력 의사를 예측하는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절차적 공정성 인식과 경찰 협력 의사의 관계에서 합법성 인식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절차적 공정성 인식과 경찰 협력 의사의 관계에서 경찰 신뢰의 완전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넷째, 절차적 공정성 인식과 경찰 협력 의사의 관계에서 합법성 인식과 경찰 신뢰의 연속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잘 활용되지 않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변수들의 관계를 더 명확하게 검증했다는 점과 연속 매개모형을 통해 절차적 공정성 인식이 어떠한 인지적 및 심리적 경로를 통해 시민의 자발적인 협력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경험적으로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cus on the significance of procedural justice theory on understanding the “cognitive and psychological pathways” that increase procedural fairness affects the enhancement of police cooperation intentions. To verify this relationship, based on prior research, the lawfulness and trust in police were selected as dual mediation variables. This dual mediation model was established to understand in detail the psychological pathways that increased awareness of procedural fairness leads to the enhancement of police cooperation intentions. First, the path where perception of procedural fairness predicts police cooperation intention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lawful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f procedural fairness and police cooperation intent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the complete mediating effect of police trus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procedural fairness and the police cooperation intention.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f procedural fairness and police cooperation intention,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lawfulness and trust in poli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more clearly ve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s that are not well utilized in previous studies. Also, It is significant in that this study empirically verified what cognitive and psychological pathways the perception of procedural fairness affects citizens' voluntary cooperation intentions through dual mediation models.

      • KCI등재

        성별에 따른 경찰신뢰 영향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단계적 회귀분석을 중심으로

        전준하,정보성 한국범죄심리학회 2023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9 No.3

        This study separated male and female samples from 539 citizens living in Seoul to explore the factors that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increasing police trust among instrumental, expressive, and fairness factors, and compared gender-based influencing factors. First, the variable that best predicts the increase in police trust in both men and women was found to be an police effectiveness. This means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enhancing police trust is police effectiveness for both men and women. Second, procedural fairness and lawfulness, which are factors that affect police trust after police effectiveness in both men and women, have been verified. Third, the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regarding the factors influencing police trust is that men's social cohension and women's informal control have been verified as factors that explain the increase in police trust.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it derived more specific analysis results by exploring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through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in understanding the direction of enhancing citizens' trust in the police.

      • KCI등재

        전신성 홍반성 낭창의 임상상

        전준하 ( Jun Ha Chun ),신경철 ( Kyeong Cheol Shin ),박찬원 ( Chan Won Park ),도갑석 ( Gab Suk Doh ),이충기 ( Choong Ki Lee ),현명수 ( Myung Soo Hyun ),이현우 ( Hyun Woo Lee ),김능수 ( Nung Soo Kim ),김현철 ( Hyun Chul Kim ) 대한류마티스학회 1994 대한류마티스학회지 Vol.1 No.2

        Objective: Systemic lupus erythematosus(SLE) is an autoimmune disease and manifests with a variety of clinical and immunologic features in the multisystem SLE occurs worldwide in all ethnic groups but the prevalence and clinical manifestations of SLE may differ depending on ethnic groups and age.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clinical and laboratory features of 167 patients with SLE at the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nd Keimyung University Hospital between January 1984 to February 1993. Results: 1)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1:19.8 and the mean age was 28.1. Seventy six patients (42.1%) were diagnosed to have SLE in the third decade. 2) The prevalence of positive ARA criteria for SLE revealed that antinuclear antibody (ANA) was 96.4%, cutaneous disorder 73.6%, hematologic disorder 72.5%, immunologic disorder 71.3%, arthralgia or arthritis 70.1%, renal disorder 55.7%, serositis 40.7%, oral ulcer 28.7%, photosensitivity 25.7% and neuropsychiatric disorder 19.7%. 3) The malar rash was the most common manifestation in mucocutaneous disorder, arthralgia or arthritis in musculoskeletal disorder, proteinuria in renal disorder, pericarditis and pleuritis in cardiopulmonary disorder, psychosis in neuropsychiatric disorder, anemia in hematologic disorder, and hypocomplementemia in immunologic disorder. 4) Renal biopsy was performed in 65 cases among which the most common histologic type was diffuse proliferative glomerulonephritis (53.9%). Conclusion: These data suggested that clinical manifestations of SLE in Korean patients revealed similar to those of Western (Caucasian+Black) except that photosensitivity, serositis, neuropsychiatric disorders were less frequent in Kore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