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협업능력 증진을 위한 협력적 성취과제 수업모형 개발 및 적용

        이운지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학논집 Vol.20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apply Collaborative Achievement Learning Model which involves non-structured and complex problem solving in order to improve student’s collaborative competency. Sixt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8-week class that includes 5 main steps of the learning model: Team Building, Instruction, Collaboration, Achievement, Reflection. As a result, the learning model was effective on students’ learning and performance. In addition, students’ preference for the collaborative learning activities increased, and the level of collaborative competency development had an average of 6.00 (on a 7-point Likert scale) which indicates most participants were excellent in collaborative assignments. Through completing the very difficult assignment collaboratively, students learned that team member’s cognitive strength in different areas could maximize the learning achievement; they also learned how to work with others effectively and efficiently. In future studies, more cases of collaborative learning are necessary in order to educate capable individuals who may share the goal and work together in a society where collaborative competency is highly needed. 본 연구는 미래 인재에게 요구되는 협업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비구조화된 공동의 문제해결과제를 포함한 협력적 성취과제 수업모형(Collaborative Achievement Learning Model)을 개발하고, 이를 예비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적용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수업모형 적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학업성취도 점수, 협업과제에 대한 선호도 변화, 협업능력 발달 정도, 그리고 협업과정의 학습자 성찰을 측정ㆍ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협력적 성취과제 수업모형은 팀 빌딩(Team Building), 수업안내(Instruction), 협력(Collaboration), 성취(Achievement), 성찰(Reflection) 활동으로 구성하여 개발하였다. 수업모형의 적용대상은 전문대학교 유아교육과 3학년으로, 이들은 수업모형에 포함된 교수학습 활동에 8주 간 참여하였다. 그 결과, 참여 학생들의 학업성취도가 우수 이상으로 학습목표 달성에 효과적이었다. 그리고 수업에 참여하기 전 보다 참여 후 협력학습에 대한 학습자 선호도가 상승하였다. 협업능력 발달 수준과 관련하여 팀 내 동료평가 점수는 평균 6.00 (7-Likert scales)이며, 특히 협업과제의 이해와 수행정도가 우수하게 나타났다. 참여자들의 구체적인 학습 성찰 내용 분석 결과 팀 구성원의 인지적 장점이 문제해결 과정에 긍정적인 효과로 작용하였고, 이와 같이 참여자들이 협력과제를 성취한 경험은 다른 사람과 협업하는 사회적 기능의 계발에도 도움이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의 주제선정과 참여적 토의ㆍ토론 분위기, 협업기술 촉진을 위한 교수자의 역할 등 수업모형의 개선점을 논하였다.

      • KCI등재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과정 프레임워크 개발 연구

        이운지,이은환,김수환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연구논총 Vol.4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최신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디지털 리터러시의 교육과정 프레임워크를 개발하는 것이다. 프레임워크는 디지털 리터러시 정의와 내용영역, 그리고 영역별 내용요소의 상세를 구성하는 틀로,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 델파이를 통해 관련 의견을 수렴하고 내용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문헌분석으로부터 도출된 디지털 리터러시 정의 및 교육과정 프레임워크 구성 초안은 15인의 교육 및 교육공학, 컴퓨터교육 관련 전문가가 참여한 1차, 2차, 델파이 조사와 전문가 협의회를 거쳐 타당도를 검증하고 수정·보완되었다. 최종적으로 디지털 리터러시를 “디지털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자주적인 삶을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기본소양으로 윤리적 태도를 가지고 디지털 기술을 이해·활용하여 정보의 탐색 및 관리, 창작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실천적 역량”으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디지털 테크놀로지 이해와 활용, 디지털 의식·태도, 디지털 사고 능력, 디지털 실천 역량 4개의 내용영역으로 구성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과정 프레임워크를 영역별 정의와 상세 내용요소와 함께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미래지향적 리터러시의 교육적 기준을 마련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교육과정에의 실제적 적용을 위한 후속 연구를 제안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urriculum framework of digital literacy by considering digital society needs and global research trends. In order to validate the definition of digital literacy and compositions of the framework, fifteen experts in the area of educational technology and computer education responded to two delphi surveys. By reflecting on the results of the surveys in an expert group discussion, the framework was amended and improved. In conclusion, a digital literacy curriculum framework consisting of a definition and elements of four major content areas was proposed. Digital literacy was defined as “the practical capability to solve problems through the search, management, and creation of information by understanding and utilizing digital technology with an ethical attitude and the basic knowledge necessary to live an independent life as a member of digital society.” The major content areas included 1)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digital technology, 2) digital mindset, 3) digital thinking ability, and 4) digital literacy practic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defining educational standards of future literacy and suggests follow up study for practical application to the digital literacy curriculum.

      • KCI등재

        현직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디지털 역량 진단 비교분석

        이운지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22 교육발전 Vol.4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 practical digital competency development plan for future early childhood teachers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digital competency level of current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the subject of the study, 64 teachers currently work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65 pre-service teachers enrolled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of universities participated in the measurement of digital competency. The digital competency measurement tool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included five elements: perception of digital technology, digital technology use status, digital literacy, awareness of educational helps of digital technology, and educational digital application ability. This measurement tool consisted of a total 57 items on a 5-Likert scale. The major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bility of instructional digital application between the current teacher group and the pre-service teacher group. It was confirmed that the level of current teachers was higher than that of pre-service teachers in all three sub-domains of ICT utilization class ability, distance class development and operation ability, and software and coding education ability. In particular, the current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level of software and coding education ability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level at which current teachers recognition level of the necessity and the education experience level of pre-service teach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were discussed, such as preparing a digital competency reinforcement support plan for each level of teachers currently work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expanding the future education content related to the use of instructional digital use in the curriculum of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본 연구는 현직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디지털 역량 수준 진단결과를 비교분석하고 미래유아교사를 위한 실질적인 디지털 역량 개발 방안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으로 현재 유아교육기관에 재직 중인 교사 64명과 대학의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 65명이 참여하였다.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한 디지털 역량 진단 도구는 디지털 테크놀로지에 대한 인식, 디지털 테크놀로지 이용 실태, 디지털 리터러시, 디지털 테크놀로지 교육적 활용 도움에 대한 인식, 교육적 디지털 활용 능력 다섯 가지 요소를 포함하여 총 57문항을 5점 척도로 구성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로 디지털 역량 진단 요소 가운데 교육적 디지털 활용 능력은 현직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ICT 활용 수업능력, 원격수업 개발 및 운영 능력, 소프트웨어 및 코딩 수업 능력 세 가지 하위영역에서 모두 현직 교사수준이 예비교사에 비해 높게 확인되었다. 또한, 소프트웨어 및 코딩 수업 능력은 현직교사의 필요성 인식 수준과 예비교사의 교육 경험 수준 보다 실제 역량 진단 수준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유아교사들의 수준별 디지털 역량 강화 지원책 마련과 유아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에 교육적 디지털 활용과 관련한 내용을 확대하는 방안 등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초・중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 예측 요인에 대한 다층모형 분석

        이운지,임선아,김한성,이현숙 한국교육개발원 2019 한국교육 Vol.46 No.2

        미래지향적 소양으로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국제적 관심이 집중되고 있으며, 이에 국내에서도 기존 ICT 리터러시와 CT(컴퓨팅 사고력)로 내용영역을 확장한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측정도구 개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2018 국가수준 초・중학생 디지털 리터러시 측정 결과를 활용하여 학생의 ICT 수준과 CT 수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예측 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학생변인과 교사를 포함한 학교변인을 고려하여 2수준 다층모형을 설계하고 HLM 7.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먼저 학생변인 가운데 학년의 차이, 정보교육 경험 유무, 학습과 여가 활동으로의 ICT 활용, ICT 관련 학습동기 요인, 문제해결 개방성이 공통적으로 ICT 측정 점수와 CT 측정 점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 ICT 기기 활용 목적이 사회활동에 치우칠 경우 문제해결을 위한 사고력 CT 수준에는 부정적인 영향요인이 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학교변인으로는 SW 연구 및 선도학교, 교사의 ICT 활용 효능감과 긍정적 인식, ICT 환경 구축이 ICT 또는 CT 측정 점수에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특히, CT 수준에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SW 연수 참여 시간이 확인되어, 컴퓨팅 사고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사역량 강화에 대한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학교교육에서 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논의와 교육적 시사점, 그리고 국가정책 차원의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Purpose: As Digital Literacy is an important future ability, KERIS(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has developed the national assessment tool to measure Korean students' literacy level of ICT and CT(Computational Thinking).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predictive factors that can affect students' ICT level and CT level. Design/methodology/data/approach: A multilevel(level1: student variables, level2: school variables) model was designed in order to analyze test and survey data from 2018 national assessment of Korea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digital literacy using HLM 7.0. Findings/results: Among student variables, the difference of grade among students, information education experience, ICT usage in learning and leisure activities, ICT learning motivation factors, and openness for problem solving had positive effects on ICT level and CT level. Only, the use of ICT devices had a negative influence on CT level when the use of ICT devices was biased toward simple social activities such as chatting. Among school variables, ICT efficacy and positive perception, and ICT environment at school were significant factors in ICT level or CT level. In addition, teachers’effort on SW training had influence particularly students’ CT level. Value: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made discussions on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the future studies to improve the level of the students' digital literacy in school education.

      • KCI등재

        전문대학 교양교육 모델 제안을 위한운영실태 및 인식 조사 연구

        이운지 중앙대학교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20 교양학연구 Vol.0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and awareness of general education operation in colleges in oder to suggest the differentiated general education model that fits both of the essence of basic discipline curriculums and objectives of college education. Forty-two colleges responded the survey on three categories (I. General education system, II. Actual education status in colleges, III. Perception of innovation for general education). As a main result, first, it was found that only a few colleges have established separate school regulations as well as the managing department for general education. Second, in Colleges, there have been many courses for the subjects in the literacy area and liberal arts, and recently development of a variety of new subjects in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is being required. Third, as the members in colleges agreed on the need for innovation in general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realize the financial and institutional support for general education at the college level.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status of general education in colleges, this study proposed the college model for general education which includes support system and operational processes.

      • KCI등재

        임상; 미숙아에서 만기순환부전의 임상 양상

        이운지 ( Woon Ji Lee ),김민영 ( Min Young Kim ),조혜정 ( Hye Jung Cho ),이지성 ( Ji Sung Lee ),손동우 ( Dong Woo Son ) 대한주산의학회 2013 Perinatology Vol.24 No.3

        이 연구는 미숙아에서 발생한 만기순환부전(late-onset circulatory collapse, LCC)의 임상 양상을 기술하고자 시행되었다. 방법: 2004년 9월부터 2012년 8월까지 가천대 길병원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하였던 재태기간 33주 미만의 미숙아 중 72시간 이상 생존한 환아의 기록을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결과: 총 659명 중 LCC로 진단된 환아는 44명(6.7%)이었고, 평균 재태연령은 26.0주, 출생체중은 830 g이었다. 출생 후16.5일에 증상이 발현되었고, 환자들은 수액투여 또는 강심제에 반응하지 않으면서 hydrocortisone에는 반응하는 핍뇨를 보였다. 그 외 저혈압(73%), 저나트륨혈증(52%), 고칼륨혈증(34%) 등이 동반되었다. Hydrocortisone 투여 후에는 가장 먼저 2.2시간 만에 핍뇨가 호전되었고, 3.0시간에 혈압이 상승하였고, 12.9 시간에 혈청나트륨이 정상화되었다. LCC의 발생은 재태기간이 짧을수록, 출생체중이 작을수록 많이 증가하였고, 총 26명(59%)의 환자에서 levothyroxine의 투여시작 후 2주 내에 발생하였다. 결론: 미숙아에서 LCC는 가역적으로 회복될 수 있는 상태이지만, 심각한 합병증을 일으킬 수도 있다. 따라서 스트레스 상황 후에는 LCC를 조기에 진단하고 신속하게 치료할 수 있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We aimed to describe the clinical features of late-onset circulatory collapse (LCC) in preterm infants. Methods : The records of preterm infants with a gestational age of <33 weeks who were admitted to a singl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and survived more than 72 hrs between March 2006 and August 2012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Results : Of the total of 659 patients, 44 (6.7%) were diagnosed with LCC. Their mean gestational age was 26.0±1.9 weeks and their median birth weight 830 g. The median time of onset of LCC was 16.5 postnatal days. The patients exhibited oliguria that responded to hydrocortisone but not to hydration or catecholamines. Other clinical features of LCC were hypotension (73%), hyponatremia (52%), and hyperkalemia (34%). These abnormalities resolved in sequence: oliguria resolved first, after a median of 2.2 hrs, followed by hypotension after a median of 3.0 hrs, and the serum Na level became normal after 12.9 hrs. The incidence of LCC increased as the gestational age and/or birth weight decreased. A total of 26 patients (59%) developed LCC within 2 weeks after the initiation of levothyroxine therapy. Conclusions : LCC in preterm infants was a relatively reversible condition but could be associated with severe morbidity. We therefore recommend the implementation of careful measures for early detection and prompt management of LCC, particularly after stressful event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