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대면 교양교육에 대한 대학생의 만족도 연구

        이난 중앙대학교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22 교양학연구 Vol.- No.21

        This study investigated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with non-face-to-face liberal arts education conducted in the context of COVID-19 for the past two yea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se it as a basis for the reorganization and development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the future. For this study, 2,809 university students from J University were surveyed using a questionnaire, and frequency analysis and difference verification were performed. Based on the survey results, it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trategies to motivate learners in non-face-to-face liberal arts classes and to provide feedback on tasks and grades are needed. Secon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ability to utilize IT in the liberal arts class, the skills necessary for employment, the use of foreign languages, the understanding of various cultures, and the ability to proactively solve complex problems. Third, in the methodological aspect of liberal arts classes, learning through relationships should be conducted. Fourth, satisfaction with the roles of teachers and learners in liberal arts classes for male students should be increased. In addition, active efforts are needed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liberal arts classes in the College of Humanities and Engineering. Fifth, the satisfaction level of real-time online class + real-time online class was the lowest in the form of liberal arts class operation. On the other hand, the satisfaction of face-to-face class + video class and face-to-face class + face-to-face class was high. The liberal arts class should be operated based on direct interaction, and sufficient discussion and discussion should be made about proceeding with the full non-face-to-face class. Lastly, the core of liberal arts education should eventually become the educational content, and the needs and demands of learners should be reflected when composing the liberal arts education content. 본 연구는 지난 2년간 COVID-19 상황에서 수행된 비대면 교양교육에 대한 대학생의 만족도를 조사하여 향후 교양교육의 개편 및 개발을 위한 근거로 활용하기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J대학교 대학생 2,809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활용하여 조사하여 빈도 분석 및 차이 검증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를 토대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대면 교양 수업에서 학습자의 동기 유발을 위한 전략과 과제와 성적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둘째, 교양 수업에서 IT 활용, 취업에 필요한 기술, 외국어 사용, 다양한 문화의 이해 및 복잡한 문제를 주도적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강화해야 한다. 셋째, 교양 수업의 방법론적 측면에서 관계를 통한 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남학생을 대상으로 교양 수업에서의 교수자와 학습자 역할 만족도를 높여야 할 것이며, 인문대학과 공학대학의 교양 수업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적극적 노력이 필요하다. 다섯째, 교양 수업의 형태에서 실시간 온라인 수업 + 실시간 온라인 수업의 만족도가 가장 낮았으며, 대면 수업 + 동영상 수업과 대면 수업+대면 수업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교양 수업은 결국 직접적 상호 작용을 기반으로 운영되어야 할 것이며, 전면 비대면 수업으로 진행하는 것에 대한 충분한 논의와 토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여섯째, 교양교육의 핵심은 결국 교육 내용이 되어야 할 것이며, 교양교육 내용을 구성할 때 학습자의 필요와 요구가 반영되어야 한다.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교양교육 디지털 : 전환의 속도전에서 지속가능한 미래로

        정연재 중앙대학교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23 교양학연구 Vol.- No.2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imate the problems and directions of liberal arts education after the COVID-19 pandemic. COVID-19 has presented significant questions to not only teachers and learners but also to the liberal arts education system as a whole. The COVID-19 pandemic transformed all-too-obvious questions, such as why students should study the liberal arts, from whom they should learn, when they should learn, and where they should learn, into urgent matters. Consequently, we should have appropriate answers regarding the type of liberal arts education we should provide after the pandemic, given the strong trend of convenience and effectiveness. In this context, this paper sets the tasks of liberal arts education by period and suggests directions to pursue in each period. First, the short-term task is to activate the function of healing and recovery from the scars of the COVID-19 pandemic. In particular, the pandemic has left the strong impression that our society is in danger, and those scars left by the pandemic on the educational community will not heal easily. Accordingly, in teaching the young generation, who is deeply wounded in a society in which disasters have become commonplace, the importance of self-care and the value of connections has increased. The medium-term task is to reflect on the nature of education in the midst of the rapid transformation to digital education. The ‘new-normal’ discourse has made us recognise that lectures based on face-to-face communication are outdated while non-face-to-face classes have become the “new normal”, and EduTech is the catalyst that will change our education system. However, the pandemic has clearly shown that schools could not be completely transformed to a non-face-to-face environment and has made us realise that we should promote the use of and flexible attitude toward EduTech, while also adhering to the irreplaceable elements of face-to-face education. The issues of digital transformation in the field of liberal arts education should be seen from the viewpoint of how to develop students' learning outcomes in the digital era. From this perspective, digital technologies should play the role of an educational support system rather than a substitute system for in-person education. The long-term task is to solidify the framework of sustainable education. It is true that, so far, college education has made us believe that achieving short-term goals is more important than long-term sustainability by basing itself on a modernization paradigm focused on economic growth. However, universities need to provide not only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employment but also basic skills that will promote sustained growth throughout a student's life. Presenting a vision of sustainable liberal arts education is acutely needed in the present day and age where the value and utility of universities are strongly questioned due to a significant reduction in degree effects, subsequent changes in students' attitudes toward higher education, the popularization and commerci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the oversupply of higher education, and an uncertain future and employment crisis. 본 글의 목적은 팬데믹 이후 교양교육의 과제와 방향을 가늠해보는데 있다. 코로나19는 교수자와 학습자뿐만 아니라 교양교육 제도 자체에 중대한 질문을 던졌다. 팬데믹은 교양교육을 왜 배워야 하고, 누구에게 배워야 하고, 언제 배워야 하고, 어디서 배워야 하는가에 대한 너무나당연한 문제를 절체절명의 질문으로 전환시켰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글은 교양교육의 과제를 시기별로 설정하고, 각각의 시기에 모색해야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우선 단기적 차원의 과제는 코로나의 상처로부터 치유와 회복의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것이다. 팬데믹은 우리사회가 위험사회에 있음을 각인시켰고, 특히 팬데믹이 교육공동체에 남긴 상처는 쉽게 아물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재난이 일상화된 사회에서 깊은 상처를 입은 청년세대에게자기돌봄의 중요성과 더불어 연결의 가치를 심어주는 것은 중요하다. 중기적 차원의 과제는 디지털 전환의 속도전에서 교육의 본질에 대한 성찰을 수행하는 것이다. 뉴노멀 담론에 따르면, 대면 소통에 기반을둔 강의실 수업은 시대에 뒤떨어진 것이고, 비대면 원격 수업이야말로새로운 정상이며, 에듀테크(EduTech)야말로 우리의 교육을 새롭게 변화시킬 촉매제로 인식하게 만들었다. 그러나 팬데믹은 학교가 비대면 환경으로 완전히 옮겨질 수 없다는 것을 분명하게 보여주었고, 따라서 대면교육의 대체 불가능한 요소를 견지하면서 에듀테크에 대한 유연한태도와 활용을 도모해야 함을 일깨워주었다. 교양교육 분야에서 디지털전환 이슈는 디지털시대에서 어떻게 학생들을 성장시킬 수 있는가 하는문제에서 바라보아야 할 것이다. 장기적 차원의 과제는 지속가능한 교육의 프레임을 확고히 하는 것이다. 그 동안 대학교육은 경제성장 위주의 근대화 발전 패러다임에 토대를 둠으로써 단기적인 목표 달성이 장기적 지속가능성보다 더 중요하다는 믿음을 심어온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제 대학은 취업을 위한교육뿐만 아니라 생애 전반에서 지속적인 성장을 촉진할 수 있는 기본기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학위효과의 현저한 감소, 이에 따른 고등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태도 변화, 고등교육의 대중화와 상품화, 고등교육에서의 공급초과, 불확실한 미래와 고용의 위기 등 대학의 가치와 효용성에 대해 강한 의혹이 제기되고 있는 현시대에 지속가능한 교양교육의비전 제시는 절실하게 요구된다.

      • KCI등재

        교양과목으로서의 수학수업 : 교과 설계 및 운영사례

        이중경 중앙대학교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23 교양학연구 Vol.- No.22

        The academic and educational value of mathematics is increasing due to the importance of logical thinking and creative thinking in the future society. As the utilization value of mathematics increas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basic mathematics subjects for student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design process of mathematics classes developed as liberal arts electives in universities was revealed, and the operation and results of the courses were empirically analyzed. This course was developed in 2019, and the first lecture was opened in the first semester of 2020, and is operated every year in the first semester. In 2020, due to COVID-19, classes were switched to non-face-to-face and the exam was also modified to a non-face-to-face type of assignment. Afterwards, through the course evaluation of students during the three semesters until the first semester of 2022, it was revealed that this subject aroused interest and interest in mathematics and helped to build a mathematical foundation. 수학의 학문적, 교육적 가치는 앞으로의 미래사회에서 논리적 사고력과 창의적 사고력의 중요성으로 인해 더욱 높아지고 있다. 수학의활용가치가 증가함에 따라 학생들을 위한 다양한 수학 기초 교과목을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의 교양선택 교과목으로개발된 수학수업의 설계과정을 밝히고 강좌의 운영 및 결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교과목은 2019년에 개발되어 2020년 1학기에 처음강좌가 개설되어 매년 1학기에 운영되고 있다. 2020년 코로나19로인해 수업이 비대면으로 전환되어 교수자가 제작한 동영상을 시청하고 과제를 수행하는 형태로 수업방식이 운영되었고, 시험 역시 대면이 아닌 비대면 형태인 과제의 방식으로 수정되었다. 이후 2022년 1학기까지 세 학기가 운영되는 동안의 학생들의 강의평가와 서술형 설문을통해 본 교과목이 수학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유발하고 수학적 기초를다지는데 도움이 되었음을 밝혔다.

      • KCI등재

        디지털 리터러시의 위기와 교양교육의 새로운 과제

        김상민 중앙대학교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22 교양학연구 Vol.- No.20

        With digital media and devices being used routinely and popularly today, digital literacy education in universities needs to be approached from a new perspective. This is because, unlike the general view of digital literacy, college students are sufficiently capable of using digital media. However, this paper sees that students' digital literacy, considered sufficient, is in crisis because it is in fact on a very weak basis. The digital literacy of current college students is just familiarity with the use of digital media or technology, and they may have difficulty fully understanding and accepting the essential changes in culture of digital technology. Therefore, this paper presents in detail four concepts or perspectives that digital literacy should focus on in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with the original purpose of liberal arts in mind forming an ethical relationship between self and others in communal life. It argues that the complex conditions of current digital technologies — connectivity, materiality, sociality, and automation — are the core of digital literacy that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in our time should strive for. 오늘날 디지털 미디어나 기기들이 일상적이고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상황에서 대학에서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은 새로운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성이 있다.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일반적인 시각과는 달리학생들은 디지털 미디어에 대한 사용 역량을 충분히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논문은 충분하다고 여겨지는 대학생들의 디지털 리터러시는 사실상 매우 취약한 기반 위에 있기 때문에 위기 상황에 처해있다고 본다. 현재의 대학생들이 지닌 디지털 리터러시는 디지털 미디어나 기술의 사용상에서의 익숙함일 뿐이며, 학생들은 지금의 디지털기술이 초래하는 문화에서의 본질적인 특성 변화를 충분히 이해하고받아들이는 데에는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은 공동체적 삶 속에서 자아와 타자 사이의 윤리적 관계 형성이 교양 본래의 목적임을 염두에 두고, 대학 교양교육에서 디지털 리터러시가 주안점을 두어 가르쳐야 할 네 가지 개념 혹은 관점을 상세히 제시한다. 단일하기보다는 여러 층위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연결성), 비록 가상적이거나 비물질적인 것으로 보이지만 실제로 우리의 물질적 조건들을 변화시키고(물질성), 우리의 사회적 주체로서의 정체성을 전에 없이 뒤흔들며(사회성), 모든 것이 저절로 작동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것처럼 보이는(자동화) 현재의 디지털 기술의 복잡한 조건들이 바로 우리 시대 대학 교양교육이 천착해야 할 디지털 리터러시의 핵심이라고 주장한다.

      • KCI등재

        소외집단을 읽어내는 미학교양교육의 방향성 제안: 노년문학과 장애문학 내 신체성을 중심으로

        천미림 중앙대학교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23 교양학연구 Vol.- No.23

        This Research analyzes literary works dealing with old age and disorder, focusing on the concept of physicality, and understand the connection between aesthetics and ethics that can be raised by the narrative perspective of self and others, and proposes an appropriate direction for related aesthetic liberal arts education. From a recent post-human perspective, aesthetic analysis of physicality is important in that the possibility of overcoming physical limitations rather widens the distance between social groups and highlights the concept of normality and the problem of physical limitations. Discussions on the aesthetics of old age literature and disorder literature, focusing on physical aging and lack of physical ability, should be careful consideration. In addition, it rejects dichotomy that the self and the others of the body's differentiation. and aesthetics and ethics should be considered simultaneously, especially in literature, for existential problems against Socially Excluded Group.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propose specific educational directions, including thematic and expressive aspects in liberal education, as recent old age and disorder literature presents physical enhancement and lack in various contexts, including discussions of post-humanism. In literature, it should precede anything else to accurate analyze the physicality of old age and disorder socially, individually, and philosophically, and to set the content and philosophy of liberal education suitable for it. This is because in liberal arts education, the thematic aesthetics of old age and disorder are inevitably related to ethics, so educators need to try to enable learners to properly criticize values and literary appreciation. Liberal arts education aims at an educational methodology that confirm the solidarity relationship, away from the observer's view of old age and disorder, and to properly appreciate literature dealing with Socially Excluded groups through appropriate aesthetic education. In particular, learners are encouraged to develop their ability to criticize literary expressions that describe old age, disease, and disorder as extreme situations that reveal the aesthetic device or existence of forced compassion, such as punishment, bad luck, lack or limitation. It is also important for educators to understand the rights of underprivileged groups and act within common responsibilities while simultaneously recognizing others and parties. 본고는 노년과 장애를 다루는 문학작품들을 신체성 개념을 중심으로 분석하면서 당사자성과 타자성의 서술관점이 제기할 수 있는 미학과 윤리의 연결점을 이해하고 관련 미학교양교육의 적절한 방향성을 제안한다. 최근 포스트휴먼적 관점에서 신체적 한계의 극복가능성은 오히려 사회집단 간의 심적 소외의 거리를 넓히고 정상성의 개념과 신체적 한계의 문제를 두드러지게 한다는 점에서 신체성에 대한 미학적 분석은 중요하다. 신체적 노화와 신체기능의 결여를 중심으로 하는 노년문학과 장애문학의 미학성에 대한 논의는 신중히 이루어져야한다. 또한 신체의 타자화와 당사자성의 이분법을 거부하고, 특히 문학에서 소외집단에 대한 실존적 문제들에 대해 미학성과 윤리성이 동시적으로 고려될 필요가 있다. 최근의 노년 및 장애문학은 포스트휴머니즘적 논의를 포함, 신체의 증강과 결여를 다양한 맥락으로 제시하므로 교양교육에서 그 주제적, 표현적 측면을 포함한 구체적 교육방향의 제안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문학에서 노년과 장애의 신체성을 사회적, 개인적, 철학적으로 엄밀히 분석하고 이에 적합한 교양교육의 내용과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 무엇보다 선행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교양교육에서 노년과 장애의 주제적 미학성은 윤리와 필연적으로 관련되기에, 교육자는 학습자들로 하여금 올바른 가치관과 문학 감상의 적절한 비평을 가능하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관련 교양교육은 학습자들이 노년과 장애를 타자화하는 관찰자의 시선에서 벗어나 연대적 관계를 확인하고, 적절한 미학교육을 통해 소외집단을 다룬 예술작품들을 올바르게 감상할 수 있는 교육방법론을 그 목표로 삼는다. 특히 학습자로 하여금 노년, 질병, 장애 등을 개인에게 부여된 형벌이나 불운, 신체성의 결여나 한계 등 강제적 연민의 미적장치나 실존을 드러내는 극한의 상황으로 묘사하는 문학적 표현에 대한 비평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도모한다. 또한 학습자들이 타자성과 당사자성을 동시에 인지하면서 소외집단의 권리를 이해하고 공동의 책임 안에서 행동하도록 이끄는 교육자의 책임이 중요하다. 이때 교육자는 문학을 통해 노년 및 장애의 신체성을 분석하면서 작품을 선정하고 전달하는 과정에서 미학적, 윤리적 문제의식을 정확히 짚어내고 학습자들에게 제안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교양회계 및 회계교육 연구동향

        육지훈,이재열 중앙대학교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22 교양학연구 Vol.- No.19

        본 연구는 R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2000년부터 2021년까지 한국연구재단에 등재된 회계교육 및 교양회계 관련 논문 991건의 요약(국문초록) 데이터를 대상으로 키워드 출현 빈도 분석, LDA 기반 토픽 모델링 분석, 네트워크 및 워드 클라우드 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회계교육 관련 논문의 핵심 키워드는 과정, 만족, 학습, 회계기준, 전산 등이고, 교양회계 관련 논문의 핵심 키워드는 재무, 과정, 교수, 이해력, 역량 등이다. 둘째, 회계교육 관련 주요 연구 주제는 구체적인 사례 제시 또는 문제 풀이 중심의 회계교육, 대학 전공과목으로서의 회계학 교수법, 교육내용 및 교육과정 등이며, 교양회계 관련 주요 연구 주제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요구되는 회계 역량 및 이해력, 교육 성과를 달성하기 위한 교양회계 수업 방식, 구성, 사례 활용 등이다. 셋째, 회계교육 논문에서는 ‘연구’, ‘전문’, ‘개발’, ‘교육’, ‘대상’, ‘과정’, ‘변화’, ‘교육’, ‘개선’ 등이 주요 키워드 군집으로 나타나며, 교양회계 논문에서는 ‘과정’, ‘전공’, ‘대학’, ‘프로그램’, ‘분석’, ‘차이’, ‘개설’, 수준’, ‘역량’, ‘학생’ 등이 주요 키워드 군집으로 나타난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통해 특정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전문 회계교육 과정 개발, 시대적 요구를 반영한 회계교육의 변화 및 개선, 학습자들의 주전공별로 차별적인 교양회계 프로그램 개발 및 제공 등의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앞으로 더욱 의미 있는 회계교육 및 교양회계 관련 연구가 수행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평생교육시대 고등교육의 역할과단계적 교육방법의 모색: 독서교육을 사례로

        김성연 중앙대학교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22 교양학연구 Vol.- No.19

        Because higher education in Korea is grounded on the competitive system, it is limited to accept social demand for adult learners or lifelong education as welfare for learning or public goods. In 2016, as part of the government's project to support the lifelong education system in universities, Ewha Womans University installed a college for adult education. At that time, the internal members opposing to joining in the project continued demonstrations severely, which shows the limitation distinctly. To resolve side effects associated with the excessive social cost required for college entrance and the ordering of universities, the opportunity of higher education should not be ‘obtained through competition’ but be provided supportively when demanded. Although the idea of higher education as compulsory education is rather strange to us, in the US, presidential candidates, Obama and Biden, came up with the pledge to change college(technical college) education to free education repeatedly. Considering the reality in Korea that about 70% of high schoolers enter universities already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evaluates, authenticates, supports, and inspects private universities, too, we may find that compulsory higher education is no wonder. If higher education is changed to be provided to those in need from the perspective of welfare for learning, universities will be the field for realizing equal opportunity and alleviating polarization, and it will be possible to actualize true society for lifelong learning. What higher education should focus on to realize society for lifelong learning is the desirable connection of different educations in the life cycle: elementary education-secondary education, higher education, and adult education. If secondary education and higher education that existed separately in the past come to be associated with the prior and subsequent education, it will be needed to examine the achievements of prior education and plan the subsequent education. In this standpoint, it is important to investigate the current system of secondary education and decide the roles of higher education. Focusing on ‘Reading’, the subject positioned in a unique place of the secondary curriculum, this study has explored what to be considered to connect secondary education and higher education. This sort of exploration can be the foundation to connect secondary education and higher education organically within the lifelong education system that is being established rapidly. 한국의 고등교육은 경쟁체제를 근간으로 하는 까닭에 학습 복지 혹은 공공재 개념의 평생교육이나 성인학습자에 대한 사회적 요구를 수용하는 데 한계가 있다. 2016년 정부의 대학 평생교육 체제 지원사업으로, 이화여대에 성인교육을 위한 단과대학이 등장했을 때 사업참여를 반대하는 내부 구성원들의 격렬한 시위가 이어진 것도 그러한 한계를 잘 보여준다. 그러나 입시를 위해 소모되는 과도한 사회적 비용과 대학서열화에 따른 부작용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고등 수준의 교육기회가 더 이상 ‘경쟁으로 쟁취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할 때 지원받을 수 있는 것으로 바뀌어야 한다. 의무교육으로서의 고등교육이라는 발상은 우리에겐 다소 낯설지만, 미국의 경우 대선주자 오바마, 바이든이 대학(전문대학)교육을 무상교육으로 바꾸겠다는 공약을 되풀이하여 내걸었던 바 있다. 이미 한국의 고교생 70%가량이 대학에 진학하고, 사립대학도 교육부의 평가와 인증, 지원, 감사를 받고 있는 현실을 생각하면 의무 고등교육이 그리 놀랄만한 일도 아니다. 고등교육이 학습 복지 차원에서 필요한 사람에게 제공되는 것으로 변화한다면 대학은 기회의 평등, 양극화 해소의 장이 될 수 있고 진정한 평생학습사회가 구현될 가능성이 있다. 평생학습 사회 구현을 위해 고등교육이 주목해야 할 것은 초등・중등교육-고등교육-성인교육으로 이어지는 생애주기별 교육의 원활한 연결이다. 과거 분리되어 존재했던 중등교육과 고등교육이 전단계와 다음단계 교육으로 연관된다면, 전단계 교육의 성취를 살펴보고 다음단계의 교육을 계획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런 관점에서 중등교육의 현행 체제를 살펴보고 고등교육의 역할을 규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글에서는 중등 교과과정에서 독특한 위치에 있는 교과목 <독서>에 주목하여 중등-고등 교육과정의 연결을 위해 고려할 점을 탐색해보았다. 이와 같은 탐색이 빠르게 구축되고 있는 평생교육 체제 안에서 중등-고등 교육과정의 유기적 연결에 주춧돌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블렌디드 형태의 대학 교양 영어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강현숙 중앙대학교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23 교양학연구 Vol.- No.23

        The study investigated perceptions on a blended form of English language classes that combines face-to-face and online instruc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To do so, I conducted a survey of 470 university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to investigate their preferences for types of English language classes, areas of learning they hoped to cover in each type of class, and considerations for blended English language classes. Th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had a higher preference for online and blended classes than face-to-face classes,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reas of learning they hoped to cover based on the type of class. In addition, students most preferred a vertically blended form of class that continues one type of class delivery (face-to-face or online) for a while and 3 credits and 3 hours of instruction per week. In terms of online classes, students perceived that technical aspects of class management were more important than learner or instructor factors both in asynchronous or synchronous classes. The study identified student demand for blended English language classes and provided guidance for planning such classes based on student perceptions.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대면과 비대면을 혼합한 블렌디드 형태의 교양 영어 수업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소재 대학의 학생 47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시행하여 선호하는 교양 영어의 수업 형태, 각 수업 형태에서 학습하기 희망하는 학습영역, 블렌디드 교양 영어 수업의 고려할 사항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은 비대면 수업 및 블렌디드 수업에 대한 선호도가 대면 수업의 선호도보다 높았으며 학습하기를 희망하는 영역은 수업 형태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또한 블렌디드 수업 진행시 3학점, 매주 3시간을 가장 선호하며, 대면과 비대면 중에서 한 가지 형태의 수업을 먼저 지속적으로 진행하는 형태를 가장 선호하였다. 비대면 수업에서는 실시간 수업이나 비실시간 수업에서 모두 학습자나 교수자 요인보다는 수업진행에 필요한 기술적인 부분이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양 영어 블렌디드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수요를 확인하였고, 학생 인식을 통하여 교양 영어 수업계획 수립에 참고할 부분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초불확실성 시대와 융합교양교육의 방향 : 과학기술 패러다임의 변화를 중심으로

        최현철 중앙대학교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23 교양학연구 Vol.- No.22

        The phrase, "What the COVID-19 virus has changed is not a trend, but a speed," represents our educational reality, which is lagging behind the changes of the times. We are already entering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is era is one where everything is interconnected. At the same time, everything is digitalized. Therefore, cultivating convergent competence and linking all values is urgent in educatio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s also changing from analog to digital, and the ultra-digital educational environment is accelerating. After COVID-19, our society went beyond the era of uncertainty and entered the era of hyper-uncertainty. This article aims to predict the qualities and capabilities desperately required in the era of hyper-uncertainty based on the process of changing the science and technology paradigm. According to R. Kitchin's article, we face the fourth paradigm of science and technology with big data technology. Therefore, the presenter proposes an ideal educational method for convergent thinking competency and the direction of convergent general education.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바꾼 것은 트렌드가 아니라, 속도다.”라는 말은 시대적 변화에 뒤처져 있는 우리의 교육 현실을 대변한다. 우리는이미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지금은 모든 것이 서로 연결되는 시대다. 동시에 모든 것이 데이터로 변하는 시대다. 그래서 모든가치를 연계할 수 있는 융합적 역량과 능력을 배양하는 것이 교육에있어 매우 시급한 과제다. 교육환경도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변화하고 있으며, 초-디지털적 교육환경은 가속화되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우리 사회는 불확실성의 시대를 넘어 초불확실성의 시대로 들어섰다. 이 글의 목적은 과학기술 패러다임의 변화과정을 토대로 초불확실성시대에 절실히 요구되는 자질과 역량을 전망하는 데 있다. 롭 키친의글에 의하면, 우리는 빅데이터 기술로 네 번째 과학기술의 패러다임을맞이하고 있다. 그리고 코로나19로 인해 더욱 급속해진 다섯 번째 과학기술 패러다임에 대응하는 교양적 역량은 융합적 사고다. 그래서 나는 이 글에서 융합적 사고역량을 향상하기 위한 이상적 교육 방법과융합교양교육의 방향을 제안한다.

      • KCI등재

        인공지능 윤리 의식 함양을 위한 대학 교양교육 방안 연구

        손혜숙 중앙대학교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22 교양학연구 Vol.- No.21

        This study sought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measures that can induce changes in our lives and society in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oughts and insights on humans and ethics through various literary and moral imaginations that reflect human and human lives. First, responsibility, transparency, fairness, and control were derived as common ethical elements by reviewing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guideline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elements. Next, novel texts that can consider these ethical elements were selected. Through this, the problem of realizing educational goals was structured and used as a teaching medium in consideration of ethical questions according to the position,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designers and producers, artificial intelligence manager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users. By analyzing the application of woven educational plans to actual classes and the responses of learners, we can see that the educational plan presented in this study contributes positively to understanding the changes i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ra, thinking about various problems and ethical dilemmas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can cause. By analyzing the cases of applying the educational method woven through this process to actual classes and the responses of learners, the educational method presented in this study is first,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which we live, and second, to understand the I was able to think about various problems and ethical dilemmas that could arise, and thirdly, I could capture that it is contributing positively to searching for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needed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이 연구는 인간과 인간의 삶을 반영하는 다양한 문학적, 도덕적 상상력을 매개로 하여 인공지능 시대 우리 삶과 사회의 변화, 그리고 인간과 윤리에 대한 사유와 통찰을 유도할 수 있는 대학 교양교육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먼저, 인공지능 윤리 가이드라인과 인공지능 윤리 요소를 검토하여 공통적인 윤리 요소로 책임성, 투명성, 공정성, 통제성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는 이러한 윤리 요소들을 숙고해 볼 수 있는 소설 텍스트를 선별하였다. 이를 매개로 인공지능 설계자 및 제작자, 인공지능 관리자, 인공지능 사용자 등 입장에 따른 윤리적 질문들을 고려하여 교육 목표를 실현할 수 있는 문제를 구조화하여 교수 매체로 활용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직조된 교육 방안을 실제 수업에 적용한 사례와 학습자들의 반응을 분석해 보면서 이 연구에서 제시한 교육 방안이 첫째, 우리가 살고 있는 인공지능 시대의 변화 양상을 이해하고, 둘째, 인공지능이 발생시킬 수 있는 다양한 문제와 윤리적인 딜레마에 대해 사유해 보며, 셋째, 인공지능 시대에 필요한 인공지능 윤리를 모색해 보는 데 긍정적으로 기여하고 있음을 포착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