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고 전,김영옥,박병기 한국교육개발원 2013 한국교육 Vol.4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cademic productivity of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JKE) and to suggest the tasks that lie before it in the future. To begin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is journal, including objectives and processes, were reviewed briefly. The JKE has three official objectives: 1)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education, 2) to accelerate the advance and exchange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related to education policy, and 3) to establish an intellectual foundation to contribute to Korean education policies. The strengths and the weaknesses of this journal were examined with a focus on the procedures of submission, acceptance, publication, and quality control.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journals that shared certain characteristics with the JKE: journals published by governmental educational research institutes such as th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and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and a journal that covered comprehensive issues of education, published by Korea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A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an in-depth analysis of the JKE. Targeted populations were the contributors to the JKE and members of the editorial boards of the JKE; one hundred and fifty-two participants responded to the survey. In addition to the survey data, comments were collected from former editorial board members. Through these processes, the current status of the JKE and expectations for it were identified. Suggestions for future directions and tasks for the improvement of the JKE focused on three goals: 1) to ensure the journal’s status as a main educational journal; 2) to fulfill its role as an institutional journal of KEDI, a primary governmental educational policy research organization; and 3) to function as a mediator between scholars, researchers, schools, and other figures in education in Korea. 이 논문은 학술지 「한국교육」(제1호(1974)∼제40호(2013))에 대하여 그 학술적 성과를 평가하고, 개선하여야 할 과제를 모색하고자 시도된 연구이다. 먼저 이 학술지의 발간 배경과 과정을 개관하였고 그 성격을 진단하였다. 우선 이 학술지의 발간 규정에서 표방하고 있는 세 목적(1. 한국교육의 발전에 기여 2. 교육정책 관련 지식과 정보의 발전 및 교류 촉진 3. 한국교육정책 개발에 기여할 지적 기반의 확보)에 비추어 그 달성 성과를 논의하였다. 이어 이 학술지의 편집 및 발간에 있어서 특징과 관련된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끝으로 국책연구기관 학술지로서 특징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및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학술지와의 비교 통해 논의하였으며, 종합학술지로서의 성격에 대하여 한국교육학회와의 비교를 통해 논의했다. 보다 구체적인 학술지의 문제점 진단을 위하여 학술지의 주요 수요자이자 관계자였던 최근 6년 동안의 투고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회수 152건)를 실시하였고, 한국교육개발원 내외의 전임 편집위원을 대상으로 검토의견을 수렴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교육』에 대한 이해도 및 기대수준, 문제인식, 개선방안의 경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결론으로서 향후 학술지 『한국교육』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개선 과제는 첫째로는 교육학 정론지로서 위상 확립 측면에서, 둘째로는 국가 교육정책연구 주무기관인 한국교육개발원 기관 학술지로서 역할 측면에서,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학자․연구자․교육현장 간의 교류 및 국제교류의 매개체로서의 기능 측면에서 제안하였다.
강경숙,강성종 한국교육개발원 2012 한국교육 Vol.39 No.1
한국 특수교육학계의 연구 패러다임은 양적 연구 시각에 의해 지배되어 왔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한국 특수교육 환경이 점차 변화되고 있는 실정을 고려할 때, 양적 연구 시각만으로 특수교육을 이해하는 데는 한계가 있음이 지적되어 왔다. 따라서 이 연구는 양적 연구 시각의 한계를 극복하고 특수교육 현상의 ‘있는 그대로’를 심도 있게 이해하기 위한 대안으로써 질적 연구 패러다임에 관심을 가지고 추진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논문 투고 편수의 경향성을 중심으로 진단해본 결과, 학술논문과 학위논문의 연구논리는 양적 연구방법론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국외적으로는 특수교육관련 전문 학회와 단체가 중심이 되어 질적 연구방법론의 평가기준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는 것을 문헌연구를 통하여 파악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한국 특수교육학계에서의 질적 연구는 양적 연구의 한계를 극복함으로써 질적 연구의 확산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그 대안으로서 각각의 질적 연구방법론에 해당하는 질적 연구 아이디어, 질적 연구의 엄격성, 질적 연구 확산에 대한 재음미를 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질적 연구 동향, 문헌 연구 등의 결과에 근거하여 한국 특수교육의 질적 연구 발전 과제를 다섯 가지로 제시하였다. 한국 특수교육의 발전 과제 다섯 가지는 ‘특수교육 연구 패러다임의 다양화’, ‘대학에서 가르칠 수 있는 인적 자원의 확대’, ‘양적 시각으로 질적 연구 보기에 대한 극복 노력’, ‘학문의 동반 발전을 위한 노력’, ‘특수교육 발전을 위한 국가적 지원 요청’이다. 여기서 제시한 한국 특수교육 질적 연구의 발전 과제는 단독으로 추진되기보다는 통합적으로 이루어질 때 그 효과는 배가될 것이다. Special education research in Korea has been dominated by quantitative methodology. Now that the circumstances of Korean special education are gradually changing, though, a research paradigm that focuses mainly on the quantitative aspect is not effective in understanding special education. This study examines the importance of qualitative study in Korean special education as a mean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quantitative studies. First, this research shows that the majority of academic articles and degree theses mainly use quantitative methods. A literature review of overseas cases, however, tells us that there are a number of academic societies and special education institutions that suggest specific ways to adopt the qualitative methodology. Furthermore, the fundamental necessity of incorporating qualitative study in Korean special education research is confirmed by showing the limitations of the mathematical quantification method. Qualitative research ideas, the strict rules to follow in implementing a qualitative study and the five particular tasks for qualitative research on Korean special education are presented. The five tasks are ‘diversifying special education research paradigms', ‘increasing faculty members who can teach the qualitative methods in college', ‘overcoming the dependence of the quantitative methods for primarily qualitative issues', ‘seeking the development of both research styles', and ‘demanding more governmental support for special education research'. The tasks listed above can be fulfilled when all of them are processed simultaneously rather than when they are pursued separately.
한국교육의 실패와 희망에 대한 또 하나의 미래교육 담론: Bruner의 내러티브론을 중심으로
강현석(Hyeon-Suk Kang) 한국교육과정개발원 2024 한국교육과정개발연구 Vol.2 No.2
It can be said that the discourse on education problems and crises in Korea has always existed in various ways, and it is still being produced and reproduced and disseminated in various way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narrative theory proposed by Bruner as a theoretical perspective for discussing the issue of Korean education, and to examine the direction and future prospects of Korean education based on this theory. Diagnosing the failure of Korean education and constructing a new hope here is possible through the construction of the theory of human education, and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narrative theory as its theoretical foundation. The romantic narratives about the future of education, which are currently being discussed unreasonably, tend to be very bureaucratic and administrative, lacking authentic discussions about the nature and purpose of education and the way of human existence. According to Bruner's discussion, the possibility of renewing the hope of Korean education will be opened up in the path of recreating the language of education by focusing on the construction of the human self as a narrative being. In order to achieve these expectations and objectives, the main issues to approaching these objectives was discussed. 한국의 교육문제와 위기에 대한 담론은 늘 다양하게 존재해왔고, 지금도 여러 방식으로 생산, 재생산되면 유포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 교육문제에 대해서 숙고할 수 있는 하나의 이론적 조망으로서 Bruner가 제안한 내러티브 이론을 중심으로 논의하고 그 기반 위에서 한국 교육의 방향과 미래 전망을 해보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한국 교육의 실패를 진단하고 여기에서 새로운 희망의 구성은 인간교육론의 구성으로 가능하며, 그 이론적 토대로서 내러티브 이론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현재 무리하게 논의되는 미래교육에 대한 낭만적 이야기들은 교육의 본질과 목적, 인간 존재 방식에 대한 심각한 논의가 결여된 채로 매우 관료적, 행정적으로 접근하는 경향을 보인다. Bruner의 논의에 의하면 내러티브 존재로서 인간의 자아 구성에 주목하여 교육의 언어를 새롭게 창조하는 길에서 한국 교육의 희망을 새게 모색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릴 것이다. 이러한 기대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관련된 핵심 주제들을 탐색해볼 것이다.
국제결혼가정 초등학생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김혜원,이재분,이해영 한국교육개발원 2010 한국교육 Vol.3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variables affecting school adaptation, namely the multicultural self-efficacy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level of social adaptation and the educational support for their children of moth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or this study, data from research conducted by KEDI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chiev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structural model was verified to have a reasonable fitness by the goodness-of-fit test. Second, it was shown that multicultural self-efficacy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directly affects school adaptation of the children. Third, it was shown that the educational support that moth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give to their children directly affects the multicultural self-efficacy of the children. Fourth, it was shown that the level of social adaptation of moth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directly affects the educational support that the mothers give to their children. The results imply that educational support is critical in enhancing the multicultural self-efficacy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order to improve their school adaptation. 본 연구는 관련 선행연구들을 기초로 하여 국제결혼가정 초등학생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중 어머니의 한국사회적응도와 자녀에 대한 교육적 지원, 그리고 자녀의 다문화적 자아효능감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분석하고 이들 변인들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분석자료는 2009년도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수행된 다문화가족 구성원에 대한 역량 조사 및 교육적지원에 관한 연구 수행을 위해 수집된 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613명의 국제결혼가정 초등학생과 그들의 결혼이민 어머니들의 자료가 분석대상으로 사용되었다. 구조방정식 모델링 분석을 통해 연구문제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제결혼가정 초등학생의 학교적응에 학생의 다문화적 자아효능감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결혼이주 어머니의 자녀교육에 대한 지원은 국제결혼가정 초등학생자녀의 다문화적 자아효능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결혼이주 어머니의 한국사회 적응도는 어머니의 자녀교육에 대한 지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결혼이주 어머니의 한국사회적응도나 자녀교육에 대한 지원은 자녀의 학교적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그러나 자녀학교교육에 대한 지원은 자녀의 다문화적 자아 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자녀의 학교적응에, 그리고 어머니의 한국사회적응도는 어머니의 자녀교육에 대한 지원을 매개로 하여 자녀의 다문화적 효능감에 간접효과를 미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제결혼가정 초등학생 자녀의 학교적응도를 높이기 위해 다문화적 자아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교육적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하며, 또한 국제결혼가정 초등학생 자녀의 다문화적 자아효능감을 높이기 위해 결혼이민 어머니의 자녀교육지원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적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중・고등학생의 학업성취가 사교육 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분석: 강화적 전략과 보완적 전략의 공존
전하람,심재휘 한국교육개발원 2018 한국교육 Vol.45 No.3
Purpose: This study purports to examine the causal effect of academic achievement on participation in shadow education and to look into the complicated nature of Korean shadow education intertwined with enrichment and remedial strategies. Methodology: Using the 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PISA) 2012 and the first to sixth waves of 7th-graders cohort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we examined the effect of academic achievement on the amount of hours students participated in shadow education. First, we compared the association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participating hours in shadow education across countries. Next, an Ordinary Least Squares (OLS) regression analysis and a Difference Generalized Method of Moments (DGMM) analysis were conducted to estimate the difference in participating hours in shadow education by academic achievement at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ways, respectively. Findings: In the comparative analysis using the PISA 2012, a very limited number of countries including Korea showed a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participating hours in shadow education. The OLS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KCYPS also confirmed that positive association with significant effects of family income, the number of siblings and urbanicity on participating in shadow education. The DGMM showed the longitudinal impact of prior academic achievement on participating hours in shadow education. In addition, the longitudinal effect was only significant in the group of low-achieving students. Value: Findings support that shadow education is predominantly used as an enrichment strategy to keep competitiveness for the college entrance and social success. However, shadow education is also widespread among low achievers. Furthermore, we add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on the coexistence of two strategies in participating in shadow education. 본 연구는 PISA 2012 데이터와 한국아동청소년패널 중1 코호트의 1~6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청소년의 학업성취가 사교육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PISA 2012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업성취와 사교육 참여 시간 간의 관계에 대한 국제비교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한국아동청소년패널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업성취에 따른 사교육 참여 시간의 학생 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OLS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교육 참여의 지속성과 사교육 참여 시간에 대한 학업성취의 종단적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DGMM 분석을 실시하였다. PISA 2012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한국을 포함한 일부 국가에서만 사교육 참여 시간과 학업성취의 관계가 정적으로 나타났으며, 그중 한국은 양자 간의 관계가 가장 강한 국가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국아동청소년패널 데이터를 OLS 분석한 결과에서는 학업성취가 높을수록, 가구소득이 많을수록, 형제자매수가 적을수록, 거주지 규모가 클수록 사교육 참여 시간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DGMM 분석 결과는 사교육 참여의 지속성과 학업성취가 사교육 참여에 미치는 정적인 효과를 종단적으로 보여주었다. 한편 집단별 분석 결과 학업성취 ‘하’ 집단에서만 사교육 참여 시간에 대한 학업성취의 종단적 효과가 유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사회에서는 여전히 강화적 전략으로서의 사교육 참여 행태가 더 우세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는 동시에 사교육 참여가 저성취 집단에서도 부족한 학업성취를 보완하기 위한 전략의 형태로 나타난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구체적으로 학업성취에 따른 집단 구분을 통해 성적 상위집단에서는 사교육 참여가 포화 상태에 이르러 이전 학업성취가 이후 사교육 참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성적 하위집단에서는 이전 학업성취 향상도에 따라 부족한 학업을 보완하기 위해 사교육에 참여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상이한 양상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와 함께 학생의 학업성취에 따라 사교육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달리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한국교육에 대한 하나의 정책 제안 : 불교적 지혜를 통한 선적 심성정화법
서명석 한국교육개발원 2010 한국교육 Vol.37 No.4
This paper contains a comprehensive and critical overview of the main ideas and policies currently used at the intersection of neoliberalism and competitive ideology in Korean education. The idea that neoliberalism, in the modern tradition, has something to offer to the educational motto is the time-serial succession of "a view of individuality as a congregation of self-interests that leads to the exploitation of other people and the environment." However, this paradigm sometimes puts a negative light on our education. It also pushes the dark lines of phenomenon to two effects: mapping out some terrain in connection with the malfunctions of over-competition and over-performance in education. This essay is revelatory of both Seon (禪) Buddhism, in its attempts to understand how Buddhistic meditation and the Hwadu (話頭) method can contribute to understanding of the self-cleaning system, and Seon (禪) Buddhists who want to integrate how they can use wisdom in lived experiences of everyday life. 이 글은 현행 우리 교육이 제도적으로 어려움에 봉착하고 있음을 알리는 것이다. 본래 제도는 교육정책의 지남에 따라서 운용의 방향성이 달라진다. 이 와중에서 현행 교육정책의 핵심적인 열쇠말인 교육에서의 경쟁과 그에 따라 부수적으로 파생하는 경쟁주의와 성과주의의 적폐를 비판적으로 성찰한다. 물론 이것들은 신자유주의라는 배경에 기반하고 있는 것들이다. 그러나 교육정책상의 과도한 경쟁요구는 그에 따른 부작용으로 아이들에게 고도의 긴장과 심성적 피폐를 부추길 가능성이 농후하다. 실제로 요즈음 학교에서 아이들의 도를 넘는 부적절한 행동은 교육에서 심각한 문제성을 드러내고 있다. 이런 문제에 대한 해결로 나아가는 하나의 정책 제안이 이 글의 주목적이다. 이를 위해서 여기서는 선불교의 전통을 주목하고 그 속에 녹아들어가 있는 명상법과 화두법을 교육적으로 검토했다. 이것들은 아이들의 심성을 정화하고 경쟁에 지친 그들의 마음을 내면적으로 치유할 수 있는 탁월한 교육적 장치인데, 이것을 불교적인 지혜교육의 패러다임으로 판단하고 이것에 대한 논의의 구성틀을 여기에다 세워두었다. 그러면서 앞으로 교육에서 지식과 지혜가 상호 대립하는 이분법이 아니라 둘이 조화하고 상생하는 대대법으로 보고 그렇게 하기 위한 양자 간의 상호 협력과 공존의 묘안을 교육적으로 승화시켜야 한다는 정책 방향을 이 안에 제시해 놓았다.
디카플링 해소와 국가총교육기능의 강화를 위한미래지향적 공교육개념의 모색
이종각 한국교육개발원 2015 한국교육 Vol.42 No.4
본고는 ‘공교육=학교교육’ 개념에 입각한 ‘학교본위공교육론’이 교육적 판단과 정책수립과정에서 ‘문지기’역할을 하면서 미래교육설계와 정책구상에 한계장치로 작용하는 개념임을 분석한 후, 이를 극복하기 위한 재개념화 작업을 시도한다. 본고는 공교육과 교육일반에 관한 문헌연구와 통찰에 바탕을 둔 사고실험적 논문이며, 공교육에 대한 새로운 관점과 주장을 제기한다. 학교본위공교육 개념의 문지기 기능을 분석하여 이 개념의 문제점을 드러내고자 한다. 교육논의와 정책과 투자를 학교교육에만 집중하도록 기능하는 이 개념은 지난 수십 년 간 ‘공교육정상화-사교육경감’이라는 정책기조의 바탕이 되어왔지만, 동시에 이는 정부와 시민(학부모) 사이의 디카플링(decoupling, 엇나가기)을 유지・강화시켜온 개념체계이기도 하다는 분석을 통해 학교본위공교육 개념이 미래사회의 국가교육기능을 설계하는 데에 부적합함을 드러낸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본고는 ‘국가총교육기능’개념을 도입하고, 미래교육 설계의 핵심은 국가의 모든 교육동력과 교육형식 및 교육자원을 최적화시켜 ‘국가총교육기능’을 강화하고 탁월화하는 것이 공교육의 중핵기능이 되어야할 것을 주장한다. ‘공교육의 재개념화’는 정부와 시민(학부모) 사이에 교육인식의 디카플링 해소와 국가총교육기능의 강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재개념화의 방향은 공교육서비스를 학교가 독점하는 ‘학교본위공교육’개념으로부터 ‘시민본위공교육’개념으로의 대전환이다. 즉, 학교본위의 ‘닫힌 공교육시스템’으로부터 시민이 원하는 어느 공간, 어느 조직에서도 공교육가치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열린 공교육시스템’으로의 재설계이다. 본고에서 제시한 공교육에 대한 새로운 분석과 주장은 교육현실에 대한 대안적 관점의 형성과 미래 한국교육의 재설계에 유용한 개념적 작업으로서의 가치를 지닌다. 이러한 재개념화는 지식정보사회의 심화에 적응하는 공교육시스템의 혁신뿐만 아니라 학교교육의 자생력과 혁신성을 강화시키는 데에도 유용할 것이다. Purpose: This paper analyzes the ‘school-oriented public education theory’ based on the concept that ‘public education equals school education’ acts as a mechanism limiting policy initiatives as well as future education designs. To overcome this limitation, the reconceptualization of public education has been suggested in this study. Methodology: This study employed a literature analysis to investigate public education and general education. New perspectives and arguments related to public education are addressed in this paper. Findings: The concept of ‘public education equals school education’ has been the foundation of Korean education policy. Two main pillars are ‘enhancing school education' and ‘relief from private tutoring’. The concept, however, is also a mechanism to maintain and strengthen the decoupling conditions between the government and parents. This paper reveals that the concept of ‘school-oriented public education’ is inadequate with regards to designing a national education system for the probable society of the future. Public education needs to be reconceptualized to strengthen the total function of national education as well as to the solve problem of the decoupling effect that occurs between the government and parents. Value: New perspectives have useful values in terms of creating alternative perspectives on educational practice and reconstructing the future of education in Korea.
지방분권 개혁과 교육감의 역할과 책임 : 프랑스 사례 연구
박상완 한국교육개발원 2013 한국교육 Vol.40 No.4
As educational decentralization reform has prevailed among most OECD countries since 1980-90s,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local superintendents of education are becoming crucial in ensuring quality education at the local level.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French superintendents of education to draw policy implications for Korea. France is one of the western countries which have central government-oriented educational administration systems like Korea, and thus both countries have similar education politics and governance systems. This study shows that French local education authorities are composed of 30 acad?mies (a large local administrative unit) and 101 academie offices (a mid-level local administrative unit), and these local education organizations are hierarchical. The superintendent (recteur) is the head of the acad?mie. Superintendents are designated by the president with the recommendation of the minister of education,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ir professional and academic careers. It is advisable to hold a doctorate, but candidates’ professional careers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field of education. Finally, the French superintendent has a dual position as a representative of the central government (i.e. the Ministry of Education) at the local level and as the head of local education administration in the acad?mie. Several policy implications were drawn, and these could be applied to the reformation of superintendent qualifications, the election system and roles and responsibilities in local education administration in Korea. 이 연구는 1980-90년대 이후 우리나라를 비롯한 대부분의 OECD 국가들에서 지방분권 개혁이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지방, 학교, 학생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지방교육행정의 최고 책임자인 교육감의 역할과 책임이 중요하다는 문제인식 하에, 우리나라와 유사한 지방분권형 단일국가 체제와 중앙집권적 교육행정체제를 가지고 있으면서 1980년대 초부터 지방분권 개혁을 추진하고 있는 프랑스 교육감 제도의 특성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문헌 및 (인터넷) 자료 분석방법을 주로 활용하되, 자료 분석·해석의 객관성과 정확성을 확보하기 위해 프랑스 교육 전문가와 전직 프랑스 초등교사의 자문을 받았다. 분석결과, 첫째, 프랑스의 지방교육행정체제는 광역자치단체 수준에 설치된 30개의 아카데미와 중역자치단체 수준에 설치된 101개의 아카데미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조직은 위계적 관계를 갖고 있다. 교육감은 아카데미의 최고 책임자로서 일반 행정과 독립되어 지방의 국가교육행정사무를 관할한다. 둘째, 교육감은 교육부장관의 추천을 거쳐 대통령이 임명하는 정부재량 임명직이나 임명시 정치적 성향보다는 행정적, 전문적 역량, 경험, 업적 등 객관적인 요소가 중시된다. 교육감은 원칙적으로 박사학위 소지자여야 하나 전문 경력은 교육 분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현직 교육감들은 대체로 대학교수, 고위 행정관료 출신들로 전문 분야는 다양하다 셋째, 교육감은 아카데미 내에서 중앙정부(교육부장관)를 대표하는 동시에 아카데미(지방교육)의 최고 책임자라는 이중적 지위, 역할을 갖는다. 아카데미 내에서 교육감은 유아교육부터 고등교육까지 책임지며, 국가와 계약 하에 있는 사립학교, 교원연수, 평생교육을 관할하며, 중등교육과 고등교육을 연계·조정한다. 지방분권 개혁으로 교육감의 권한과 책임은 확대되고 있는데, 교육감은 관할구역(아카데미)내에서 국가 교육정책을 실행하는 동시에 지방의 특수성을 반영하기 위한 아카데미 교육계획을 수립하고 이러한 교육계획이 하급 지방교육행정기관과 일선 학교에 일관되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지방분권 확대에 따른 교육감의 역할, 교육감의 전문적 자질과 역량, 이를 보장하기 위한 제도적 보완 등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 제시하였다.
김진희,허영식 한국교육개발원 2013 한국교육 Vol.40 No.3
Thanks to the impact of globalized educational discourses and the resulting changes, much attention has been paid to multicultural education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Korea. This study attempted to demonstrate the characteristics and conceptual relations of similarity and differences betwee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inally, the study sought to produce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policy recommendations in response to a change in global education discourse and the accompanying practice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showed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ould be conceptualized as mechanisms for “learning to live together,” emphasizing diversity, equality and involvement in a global community. This type of education should be promoted while espousing an epistemology of lifelong learning, not only within the formal education system, but also in society as a whole. Despite the differences betwee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both fields are capable of continuously complementing each other. The study shows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emphasize critical reflection and engagement (praxis) by the learner rather than the formulation of knowledge and skills. It was argued that teacher education and teacher training is a very important part of nurturing multicultural education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practice, which can bring about changes for the better in the current field of education. As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both educations c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reshaping Korean education. 본 연구는 전 지구적 이동(global mobility)이 증대하고 세계간 상호영향력이 심화되는 오늘날, 글로벌교육의 주요 교육영역으로서 새롭게 주목 받는 다문화교육과 세계시민교육의 특징 및 그것의 교육적 함의를 고찰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다문화교육과 세계시민교육의 담론 동향을 각각 분석하고, 다문화교육과 세계시민교육이 조우할 경우 개념적·교육 실천적 측면에서 나타나는 유사성과 특수성 등 제 관계를 분석하였다. 현재 우리나라의 교육 지형은 글로벌화 · 다문화 맥락이 투영되면서 조금씩 변화하고 있으나, 여전히 교육 현장의 교육자들은 다문화교육과 세계시민교육의 다양한 언표들로 인해서 개념적 혼란을 겪으며 그것의 실천 방안에 물음표를 제기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두 교육개념의 이론적 윤곽을 정교화하고, 이해의 지평을 넓히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본고는 다문화교육과 세계시민교육은 새로운 시대의 교육적 필요와 학습자의 다변화된 수요를 능동적으로 반영할 수 있도록, 단순히 학령기의 정규 교육체제에서뿐만 아니라 평생학습차원에서도 지속적으로 외연을 확장해야 할 것을 주장한다.
대안교육의 사상적 기반으로서 이찬갑의 교육사상에 대한 연구
강영택 한국교육개발원 2010 한국교육 Vol.37 No.4
This study is on the educational thoughts of Lee Chan Gap, founder of the Poolmoo School. Lee, a graduate of Osan School, had been significantly influenced by Yi Sung Hun, Grundtvig, and Kim Gyo Shin. He believed "awakening" to be an educational aim and emphasized common people as educational objects who had not been given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a long time. He also thought that teaching language and history was the most important task of schooling. A village, he believed, can be a place of schooling and it can be improved through schooling. These ideas were implemented by the Poolmoo School, and are now being carried out there. Lee's educational thoughts have been an important educational basis of alternative education. This study on Lee Chan Gap could contribute to establishing a new direction to overcome the confusion in our education today. 본 논문은 풀무학교의 설립자인 이찬갑의 교육사상에 대한 연구논문이다. 오산학교 출신인 이찬갑은 이승훈, 그룬트비히, 김교신의 영향을 받아 정신적 각성을 교육의 목표로 생각하였고, 오랫동안 교육으로부터 소외되어왔던 평민들을 교육의 대상으로 생각하였다. 그리고 우리 말과 역사를 가르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교육의 내용이라 생각하였다. 학교는 지역공동체와 함께 해야 한다는 신념하에 마을을 교육의 장으로, 교육을 통해 마을을 건설하는 것을 중요한 교육적 과제로 생각하였다. 이러한 그의 교육사상은 풀무학교를 통해 구현되었고, 지금도 시도되고 있다. 이찬갑의 교육사상은 우리나라 대안교육의 중요한 사상적 기반이 되었으며, 이찬갑에 대한 본 연구는 목표의 혼란으로 어려움에 처해있는 우리교육이 나아가야할 방향을 새롭게 설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