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부 대학생의 주관적 구강건강 인지지각이 구강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융합적 요인

        임선아 한국융합학회 2017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8 No.11

        본 연구는 일부 대학생을 대상으로 주관적 구강건강 인지지각이 구강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융합적 요인 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S대학교 재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2017년 4월 10일부터 4월 30일까지 설문조사하여 최종 290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구강건강지식은 11.46점, 5점 척도인 구강건강 중요성은 1.71점, 구강건강 상태 2.78점, 구강건강 관심 2.52점으로 나타났다. 구강보건교육경험유무에서 구강건강지식과 구강건강중요성, 구강건강 관심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01). S대학 학생들의 구강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 요인은 구강 건강상태(β=-0.188), 구강건강관심(β=-0.265)이었다. 구강건강상태와 구강건강관심이 높을수록 결국 구강건강증진 행위도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구강건강지식을 높이고 구강건강에 관심을 갖게 하여 행동과 태도의 변화를 일으키게 하는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vergence factors affecting behavior of oral health improvement perceived by the subjective oral health awareness perception factors in some college students. Th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rom April 10, 2017 to April 30, 2013 for 300 students at S university and the and the 290 final data were used. Oral health knowledge, oral health importance measured by 5-point, oral health status and oral health interest are 11.46, 1.71, 2.78, 2.52 respectively.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experience of oral health education for oral health knowledge, oral health importance, oral health interest have been observed. The convergence factors influencing acts of oral health promotion were oral health status(β=-0.188) and oral health interest(β=-0.265) the higer the oral health status and oral health interest, the better acts of oral health promotion. Therefore, effective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increase oral health knowledge and interest in oral health and to change behavior and attitude.

      • KCI등재

        일부 대학생의 구강건강신념과 주관적 구강건강 인지-지각요인의 상관관계에 대한 융합 연구

        임선아 중소기업융합학회 2019 융합정보논문지 Vol.9 No.9

        A convergence study of oral health beliefs and subjective oral health awareness-knowledge factors of some university students was conducted on 216 students agreed from April 1 to June 14, 2019. S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with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test. The oral health beliefs were 3.87 and oral health knowledge, oral health importance measured by 5-point, oral health interest and oral health status are 11.9, 1.50, 2.36, 2.67 respectively. The need for constant oral health education so that changes in oral health beliefs of university students and subjective oral health awareness-perception ability can be improved.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suit th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students. 일부 대학생의 구강건강신념과 주관적 구강건강 인지-지각요인의 융합연구로 2019년 4월 1일부터 6월 14일까지 동의한 학생 21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통계분석은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test로 실시하였다. 구강건강신념은 유익성이 3.87점이었고, 구강건강지식 11.9점, 5점척도인 구강건강중요성 1.50점, 구강건강관심 2.36점, 구강건강상태는 2.67점으로 나타났다. 구강건강신념과 주관적 구강건강 인지-지각요인과의 상관관계는 구강건강신념은 구강건강지식(r=0.294, p<0.01)과 구강건강상태(r=0.406, p<0.01)에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대학생의 구강건강신념의 변화와 주관적 구강건강 인지-지각 능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끊임없는 구강보건교육의 필요하며, 대학생의 특성에 맞는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 KCI등재

        메타분석을 통한 자기효능감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검증

        임선아,정윤정 한국교육학회 2013 敎育學硏究 Vol.51 No.3

        Self-efficacy is known to influence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Lots of the studies about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have been conducted and reported that self-efficacy is the main factor to have the impact on academic achiev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nthesiz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For this study, 1,458 correlation effect sizes from 175 studies were analyzed by CMA(Comprehensive Meta Analysis) Program. The relationship was analyzed by correlation effect size and moderator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elf-efficacy has a higher effect size than medium relationship with academic achievement. Second, academic self-efficacy, self-regulatory, and task difficulty among six subscales of the self-efficacy have high levels of relationship with academic achievement. Third, self-efficacy has high levels of relationship with main subjects such as reading, math, English, social study, and science. Fourth,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subscales of the self-efficacy and sub-subjects of academic achievement.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자기효능감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힌 많은 선행연구들을 객관적으로 정리하여 자기효능감의 학업성취에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175개 관련연구로터 1,458의 효과크기를 CMA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효능감이 학업성취에 큰 효과를 나타내지는 않으며 중간보다 높은 정도의 효과크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른 효과크기를 비교했을 때, 남자 표본과 혼성의 표본보다 여자 표본의 효과크기가 크게 나타났다. 셋째, 학교급별로는 중학생의 효과크기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초등학생, 대학생, 고등학생 순으로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기효능감을 측정하는 측정도구 중 ‘Sherer 등(1982)’의 측정도구의 효과크기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자기효능감의 하위영역을 분석한 결과, 학업적 효능감과 자기조절효능감, 과제난이도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자기효능감은 국어, 영어, 수학, 사회, 과학 등의 주요 과목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선행연구 결과와의 논의 및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진로정체감이 성취목표, 몰입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관계의 경로분석

        임선아 한국청소년학회 2013 청소년학연구 Vol.20 No.1

        Assessing the responses of career identity, achievement goal, learning flow, and academic achievement from 455 high school students, this study examined a model of the pattern of influences through which career identity acting in concert with achievement goal-orientation, learning flow, and academic achievement concurrently. Path analysis supported a model in career identity was accompanied by mastery-approach goal orientation directly and by learning flow and academic achievement indirectly. Mastery -approach goal impacted cognitive learning flow directly. Achievement goal-orientation essentially operated mediationally through the academic motivation rather than directly on academic achievement. Cognitive learning flow functioned as a contributor to academic achievement directly, whereas emotional flow and behavioral flow did not. 본 연구는 청소년들이 진로정체감을 형성하였을 때 이 진로정체감이 청소년들의 향후 학습동기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경로모형을 가정하였다. 이 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권에 위치한 5개 고등학교 학생 455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자료분석을 위해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경로분석 결과, 진로정체감이 숙달접근 목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인지적 몰입과 감성적 몰입, 행동적 몰입과 학업성취에는 간접적인 효과를 미침을 보여주었다. 또한 본 연구는 숙달접근목표가 인지적 몰입, 감성적 몰입, 행동적 몰입 각각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연구결과를 보였으며 수행접근목표는 인지적 몰입에는 영향을 미치나 감성적 몰입과 행동적 몰입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결과를 나타냈다. 또한 성취지향목표의 어떠한 유형도 학업성취에 직접적인 영향은 미치지 않았으나 숙달접근목표는 학업성취에 간접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숙달접근목표가 인지몰입, 감성몰입, 행동몰입에 영향을 미치고 이 몰입이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매개효과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진로정체감, 학습동기와 학업성취 간의 인과관계를 확인하여 진로정체감을 획득하는 것의 중요성에 대해 살펴보았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중학생의 휴대전화사용 잠재계층 분류에 따른 학교적응의 차이 검증

        임선아,정윤선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7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4 No.4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이들이 사용하는 휴대전화의 사용 유형을 탐색하고, 각 유형에 따른 학교적응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Korean Youth Panel Survey) 초등학교 4학년 패널의 4차년도∼6차년도(중학교 1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 자료를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Analysis : LCA)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중학생들은 휴대전화 사용 빈도와 용도에 따라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인 유형은 6가지 기능(친구통화, 친구문자, 게임오락, 사진촬영, 동영상감상, 음악감상)을 모두 자주 이용하는 ‘모두사용형’이었으며, 게임오락, 동영상 감상, 음악감상, 사진촬영과 같은 개인활동을 주로 하는 ‘개인활동형’이 그 다음 비율을 차지하였다. 가장 낮은 비율을 보인 유형은 게임과 오락을 주로 사용하는 ‘게임오락형’이었으며, 다음은 친구와의 통화나 문자를 주로 사용하는 ‘통화문자형’으로 나타났다. ‘모두사용형’은 학교적응이 우수하여 교우관계나 교사와의 관계도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개인활동형’은 학교적응이 다른 유형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화문자형’은 학교적응이 우수한 집단으로 특히 학습활동에 잘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게임오락형’은 학교적응력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 유형별 특성은 학년이 높아짐에 따라 다소 수치의 변화가 있기는 하지만, 대체로 특성들이 유지되는 모습을 보였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classical latent classes of adolescents’ cell phone usage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school adjustment among profile groups. To achieve this, this study used three-year data that was collected when respondents were attending middle school, drawn from the Korean Youth Panel Survey (KYPS) and applied to latent class analysis to derive latent classes to categorize types of participants based on the adolescents’ responses. The results were follow as. First, four distinct classes of adolescents’ cell phone usage were identified; users for using all cell phone utility functions, users for individual activities and fun, users for gaming, and users for communicating. Users for all cell phone utility function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school adjustment than other three groups. Users for communicating also showed higher levels in school adjustment, specially in learning activities. Users for individual activities and fun showed lower levels of school adjustment compared to the others. Lastly, users for gaming showed the lowest level in school adjustment. The characteristics of cell phone usage in each class were maintained, though there were some changes in the rate of classes.

      • KCI등재

        온라인 학습에서 자기조절학습의 연구 동향

        임선아,정윤희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2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8 No.11

        This study attempted to present a method to utiliz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in an online class situation. Since online learning is expected to continuously increase in the future, this study is intended to provide a way to increase online learning ability.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d research trends related to self-regulated learning within online learning. Specifically, articles published using two keywords 'online learning' and 'self-regulated learning'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the final 96 papers. Self-regulated learning was classified into cognition, motivation, and behavior, focusing on online learning,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in each. As a result, in self-regulated learning in online learning, 'learning' was in the most important position in the entire semantic network. Also, it was high in the order of 'strategy', 'online', 'class', 'application', 'academic achievement', 'satisfaction', 'student', 'participation', and 'group'. In addition, when analyzing the semantic network for each area of cognition, motivation, and behavior, there was a difference in major keywords for each area. Based on these results,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were presented. 본 연구는 온라인 학습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온라인 학습력을 높이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온라인 수업 상황에서 자기조절학습력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온라인 학습 내에서의 자기조절학습 관련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온라인 학습’과 ‘자기조절학습’두 가지 키워드를 사용하여 발표한 논문을 수집하여 최종 96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온라인 학습을 중심으로 자기조절학습을 인지, 동기, 행동으로 분류하고 각각에서 의미네트워크 분석 또한 실시하였다. 그 결과, 온라인 학습에서의 자기조절학습은 ‘학습’이 가장 큰 값을 보여 전체 네트워크에서 가장 핵심적인 위치에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그 뒤로 ‘전략’, ‘온라인’, ‘수업’, ‘적용’, ‘학업성취’, ‘만족도’, ‘학생’, ‘참여’, ‘집단’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인지, 동기, 행동 각 영역별로 연구동향을 알아보고자 각 영역별 의미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을 때, 각 영역에 따라 주요 키워드에 차이를 보였다. 이들 결과를 토대로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助詞「의」と「の」の重複の対照研究

        林仙雅 대한일어일문학회 2014 일어일문학 Vol.63 No.-

        This study has analyzed in which nouns, the duplication of postpositions “ui” and “no” tends to appear. And the nouns were classified by The National Institute for Japanese Language and Linguistics. (2004)’s 『Classified Vocabulary Table』. Regarding the nouns connected by the duplication of postpositions “ui” and “no” in the original work, the researcher has examined if they are similar or different between Korean and Japanese. And the author also has looked into how the duplication of postpositions “ui” and “no” is translated. As a result, the study has found that there are four things in common in three noun groups connected by the duplication of postpositions “ui” and “no” in the original work. A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verifying if it can be classified into the “chain expression of possession” and “duplicative expression of possession” mentioned by Yamanashi(2004), the duplication of postpositions “ui” and “no” does not seem to be classified only in this way.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analyze the forms of duplication more closely. Among the top five noun groups appearing in the N1 in both Korean and Japanese original works, this author has found that the noun groups belonging to “the subject of human activity” in The National Institute for Japanese Language and Linguistics. (2004)’s 『Classified Vocabulary Table』 frequently appear. And considering the tendencies of translating the duplication of postpositions “ui” and “no”, the researcher has found that as the number of duplications is higher, there is less possibility of being translated. And first, the researcher analyzed three nouns connected by the duplication of postpositions “ui” and “no” shown in Korean and Japanese both. As a result of comparing nouns appearing in Korean and Japanese’ N₂ and N₃, the study has found that Korean’s N₂ and N₃ are all included in Japanese’ N₂ and N₃.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mparing nouns appearing in Korean’s N₂ and N₃ and nouns appearing in Japanese’ N₂ and N₃, however, the connection of nouns by Korean and Japanese’ duplication tends to show independent aspects. And according to the forms translated correspondingly to the translation of three nouns connected by the duplication of postpositions “ui” and “no”, when nouns of “1. 56 body” are positioned in N₂, they tend to be translated in both Korean and Japanese. Other than this, it seems to be hard to translate the duplicative form of “ui” and “no”. Also, considering the nouns translated from N2 and N₃, the study has found that it tends to connect finite nouns both in Korean and Japanese. And there was no distinctive feature in nouns connected by “no” with its three to four times of repeated use.

      • KCI등재

        Nanoliposomes of L-lysine-conjugated poly(aspartic acid) Increase the Generation and Function of Bone Marrowderived Dendritic Cells

        임선아,이종길,김기향,지홍근,유형경,박선기 대한면역학회 2011 Immune Network Vol.11 No.5

        Background: Biodegradable polymers have increasingly been recognized for various biological applications in recent years. Here we examined the immunostimulatory activities of the novel poly(aspartic acid) conjugated with L-lysine (PLA). Methods: PLA was synthesized by conjugating L-lysine to aspartic acid polymer. PLA-nanoliposomes (PLA-NLs) were prepared from PLA using a microfluidizer. The immunostimulatory activities of PLA-NLs were examined in mouse bone marrow-derived dendritic cells (BM-DCs). Results: PLA-NLs increased the number of BM-DCs when added to cultures of GM-CSF-induced DC generation on day 4 after the initiation of cultures. Examination of the phenotypic properties showed that BM-DCs generated in the presence of PLA-NLs are more mature in terms of the expression of MHC class II molecules and major co-stimulatory molecules than BM-DCs generated in the absence of PLA-NLs. In addition, the BM-DCs exhibited enhanced capability to produce cytokines,such as IL-6, IL-12, TNF-α and IL-1β. Allogeneic mixed lymphocyte reactions also confirmed that the BMDCs were more stimulatory on allogeneic T cells. PLA- NL also induced further growth of immature BM-DCs that were harvested on day 8.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 that PLA-NLs induce the generation and functional activities of BM-DCs, and suggest that PLA-NLs could be immunostimulating agents that target DCs.

      • 알코올의존이 우울을 매개하여 자살생각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검증

        임선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8 한국복지패널 학술대회 논문집 Vol.11 No.-

        본 연구는 알코올의존과 자살생각 간의 관계에서 우울의 종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KOWEPS)의 2014년부터 2017년의 4차년 차수에 모두 응답한 6,056명의 자료를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ARCLM)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이전 시점의 알코올의존, 우울, 자살생각은 이후 시점의 알코올의존, 우울, 자살생각 각각에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전 시점의 알코올의존은 이후 시점인 우울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이전 시점의 우울은 이후 시점의 자살생각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전 시점의 알코올의존과 이후 시점의 자살생각 간의 관계에서 우울은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전 시점에서 알코올의존이 높을수록 우울이 높아지고, 이전 시점에서 우울이 높을수록 이후 시점에서 자살생각을 생각한 적이 많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종단데이타를 사용하여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함으로써, 알코올의존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우울의 종단적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알코올의존-우울-자살생각의 관계에 대한 경험적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지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