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70-80년대 독일의 교육원조를 통한 공업계 교원양성 교육에 관한 연구: 충남대 사례를 중심으로

        유나연 ( Yoo Nayeon ),박환보 ( Park Hwanbo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연구논총 Vol.39 No.3

        이 연구는 1970-80년대 독일의 교육원조를 통해 이루어진 충남대학교 공과대학의 공업계교원양성 교육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과 특징을 밝히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정부의 공업계중등교육 강화 및 국립대학 특성화라는 맥락 속에서 총 3차에 걸쳐 이루어진 충남대-독일 GTZ 기술협력사업으로 충남대에 실험실습기자재 지원, 교수매체센터 설치, 독일전문가의 내한 및 충남대 교수들의 독일 연수가 진행되었고, 이를 통해 충남대는 현재까지도 공업계 교원 양성에 있어 독점적인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충남대-독일 GTZ 기술협력사업의 세부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충남대-독일 GTZ 기술협력사업을 통한 충남대 공업계 교원훈련 사업에서는 현장 실무능력 향상을 위한 실습 위주의 독일식 직업교육이 강조되었으며, 교육과정에 실습을 포함시키고 실습을 지원하기 위해 산업체 현장의 기사를 고용하기도 했다. 둘째, 중등수준의 공업기술교육에 대한 우리 정부와 독일 측 사이에 인식차이가 존재했는데, 한국 정부는 당시의 공업화를 강조하는 정책 기조 속에서 공업계 고등학교를 숙련된 노동인력을 양성하는 기관으로 간주한 반면, 독일 측은 특정한 산업 분야에 대한 이론과 실제를 겸비한 숙련된 기술자를 양성하는 곳으로 인식했다. 이러한 차이는 이후 충남대학교 공업교육대학 내 공업계 기술교원 양성을 위한 제도 운영과 교육과정 편성에도 영향을 주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industrial teacher education at the college of engineering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CNU) during the CNU-GTZ Project while in receipt of German educational aid in the 1970-80s. Through the CNU-GTZ technical cooperation project, CNU was provided with laboratory equipment, and the government of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assisted in the establishment of a center of educational instruction and media. In addition, CNU faculty members and staff were trained in Germany, and German experts were dispatched to CNU to promote the training of technical teachers. This resulted in CNU maintaining a dominant position in the training of technical teachers. The details of the CNU-GTZ Project were as follows: First, this project emphasized the German field training-centered style of vocational education; therefore, CNU needed to hire field engineers. Second, there was a clear difference of perception between Korea and Germany regarding technical education at the secondary level. The latter regarded technical high schools as well-trained technician training institutes, while the former, as workforce training institutes. This difference influenced institutional operations and curriculum organization at the college of engineering at CNU. Keywords: educational aid, industrial teacher education,

      • KCI등재

        사범대학의 교육실습체제 개선 사례 및 성과 분석

        손은령 ( Eunyoung Son ),박수정 ( Soojung Park ),이주욱 ( Joowook Lee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교육연구논총 Vol.37 No.1

        이 연구는 ``교원양성교육 선도 사범대학 지원사업``에 선정되어 적극적으로 교육실습체제 개선을 추진한 A 사범대학의 사례와 성과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확인함으로써, 그 성과를 공유하고 효과적인 결과들을 확산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2011년부터 2014년까지 4년간 사업비를 지원받은 A 사범대학은 사업 첫해부터 교육실습 개선을 위한 연구와 실행을 본격적으로 진행하였고, 참관실습-교육봉사-현장실습의 연계체제를 강화하고자 하였다. 현장교육실습 사전사후교육 강의와 현장교육실습 포트폴리오를 개발하는 등 교육실습 지원체제를 구축하였고, ``글로컬 교육실습``을 지향점으로 교육소외집단에 대한 실습과 봉사, 그리고 연변 조선족자치주에 대한 국제교육실습을 운영하였다. 현장교육실습 사전사후교육 및 성찰활동이 강화됨으로써 현장교육실습생의 현장이해 및 교사 역량이 연차별로 향상되었으며, 현장교육실습 활동에 대한 실습생과 실습학교의 만족도도 증가하였다. 그리고 국제교육실습생 수와 만족도가 상승하였으며, 실습생의 상호교류도 나타나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토대로 시사점 및 의의, 그리고 연구의 제한점을 고려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ase of student-teacher training practicum systemsmodification process a "A" College of Education, and identify the outcomes and implications. "A" college was selected and funded by a government project. The project was titled ``Leading College of Education Support``. From 2011 to 2014, "A" College of Education tried to improve student-teacher practicum systems, and changed the curriculum for student-teacher education including pre-post preparation education. For example, "A" college tried to link observation-educational volunteering-field practicum and constructed practicum support systems including the development of portfolios and the reinforcement of pre-post lecturing for practicums. In addition, "A" college sent its student-teachers to a college in YeonBeon in China, with the perspective of ``Global Practicum``, and the colleges exchanged student-teachers with each other. The number was increased and student teachers` and college`s interests and supports were enhanced. To improve the systems, "A" college connected observation-educational volunteering - field practicum relation, and evaluated degrees of satisfaction and the effectiveness of student-teacher training from the view of practicum schools and participants undertaking practicums. The results revealed a gradual improvement in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were proposed.

      • KCI등재후보

        교육대학교 1학년 학생들의 초등학교 교사 자질에 대한 인식 탐색

        김영주 ( Young Joo Kim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3 교육연구논총 Vol.34 No.1

        본 연구는 교육대학교 1학년 학생들이 생각하는 초등학교 교사의 자질은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자료 수집을 위해 지역의 한 교육대학교 1학년에 재학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183부의 개방식 질문지를 배포하였다. 이 중 149부의 질문지가 회수 되었으며, 이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교육대학교 신입생이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초등교사의 자질은 학생을 향한 긍정적 마음과 태도, 한 개인으로서 인격, 교직태도, 교육전문가로서의 지식과 기술, 학급경영 능력과 리더십, 대인관계 기술, 지성, 건강 등의 8개 범주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이 중 학생을 향한 긍정적 마음과 태도, 인격과 같은 인성적 측면의 자질을 매우 중요시하는 성향을 보인 반면, 전문성에 대한 인식은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예비교사의 교사자질에 대한 보다 바람직한 인식 형성을 돕기 위한 교사교육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n important qualities for primary school teachers. Data for the study were collected from freshmen at 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using an open-ended questionnaire. A total of 183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of those, 149 were collected. The collected data revealed 31 qualities that the participants considered important, and those qualities were categorized into the following eight domains: attitude toward students, character as a person, attitude toward teaching and teaching profession, expert knowledge and skills as a professional educator, classroom management and leadership, interpersonal skills, intelligence, and health. Among these domains, the pre-serivce teachers most frequently recognized personal qualities such as attitude toward students and character as important qualities, while the recognition frequency for the category of expert knowledge and skills was relatively low.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discusse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teacher preparation education.

      • KCI등재

        랜덤 포레스트를 활용한 대학생의 최초 취업 사교육 참여 시점별 특성 분석

        김미림,박민호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연구논총 Vol.4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private tutoring for the first time and the college students who did not by using a random forest. In this study, we used the 7th to 9th data of ‘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2005’ and classified the students by using a random forest which is one of data mining techniqu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mportant variables used in the classification of the first-time private tutoring participation group differed by grade, which implie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llege students can be different depending on when they participate in private tutoring for the first time.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economic status of the family by the timing of the first-time participation in private tutoring. This study analyzed a large number of correlated variables simultaneously and to find out the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and the first-time participation in private tutoring using a random forest. In addit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important variables that classify ‘freshmen and sophomores’ and ‘juniors and seniors’ in the participation group and the non-participation group. Especially, this study showed that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economic background of the family were important for participating in private tutoring in the first and second years in college, which implies that private tutoring in college may also work as a mechanism of social inequality as private tutoring in middle and high school years. 이 연구의 목적은 랜덤 포레스트를 활용하여 최초로 취업 사교육에 참여한 대학생과 그렇지 않은 대학생을 학년별로 분류하고, 이때 추출된 주요 분류변수를 활용하여 최초 취업 사교육 참여 시점에 따른 집단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제공하는 「한국교육종단연구2005」의 7∼9차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데이터 마이닝 기법의 하나인 랜덤 포레스트(random forest, 이하 RF)를 사용하여 최초 취업 사교육 참여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을 분류하였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교육 참여 집단 분류에 사용된 주요 변수가 학년별로 다소 상이하게 나타났으며, 이는 취업 사교육의 최초 참여 시점에 따라 집단의 성격이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최초 취업 사교육 참여 시점별로 가정의 경제적 형편과 관련된 변수에서 두드러진 차이가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RF를 사용함으로써 회귀분석 기반 모형의 기본 가정으로 인한 제약에서 벗어나 상관이 높은 다수의 변수를 동시에 분석할 수 있었고, 변수 간의 비선형적 관계를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저학년 시기(1, 2학년 시기)와 고학년 시기(3, 4학년 시기)의 최초 사교육 참여 집단과 미참여 집단을 분류하는 주요 변수에서 차이가 나타남을 확인하였고, 특히 가정의 경제적 배경과 관련된 변수가 1, 2학년 시기에는 중요하게 작용하는 반면, 3, 4학년 시기에는 그렇지 않음을 보였다. 즉, 사교육 참여 시점이 이른 학생들의 경우 가정의 경제적 형편이 주요한 변수로 작용함을 실증함으로써 대학생의 사교육 역시 중・고등학생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사회적 불평등의 기제로 작동할 수 있음을 밝혔다.

      • KCI등재

        대학 전공역량 기반 교육과정 성과관리 준거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PDCA 모형을 기반으로

        남민우 ( Nam Min Woo ),이해듬 ( Lee Haedeum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연구논총 Vol.41 No.3

        본 연구는 최근 대학교육 혁신의 방향성으로 강조되고 있는 전공역량 기반의 대학 전공교육과정 성과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준거를 개발하고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PDCA 모형을 토대로 2021년 대학 기본역량 진단의 ‘교육과정 운영 및 개선’ 지표 관련 주요 진단요소를 분석하여 세부적인 준거를 개발하고 전문가들의 델파이 조사를 통해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대학의 전공역량 기반 교육과정 성과관리 준거로서 PDCA의 단계에서 총 17개 요소, 35개 세부지표를 개발하였다. Plan(계획)은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계획 체계성, 대내·외 환경분석 적절성, 요구분석 적절성, 학과 교육목표-인재상-인재양성유형 연계성, 전공역량 체계 및 구체성, 교육과정 편성 타당성의 6개 요소와 16개 세부지표로, Do(실행)는 교육과정 운영 적절성, 현장중심 교육과정 실행도, 교수-학습 방법개선 노력 정도, 교육환경 및 예신 집행 적절성의 4개 요소와 8개 세부지표로 구성하였다. Check(평가)는 교육과정 운영 실적 및 결과 적절성, 교육과정 운영 성과 우수성, 교육과정 우수사례 및 대학 기여도의 3개 요소와 7개 세부지표로, Act(개선)는 교육과정 개선 및 환류체계 실행성, 개선 및 환류 실적 우수성, 성과 공유 및 확산 노력, 차년도 환류 계획 적절성의 4개 요소와 4개 세부지표를 개발하였다. This study developed and verified the criteria for implementing performance management of university major curriculum based on major competency, which has recently been emphasized as the direction of innovation in university education. This study developed detailed criteria by analyzing the main diagnostic factors related to the 'operation and improvement of education curriculum' index of the university basic competency diagnosis in 2021 based on the PDCA model, and verified the feasibility through expert Delphi survey. To summariz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 total of 17 elements and 35 detailed indexes were developed at the stage of PDCA as a criterion for performance management of university major competency-based curriculum. Plan consists of six elements including ‘Curriculum organization and operation systemicity’, ‘Internal·external environmental analysis adequacy’, ‘Needs analysis adequacy’, Department education objectives-talent consept-talent training type linkage’, ‘Major competency system and specificity’, and ‘Curriculum organization validation’ with 16 detailed indexes, and Do consists of four factors, including ‘Adequacy of curriculum operation’, ‘Field-oriented curriculum implementation’, ‘Effort to improve teaching & learning methods’, and ‘Adequacy of educational environment and budget enforcement’ with eight detailed indexes. Check consists of three factors including ‘Curriculum operation performance and results appropriateness’, ‘Curriculum operation performance excellence’, and ‘Curriculum best practices and university contributions’ with seven detailed indexes, and Act consists of four elements and four detailed indexes, including 'Curriculum improvement and feedback system’, 'Improvement and feedback performance excellence', 'Performance sharing and diffusion efforts', and 'relevance of feedback plan for next year'. In addition, the performance was continuously analyzed according to the PDCA stage, and quantitative performance data that should be managed for each performance management criterion were derived for monitoring.

      • KCI등재후보

        평생교육자의 커뮤니케이션 유형, 능력, 리더십이 성인학습자의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박명신 ( Myeung Sin Park ),임선희 ( Sun Hee Lim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4 교육연구논총 Vol.35 No.1

        본 연구는 평생교육현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평생교육자의 커뮤니케이션 유형, 능력, 리더십이 성인학습자의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기 위해 대전·충남지역 평생교육기관의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성인학습자 281명을 대상으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평생교육자의 커뮤니케이션 유형, 능력, 리더십은 성인학습자의 학력, 결혼여부, 직업, 교육참여기관, 교육기간에 따라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었으며 평생교육자의 커뮤니케이션 유형, 능력, 리더십에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다르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평생교육자의 커뮤니케이션 유형, 능력, 리더십, 교육만족도는 서로 상관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평생교육자의 커뮤니케이션 유형, 능력, 리더십이 성인학습자의 교육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중에서도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성인학습자의 교육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만큼 평생교육자의 핵심역량은 성인학습자에게 많은 영향을 준다고 할 수있다. 따라서 성인학습자의 효율적인 평생교육을 위해 평생교육자의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리더십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평생교육자 연수프로그램 운영과 연수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를 통해 평생교육자의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리더십 역량이 더욱 강화되어 평생교육현장에서 성인학습자들에게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리더십을 적절하고 충분히 발휘하여 성인학습자의 교육효과 및 만족도를 높임으로서 평생교육의 지속적인 참여를 촉진할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는 21세기 평생교육시대에 평생교육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평생교육자의 커뮤니케이션 유형, 능력, 리더십이 성인학습자의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봄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며, 이론적·실천적 함의로서 평생교육 발전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research is to determine the importance of the roles of lifelong educators` communication types, competence levels, and leadership skills that have influenced on the adult learners` educational satisfac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s observed on 281 adult learners who have participated in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of the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in Daejeon and Chungnam. The research has shown that lifelong educators` communication type, competence levels, and leadership skills have different influences on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due to the educational background, marital status, lifelong education institute, and period of education. The study conveys that the adult learners` educational satisfaction may be affected by characteristics of social demography. Furthermore, the study has indicated that lifelong educators` communication type, competence and leadership are correlated to the adult learners` educational satisfaction. Among them, communication competence is the most critical factor to the adult learners` educational satisfaction. It means that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reinforce the lifelong educators`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leadership skills which are required to instruct the adult learners more efficiently. With this, the lifelong educators can develop the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leadership skills and subsequently use their ability in the lifelong educational practice to effectively yield the adult learners` education and satisfaction. It also helps the adult learners to participate in the lifelong education continuously. These findings are meaningful which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lifelong education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showing the effects of the lifelong educators` communication type, competence, and leadership skills that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21st century`s lifelong education on the degree of adult learners` educational satisfaction.

      • KCI등재

        학생 핵심역량에 대한 대학생, 졸업생, 인사담당자의 인식차이 및 교육요구도 분석: 공과중심 K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김경언 ( Kim Kyeong Eon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연구논총 Vol.38 No.2

        본 연구는 대학교육의 수요자인 재학생, 졸업생, 인사담당자를 대상으로 핵심역량 중요도와 자신의 수준, 교육요구를 파악하여 대학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공과중심대학인 K대학 핵심역량에 대해 재학생 533명, 졸업생 730명, 인사담당자 106명을 대상으로 핵심역량 중요도 및 자신의 수준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첫째, 인사담당자는 재학생, 졸업생에 비해 모든 역량에 대해 중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고, 특히 의사소통, 긍정적 자기개념, 대인관계, 시민의식 등 인성 및 소프트스킬과 관련한 역량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졸업생은 재학생에 비해 모든 역량에 있어 현재 자신의 수준이 높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졸업생은 재학생에 비해 실무능력, 문제해결능력 등 현장 직무와 관련한 역량이 재학생은 졸업생에 비해 학습지도력 등 현 대학 교육과정과 관련한 역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핵심역량 교육요구에 있어서 재학생, 졸업생, 인사담당자 공통적으로 전공전문성, 실무능력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았고, AHS소양, 글로벌역량, 학습지도력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재학생 및 졸업생에 비해 인사담당자의 경우 인성 및 소프트스킬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대한은 고유의 교육적 방향과 교육수혜자의 교육요구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교육과정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ways to improve competency-based curriculums by Analyzing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and educational needs of university students, Graduates, and human resource managers on student`s core competencies. The Survey investigated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student`s competencies of 533 University students at K university, 730 graduates and 106 human resource manager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human resource managers were mo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all competencies than university students and graduates, and they were particularly concerned about competencies related to personality and soft skills. Second, graduated were more aware of their competences than university students regarding competencies related to jobs. On the other hand, university students perceived higher competencies related to university curriculums. Third, the educational needs of university students, graduated, and human resource managers were commonly the highest regarding major ability and executive ability, but the educational needs of human resource managers on competencies related to personality and soft skills were higher than university students and graduates. Based on the results, universities need to consider and reflect on educational needs comprehensively in competence based curriculum design and development.

      • KCI등재

        대졸취업자가 인식하는 대학교육의 학습성과 분석 연구: 역량인식과 대학교육기여도를 중심으로

        배천웅 ( Bae Cheon-ung ),남혜선 ( Nam Hye-sun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연구논총 Vol.38 No.1

        본 연구는 대졸취업자가 직장 및 사회 생활을 수행하는데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역량(역량인식)과 대학교육이 역량 개발에 도움을 준 정도에 대한 인식(대학교육기여도 인식)이 상응하는 정도를 분석하여 대학교육의 학습성과를 확인하였다. 한국고용정보원의 청년패널 2014년(8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대졸취업자는 `전문분야지식 및 기술 역량`과 함께 `대인관계 역량`과 같은 인성적 자질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지만, 대학교육은 `대인관계 역량`보다는 `글을 읽고 쓰는 역량` 개발에 더 효과적이라고 인식하였다. 대졸 여자 취업자들은 남자 취업자에 비해 `글을 읽고 쓰는 역량`, `대인관계 역량`을 더 중요하게 인식하였는데, 대학교육은 `전문분야지식 및 기술 역량` 개발에 더 크게 기여했다고 인식하였다. 일반대학 졸업자는 `전문분야지식 및 기술 역량`을 가장 중요한 역량으로 인식하였으며, 대학교육기여도도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 전문대학 졸업자는 `대인관계 역량`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였으나, 대학교육기여도에서는 `자기관리 역량`을 가장 높게 인식하였고, 전공과 직장의 업무내용이 일치하는 정도가 높은 대졸 취업자일수록 역량인식과 대학교육기여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노동시장에서 대학교육의 성과를 최대화하기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ollege graduates` perceptions of the competence actually required at workplaces or in society (perception of competencies) and to assess their evaluation of college education that helps to develop competence (contributions of college).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Youth Panel of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using the data of 2014(8th).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emale graduates thought literac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were more important compared to male graduates. However, college education was thought to contribute to developing competence knowledge and technical competence more than literac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Graduates from four-year colleges recognized that knowledge and technical competence were the most important among the competencies, and university education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developing this competence. On the other hand, graduates of junior college perceived interpersonal competence as the most important, but college education contributed to developing self-management competence more. College graduates who have a high degree of congruence between their majors and their workplaces have a higher recognition of competences and the contributions of college education.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suggestions were discussed to maximize the performance of college education in labor markets.

      • KCI등재후보

        대전광역시 거주지 분리에 따른 교사들의 교육만족도 인식차이 분석

        임선희 ( Sun Hee Lim ),김경희 ( Kyoung Hee Kim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2 교육연구논총 Vol.33 No.2

        본 연구는 대전시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만족도를 거주지에 따라 차이를 알아보고자 행정구역별로 거주지 분리가 있음을 확인하고자 월평균가구 소득, 가구별 사교육비, 아파트가격의 차이를 알아보고, 초·중·고 교사 1,042명을 대상으로 근무학교 소재지에 따라 교육만족도의 차이와, 교육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교육만족도는 학력, 직위, 학교급, 그리고 교육정책사업이 운영되는 학교에 재직중이냐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각 행정구역별로 교사들의 학교자율화, 학력증진, 교직윤리, 교직전문성, 학교운영, 교육복지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교사들의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변수들을 살펴본 결과 학교급, 연구개발특구, 공모교장, 성별, 직위, 연령,사교육제로, 사교육제로 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전 거주지에 따른 교사들의 교육정책에 대한 태도와 인식의 분석하므로 교사들의 의견을 교육정책에 반영할 수 있는 경험적 자료를 제시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whether teachers` satisfaction was different depending on residential district. The initial phase of this study was classifying Daejeon metropolitan city into administrative districts, examining average monthly income of household, private education costs, and apartment housing price, which led to confirm that there was a district separation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The second phase was to investigate difference of teachers` satisfaction on education depending on difference of teachers themselves, level of school they worked for, and administrative districts based on data used from survey that were collected from 1,042 teachers working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Daejeon. In addition, factors influencing satisfaction level in each administrative district were discovered on the level of individual teacher and schools. Results showed that satisfaction level was different depending on teachers` educational background, their position in school, level of school, whether the school had educational policy project or not. Satisfaction level of educational policy was analyzed by teachers depending on administrative districts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ere observed from each district in school autonomy, improving academic ability, morality and professionalism in teaching, management of school, educational welfare, and satisfaction level. In specific, factors that influenced satisfaction level were different depending on district such as level of class, R & D zone, and principals publically invited in Dong-gu; no private education costs in Daedeok-gu; sex, level of class, teachers` position in school in Jung-gu; age, level of school, educational background, school without private education, and no private education costs in Seo-gu; and R & D zone and no private education costs in Yuseong-gu. This study gave insights into teachers` satisfaction; in particular, the satisfaction was approached by separating it from residential district. In addition,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provide empirical data to reflect teachers` opinion in educational policy through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teachers` attitude and recognition on educational policy depending on residential district in Daejeon.

      • KCI등재

        가상사회에서 대학 인문학교육의 가치

        최승현,서범종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교육연구논총 Vol.43 No.2

        Humanities education is in crisis with the advent of a virtual society in which fantasy and reality are mixed. The emergence of the so-called Amazon Logistics Revolution, cryptmoney, and social VR is changing the traditional real model. Fake news, which has become a “facto standard” in a network media environment that is the basis of virtual society, tells the truth and makes the instructor think about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the instructor. At the end of the last century, Derrida suggested the direction of future humanities through advocacy for humanities education that reflects on humanities’ unique things. Future humanities should strengthen their academic and practical characteristics based on themes related to humanity, such as human rights related to human law and rights, the history of literature, and the history of teaching positions. This also includes reflection on the unique role of humanities professors who simultaneously practice exploration of pure theory and social participation. In this study, the value of future humanities education advocated by Derrida was reviewed through the legal and moral standards of discrimination and bioethical issues covered in civic education classes. 대학 인문학교육은 환상과 현실이 혼합된 가상사회의 도래와 더불어 위기에 빠져 있다. 이른바 아마존 물류혁명, 암호화폐, 사회적 VR의 등장은 전통적인 실재 모델을 바꾸어 놓고 있다. 가상사회의 기반인 네트워크 미디어 환경에서 ‘사실상의 표준’(de facto standard)이 된 페이크뉴스는 진실을 말하고, 가르치는 자의 사회적 책임을 생각하게 한다. 지난 세기말 데리다는 인간 고유의 것을 성찰하는 인문학교육에 대한 옹호를 통해 미래 인문학의 방향을 제시한바 있다. 미래 인문학은 인간의 법과 권리에 관련된 인권, 문학의 역사, 교수직의 역사 등 인간성에 관한 주제들을 이념삼아 간 학문적이고 실천적인 성격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여기에는 순수 이론에 대한 탐구와 사회 참여를 동시에 실천하는 인문학 교수의 독특한 역할에 대한 성찰도 들어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민교육 수업에서 다룬 차별의 법적‧도덕적 기준, 생명윤리학적 쟁점 등을 통해 데리다가 옹호한 미래 인문학교육의 가치를 검토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