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특별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인식 및 개선요구
정정인,김남균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21 교육발전 Vol.40 No.3
According to KOFAC, special programs are differentiated programs operated by financial resources for the characterization of science gifted education institute attached to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pecial programs and needs of the institutes for improvement,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managing Science gifted education institute attached to university. Reports from 27 Science gifted education institute attached to university was analyz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special program operation, and a questionnaire was prepared based on the results. The survey examined the directors' perception of the special programs and their needs for improv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special programs presented in the reports, the special programs were recognized 1) as the same as the specialization, or 2) Special programs were recognized as part of specialization or as non-regular programs with specialization, or 3) as various and differentiated programs other than mathematics and science unit programs. Second, as a result of finding out the perceptions of the directors of the 13 science gifted education institute attached to university who answered the questionnaire, as in the report, directors were perceived differently as follows: the special programs are 1) a part of programs of the regular and non-regular curriculum, 2) a part programs of the non-regular curriculum, 3) all other programs except for regular curriculum, and 4) programs for students who are not affiliated with the gifted institutes, such as projects related to the underprivileged or associated with regional offices. Third, as a plan to improve special programs, the directors of the 13 science gifted education institute attached to university demanded 1) clear terms for special programs, 2) support for independent specialization, 3) improvement of annual evaluation and 4) securing appropriate budgets. In this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based on these results. The KOFAC needs to present the evaluation guidelines more clearly, science gifted education institute attached to university clarify the definition of specialization and special programs through communication and exchange, so that each science gifted education center manages its own unique curriculum and educational activities. 현재 전국적으로 27개의 대학부설 영재교육원이 설치되어 각 영재교육원 별로 고유의 장점을 살려 영재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교육원마다 과학영재교육원의 특성화를 목적으로 만든 ‘재원별로 운영되는 차별성 있는 프로그램’인 특별 프로그램의 운영 현황과 개선 방안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여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교육과정과 프로그램 운영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27개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보고서를 분석하여 특별 프로그램 운영 현황을 파악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설문을 통해 특별 프로그램에 대한 원장들의 인식 및 개선요구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고서에 제시된 특별프로그램에 대한 운영현황을 알아본 결과 특별 프로그램을 특성화 프로그램과 같다고 인식하거나, 특별 프로그램을 특성화의 일부 혹은 특성화를 포함하는 비정규 프로그램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수학·과학 단위 프로그램 외 다양하고 차별성 있는 프로그램으로 인식하고 있는 등 매우 다양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설문에 답한 13개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원장들의 특별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알아본 결과 보고서와 마찬가지로 특별 프로그램을 정규와 비정규 교육과정의 일부 프로그램으로, 비정규 교육과정의 일부 프로그램으로, 정규 교육과정 외에 진행하는 모든 프로그램으로, 소외계층 사업이나 지역청 연계 사업과 같이 재원생이 아닌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으로 각각 다르게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특별프로그램 운영 개선 방안으로 13개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원장들은 특별 프로그램에 대한 명확한 용어의 정의, 독자적인 특성화 지원, 연차평가의 개선과 적절한 예산 확보를 요구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재단에서는 평가 지침을 더 명확히 구체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으며,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들은 소통과 교류를 통해 특성화 및 특별 프로그램에 대한 정의를 명확히 하여 각 과학영재교육원의 고유의 독자적인 교육과정 운영과 교육활동에 집중하여 영재교육의 내실을 꾀할 필요가 있다.
학교교육정책 변화에 따른 교육연구 방향: 국책연구소와 시도교육정책연구소를 중심으로
장경숙,이병천,정은주,임은영,김영은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19 교육발전 Vol.3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for the future directions of educational research of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in accordance with the new government 's educational reform policy focusing on local education autonomy. For this purpose, we examined the educational research outcomes of a government-funded educational research institute(GFERI) and the research institutes affiliated to local offices of education(LOERI).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esearch reports by LOERI and GFERI was done with a total of 683 research reports published by 13 regional educational policy research institutes and 1,023 reports published by the GFERI. The published repor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publication year, category, theme, school level, research type, and research focus. Classification by publication year shows that the number of research reports decreased in GFERI while LOERI increased the number of research reports. It is also revealed that there is a big gap among the LOERIs; while the least number of studies are 4 research report, the largest number of studies are 151. 317 out of 1,023 reports by GFERI were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field; 296 reports were in the field of curriculum and textbook, and 262 reports were studies on assessment. 437 cases out of a total of 683 research reports by the regional educational research institute were categorized as ‘local research issues’. The comparison between the LOERI and GFERI shows that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 lies in local issues, and one common area is learning and teaching improvement. It implies that local educational policy research institutes has conducted research on various regional areas(regional school policy, school administration, local educational policy etc.) to meet various local needs, while the GFERI has done educational research at the national and international levels with focus on curriculum, evaluation, and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school level classification, the studies dealing with all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outnumber the other types of research. It is found that local research institutes did more studies at the kindergarten level than GFERI. In the comparison according to regional specificity, it is found that GFERI focuses on policies and educational issues at the central level, while the LOERI conducted studies on region-focused issues. The scope of GFERI research goes beyond the domestic to the global level. While the staff member of GFERI were conducted studies, teachers and university professors joined research as external co-researchers in the regional educational policy research institutes. According to the new government’s local education autonomy policy, LOERIs are expected to carry out autonomous, more practical and field-based policy research in accordance with the policy of each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Recently, a network of regional education policy research institutes has recently been established to carry out joint research among regions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individual research institutes an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r local constraints. It is necessary for GFERI as a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 to carry out studies with local research institutes to meet needs from local areas across the country. Efforts needs to be made to seek effective ways of doing research in collaboration from selecting research topics, and collecting data and analyzing to proposing educational policies. A consultation body can be established to enhance collaboration among institutes. Such collaboration is expected to support and bring about an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new educational policy with focus on local education autonomy. 본 연구에서는 정부의 교실혁명과 교육자치를 통한 교육개혁 정책에 따른 정부출연 교육연구기관의 연구 방향을 탐색하고자 한다. 정부출연 교육연구기관과 시도교육청 교육정책연구소에서 수행된 연구의 비교 분석을 위해 한 정부출연 교육연구기관과 13개 시도교육정책연구소에서 최근 5년간 발간된 연구 보고서를 발행 연도, 연구 영역, 주제, 세부영역, 학교급, 위탁여부, 지역특수성, 수행 형태 기준에 따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두 기관의 설립 목적과 특징에 따라 수행 연구 영역, 주제, 범위, 형태, 방식 등에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지방 교육자치 정책에 따라 시도교육청의 교육정책연구소에서는 자율적이고 보다 실천적이며, 지역성과 현장성이 강한 정책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며 각 지역 연구소의 위상과 제도적 여건에서 차이가 있어 정책연구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지역 간 공동연구를 통해 연구 역량을 강화하고 한계를 극복하고자 한다. 중앙 차원에서 연구가 수행되는 정부출연 교육연구기관은 전국교육청 정책연구네트워크와 협의체를 구축하여 공동연구를 추진한다면 지역교육청과 학교 현장의 자료 수집 및 현장 접근성이 높아지고, 현장성이 강한 교육 연구 수행이 가능하게 되며, 현장의 참여와 피드백이 활성화되어 실질적이고 지역별 실정에 부합되는 교육 정책 방안이 마련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예비 역사 교사의 생태 리터러시 증진을 위한 커리큘럼 개발
강화정,김민정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23 교육발전 Vol.42 No.4
The role of education in responding to the climate crisis is becoming more important.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emerged reflecting on modern education, which had considered growth and development important. ‘ecological literacy’ is a methodology for embodying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At this time, the historical perspective helps to read the origins and changes of the ecological environment problem. Recently, discussions on the history of ecological environment have also begun in history education. The premise of the discussion is ‘what role can history education play’ in growing students into ecological citizens and citizens with ecological competence. With the ecological environment emerging as an important topic for education and history education, the "ecological environment history curriculum for prospective history teachers" is needed. This article proposed the direction and content of the curriculum. 기후위기가 심화됨에 따라 위기에 대응하고 이를 타개하기 위한 교육계의 고심도 커지고 있다. 생태전환교육은 성장과 발전을 중요시해왔던 근대 교육을 반성하고 교육의 생태문명적 전환을 모색하기 위한 시도이다. 생태 리터러시는 생태전환교육을 구체화하기 위한 방법론으로서 이때 역사적 시선은 생태환경 문제의 기원과 변화의 과정을 읽어내어 그 본질을 파악하는데 유용하다. 역사교육에서 생태환경의 시선을 담기 위한 논의와 실천은 이제 막 시작되었다. 논의의 전제는 생태 시민, 생태적 역량을 지닌 시민으로서 학생의 자기 형성에 역사교육의 역할을 모색하는 것이다. 생태환경이 교육 및 역사교육의 중요한 의제로 등장한 상황에서 예비 역사교사 양성 과정에서도 생태환경의 문제와 생태환경사를 다룰 필요가 있다. 본고는 사범대 역사과 교과교육과정 속에 생태환경사 교육 커리큘럼을 구성할 때 그 방향과 내용을 제안하였다.
대학에서 인성역량 강화를 위한 융합교양교육의 실제 : ‘고전 읽기와 글쓰기’ 강좌를 중심으로
박영민(Park, Young-Min)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20 교육발전 Vol.40 No.2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의 교양교육에서 실천해야 할 인문교양교육의 방향성을 밝히고, 미래사회의 핵심역량인 ‘인성역량’ 개발을 위한 ‘고전 읽기와 글쓰기’를 연계한 융합교양교육 프로그램을 설계·개발·예시하는 것이다. 연구의 이론적 기초로서 대학 교양교육과 미래사회의 핵심역량, 인성교육과 대학 인문교양교육, 인성역량 개발을 위한 융합교양 강좌 운영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탐색한 이론에 기초하여 대학의 교양교육에서 인성역량 강화를 위한 인문학 융합교육 프로그램인 ‘고전 읽기와 글쓰기’ 강좌의 수업계획서(안)를 설계·개발·예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교양교육과 연계한 인성교육의 이론을 중점적으로 탐색하고, 인성교육 방법으로써 ‘고전 읽기와 글쓰기’의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둘째, 대학 교양강좌에서 인문학 연계 융합교육인 ‘고전 읽기와 글쓰기’를 연계한 인성교육을 위한 수업지도안을 개발·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대학의 교양교육에서 ‘고전 읽기와 글쓰기’를 중심으로 하는 인문학연계 융합교양교육 프로그램은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핵심역량 개발이나 인성기반 (비)교과 활동 프로그램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대학에서 인성교육 활성화를 위한 후속 연구의 주제는 각 대학별 인재상과 교육목표를 반영한 인성역량과 하위요소를 추출하여, 대학별 특색을 반영한 교양교육과 (비)교과 교육을 연계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천, 대학생 인성교육의 효과 측정을 위한 평가 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larify the direc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to be carried out in liberal arts education at universities, and to design and develop a convergence liberal arts education program linked with ‘Classic Reading and Writing’ course to develop ‘character competency’ as a core competency in the future society. As a theoretical basis of the research, it was explored that liberal arts education and core competence in the future society, character education and humanities education at university, and the possibility of operating a convergence liberal arts course for the character development. Based on the searched theory, the researcher designed, developed and exemplified a class plan for classical reading and writing courses as a humanities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for strengthening character competency in liberal arts education at a university. Based on the synthesized theories, the researcher designed, developed, and exemplified the instructional plan for ‘Classical Reading and Writing’ course as a humanities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for strengthening character competencies in liberal arts education in universitie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it focused on exploring the theory of character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college liberal arts education and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applying Classic Reading and Writing course as a character education method. Secondly, the researcher developed and presented an instructional plan for character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Classic Reading and Writing’, which is a liberal arts-related convergence education in college. In conclusion, it was judged that the liberal arts-related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centered on ‘Classic Reading and Writing’ in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can be used as a core competency development or character-based (non)curricular activity program required by the future society. The following studies are suggested for facilitating character education at universities: (1) the research on the program linked liberal arts education with (non)curricular education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university by extracting character competency and sub-elements reflecting the talents and educational goals of each university and (2) evaluation studies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these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An Exploratory Study on English Pre-service Teachers’ AI Literacy
조형숙(Hyoung Sook Cho), 이용직(Yong Jik Lee)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25 교육발전 Vol.45 No.1
본 연구는 중부지역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영어과 예비교사의 AI 리터러시를 탐구하기 위해, AI 교육에 대한 흥미, 필요성 인식, AI에 대한 지식과 태도 및 AI 교육 경험 여부와 그들이 받은 AI 교육을 조사하였다. 75명의 영어과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참여자들은 AI에 평균 이상의 관심이 있고 영어교육에서 AI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다. 특히 이전에 AI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예비교사가 자신의 지식과 기술을 더욱 발전시키고자 하는 열망이 강했고 AI 교육의 경험이 없는 예비교사보다 영어 교육에서 AI 교육의 필요성을 크게 느끼고 있었다. 그러나 AI 교육의 종류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또한, AI 교육의 경험이 있는 영어과 예비교사가 AI에 대한 지식 중 AI 활용법에 더 친숙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AI 교육의 종류에 따른 영향은 없었다. 또한, AI 학습에서 어려움을 묻는 문항에 참여자는 코딩 지식, 수학 지식이 부족하고 AI 교육의 기회가 부족하다고 응답했다. AI 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는 예비교사는 컴퓨터 지식의 부족으로 AI 교육에서 상대적으로 더 큰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그러나 AI 교육의 종류에 따라 AI 학습에서 어려움의 차이는 없었다. 즉, AI 교육의 경험 여부는 영어과 예비교사의 AI 리터러시에 영향을 미쳤으나, AI 교육의 종류는 영향이 없었다. 본 연구는 영어과 예비교사의 AI 리터러시 향상을 위해 AI 관련 교육 계발 방안을 제언하였다.
김국현(Kim Kuk Hyeon)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18 교육발전 Vol.38 No.2
경험을 통한 학습과 경험을 성찰하는 학습이 교육의 패러다임으로 점차 중시되고 현실을 고려할 때 대학 인성교육은 전문성을 향상하기 위한 교육의 과정, 특히 일상생활 공간에서 다양한 배경의 학생들이 상호작용 과정에서 인성과 도덕성을 발달시키는 교육환경을 형성해야 한다. 특히 예비교사는 개인의 행복과 공동체의 균형 있는 발전을 위해 갖추어야 하는 핵심역량을 발달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교원양성대학의 인성교육은 전공교육을 통한 인성교육, 교양교육을 통한 인성교육과 함께 생활관교육과 같은 공동체 생활 프로그램을 통해 공감과 역할채택 능력을 함양하는 체계적 학습 경험을 제공해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교수와의 심층 대화와 상담, 지역사회 봉사학습을 강화한 생활관교육 프로그램의 체계화와 필요하다. This paper discusses character education program for pre-service teachers of Teacher College. Considering new educational paradigm that emphasizes learning to reflect on learning through experience and experience itself, it is important to design character education program of Teachers college based on community life of dormitory where pre-service teachers live and learn through life with others. It can be said that core competency of pre-service teachers who effectively develop the character of their students is morality. Morality is composed of moral sensitivity, judgment, motivation, performance or character. It was found that dormitory educ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moral sensitivity of pre-service teachers. In the future, more scientific empirical studies need to be activated.
한재영(Han, JaeYoung),홍준의(Hong, Juneuy),서혜애(Seo, Hae-Ae),신세인(Shin, Sein),임성민(Im, Sungmin),차정호(Cha, Jeongho)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20 교육발전 Vol.40 No.2
해외봉사활동을 나가면 주는 것보다 받는 것이 더 많다고 흔히 말한다. 특히 해외교육봉사활동에서는 현지 학생과 봉사단원이 직접 상호작용을 하므로 이러한 주고받음이 활발하게 나타난다. 이 연구에서는 해외교육봉사활동을 수행한 예비교사들이 무엇을 주고받으며 성장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국립국제교육원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방학 중 4주 이상 해외에 나가 교육봉사활동을 하는 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이 사업을 수행한 4개 대학의 교수들이 봉사활동 결과 보고서, 예비교사들의 최종 보고서, 일지, 포트폴리오, 평가회 기록물 등을 분석하였다. 예비교사가 경험하며 배운 내용을 정리하기 위한 틀로 ‘교육’, ‘봉사’, ‘해외’의 3개 범주를 설정하였다. ‘교육’ 범주에는 ‘수업 준비’, ‘수업 진행’, ‘수업 반성 및 개선’, ‘코티칭 경험’, ‘교사관 및 학생관’의 소범주가 있으며, ‘봉사’ 범주에는 ‘봉사관’, ‘단체 활동’, ‘정리’의 소범주가, ‘해외’ 범주에는 ‘언어/비언어’, ‘문화’, ‘촬영’, ‘여행’의 소범주가 있다. 각 소범주에 따라 예비교사가 자신의 전문성을 신장해 나간 내용을 기술하였다. 또한 해외교육봉사활동이 예비교사에게 미친 영향을 전체적으로 조망하기 위해, 문화역사활동이론에서 활동체계를 구성하는 6가지 하위 요소(주체, 객체, 도구, 규칙, 커뮤니티, 역할분담)와 예비교사의 전문성 신장 내용이 어떻게 연결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해외교육봉사활동이 예비교사 교육에 가지는 의미를 살펴보고, 해외교육봉사활동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Normally, the person doing an overseas voluntary activity gets more than he gives. In overseas educational voluntary activity, the volunteer communicates with students abroad a lot in the lesson. This study investigated what the pre-service teachers have developed their professional capabilities while doing the overseas educational voluntary activity, National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ducation has supported the project that helps pre-service teachers to go abroad more than four weeks for the overseas educational volunteer activity. The authors are the professors from the university that carried out this project. We analyzed the final report by a leading professor, and pre-service teachers’ report, the journal, the portfolio, and the record of reflection etc. The analysis framework consists of the categories of ‘education’, ‘voluntary activity’, and ‘abroad’. The education category includes ‘preparation of the lesson’, ‘progression of the lesson’, ‘reflection and improvement of the lesson’, ‘experiencing the coteaching’, ‘views on the teacher and the student’ as the subcategories. The voluntary activity category includes ‘view on the voluntary activity’, ‘group activity’, and ‘reporting’, and the abroad category includes ‘verbal and nonverbal language’, ‘culture’, ‘recording’, and ‘trip’, We described how the pre-service teachers have developed their professional ability in each subcategory. In addition, to overview the influence of the overseas educational volunteer activity to the pre-service teachers, we analyzed the link between the six elements of activity system according to the 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y (subject, object, tool, rule, community, and division of labor) and the professional ability developed. We discussed the meaning of the overseas educational volunteer activity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and derived the necessity of the continuous support for this project.
홍준의(Hong, Juneuy)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21 교육발전 Vol.40 No.4
연구의 목적은 예비 과학교사를 대상으로 미래의 핵심 역량과 미래의 교육 공간, 교육환경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본 연구에는 중부권 대학교의 사범대학 예비 과학교사 45명이 참여하였다. 조사 내용은 미래 핵심역량에 대한 인식, 미래 학교 공간에 대한 인식, 미래 과학교육 환경에 대한 인식으로 구성되었다. 설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1세기 기능(21st century skills)에서 제시하고 있는 미래핵심역량에 대해 예비교사들이 동의하는 정도는 90%의 동의율로 전반적으로 높은 동의율을 나타내고 있다. 21세기 기능의 세부 영역에 대해서는 학습과 혁신 영역에서는 4.6점(92%), 정보와 미디어 및 기술 소양 기능은 4.6(92%), 생활과 직업 기능은 4.5(90%)를 나타내었다. 둘째, 학교 환경은 안전이 우선적으로 확보되어야 하고 미래 교육 환경을 구축하고 쾌적한 교육시설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나타내었다. 또한, 미래 학교 교육 공간 구축을 할때 인성 교육의 공간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며 다음으로 창의성을 위한 공간과 인권교육 공간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나타났다. 셋째, 미래의 과학교육은 융합교육이 증가할 것이다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94%의 동의율을 나타냈다. 미래에 교사의 역할은 55.6%의 예비교사가 늘어나게 될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이에 비해 11명, 24.4%는 줄어들 것, 9명, 20%는 변함이 없을 것이라고 응답했다. 가까운 미래에 학급당 학생 수는 15명 내외가 적절하고, 지식 전달보다는 탐구 활동이 우선시 되며 개별화 학습이 일반화될 것으로 보고있었다. 미래의 과학 융합교육에는 AI, AR, VR 등의 기기를 많이 사용하게 될 것이며, 스마트폰이나 패드, 노트북 컴퓨터 등을 활용한 수업이 많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기기의 효용성과 학습에 있어서의 수준별 개인별 수업 전략이 일상화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측면과 시공간을 초월하는 교육형태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디지털 기기의 사용이 증가할 것이라는 의견이 대부분을 이루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perceptions of 21st century skills and future educational spac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for pre-service science teachers. For this study, 45 preliminary science teachers from the colledge of education participated. The contents of the survey consisted of 21st century skills, recognition of future school space, and recognition of future science education environment. The surve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 to which pre-service teachers agree on 21st century skills presented, which is the future core competencies, is 90%, showing a high overall consent rate. For the detailed areas of 21st century skills, the learning and innovation area scored 4.6 points (92%), the information, media and technical literacy skills were 4.6 (92%), and the life and career skills were 4.5 (90%). Second, the school environment indicated that safety should be secured first, and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future education environment and to have comfortable educational facilities. In addition, when constructing an educational space for future schools, a response was found that a space for character education is needed first, followed by a space for creativity and a space for human rights education. Third, for the question that future science education will increase convergence education, a 94% consent rate was shown. In the future, 55.6% of teachers responded that the role of teachers will increase. In comparison, 11 respondents, 24.4% said they would decrease, and 9 respondents, 20% said it would remain the same. In the near future,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will be around 15, and inquiry activities will take precedence over knowledge transfer, and individualized learning will be generalized. In the future science convergence education, many devices such as AI, AR, and VR will be used, and it is expected that many classes will take place using smartphones, pads, and laptop computers. Most of the opinions that the use of digital devices will increase because there may be aspects of the effectiveness of devices and the form of education that transcends space and time and the aspect that individual class strategies for each level in learning will become commonplace.
이양구(Lee, Yang-Gu),김원현(Kim, Won-Hyun)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21 교육발전 Vol.41 No.1
본 연구는 대학의 교육서비스 환경이 학생들의 학습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예측변인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충북권 소재 대학에 소속된 재학생 339명이다. 대학의 교육서비스 환경이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다중회귀분석과 교육서비스 환경을 이용하는 수요자들의 만족도 선택 결정의 인식에 따른 하위 요인들과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대응일치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의 교육서비스 환경과 학습동기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학의 교육서비스 환경을 이용하는 학생들의 인식은 대부분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지만 개선이 필요한 부분(발전적 사회인 양성의 신뢰감, 대학의 복지 시설 충족, 대학의 약속이행, 교직원의 용모, 공지된 학사일정의 진행) 역시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교육서비스의 전략적 운영과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 시스템 구축을 위한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major variables predicting the impact of university education service environment on students’ academic motiv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339 students enrolled in a university located in the Chungbuk area.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university education service environment on academic motivation, and the correspondence analysis method was used to check the relationships with sub-factors according to the satisfaction and perceptions of career selection and decision of the consumers who use the education service environment.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turned out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university education service environment and academic motivation. Second, as for the perceptions of the students who were using the university education service environment, it acted positively, overall; however, there were also parts that would need improvements (Trust in nurturing developmental members of society, satisfaction of university welfare facilities, the fulfillment of the university’s promises, the faculty members’ appearance, and progress of the announced academic schedule).
교원양성대학의 언택트(Un-tact) 수업환경에 관한 신입생 인식 조사
류미해(Mihae Ryu),정재은(Jaeeun Jeong)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20 교육발전 Vol.40 No.2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로 인한 언택트 방식을 기본으로 하는 대학 수업환경의 급격한 변화 요구에 따라, 우리나라 대학에서는 수업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한 효율적인 수업방식 제시에 노력을 기울이게 되었다. 예비교원을 양성하는 교원양성대학 역시 이러한 시대 요구에 대처하기 위해 전통적인 수업 방식과 함께 언택트 방식의 수업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불가피한 수업 상황 변화에 따라 오프라인과 온라인 수업 환경 차이로 유발되는 교수자 및 학습자의 수업에 대한 별도의 정서가 유발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정서 변화는 교육만족도 및 교육의 질적인 부분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교원양성대학의 예비교사들 중 대학 입학 후 대학 문화를 직접 접해 보지 못한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경험한 대학의 온라인 수업 환경에 대한 학습자 인식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S-사범대학 신입생과 C-교육대학 신입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한 수업 실태에 대한 학습자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수업진행 전반에 대한 학습만족도는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수자와의 소통이나 학습자간의 소통 부재에 대한 요구, 대학 체계에 대한 사전 교육의 필요, 그리고 시설환경 등 콘텐츠에 접근하는 학습자별 환경 차이는 지속적인 고민과 지원이 필요한 부분으로 나타났다. According to the strong social need of change in university educational environment due to the current COVID-19, teaching has to be occurred in a form of minimal contact in person. Teacher educational institutions desperately seek for substitutional suggestions for a place of traditional teaching method, and simultaneously should examine its efficiency. This inevitable change, led by COVID-19, in traditional way of teaching, based on human contact, causes various different emotions in people, involved in educational process, which occurs in off-line/on-line. Emotions, caused by different teaching environment in off-line/on-line, affects satisfaction in educational efficiency and also in quality of teaching. This research is for the first year college students, who has not been experienced the college culture yet, and to understand their perception on on-line teaching environment. Research result is based on survey, which is for S-university, and C-university students of education. Satisfaction level in class process in general is positive, however a few points- communication with teachers, and with class peers, and efficient orientation on college system, and improvement on technical support and equipment-are need of attention to get better in quality of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