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특발성 저신장 아동의 야간 성장호르몬 분비와 수면양상

        서상영,이기형,은백린,손창성,독고영창,신철,김백현,Seo, Sang Young,Lee, Kee Hyoung,Eun, Baik Lin,Sohn, Chang Sung,Tockgo, Young Chang,Shin, Chol,Kim, Baek-Hyun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3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6 No.4

        목 적 : 본 연구는 저신장 소아 중 성장호르몬 약물자극검사에서는 정상반응을 나타낸 특발성 저신장 소아들을 대상으로 야간의 수면 양상과 성장호르몬 분비가 정상 신장의 아동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성장호르몬 약물자극검사에서 정상반응을 보인 신장이 3 백분위수 이하인 특발성 저신장 아동 12명과 정상 신장 아동 9명을 대상으로 30분 간격으로 야간수면 동안의 자발적 성장호르몬 분비를 측정하고 동시에 polysomnography로 수면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1) 야간 수면 중 분비된 성장호르몬의 평균농도는 저신장 아동군이 정상 아동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며($2.8{\pm}0.2 ng/mL$ vs $4.7{\pm}0.6 ng/mL$), 특히 수면개시 후 서파 수면과 동반되는 성장호르몬 최대 분비치가 저신장 아동군이 낮았다. 2) 수면 중 성장호르몬 농도가 5 ng/mL 이상인 성장호르몬 분비 최대치의 횟수는 각각 $4.1{\pm}0.5$회, $5.8{\pm}0.6$회로 저신장군이 유의하게 적었다. 3) 전체 수면 시간에 대한 서파 수면 시간의 백분율도 저신장 아동군이 정상 아동군에 비해 감소되어 있었다($16.4{\pm}1.3%$ vs $20.8{\pm}1.2%$). 결 론 : 야간 수면 동안의 자발적인 성장호르몬 분비 검사가 약물자극검사에서 정상반응을 보이는 특발성 저신장 아동의 추가적인 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이들 저신장 아동에서 보이는 야간 성장호르몬 분비 감소는 수면구조의 차이와 일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Pharmacologic provocation test of growth hormone(GH) is a non-physiologic method and has several limitations for diagnosing growth hormone(GH) deficiency. Spontaneous GH release studies could be important in understanding the pathophysiology of children with poor growth but normal responses to GH provocation tests.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nocturnal GH secretions and sleep patterns in short stature children is poorly understoo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sleep patterns and nocturnal GH secretory profiles between idiopathic short stature children and a normal stature group. Methods : Spontaneous nocturnal GH secretions and sleep patterns were evaluated in 12 prepubertal idiopathic short stature children with normal responses to provocation tests and 9 normal stature controls. Blood samples were taken every 30 minutes from 22:00-06:30 and sleep patterns were analyzed by polysomnography. Results : The mean GH level during sleep was significantly lower in short stature children than in controls. The peak GH level after sleep, coincident with the first slow wave sleep, was lower in the short stature group. The slow wave sleep times of short stature children were decreased compared with those of normal subjects.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overnight serial GH sampling is helpful to identify short stature children with subnormal GH secretions, and sleep structure differences may be associated with decreased overnight GH secretions in short stature children.

      • 영아의 볼거리 및 풍진 특이 IgG 감소 양상

        전혜원,신영규,이기형,정지태,독고영창,Cheon, Hae Won,Shin, Young Kyoo,Lee, Kee Hyoung,Choung, Ji Tae,Tockgo, Young Chang 대한소아감염학회 1997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4 No.2

        목 적 : MMR백신을 접종하지 않은 15개월 이하의 소아를 대상으로 볼거리 및 풍진 항체 보유 실태에 대해 조사하여 예방접종에 관한 기본적인 자료를 얻고자 다음의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4년 6월부터 1995년 3월까지 10개월간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육아상담실 방문자와 입원 환자중 면역결핍질환이나 볼거리의 병력이 없으며 MMR 백신 접종력이 없는 생후 15개월 이하의 영아를 대상으로 ELISA를 이용하여 볼거리 및 풍진 특이 IgG를 측정하였다. 양성 기준치는 정해진 검사 방법에 따라 볼거리 항체는 20GU(Gamma Unit; 임의의 단위) 이상으로 하였으며 풍진 항체는 0.17 이상으로 하였다. 결 과 : 1) 대상아는 103명이었으며 남자 58명 여자 45명이었다. 2) 윌령에 따른 볼거리 항체 양성율은 0~1 개월 70.6%, 2~3개월 50.0%, 4~5 개월 6.7%, 6개월 이후 15개월까지 0%로 월령의 증가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01). 3) 볼거리 항체역가(평균${\pm}$표준편차 GU)는 0~1 개월 $61.7\pm}63.4$, 2~3개월 $23.8{\pm}26.9$, 4~5개월 $11.4{\pm}27.8$, 6~7개월 $2.4{\pm}0.7$, 8~9개월 $2.3{\pm}1.1$, 10~15 개월 $2.3{\pm}0.9$로 월령의 증가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01). 4) 월령에 따른 풍진 항체 양성율은 0~1 개월 58.8%, 2~3개월 70.0%, 4~5개월 13.3%, 6개월 이후 15개월까지 0%로 월령의 증가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01). 5) 풍진 항체역가(평균${\pm}$표준편차)는 0~1 개월 $0.422{\pm}0.483$, 2~3개월 $0.206{\pm}0.102$, 4~5 개월 $0.053{\pm}0.01$, 6~7개월 $0.024{\pm}0.032$, 8~9개월 $0.003{\pm}0.011$, 10~15개월 $0.004{\pm}0.013$으로 월령의 증가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01). 결 론 : 볼거리와 풍진 항체는 생후 6개월 이후에는 모두 음성이었으며 따라서 MMR백신 접종 시기를 15개월 보다 조기화하여도 볼거리와 풍진 항체 형성에는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postnatal changes of serum levels of mumps- and rubella-specific IgG antibody in unvaccinated infants, this study was performed using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ELISA). The sera were collected from 103 unvaccinated infants under 15 months of age.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seropositivities and the levels of mumps specific IgG decreased by ages, 70.6% in month, 50.0% in 2~3 months, 6.7% in 4~5 months and 0% after 6 months of age respectively. 2) The seropositivities of rubella-specific IgG were 58.8 % in 1 month, 70% in 2~3 months, 13.3% in 4~5 months, and 0% after 6 months of ages in unvaccinated infants respectively. 3) The seropositivities and antibody levels of mumps and rubella specific IgG had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age, and there was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ages of infants and mumps or rubella-specific IgG levels(correlation coefficient r=-0.500, P < 0.001). Conclusions: The seropositivities of transplacental antibodies of mumps and rubella in unvaccinated infants were 0% after 6 months of age. These transplacental antibodies disappeared earlier age than we had thought.

      • SCOPUSKCI등재

        임신시 모유수유에 대한 인식조사

        서정완,김용주,이기형,김재영,심재건,김혜순,고재성,배선환,박혜숙,박범수,Seo, Jeong Wan,Kim, Yong Joo,Lee, Kee Hyoung,Kim, Jae Young,Sim, Jay G,Kim, Hae Soon,Ko, Jae Sung,Bae, Sun Hwan,Park, Hye Sook,Park, Beom Soo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2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5 No.5

        목 적 : 모유수유를 위한 상담과 교육이 언제 이루어지는 것이 좋은지 알기 위하여 임신시 모유수유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방 법: 2000년 7월부터 8월까지의 기간동안 서울과 근교도시(일산, 안산), 충주와 청주, 부산지역의 12개 병 의원의 산부인과에서 산전진찰을 받기 위해 내원한 임신부를 대상으로 본 위원회에서 개발한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설문요원이 설문기입을 확인하고 회수한 총 1,481매에서 기록이 충실한 1,290 명의 설문을 분석하였다. 결 과 : 1) 임신부의 87.4%가 모유수유를 계획하였으며 분유 6.2%, 혼합수유 4.5%, 결정 못함 1.9%로 임신시 수유계획으로 모유가 가장 많았다. 임신부의 43.0%에서 4-6개월간 수유하려고 계획하였다. 2) 모유수유를 선택한 이유는 모유가 아기에게 좋다고 생각되어서 97.7%로 가장 많았으며 주위에서 권하여 0.9%이었다. 모유수유를 선택하지 않은 이유는 직장 또는 일 41.3%, 모유수유실패경험 17.4%, 모유가 부족할 것 같아서 10.9%, 함몰유두 등 유방의 문제 10.3%, 엄마의 질병 9.4% 등이다. 3) 모유수유에 관한 정보원은 친정어머니 또는 시어머니 33.1%, 육아 출산 전문 잡지와 책 27.1%, 형제 자매 친구 등 18.6%, 신문 텔레비전 라디오 등 대중매체 18.2% 순이었다. 모유수유의 정보원에 따른 모유수유 계획률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4) 모유수유에 대한 인식은 100점으로 환산하여 평균 59.7점으로 매우 낮았다. 장점에 대한 7항목의 정답률은 62.0-97.1%, 평균 86.1점이었다. 반면 수유의 실제적인 방법에 대한 13항목은 정답률 17.4-76.2%, 평균 45.3점이었다. 모유수유 계획률은 모유의 장점과 수유방법에 대한 인식의 중앙값 6점 이상인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5). 가장 낮은 정답률은 '물젖이라도 계속 수유하는 것이 좋다' 17.4%이었다. 5) 산후조리 도우미로는 친정 식구가 52.3%로 가장 많았고, 산후조리원 22.4%, 시집 식구 10.6% 순이었다. 모유수유 계획률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6)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임신부의 취업여부, 모유수유력, 수유법 결정시기와 결정한 사람, 모유 수유의 장점에 대한 인식 등이 모유수유 계획의 중요한 결정인자이었다. 결 론 : 임신부의 대부분이 모유수유를 계획하고 있었으나 수유기간이 4-6개월로 짧았으며 모유의 장점은 충분히 인식하고 있었으나 수유의 방법에 대하여는 올바로 이해하고 있지 못하였다. 모유수유율을 높이기 위하여 국가 정책적으로 모자동실, 출산 휴가 연장, 직장에서의 수유 등 모성복지를 위한 개선책이 필요하며 소아과 의사는 육아 상담시 모유수유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어머니를 올바르게 이끌고 격려하여야 한다. Objective : To investigate the understanding of breast-feeding in pregnant woman and the proper way of encouraging breast-feeding. Methods : Each questionnaire included items abou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understanding of breast-feeding. The questionnaires were filled up by pregnant women visiting obstetric clinics in Seoul and its vicinities, Busan, Choongjoo and Chungjoo from July 2001 to August 2001. One thousand, two hundred ninety questionnaires were analysed by Chi square tests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s. Results : The majority of pregnant women(87.4%) planned breast-feeding. Forty three percent of them had plans to breast-feed for 4-6 month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level of education, the family size and the source of information about breast-feeding in planning to breast-feed (P>0.05). The main reasons for not choosing to breast-feed were returns to work(41.3%), previous failures of breast-feeding(17.4%), concerns about insufficient amount of breast milk(10.9%), breast and nipple problems(10.3%) and maternal illness(9.4%). The average score on the test of the understanding about breast-feeding was 59.7/100. The average scores on the understanding about the methods and advantages of breast-feeding were 45.3/100 and 86.1/100, respectively. The maternal status of employment, previous history of breast-feeding, the time of decision to breastfeed, person advocating breast-feeding and the understanding on the advantages of breast-feeding were significant determinant factors in planning to breast-feed(P<0.05). Conclusion : Pediatricians should take steps to make an effort to increase the breast-feeding rate and to encourage breast-feeding by timely education. Beyond the medical field, political and social supports for breast-feeding are urgently needed.

      • SCOPUSKCI등재

        청소년기의 홍역 특이 IgG

        윤재균,신영규,이기형,정지태,독고영창,Yoon, Jae Kyun,Shin, Young Kyoo,Lee, Kee Hyoung,Choung, Ji Tae,Tockgo, Young Chang 대한소아감염학회 1997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4 No.1

        목 적 : 청소년기의 홍역 특이 IgG 항체의 혈중 농도를 측정하여 연령 증가에 따른 흥역 특이 IgG 항체 양성를 및 항체 역가를 알아보고, 홍역 유행 예방을 위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6년 5월부터 7월까지 12세~17세의 서울 시내 3개 중,고등학교 학생 216명 (남:110, 여:106)을 대상으로 혈액을 채취하여 효소결합면역흡착검사(ELISA)로 흥역 특이 IgG를 측정하였다. 홍역 특이 IgG 농도는 정해진 방법에 따라 110AU/m1이상인 경우 항체 양성으로 판정하였다. 결 과 : 홍역 특이 IgG 양성률은 전체적으로 91.2%였으며, 12세 94.7%, 13세 82.8%, 14세 83.8%, 15세 91.8%, 16세 95.8%, 17세 100%였고, 연령별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항체 양성자들의 평균 흥역 항체 역가(펑균${\pm}$표준펀차 AU/ml)는 전체적으로 $256{\pm}90$이었으며, 12세 $281{\pm}119$, 13세 $248{\pm}86$, 14세 $263{\pm}93$, 15세 $249{\pm}86$, 16세 $270{\pm}88$, 17세 $225{\pm}78$이었고, 연령별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 론 : 청소년기에 홍역 특이 IgG 양성율은 91.2%로 청소년중 상당수가 홍역 유행시 이환이 가능한 상태임을 보여주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청소년에 대한 재접종을 고려해야하며 향후 재접종의 효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To determine the age-specific seropositivity and the level of measles specific IgG in vaccinated adolescents, the measles specific IgG titers were measured from the sera of junior & senior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Korea. Methods : From May to July in 1996, 216 sera were collected from junior & senior high school students(male : 110, female : 106) aged 12 to 17 years who were vaccinated and had no history of natural measles. Measles specific IgG titers were measured using ELISA method($SIA^{TM}$ Measles IgG Kit, Sigma Co. St. Louis, Mo). Results : The seropositivity of measles specific IgG in vaccinated adolescents aged 12 to 17 years was 91.2%.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age and seropositivity as well as between age and measles specific IgG level. Conclusions : We consider that our data suggest the necessity of revaccination of measles in adolescents. Further considerations should be required to establish an appropriate revaccination method an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revaccination of previously vaccinated adolescents.

      • 산모와 신생아의 A형 간염 항체가에 관한 연구

        김경범,신영규,이기형,은백린,임채승,Kim, Kyung Burm,Shin, Young Kyoo,Lee, Kee Hyoung,Eun, Baik Lin,Lim, Chae Seung 대한소아감염학회 1999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6 No.2

        목 적 : 산모 혈청 및 그들의 신생아 제대혈청의 A형 간염 바이러스에 대한 IgG 항체(Hav IgG) 양성율 및 항체가 수준, 항체의 경태반 전이율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 1998년 1윌 1일부터 5월 31일까지 고려대학교 안산병원에 정상분만을 위해 내원한 산모와 그들의 신생아 제대에서 혈액을 채취하여 Hav IgG를 측정하였다. 검사는 방사성 면역 항체 검사법인 HEPAVIDINE$^{125}$A(General Biologicals Corp. Hsin Chu, Taiwan)를 이용하였으며, 항체가는 정해진 방법에 따라 gamma counter를 이용해 counter per minute(CPM)로 측정하였고, CPM 값이 4,903 이상인 경우 양성으로 판정하였다. 신생아 중 재태 연령 37주 미만, 또는 출생 체중 2,500g 미안인 경우는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결 과 : 1) 대상 산모와 신생아는 42쌍(남아 23명, 여아 19명) 이었으며 산모 평균 연령 $29.5{\pm}3.0$세, 신생아 재태 연령 $39.9{\pm}1.0$주, 신생아 출생 체중 $3.48{\pm}0.39kg$이었다. 2) Hav IgG 양성율은 산모 78.6%, 신생아 81.0% 였고, 항체의 CPM은 산모 $7,528{\pm}2,819$, 신생아 $7,684{\pm}2,740$이었다. 양군간에 항체 양성율과 항체가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3) 산모와 신생아의 Hav IgG CPM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r=0.9285, P<0.001), 산모 및 신생아의 항체가와 산모 연령, 재태 연령, 출생 체중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 론 : 산모와 신생아 제대혈의 Hav IgG는 비슷한 양성율과 항체가 수준을 보였고 모체와 신생아 항체가는 양성관계에 있었다. 향후 항체 보유수준의 변화를 알기위하여 계속적인 항체 보유 실태와 경태반 전이 항체의 소실 시기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Purpos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seropositivities and levels of Hepatitis A Virus(Hav) antibody in term pregnant women and their neonates, and the transplacental transfer rate of maternal Hav-specific IgG(Hav IgG) from tenn pregnant women to their neonates. Methods : During Jan. 1st, 1998 to May. 31 tho 1998, we collected the 42 pairs of sera from pregnant women and umbilical cord of their neonates in Korea University Ansan Hospital. The serum levels of Hav IgG were measured by the RIA method. Results : 1) The seropositivities of Hav IgG were 78.6% in mothers and 81.0% in neonates.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of mean antibody(Ab) levels between mothers and neonates.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of Ab levels between maternal sera and neonatal umbilical cord sera(correlation coefficient r=0.9285, P<0.001). 2)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neonatal Hav IgG level and other factors such as maternal age, gestational age and initial body weight of neonates. Conclusion : Seropositivities of Hav IgG tenn-pregnant women was comparable to those of their neonates. Pregnant women and their neonates can be protected from Hav infection.

      • SCOPUSKCI등재

        2000-2001년 수도권 지역 홍역 유행의 양상

        피대훈,변소훈,김경범,유영,이기형,신영규,Pee, Dae Hun,Byun, So Hoon,Kim, Kyung Burm,Yoo, Young,Lee, Kee Hyoung,Shin, Young Kyoo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2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5 No.10

        목 적 : 국내에서는 1960년대 중반 이후 꾸준히 홍역 예방 접종을 시행해 옴에도 불구하고 2000-2001년에 전국적인 홍역의 대유행이 발생하였다. 저자들은 수도권 지역내 홍역 환아 중 입원 치료를 받은 환아를 대상으로 임상 양상의 특징을 조사하고 예방 접종의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방 법: 2000년 6월부터 2001년 2월까지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관동대학교 일산 명지병원 및 서울 동부시립병원 소아과에서 임상적으로 진단된 홍역 환자 305명을 대상으로 연령과 성, 홍역 예방 접종력, 증상이 나타난 후 입원까지의 기간, 입원 기간, 합병증의 유무 및 그 유형 그리고 혈청 홍역 특이 IgM/IgG 항체를 검사하여 백신 실패율을 구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아 305명 중 12개월 미만은 118명(38.7%), 12-47개월은 84명(27.5%), 48개월 이상은 103명(33.8%)이었고 남녀비는 1.2 : 1로 남아가 많았다. 발병 연령은 $50.0{\pm}56.4$개월, 발진이 나타난 후 입원할 때까지의 기간은 $2.5{\pm}1.6$일, 재원 기간은 $6.4{\pm}3.4$일이었으며, 발진 발생 후 입원까지의 기간과 재원기간은 연령군 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홍역 입원 환아는 2000년 6월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10월부터 현저히 증가되었으며 12월에 최고조에 달하였고 2001년 2월 이후로는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유행은 연장아부터 시작되어 점차 어린 연령군으로 전파되는 양상을 보였다. 홍역 환아 중 1회 이상 홍역 예방 접종을 시행한 경우는 65.2%(199명)였고, 48개월 이상의 환아 중 현재의 예방 접종 권장안대로 2회 접종을 받은 경우는 13.6%였다. 1회의 홍역 예방 접종력이 있는 환아 180명 중 일차 백신 실패율은 59.4%(107/180명), 이차 백신 실패율은 3.9%(7/180명)였다. 61.6%의 환아가 합병증을 나타냈으며, 38.4%는 합병증이 나타나지 않았다. 합병증은 폐렴이 31.8%로 가장 많았고, 기관지염 11.5%, 중이염 4.6%의 순이었으며 백신 접종력 및 접종 횟수는 합병증의 발생과 유의한 상관성이 없었다. 결 론 : 2000년-2001년에 유행한 홍역의 임상 양상은 이전의 유행과 비교하여 볼 때 특이한 변화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나이가 많은 연령층에서 시작하여 어린 연령층으로 확산되는 특징이 있었다. 홍역 환아들 중에서는 특히 일차 백신 실패율이 매우 높으므로 홍역 예방을 위해서는 이차 접종을 철저히 시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Purpose : To assess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 2000-2001 measles outbreak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Korea, the clinical data of measles inpatients were analyzed. Methods : Three hundred and five children diagnosed with measles by clinical manifestation from July, 2000 to February, 2001, in Seoul, Ilsan and Ansan City were grouped according to their age and investigated for clinical manifestations, vaccination history and measles-specific IgM/IgG antibody positivity. Results : Thirty eight point seven percent of the subjects were less than 12 months of age, 27.5 % were 12-47 months of age and 33.8% were 48 months of age or older. There was no significant sexual difference(male : female=1.2 : 1). This epidemic started in June, 2000 and the number of patients increased abruptly in October, peaked in December and finally decreased after February, 2001. It started from the older age group and moved to the younger. Sixty five point two percent had a history of more than 1-dose vaccination and 13.6% of the patients equal or more than 48 months of age had a history of 2-dose vaccination. Primary vaccine failure rate was 59.4%(107/180) and secondary vaccine failure rate was 3.9%(7/180) in 1 dose vaccinees. Sixty one point six percent showed more than one complication and 38.4% had no complication. The most common complication was pneumonia(31.8 %), followed by bronchitis(11.5%) and acute otitis media(4.6%). Vaccination and dose were not related significantly with the occurrence of complications. Conclusion : Compared with previous outbreaks in Korea, clinical features showed no specific change in the 2000-2001 measles epidemic. However, primary vaccine failure rate was so high that the second vaccination at four to six years of age must be emphasized in Korea.

      • KCI등재

        임신시 모유 수유 계획의 실천에 대한 추적 관찰

        김혜순,서정완,김용주,이기형,김재영,고재성,배선환,박혜숙,Kim, Hae Soon,Seo, Jeong Wan,Kim, Yong Joo,Lee, Kee Hyoung,Kim, Jae Young,Ko, Jae Sung,Bae, Sun Hwan,Park, Hye Sook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3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6 No.7

        목 적 : 임신 시 모유 수유를 계획한 수유모의 모유 수유 실천과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본 조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임신 시 모유 수유를 계획했던 1,128명 중에서 지역과 병원급을 층화하여 무작위 추출한 152명을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다. 2001년 11월부터 2002년 3월까지 연구 대상자의 출산 후 4개월에 전화로 설문을 실시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 과 : 1) 임신 시 모유 수유를 계획한 수유모 중에서 출산 4개월 후의 모유 수유율은 37.5%였고, 실패 이유는 66.3%가 모유가 나오지 않거나 양이 적어서라고 대답하였고 그 외 수유모의 직장 또는 일 13.7%, 수유모의 질환 7.4%, 변이 묽어서 5.3%, 아기의 질병 4.2% 등이었다. 2) 수유모의 연령, 자녀의 유무, 모유 수유를 결정한 사람, 가족의 형태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임신 시 모유 수유를 4개월 이상으로 계획했던 경우 모유 수유율이 2.3(95% 신뢰구간 1.15-4.62)배로 유의하게 높았다(P<0.05). 3) 전문대졸 이상의 수유모의 모유 수유율이 고졸 수유모보다 0.43(95% 신뢰구간 0.21-0.86)배로 유의하게 낮았으며 취업 수유모의 모유 수유율이 0.37(95% 신뢰구간 0.17-0.83)배로 유의하게 낮았다(P<0.05). 4) 모유 수유 장점과 수유의 방법에 대한 인식항목 20개에 대한 점수의 중앙값 12점을 기준으로 할 때 12점 이상인 사람의 모유 수유율은 41.5%였던 반면, 12점 미만인 경우 34.5%의 모유 수유율을 보여 인식이 높은 군이 낮은 군에 비해 1.35(95% 신뢰구간 0.70-2.62)배의 모유 수유율을 보였다(P>0.05). 5) 출산 장소가 산부인과 의원인 경우 종합병원 보다 모유 수유율이 3.97(95% 신뢰구간 11-14.23)배로 유의하게 높았다(P>0.05). 출산아 성별, 병원내 모유 수유, 모자동실 및 분만 형태에 따른 모유 수유율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 론 : 모유 수유율 높이기 위해서 적극적인 산전 교육과 출산 후 병의원에서 모유 수유를 할 수 있도록 모자동실, 모유 수유 상담 및 교육이 적절하게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취업 수유모의 모유 수유를 위한 공간과 시설 및 휴가 문제 등이 사회 정책이나 국가 정책으로 제도화 되어야 할 것이다. Purpose : To investigate the success rate and factors that influence breast-feeding among women having antenatal breast-feeding plans. Methods : Questionnaires included items on success in breast-feeding, reasons for failure and perinatal factors. It was done by telephone calls to 152 randomly selected women having antenatal breast-feeding plans at 4 months after delivery. The questionnaires were analysed by bivariate ${\chi}^2$-analysis. Results : The breast-feeding rate for the first four months among women having antenatal breast-feeding plans was 37.5%. The major reason for breast-feeding failure was insufficient amount of breast milk(66.3%). The breast-feeding rate was 2.3(95% CI 1.15-4.62) times higher in women having antenatal breast-feeding plans for longer than 4 months(P<0.05), but maternal age, breast-feeding for previous baby, person advocating breast-feeding, and family size were not significant factors of success in breast-feeding. The breast-feeding rate of graduates of college was 0.43(95% CI 0.21-0.86) times lower than that of graduates of high school. The breast-feeding rate of employed mothers was 0.37(95% CI 0.17-0.83) times lower than that of housewives(P<0.05). Maternal disease, smoking, alcohol drinking, and understanding and knowledge about breast-feeding were not significant determinant factors of success in breast-feeding. Breast-feeding rate of infant born at local obstetric clinics was 3.97(95% CI 11-14.23) times higher than that of infant at general hospital(P<0.05). Conclusion : To increase the breast-feeding, medical personnel should educate mothers on problems during breast-feeding. Hospital polices that facilitate breast-feeding such as rooming-in must be promoted. For employed mothers, strategies for breast-feeding within companies must be encouraged.

      • SCOPUSKCI등재

        Melkersson-Rosenthal 증후군 1례

        피대훈,나요원,장기영,서우근,이기형,은백린,Pee, Dae Hun,Na, Yo Won,Chang, Ki Young,Seo, Woo Keun,Lee, Kee Hyoung,Eun, Baik-Lin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2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5 No.10

        저자들은 반복적인 안면 신경 마비의 과거력을 가진 환아에서 좌측 안면부의 부종과 함께 나타난 Melkersson-Rosenthal 증후군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Melkersson-Rosenthal syndrome(MRS) is a rare disorder, having a symptom triad of recurrent facial palsy, orofacial swelling and fissured tongue(lingua plicata). This disorder is usually recurrent or progressive, and monosymptomatic or oligosymptomatic forms have been reported to be more common than classic forms. Generally, MRS occurs in young adults at the end of the second decade of life and incidence of the disease in childhood is known to be very low. Although the clinical manifestation of MRS in children is similar to that in adults, early diagnosis and management is essential to avoid long-lasting functional disorders and psychological problems. We experienced MRS in a 13 year old boy with a history of recurrent facial palsy. We report this case with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 KCI등재후보

        발달 지연으로 내원한 Cystathionine 뇨증 1례

        변소훈(So Hoon Byun),이희선(Hee Sun Lee),피대훈(Dae Hun Pee),이기형(Kee Hyoung Lee),은백린(Baik-Lin Eun),한시훈(Si Houn Hahn) 대한소아신경학회 2003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1 No.1

        γ-cystathionase 결핍으로 인해 생긴 cystathioninuria는 상염색체 열성 유전질환으로, 다양한 임상양상을 보이며, 이 질환에 특징적으로 연관된 임상양상은 없는 것으로 추측되며, 다수에서 pyridoxine 경구 투여에 의해 호전된다. 저자들은 발달 지연을 주소로 내원하여 소변 아미노산 분석 검사 결과 시스틴뇨증으로 진단되고 pyridoxine 경구 투여로 호전된 1례를 경험하고, 우리나라에서 첫 증례라고 사료되어 이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Cystathionine is well-known intermediate in the metabolism of methionine. It is cleaved to cysteine and homoserine by γ-cystathionase. This enzyme utilize pyridoxal 5'-phosphate as coenzyme. γ-cystathionase deficiency leads to persistent excretion of large amount of cystathionine in urine, as well as to accumulation of cystathionine in body tissues and fluids. It is inherited as an autosomal recessive trait and shows wide variety of clinical manifestations. No clinical abnormality seems to be specifically associated with γ-cystathionase deficiency. The majority of patients responded to high dose administration of pyridoxine. We report the first case of cystathioninuric patient in Korea, 19 months of female with developmental delay. In brain MRI, there was generalized mild brain atrophy. There were several times of brief paroxysmal generalized polyspike and wave discharges in electroencephalography(EEG). In amino acid analysis of urine, there was elevated level of cystathionine. She was treated with high dose of pyridoxine. In follow up analysis of urinary amino acid, the cystathionine level was markedly decreased to normal range, and EEG was normalized. Her development shows improv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