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유아기 모가 지각하는 부부갈등과 학령 초기 ADHD와의 관계에서 관련변인의 구조관계분석 : 온정적양육, 학습준비도, 사회적유능감

        원혜숙(Won, Hye Sook),신현자(Shin, Hyeon ja),박춘성(Park, Chun seong)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21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25 No.3

        이 연구는 학령초기 아동의 ADHD 증상에 대해 어머니가 지각한 부부갈등 온정적양육, 아동의 학습준비도 사회적유능감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한국아동패널 자료를 활용하였다. 그 결과 첫째, 유아기 어머니가 지각한 부부갈등은 학령초기 ADHD와 정적상관을 보이고 온정적양육, 학습준비도, 사회적유능감과는 부적상관을 보였다. 유아기 온정적양육, 학습준비도, 사회적유능감은 학령초기 ADHD와 부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유아기 부부갈등은 유아기 온정적양육, 학습준비도, 사회적유능감, 학령초기 ADHD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한편, 여러 경로를 통해 학령초기 ADHD에 간접적인 영향도 미쳤다. 셋째, 가장 효과적인 경로는 부부갈등이 온정적양육, 사회적유능감, 학습준비도의 순서를 통해 학령초기ADHD로 가는 경로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 연구를 통해 높은 부부갈등은 낮은 온정적양육, 학습준비도, 사회적유능감을 통해 학령초기 ADHD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arital conflict, warm caregiving, and children s learning readiness and social competence perceived by mothers to ADHD symptoms of early school-age childre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 s Panel were used. As a result, first, the marital conflict perceived by mothers in early childhood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DHD in the early years of school age, and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the warm caregiving, the learning readiness, and the social competence. The warm caregiving, the learning readiness, and the social competence in early childhood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early school-age ADHD. Secondly, the marital conflict in early childhood had a direct effect on the warm caregiving, the learning readiness, the social competence, and the early school-age ADHD, but also had an indirect effect on early school-age ADHD through a number of different routes. Thirdly, as the most effective route, the marital conflict was found to be the path leading to early school-age ADHD through the order of warm caregiving, social competence, and learning readiness. Through this study, it can be seen that high marital conflict has an effect on early school-age ADHD through low warm caregiving, learning readiness, and social competence.

      • KCI등재

        건강기능식품 기능성평가 교육요구도에 관한 연구

        이현숙 ( Hyun Sook Lee ),권오란 ( O Ran Kwon ),원혜숙 ( Hye Suk Won ),김주희 ( Joo Hee Kim ),곽진숙 ( Jin Sook Kwak ),정세원 ( Se Won Jeong ),홍소영 ( So Young Hong ),홍진환 ( Jin Hwan Hong ),이혜영 ( Hye Young Lee ),김지연 ( Ji Y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09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24 No.3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survey the demands of an education program for evaluations of the efficacy of health functional foods.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sent to 2,225 members of the Biofood Network Center. A total of 101 (4.6%) individuals responded, 54.5% of the respondents were male and 45.5% were female; the respondents` occupations (in order of prevalence) were as follows: company worker (48.5%)>researcher (27.7%)>student (13.9%)>professor (5.0%)>pharmacist (2%), and dietitian (2%). The businesses in which the respondents worked were (again in order of prevalence) as follows: research & development (64.4%)>marketing (11.9%)>consultation and education (5.9%)>manufacturing and others (17.9%). 41.6% of the respondents reported experience in businesses relevant to KFDA approval for functional ingredients and health functional foods. The results showed that 63.4% of the respondents had previously been educated about functional foods; the types of education program reported were (in order of prevalence): `overview and acts of health functional food` (n=49)>`standards and specification for health functional food` (n=41)>`efficacy evaluation-human study` (n=24)>`safety evaluation` (n=21)>`efficacy evaluation-in vivo study` (n=13)>and `others` (n=10). Respondents preferred off-line education programs (62.4%) to on-line programs (22.8%). The preferred duration of an educational program was `2~3 days: total 14~24 hours` (30.7%); thus, short-term programs were favored. The primary requirements of a progra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learner, were as follows (scored on a 7-point scale); `efficacy evaluation and case study-human study` (5.80 points)>`standards and specification for health functional food` (5.72 points)>`safety evaluation` (5.7 points)>`overview and acts of health functional food` (5.67 points) and `efficacy evaluation methods of health functional food by efficacy (intensive)` (5.67 points). Preference for functionality was as follows; `body weight & body fat` (21.8%), `immune function` (18.8%) > `blood glucose` (10.9%). In summary, the educational demand for `efficacy evaluation and case study` was highest among the curriculum options provided, and with regard to functionality, `body weight & body fat`, `immune function` and `skin care` were considered most important by respondents. These results differed among respondents with different jobs and duties, and this suggests that customized education programs for health functional food should be developed.

      • SCOPUS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체중조절용 조제식품과 다이어트 건강기능식품 섭취자의 제품구매 및 취식 행태에 관한 연구

        원혜숙(Won, Hye Suk),이효진(Lee, Hyo Jin),곽진숙(Kwak, Jin Sook),김주희(Kim, Joohee),김미경(Kim, Mi Kyung),권오란(Kwon, Oran) 한국영양학회 2012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5 No.6

        본 연구는 다이어트 건강기능식품 또는 체중조절용 조제식품을 섭취하는 성인의 제품유형별 구매 및 취식행동과 제품요소의 중요도 및 만족도을 조사함으로써, 소비자 특성을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조사 대상자는 남자 28.6%, 여자 71.4%, 평균연령 34.2 ± 5.9세, 대졸 71.9%, 기혼 65.8%로 나타났고, 월평균소득은 300만원 이상인 가정이 총 88.1%로 높게 나타났다. 제품 구입 시 고려하는 요인으로 ‘제품의 기대효과/효능’을 우선하였고, 구입 장소는 ‘인터넷 쇼핑몰’이 가장 많았고, 제품의 제형에서는 건강기능식품은 ‘알약형태’, 체중조절용 조제식품은 ‘바형태’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p < 0.001). 제품을 구입 시 건강기능식품군은 평균 2.3 ± 1.3개월분, 체중조절용 조제식품군은 1.7 ± 0.8개월분을 구입 (p < 0.001)하였고, 1일 평균 취식빈도가 각 1.7 ± 0.7회, 1.5 ± 0.9회 였다 (p < 0.05). 제품을 이용한 체중감량 목표기간은 건강기능식품 섭취군은 2.1 ± 1.1개월, 체중조절용 조제식품 섭취군은 1.7 ± 1.2개월 (p < 0.05)였다. 제품만족도는 5점 기준으로 평균 3.6 ± 0.6점으로 ‘만족하는 편’이였다. 향후 이용 체중감량방법으로 건강기능식품 섭취군은 향후에도 ‘건강기능식품복용’이 44.5%, 체중조절용 조제식품 섭취군은 ‘체중조절용 조제식품복용’이 47.2%로 현재 제품유형을 향후에도 사용하고자 하였다. 향후 건강기능식품 구입 시 취식예정 평균 개월은 건강기능식품군이 3.8 ± 3.7개월, 체중조절용 조제식품군 3.0 ± 2.4개월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p < 0.05). 효능/효과 관련 핵심 요소 분석에서는 건강기능식품에서 ‘체중감량에 도움을 줌’, ‘체지방 축적 억제에 도움을 줌’이, 체중조절용 조제식품에서는 ‘체중감량에 도움을 줌’, ‘몸매개선에 도움을 줌’이 상대적 중요도와 만족도가 모두 높아 가장 중요하게 관리/대처해야 하는 속성으로 나타났다. 원산지/원료 관련 핵심 요소 분석에서는 상대적 중요도와 만족도가 모두 높은 속성으로는 건강기능식품에서 ‘몸에 좋은 효과가 입증된 성분/소재를 사용함’이, 체중조절용 조제식품에서는 ‘기능성 원료 외에 함께 들어가 있는 원료가 좋아 보임’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서 다이어트 건강기능식품 섭취군은 체중조절용 조제식 섭취군에 비해 체중감량 목표기간을 좀 더 길게 설정을 하여 체중조절에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제품의 기능성과 소재 (원료) 그리고 신뢰할 수 있는 제품을 중요하게 여기며 만족도도 높은 특성을 보였다. 체중조절용 조제식품군은 비교적 단기간의 체중감량 목표기간을 설정하여 체중조절에 이용하며, 기능성원료 외에도 함께 첨가되는 원료를 중요하게 또한 만족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최근 상업용 다이어트식품 시장 중 법적인 관리 하에 판매되고 있는 다이어트 건강기능식품 또는 체중조절용 조제식품시장의 비중이 점점 커짐에 따라 산업체들의 관련 제품의 연구개발 및 마케팅 전략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중요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n our previous work, we reported consumers’ perceptions of body shape and weight control. In an ongoing effort, we analyzed the purchasing behavior, intake patterns, future purchasing decisions, and degree of satisfaction in individuals consuming dietary formula for weight control (DF) or heath/functional foods (HFFs) by using the same survey questions. Portfolio analysis for marketing strategy was also investigated.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consumption of DF or HFF during the previous year : DF group (n = 89) and HFF group (n = 110). Average intake frequency was 1.7 ± 0.7 per day for HFFs and 1.5 ± 0.9 per day for the DF, and the most prevalent form was pill (58.2%) for HFFs and bar (42.7%) for DF. Duration of intake was 3.1 ± 2.3 months for HFFs versus 3.9 ± 3.5 months for DF. The average degree of satisfaction was 3.6 ± 0.6 on a 5-point scale, meaning ‘relatively satisfied’. For the weight control method to be used in the future, 44.5% of the HFF group selected ‘HFFs’ while 47.2% of the DF group selected ‘DF’, showing a tendency to use the current product type in the future. The average planned period for the intake was 3.8 ± 3.7 months for HFFs and 3.0 ± 2.4 months for DF (p < 0.05). The HFF group emphasized efficacy, functional ingredients of the products, reliable products, and higher satisfaction, whereas the DF group emphasized the added materials in addition to weight control effects.

      • KCI등재

        체중조절용 조제식품과 다이어트 건강기능식품 섭취자의 체형 및 체중조절 인식에 관한 연구

        이효진(Lee Hyo Jin),원혜숙(Won Hye Suk),곽진숙(Kwak Jin Sook),김미경(Kim Mi Kyung),권오란(Kwon Oran) 韓國營養學會 2011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4 No.3

        본 연구는 다이어트 건강기능식품 또는 체중조절용 조제식품을 섭취하는 성인의 체형 및 체중조절에 대한 인식을 조사함으로써, 소비자 특성을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1) 조사 대상자는 남자 28.6%, 여자 71.4%, 평균 연령 34.2 ± 5.9세, 대졸 71.9%, 기혼 65.8%로 나타났고, 월평균소득은 300만원 이상인 가정이 총 88.1%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과체중 및 비만 (BMI ≥ 23)이 64.6% 정상범주 (BMI < 23.0)인 사람들이 35.4%를 차지하여, 비만하지 않은 사람들도 상업용 제품을 비교적 많이 섭취하고 있었다. 2) 체형인식은 73.4%가 ‘살찐 편’으로, 제형만족도는 여자가 남자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 BMI ≥ 23인 사람들은 ‘남자’또는 ‘만 35~44세’ 또는 ‘기혼’ 또는 ‘사무직 등’ 또는 ‘주부’라는 특성을 갖으며, BMI < 23인 사람들은 ‘여자’, 또는 ‘만 25~34세’ 또는 ‘미혼’또는 직업은 ‘서비스직 등’와 ‘대학생 등’라는 특성을 나타냈다. 3) 체중조절인식 조사결과, 다이어트시 중점 사항은 ‘체중감량’이 가장 우선이며, 이를 일반특성에 따라 분석해 보면, 남자는 ‘체지방 감소’에, 여자는 ‘체중감량’에, 미혼은 ‘체지방 감소’, ‘건강회복’, ‘몸매개선’에, 기혼은 ‘체중감량’, ‘체중증가 억제’에, 또한 BMI ≥ 23인 사람들은 ‘체중감량’과 ‘체지방 감소’에, BMI < 23인 사람들은 ‘건강회복’과 ‘몸매개선’에 더 중점을 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이어트 동기로는 ‘정상체중 유지’(25.6%), ‘산후 체중조절’(7%), ‘건강관리’(9%) 등의 객관적인 동기는 42.1%, 보다 주관적인 동기인 ‘남의 시선 의식’, ‘원하는 디자인의 옷을 입기위해’ 등은 57.9%로 나타났다. 4) 두 제품유형을 섭취하는 사람들 간의 체형인식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나, 다이어트 건강기능식품 섭취군에서는 ‘정상체중 유지’(29.3%)와 ‘건강관리를 위해’(12.7%) 라는 동기가 우선이었고, ‘체지방감소’, ‘체중증가 억제’에 중점을 두어 다이어트를 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체중조절용 조제식품 섭취군에서는 ‘원하는 디자인의 옷을 입기 위해’(35.8%)라는 동기가 가장 높았고, ‘체중 감량’에 중점을 두어 다이어트를 하는 경향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body shape, and perceptions of weight control in individuals consuming functional health foods and weight-control foods. The survey was conducted between April 15 and June 17, 2010 among 199 (57 males and 142 females; age range, 25-45 years) in Seoul and Gyeonggi-do, who ex-perienced eating functional health foods or weight control foods during the past year (June 2009 to June 2010).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a weight-control food group (89 adults) and a functional health food group (110 adults). The su-bjects were comprised of a high proportion of aged (average age, 34.2 ± 5.9 years), graduates (71.9%), and married (65.8%) individuals. In the weight control food group, gender, age, and educational background were similar and the ratios of service/technical employees, college students, and normal-weight individuals [body mass index (BMI), < 23] were high. BMI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gender (p < 0.001), age (p < 0.01), marital status (p < 0.00 1), and job type (p < 0.00 1). Self-perceived health status showed a higher response for “in good health” in the 35-44 year old group than that in the 25-34 year old group (p < 0.05). Male group satisfaction for body shap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he female group. The main reason for going on a die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gender (p < 0.05) and BMI (p < 0.01). The main motives for dieting were “because I am not at an ideal weight” and “because of the social atmosphere and the attention of others” in men, but “can’t wear the clothes I want” in women (p < 0.01). The most preferable product type related to the two group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job (p < 0.001) and BMI (p < 0.05).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for questions about body shape perception and weight control. Consumers who had different genera l characteristics and used diet products perceived body shape and weight control differently. Additionally, no meaningful differences were observed when the result s were categorized by product type, except job and BMI, but the distribution of consumer characteristics showed different tendencies. These results can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new diet products to help people control their weight more scientifically and appropriately in the future.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단위가축영양 : 돼지에서 입붙이 사료와 대용유 급여 및 이유자돈 사양프로그램이 이유 전과 이유 후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하덕민 ( Duck Min Ha ),장경순 ( Kyoung Soon Jang ),원혜숙 ( Hye Sook Won ),하승호 ( Seung Ho Ha ),박만종 ( Man Jong Park ),김성우 ( Sung Woo Kim ),이철영 ( C Young Lee ) 한국동물자원과학회(구 한국축산학회) 2011 한국축산학회지 Vol.53 No.4

        본 연구는 이유 전과 후 돼지 사양프로그램이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다산차(Yorkshire×Landrace) 모돈과 Duroc 웅돈 사이에서 태어난 총 24복(평균 10.6자돈/복)의 돼지를 3구로 나누어 포유기간 중에 "대조구"는 21일령 이유시까지 대용유와 입붙이 사료를 급여하지 않았고, "최소구"는 포유기 15일째부터 입붙이 사료를 200gm/복/일 급여했으며, "최대구"는 7일째부터 주간에 7시간 동안 대용유와 입붙이 사료를 무제한으로 급여하였다. 대조구와 최소구로부터 이유된 돼지 중에서 실험구당 68두씩 임의로 선발된 돼지는 각각 2돈방에 수용하고 이유자돈 1, 2 및 3호 사료를 각각 7, 14 및 13일간 급여하였고, 최대구로부터 이유된 같은 수의 자돈에게는 1, 2 및 3단계 사료를 6, 10 및 18일간 급여하였다. 이후에는 모든 실험구에 육성돈 전?후기 사료를 차례로 95 및 135일령까지 급여하였다. 이상의 이유 전과 이유 후 전 과정 사양시험은 분할법(split plot) 실험설계 하에 3차례 반복되었다. 포유자돈의 개시체중, 종료체중 및 일당증체량은 최대구와 최소구 대비 대조구 간에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개시체중은 대조구에 비해 최대구가 0.17kg 작았지만 개시체중에 보정된 최대구의 종료체중은 대조구에 비해 0.31kg 컸던 반면 최소구와 대조구 간의 차이는 보정 후에도 거의 변하지 않았다. 자돈기 및 육성기 돼지 성장은 사양프로그램의 영향을 받지 않은 반면 55일령과 135일령 및 6일령 체중은 이유체중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각각 r=0.81, 0.57 및 0.76; P<0.001, 0.05 및 0.001). 결론적으로 본 결과는 포유기 초기부터 대용유와 입붙이 사료를 급여하면 체중이 낮은 자돈에 증체 효과가 있을 것이나 포유기 후기에 입붙이 사료를 제한적으로 급여하거나 1, 2단계 자돈사료 급여기간을 수일 연장해서는 자돈기 및 그 이후의 돼지 성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임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