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단위가축영양 : 돼지에서 입붙이 사료와 대용유 급여 및 이유자돈 사양프로그램이 이유 전과 이유 후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하덕민 ( Duck Min Ha ),장경순 ( Kyoung Soon Jang ),원혜숙 ( Hye Sook Won ),하승호 ( Seung Ho Ha ),박만종 ( Man Jong Park ),김성우 ( Sung Woo Kim ),이철영 ( C Young Lee ) 한국동물자원과학회(구 한국축산학회) 2011 한국축산학회지 Vol.53 No.4

        본 연구는 이유 전과 후 돼지 사양프로그램이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다산차(Yorkshire×Landrace) 모돈과 Duroc 웅돈 사이에서 태어난 총 24복(평균 10.6자돈/복)의 돼지를 3구로 나누어 포유기간 중에 "대조구"는 21일령 이유시까지 대용유와 입붙이 사료를 급여하지 않았고, "최소구"는 포유기 15일째부터 입붙이 사료를 200gm/복/일 급여했으며, "최대구"는 7일째부터 주간에 7시간 동안 대용유와 입붙이 사료를 무제한으로 급여하였다. 대조구와 최소구로부터 이유된 돼지 중에서 실험구당 68두씩 임의로 선발된 돼지는 각각 2돈방에 수용하고 이유자돈 1, 2 및 3호 사료를 각각 7, 14 및 13일간 급여하였고, 최대구로부터 이유된 같은 수의 자돈에게는 1, 2 및 3단계 사료를 6, 10 및 18일간 급여하였다. 이후에는 모든 실험구에 육성돈 전?후기 사료를 차례로 95 및 135일령까지 급여하였다. 이상의 이유 전과 이유 후 전 과정 사양시험은 분할법(split plot) 실험설계 하에 3차례 반복되었다. 포유자돈의 개시체중, 종료체중 및 일당증체량은 최대구와 최소구 대비 대조구 간에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개시체중은 대조구에 비해 최대구가 0.17kg 작았지만 개시체중에 보정된 최대구의 종료체중은 대조구에 비해 0.31kg 컸던 반면 최소구와 대조구 간의 차이는 보정 후에도 거의 변하지 않았다. 자돈기 및 육성기 돼지 성장은 사양프로그램의 영향을 받지 않은 반면 55일령과 135일령 및 6일령 체중은 이유체중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각각 r=0.81, 0.57 및 0.76; P<0.001, 0.05 및 0.001). 결론적으로 본 결과는 포유기 초기부터 대용유와 입붙이 사료를 급여하면 체중이 낮은 자돈에 증체 효과가 있을 것이나 포유기 후기에 입붙이 사료를 제한적으로 급여하거나 1, 2단계 자돈사료 급여기간을 수일 연장해서는 자돈기 및 그 이후의 돼지 성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임을 시사한다.

      • KCI등재

        액비순환시스템의 양돈농장 환경개선 효과

        하덕민 ( Ha Duck-min ),김두환 ( Kim Doo-hwan ) 한국환경과학회 2019 한국환경과학회지 Vol.2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implementing a Liquid Manure Circulation System (LMCS) on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of swine farms. Bacterial counts at different circulation phases of the LMCS were measured. Air in the swine facility and the liquid manure in each step of LMCS were sampled and gaseous composition detected in swine farms both with and without LMCS to compare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in either case.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total bacteria count at any circulation phase in the LMCS. Escherichia coli were detected at a very low abundance only at the outlet of the slurry pit (1.5×10<sup>2</sup>CFU/㎖). Salmonella were not detected at any phase. The LMCS clearly affected the odor strength of the swine farm and improved the air quality in the swine facility. On-site odor strength - inside, at the exhaust, and at the border of the swine facility - were clearly lowered in farms applying LMCS. Furthermore, the levels of ammonia, hydrogen sulfide, and carbon dioxide were improved in swine facilities applying LMCS.

      • KCI등재후보

        양돈장 발생 악취의 확산특성 연구

        김두환,하덕민,이인복,최동윤,송준익,Kim, Doo-Hwan,Ha, Duck-Min,Lee, In-Bok,Choi, Dong-Yun,Song, Jun-Ik 한국축산환경학회 2014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20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spersion prediction of odor from swine farms in Korea. Gaussian Plume model used in considering of farm size, wind velocity, atmospheric stability and threshold odor unit to prediction of odor dispersion based on the survey on current state of odor emission and control from 48 site of swine farms. Farm size, wind velocity and atmospheric stability were affected the distance of odor dispersion, showed longer distance in cases of large farm, low wind velocity and stable atmospheric condition. We will suggestion the adjusted distance of odor dispersion according to farm size was estimated to 180 m in small farm and 320 m in large farm when apply the 3 OU, 5 m/s wind velocity and stable atmospheric condition.

      • 돈방바닥 면적과 형태가 비육돈의 생산과 행동 및 도체품질에 미치는 영향

        김두환,하덕민,송준익,전중환,Kim, Doo Hwan,Ha, Duck Min,Song, Jun Ik,Jeon, Jung Hwan 한국축산환경학회 2012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8 No.3

        비육돈사의 돈방 바닥면적과 형태가 체중 80 kg 이상 버크셔종 비육돈의 생산효율과 행동특성 및 도체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총 336두를 공시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비육돈사 돈방바닥 형태는 콘크리트 슬랏 바닥과 톱밥바닥으로 하여 비교하였으며, 두당 바닥면적은 $1.0m^2$와 $2.5m^2$를 비교하였는데, 사료섭취량, 증체량 및 사료요구율 등 생산효율과 눕고, 걷고 먹는 등의 동작으로 보낸 시간의 비율 등 행동특성 및 부분육 생산량 비교, 등심근 pH, 보수성, 육즙손실, 전단력과 같은 도체품질 특성을 조사,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비육돈의 두당 바닥면적과 바닥형태 차이는 사료섭취량과 증체량 및 사료요구율 등 생산효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두당 바닥 면적을 증가시키거나 돈방바닥을 톱밥으로 처리하여도 생산효율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두당 바닥면적과 바닥형태 차이는 옆으로 누운 자세와 걷는 동작으로 보낸 시간 비율에 영향을 미치지만, 앉고 걷고 먹고 마시는 행동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두당 바닥면적과 바닥형태 차이는 돈육 등심근의 수분함량, pH, 보수성, 육즙손실 및 전단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0m^2$와 $2.5m^2$의 두당 바닥면적 및 콘크리트 슬랏 바닥과 톱밥바닥 간에 등심근의 육질특성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different floor space and type of finishing building on performance, behaviour and carcass quality of finishing pig. Three hundred and thirty six finishing pigs were alloted into two space allowance ($1.0m^2$and $2.5m^2$/pig) and two floor type (concrete slat and bedded with sawdust) of finishing building.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different space allowance in the body gain, feed intake and feed per gain. And also floor type of finishing building was not affected by the performance of finishing pig. Space allowance per pig affected the maintenance behaviour,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floor type of finishing building in the spent time on lying, sitting and standing. Floor type was affected by the occurrence of standing behaviour, the finishing pigs in the bedded with sawdust showed less occurrence of standing. Carcass trait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due to the difference of space allowance and floor type of finishing building.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pork loin between the space allowance and floor type of finishing building.

      • 한우 및 젖소농장 발생 악취의 확산특성 연구

        김두환,하덕민,이재영,김희호,송준익,Kim, Doo-Hwan,Ha, Duck-Min,Lee, Jae-Young,Kim, Hee-Ho,Song, Jun-Ik 한국축산환경학회 2015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21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spersion prediction of odor from Hanwoo and dairy farms. Gaussian Plume model used in considering of farm size, wind velocity, atmospheric stability and threshold odor unit to prediction of odor dispersion based on the survey on current state of odor emission and control from 9 site of Hanwoo and 9 site of dairy farms. Farm size, wind velocity and atmospheric stability were affected the distance of odor dispersion, showed longer distance in cases of large farm, low wind velocity and stable atmospheric condition. We will suggestion the adjusted distance of odor dispersion according to farm size was estimated to 50~100 m in Hanwoo farm and 50~150 m in dairy farm when apply the 3OU, 5 m/s wind velocity and stable atmospheric condition.

      • KCI등재

        성장생물학 : 비육돈의 출하체중 증가로 인한 도체등급 저하가 도체의 품질 특성, 등심 및 삼겹살의 이화학적 특성과 관능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박병철 ( Byung Chul Park ),하덕민 ( Duck Min Ha ),박만종 ( Man Jong Park ),진상근 ( Sang Keun Jin ),박재홍 ( Jae Hong Park ),이철영 ( C Young Lee ) 한국동물자원과학회(구 한국축산학회) 2013 한국축산학회지 Vol.55 No.3

        본 연구는 과중량으로 인해 강등된 도체등급이 등심과 삼겹살의 육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85~150kg 범위의 500두 출하돈의 도체로부터 평균 크기의 1+A 등급 도체 7개, A 등급 도체의 상한중량(95kg)에 근접한 1A 등급 도체 7개, B 등급 도체의 상한중량(99kg)에 근접한 1B 등급 도체 12개 및 100kg 이상의 2C 등급도체 각각 12개를 본 연구의 공시도체로 선발하였다. 근내지방도는 1+A 등급 도체가 다른 세 등급 도체보다 높았지만 근육과 지방의 색깔 및 조직감 관련 특성은 네 개의 도체등급간 차이가 없었다. 등심의 색깔, pH, 화학적 조성 및 조직 감 관련 품질 특성은 도체등급 저하로 인해 단지 최소 수준만 변하였다. 등심 및 삼겹살 신선육에 대한 관능검사에서 이취는 도체등급의 영항을 받지 않았고, 수분삼출도는 1+A 등급 도체가 가장 낮았으며, 색깔과 근내지방도는 도체등급의 영향을 받지 않거나 최소한의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이들 부위 신선육의 기호도는 도체등급간 차이가 없었다. 등심과 삼겹살 가열육에서는 맛과 기호도가 비록 구배는 낮았지만 도체등급이 저하될수록 저하되는 경향을 보였고 적어도 1+A와 2C 등급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결론 적으로 과중량으로 인해 등급이 저하된 돼지 도체는 육질 또한 약간 저한되었는데 이는 즉 돼지 도체의 규격등급이 어느 정도는 육질도 반영합을 시사한다.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decreased carcass grade due to overweight on meat quality traits of the loin and belly. Out of 500 carcasses from 85- to 150-kg market pigs, seven average-size 1+A carcasses, seven 1A and twelve 1B carcasses almost weighing the upper limits allowed for the A (95kg) and B (99kg) grades, respectively, and 12 1B carcasses weighing 100kg or greater were selected for the present study. Marbling score was greater in the 1+A grade than in any other grade, whereas color and textural properties of the muscle and fat of the carcass did not differ among the four carcass grades.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loin including the color, pH, chemical composition, and others pertaining to the textural properties changed minimally with decreasing carcass grade. Off-odor of the fresh loin and belly was not influenced by the carcass grade whereas dripping was lowest in the 1+A grade; color and marbling were not influenced or minimally influenced by the carcass grade. Overall acceptability of the fresh primals, however, did not differ among the carcass grades. In cooked loin and belly, a trend of decreased taste and acceptability with decreasing carcass grade was evident, albeitat a low slope,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detected between 1+A and 2C grades. In conclusion, the decreased pig carcass grade due to overweight is accompanied by a slightly decreased meat quality, suggesting that the yield grade of pig carcass is also somewhat reflective of meat quality.

      • KCI등재
      • KCI등재

        성장생물학 : 비육돈의 출하체중 증가가 등지방두께, “떡지방” 삼겹살 발생률, 도체등급 및 도체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박만종 ( Man Jong Park ),박병철 ( Byung Chul Park ),하덕민 ( Duck Min Ha ),김진보 ( Jin Bo Kim ),장경순 ( Kyoung Soon Jang ),이도현 ( Do Hyun Lee ),김관태 ( Gwan Tae Kim ),진상근 ( Sang Keun Jin ),이철영 ( C Young Lee ) 한국동물자원과학회(구 한국축산학회) 2013 한국축산학회지 Vol.55 No.3

        본 연구는 돼지 출하체중 증가가 ``떡지방`` 삼겹살 발생률, 도체 등급 및 도체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의해 수행되었다. 본 목적을 위해 85~150kg 체중 범위의(Yorkshire × Landrace) × Duroc 교잡종 거세돼지와 암퇘지 각각 250두를 도살하여 그 도체를 분석하였다. 거세돼지와 암퇘지의 등지방두께(y;mm)는 각각 다음과 같이 생체중(x;kg)에 선형으로 회귀하였다: y = 0.1827x+3.4825(r²=0.4671) 및 y = 0.2015x-0.6972(r²=0.4736). 삼겹살의 제 11~12 늑골부 5cm 폭의 등쪽 반절편의 지방조직 중량비가 55%를 초과하는 경우를 떡지방의 기준으로 설정했을 때 떡지방 삼겹살은 거세돼지에서 10건 발생하였으나 소매상에서 떡지방 삼겹살로 판정된 경우는 없었다. 과중량으로 인해 도체등급이 강등된 도체는 총 101건(20.2%)에 달하였다. 1+A 등급도체는 다른 모든 등급 도체보다 근내지방도가 높았으나, 근내지방 도와 도체 결함 특성을 제외하면 도체등급간 가시적인 품질 상의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도체 품질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크기만 클 뿐 정상적인 도체에 대해서는 평가절하는 현행 도체등급 판정기준은 개정되어야 좋을 것이다. 또한 돼지 출하체중을 증가시킬 때 떡지방 삼겹살 발생률은 중요한 고려 사항이 아닌 것으로 사료된다.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creasing pig market weight on the incidence of the ``caky-fatty`` belly, carcass grade and carcass quality traits. To this end, 500(Yorkshire×Landrace)×Duroc market pigs consisting of equal numbers of barrows and gilts were slaughtered at body weights ranging from 85 to 150kg and their carcasses were analyzed. Backfat thickness (BFT; mm) of the barrows and gilts regressed on live weight (kg) linearly as follows: BFT (y)=0.1827x+3.4825(r²=0.4671) and y = 0.2015x-0.6972(r²=0.4736), respectively. The caky-fatty belly, which, by definition of the present study, had=55% fat by weight in the dorsal-side half of a 5 cm-wide belly strip between the 11th and 12th ribs, was found in 10 carcasses from barrows. However, no belly was condemned as ``caky-fatty`` by the retailers. Total number of carcasses which were down-graded on account of overweight was as many as 101 (20.2%). The 1+A-grade carcasses exhibited a superior intramuscular fat score to all other grades, but except for this and the defective quality traits, no visible differences were found in carcass quality among different carcass grades. In conclusion, the current carcass grading system, which is sparingly reflective of the carcass quality and also under-evaluates the larger but otherwise normal carcasses, may as well be revised. Moreover, the incidence of the caky-fatty belly appears not to be a critical factor to be considered when increasing the pig market weigh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