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교육현장에서의 부모참여 실제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배지희 ( Ji Hi Bae ) 한국교육인류학회 2008 교육인류학연구 Vol.11 No.1

        이 연구는 유아교육 현장에서 부모참여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사례 중심으로 분석하고, 유아교사가 생각하는 부모참여의 혜택과 이유, 그리고 부모참여 활동을 계획하고 전개하며 교사가 경험하는 어려움과 요구에 대해서 심층면담을 통해 파악함으로써 부모참여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려는 목적에서 이루어졌다.연구결과 유치원에서 이루어지는 부모참여의 유형과 방법이 매우 다양하였으며, 강연회 형식의 부모교육에 대한 부모의 관심이 낮은 반면 부모참여 수업 등 유아와 함께 하는 부모참여 활동에 대한 부모의 호응과 참여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들은 부모참여 활동이 유아, 부모, 교사 모두에게 주는 혜택이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궁극적으로는 유아에게 가장 많은 혜택이 주어진다는 견해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부모참여의 여러 유형 중에서도 부모가 자녀의 학급 활동에 직접 참여할 때 유아의 자신감이 높아지고 또래관계가 향상된다고 생각하였다. 부모참여 활동으로 인하여 교사가 경험하는 어려움은 부모참여 활동 준비에 소요되는 많은 시간과 과중한 업무, 부모들이 참여하지 못하는 유아들이 소외됨으로 인한 염려, 그리고 부모가 참여했을 때 평소와 다르게 행동하는 유아들로 인한 어려움 등이 있었다. This study examines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n the practices of parent involvement in kindergartens. In-depth interviews with 10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ir perceptions on the benefits and difficulties of parent involvement. This study found various forms of parent involvement activities provided for parents who enroll their children in kindergartens. The teachers indicated that parents show a high level of interest in activities provided for parents and children together but the participation rate is very low for parent education workshops. Teachers also mentioned that children, parents, and teachers all benefit from parent involvement but children get the most benefits. The interview data revealed that parent involvement in the classroom helps children build self-confidence and facilitates peer relationships. The teachers pointed out the lack of time and an overwhelming amount of workloads as barriers to parent involvement and family-school partnerships. Teachers also mentioned that they were worried about children whose parents do not participate. Children who act differently in the presence of their parents created another challenge for them. Suggestions for effective parent involvement in early schooling are provided in detail.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교육과정에서의 다문화교육 방향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담론분석

        배지희 ( Ji Hi Bae ),이승숙 ( Seung Suk Lee ),황인주 ( In Joo Hqa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연구 Vol.3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의 유아를 교육한 경험이 있는 현직 유아교사들이 다문화교육과 관련해서 어떠한 교육을 받았고, 예비유아교사교육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다문화교육의 방향에 대해서 어떠한 제안을 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 1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본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은 대학 재학 중에 예비교사로서 다문화에 초점을 둔 교과목을 수강한 경험이 없으며, 현직교사들을 위한 연수 과정에서도 다문화교육과 관련된 연수를 받은 경험이 없는 경우가 많았다. 연수를 받은 일부 교사들의 경우에도 연수의 내용이 미흡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다만, 최근에 교육대학원에 진학한 일부 교사들의 경우 다문화 관련 교과목을 수강하였으며, 대학원에서 배운 내용과 현장과의 연계가 이루어져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유아교사들은 다문화교육에 대한 전문성을 갖춘 예비유아교사를 양성하기 위해서 다문화에 대한 소양을 갖추어주는 교육이 선행되어야 하며, 다문화 관련 정책 및 정부의 지원에 대한 교육, 다문화교육 현장의 실제에 대해서 알 수 있는 사례 중심의 교육, 다문화가정을 위한 부모교육 능력을 길러주는 교육, 그리고 다문화가정 유아 및 부모와의 의사소통 방법에 대한 이해를 돕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s of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 education for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ir suggestions for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that would strengthen pre-service teachers` competency in multicultural education. In-depth interviews conducted with 10 early childhood teachers reveal that most of the teachers never took a course on multicultural education during their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and only a few teachers had opportunities to learn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as part of their in-service training. The teachers felt that the content of the in-service training on multicultural education did not reflect their educational needs. The teachers made the following suggestions to improve pre-service training for multicultural education. First,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should be able to cultivate pre-service teachers` grounding in multicultural education. Second,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should strengthen pre-service teachers` knowledge of policy issues and governmental services provided for multicultural families. Third, the teachers also suggested that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should help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parent education for multicultural families and develop teacher competency in effectively communicating with parents and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안전교육 실제와 교사의 어려움 및 요구

        배지희 ( Ji Hi Bae ),권경숙 ( Kyung Sook Kwon ),이사임 ( Sa Im Yi ),이미선 ( Mi Seon Yi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연구 Vol.3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들이 안전교육을 어떻게 실천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교사들이 어떠한 어려움을 경험하고, 효율적인 안전교육을 위해서 어떠한 요구를 지니고 있는지에 대해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유치원 교사 1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들은 학기 초에 연간계획을 수립할 때 안전교육에 대한 계획을 세우고 생활주제와 연계하여 안전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일상생활 속에서 수시로 안전교육을 시행하고 있으며, 훈련을 통한 교육, 대집단 활동으로 이루어지는 교육, 가정과 연계한 교육, 그리고 지역사회 전문가와의 협력을 통한 교육을 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들은 유아들에게 안전교육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안전교육 시간을 준수하고 문서로 기록하는 작업은 교사들의 어려움을 가중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안전체험관 이용을 희망하지만 예약이 어렵거나 이동 거리가 멀어서 이용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았다. 셋째, 교사들은 효율적인 안전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 안전교육을 위한 다양한 교재·교구 개발, 유치원 특성을 반영한 안전교육 시간 운영 및 평가 방법의 개선, 안전체험관의 확충, 그리고 안전교육 내용의 수준별 지침 제공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s practic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oward safety education in kindergarten as well as their difficulties and needs. In-depth interviews conducted with 10 early childhood teachers reveal that they implement safety education based on yearly educational plans that are incorporated with learning themes. Teachers mentioned that they educate children about safety in everyday activities. They also provide training sessions to help children acquire safety skills, and collaborate with parents and specialists in the community to enrich their safety education program. Difficulties were experienced by teachers when children did not seem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safety education. They made efforts to comply with the regulations for safety education, but felt that keeping track of the time for safety education and preparing documents for evaluation aggravated their difficulties. They also reported that lack of safety experience centers in the community acted as a barrier to effective safet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e teachers felt that more programs and hands-on materials for safety education need to be developed. Further, the regulation and evaluation system for safety education in kindergarten needs to be revised. They also expressed the need for easy access to safety experience centers in the community to strengthen children’s competency in safety.

      • KCI등재후보

        유아기 자녀의 교육 및 훈육에 대한 어머니들의 담론 분석

        배지희(Bae Ji Hi),박은영(Park Eun Young),박세진(Park Se Jin),김은혜(Kim Eun Hae)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2012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6 No.1

        본 연구에서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이 자녀의 교육과 훈육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점이 무엇인지, 그리고 자녀의 교육과 훈육을 하면서 경험하는 어려움과 요구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어머니들의 담론을 통해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경기에 소재한 유치원 또는 어린이집에 자녀를 보내는 어머니 1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머니들이 유아기 자녀의 훈육과 교육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점은 인성과 예절교육이었으나, 실제로는 한글이나 영어와 같은 학습적인 면에서의 교육도 시행하고 있었다. 또한 자녀가 외향적이고 리더십이 있는 사람으로 자라나도록 훈육하고 있었고, 본인이 받은 양육 경험과 상반된 교육과 훈육을 제공하려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들은 자녀에게 적합한 훈육방법을 정확히 알기가 힘들고, 교육이나 훈육관의 차이로 인해 가족 간에 갈등이 야기될 때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또한, 어머니의 스트레스나 불안정한 정서상태가 자녀에게 전달된다고 느낄 때 교육과 훈육의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어머니들은 자녀의 교육과 훈육에 실제로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도움을 지속적으로 받기 원하고 있으며, 가족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지원 체제를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find out perceptions of mothers on young children's education and discipline and various difficulties experienced by mothers as they raise young children. In-depth interviews regarding these issues were conducted with 10 mothers with children enrolled in kindergarten or child care centers.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mothers perceive forming good character and learning appropriate etiquette as the priority of their child discipline. The mothers, however, also mentioned that academics including reading, writing, and learning foreign languages cannot be ignored in practice. The mothers also disciplined their children to learn social skills so that they could become leaders when they grow up. In addition, the mothers who were not satisfied with how they were grown up tended to educate their children differently from how the mothers themselves had been educated. The interviews revealed that the mothers encountered various difficulties as they educate and guide their children's behaviors. Lack of proper information for child rearing, conflicting ideas of child rearing between the mother and other members of the family such as parent-in-laws, lack of support from husband, and maternal stress that inevitably is being imposed on their children are major difficulties experienced by mothers of young children. These mothers expected parent education that focuses on individual needs instead of addressing general ideas for child rearing. They also expressed their needs for family involvement programs targeting the whole family members instead of just mothers.

      • KCI등재

        또래관계 유형에 따라 나타나는 유아들의 요구전략과 반응양상에 대한 문화 기술적 연구

        배지희(Bae Ji-Hi),황인애(Hwang In-A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2 No.3

        본 연구에서는 유아들의 다양한 또래관계 유형에서 나타나는 요구전략 및 반응양상에 대해서 심층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어린이집의 만 5세 유아 25명과 교사 2명을 대상으로 자유선택활동시간 동안 참여관찰하고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관찰을 통해 또래관계는 또래 수용 정도에 따라 인기아를 중심으로 하는 일 대 다수의 관계와 거부당하는 유아가 포함된 고립된 관계로 분류하였고, 또래 상호성에 따라 상호적 친구관계와 일방적 또래관계로 범주화하였다. 연구결과 또래관계의 특성에 따라 유아들이 사용하는 요구전략과 반응양상에 차이가 있었으며, 또래수용 요인 및 거부 요인에 따라서도 요구와 반응이 다르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understand children's use of requestive strategies and response types in various peer relationships. This study employed an ethnographic approach utilizing participant observations and in-depth interview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5 five-year olds and 2 teachers at a childcare center located in Seoul. A total of 30 participant observations during choice activity times and 6 interviews with the teachers were carried out between October 28, 2005 and January 31, 2006. The types of children's peer relationships were categorized based on peer acceptance and reciprocity of friendships. Four types of peer relationships found in this study were a) a popular child and the rest of the children, b) withdrawn children and the rest of the children, c) reciprocal friendship, and d) unilateral friendship. The characteristics and contents of children's requests and responses varied based on peer relationship types. This study also found that requestive strategies and response types are influenced by the factors of peer acceptance or rejection. Detailed descriptions on children's use of requestive strategies and responses in various peer relationship types are provided.

      • KCI등재

        자녀의 문제행동 관련 부모면담에 참여한 부모들의 경험과 요구

        배지희 ( Ji Hi Bae ),이유희 ( Yu Hee Lee ),임미선 ( Mi Seun Lim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연구 Vol.35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자녀의 어떤 행동을 부모가 문제행동이라고 여기고 있으며 자녀의 문제행동과 관련된 부모-교사 면담에 참여하면서 어떠한 경험을 하였고, 효율적인 문제행동 관련부모면담을 위한 요구는 무엇인지에 대해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유아교육기관에 자녀를 보내는 어머니 11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머니들은 형제·자매와의 관계에서 자녀가 공격적 행동을 보일 때, 부모가 통제하기 어려운 심한 고집을 부릴 때, 대인관계에서 어려움을 겪거나 감정 조절을 하지 못하고 극단적인 방법으로 감정을 표출할 때, 그리고 남에게 피해를 주지는 않지만 자신에게 피해가 되는 부적절한 행동을 보일 때 이를 문제행동이라고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들이 보이는 문제행동은 유아교육기관에서는 잘 나타나지 않고 가정이라는 맥락에 국한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많아서 문제행동 지도 과정에서 유아교사의 도움을 받기가 어려운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어머니들은 자녀를 키워본 경험이 있는 교사와의 상담을 선호하였고, 자녀의 문제행동에 대해서 교사가 먼저 알려주는 경우에 이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있었다. 반면, 자녀의 문제행동에 대해서 교사가 잘 알지 못한다고 느끼는 경우에는 교사와 상담을 이어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자녀의 문제행동을 지도하는 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는 어머니들은 전문가의 구체적인 조언과 도움을 요구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parents’ perceptions of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and their experiences of parent-teacher conferences regarding these problems. In-depth interviews conducted with 11 parents of young children revealed that the mothers experienced difficulties when their children showed aggressive behaviors toward their siblings, expressed extreme stubbornness, had difficulties in peer interactions, or picked up bad habits. The mothers found that their children’s behaviors in kindergarten were quite different from their behaviors at home, making it difficult for them to discuss their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with their kindergarten teachers. In terms of parent-teacher conferences regarding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the mothers preferred to consult with teachers who raised their own children and who informed the parents promptly about their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so that they could take actions in a timely manner. In contrast, the mothers distrusted teachers when they felt that the teachers were not aware of the children’s misbehavior or did not take it seriously.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mothers experienced difficulties in guiding their children’s behaviors and that they require practical advice from early childhood professional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유아의 문제행동과 관련된 부모면담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과 경험

        배지희 ( Ji Hi Bae ),이윤영 ( Yoon Young Lee ),조연경 ( Yeon Kyoung Cho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연구 Vol.33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들은 유아들이 어떤 문제행동을 보일 때 부모와의 면담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지,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부모면담 시 나타나는 부모들의 반응 양상은 어떠한지, 그리고 문제행동 관련 부모면담을 하는 과정에서 교사들이 경험하는 어려움은 무엇인지에 대해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 1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들은 유아들이 가정에서 유아교육기관으로 전이하는 과정에서 부적응 행동을 나타낼 때, 또래관계에서 어려움을 겪는 유아들을 지도하기 위해서 부모의 협력이 필요하다고 느낄 때, 유아의 의사소통 관련 문제가 가정환경과 연관되어 나타나는 경우에, 그리고 유아들이 타인에게 피해를 줄 수 있는 충동적이고 폭력적인 행동을 보일 때 부모와의 면담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둘째, 자녀의 문제행동에 대한 부모면담에서 나타나는 부모의 반응은 자녀의 문제행동에 대해서 인정하고 협력하는 반응, 자녀의 문제행동을 지나치게 예민하게 받아들이는 반응, 문제행동이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거나 거부하는 반응, 그리고 무관심한 반응으로 구분되었다. 셋째, 유아교사들은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부모면담 과정에서 부모와의 신경전을 경험하는 경우, 문제행동에 대해서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면담 기술과 지식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경우, 그리고 어머니 뿐 아니라 아버지와 조부모 등 다양한 면담 대상자와 면담을 진행할 때 어려움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s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the need for parent-teacher conferences regarding children`s behavior problems, response types of the parents, and difficulties experienced during such conferences. In-depth interviews conducted with 10 early childhood teachers reveal that teachers think parent-teacher conferences are necessary when children demonstrate adjustment problems, peer relationship difficulties, communication problems, or aggressive behaviors toward peers. Teachers find that some parents accept their child`s problem and collaborate with teachers to find appropriate ways to guide the child`s behavior but others do not acknowledge a problem or ignore it. Teachers agreed that parent collaboration is important in guiding children`s behavior problems so they are discouraged when parents view collaboration as a sort of psychological warfare demeaning to themselves and/or their child. Teachers also feel that they lack knowledge and skills in leading conferences on such sensitive issues. Differing parenting styles occasionally presented difficulties for the teachers and they suggested that they would benefit from knowledge of a variety of individual parenting characteristics so that they could plan or respond to conferences accordingly.

      • KCI등재

        유치원 초임교사의 부모참여 경험 분석

        배지희 ( Ji Hi Bae ),방혜경 ( Hye Kyung Bang ),권미혜 ( Mi Hye Kwon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2 아동교육 Vol.2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초임교사들이 부모참여와 관련하여 어떠한 어려움을 경험하는지, 그리고 부모참여 활동과 관련된 교사 역할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초임교사들이 제안하는 예비교사교육의 내용과 방법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초임교사 10명을 대상으로 개별면접을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초임교사들은 부모참여 활동에 보조적인 역할로만 참여하는 경우에 실망감을 경험하고 있었고, 부모참여 활동에서 나타날 수 있는 예상하지 못한 유아들의 반응과 부모들의 평가에 대한 염려, 그리고 부모참여 활동 진행과정에서의 미숙함으로 인한 긴장감을 경험하고 있었다. 또한 부모와의 상호작용에서 나타날 수 있는 여러 변수들, 주변의 지나친 도움과 직접적인 개입으로 인한 불편함, 학부모와의 효율적인 의사소통 및 관계 형성의 어려움, 그리고 부모참여 준비를 위한 시간 부족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참여 활동에서 초임교사가 효율적으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 참여한 초임교사들은 부모참여의 실제 사례에 대해서 배울 수 있는 부모교육 과목, 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문서작성 방법에 대해서 배울 수 있는 교과목, 그리고 부모와의 상담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교육이 예비교사교육과정에서 제공되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difficulties experienced by novice kindergarten teachers in relation to parent involvement activities and their perceptions o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regarding parent involvement. In-depth interviews with 10 novice kindergarten teachers were implemented to address these issues. The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novice kindergarten teachers experienced disappointment when they had to take part only as assistants in parent involvement activities instead of taking active roles. They also expressed concerns about unexpected responses of children and evaluations of parents about their unskilled implementation of parent involvement activities. The novice teachers mentioned that experienced teachers` advice and help while they prepared for parent involvement activities were greatly appreciated, but they did not want experienced teachers` direct intervention in the middle of parent involvement activities. Lack of time and finding ways for effective communication with parents were also counted as difficulties. The novice teachers suggested that parent involvement courses offered in th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should focus more on actual practices of parent involvement in kindergarten instead of overemphasizing theories. They also expressed the need for courses that strengthen pre-service teachers` ability for leading effective parent-teacher conferences which is an important part of parent involvement practices in kindergart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