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비자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소비인식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권순남(Kwon Soon Nam),한상길(Han Sang Kil)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2015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유아의 소비기본개념에 대한 이해와 소비행동 인식 증대 및 그들의 친사회적 행동능력 향상을 위한 소비자교육프로그램 구안 및 적용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30명(실험집단 15명, 비교집단 1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소비자교육프로그램 적용 후 유아의 소비인식과 친사회적 행동 향상 유무에 대한 각 집단의 사전 · 사후 검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공변량분석(ANCOVA)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소비자교육프로그램은 유아의 소비기본개념 증진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소비기본개념의 하위 영역별 결과는 희소성 · 선택 · 기회비용과 소비 개념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난 반면, 화폐 개념은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유아의 바람직한 소비행동 증진에는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합리적 구매행동 영역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검증되었다. 셋째,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의 하위 영역인 돕기, 배려하기, 협동하기, 위로하기 등 모두 영역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apply an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s customer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understanding a basic consumption concept of children and an increase in recognition of consumption behavior on their pro-social behavior abilities and verify the effects. 30 children at 5 year-old enrolling in 2 classrooms at N kindergarten located in the southern part of Gyeonggi-do were selected, 15 participants (9 males and 6 females) were randomly assigned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15 were assigned as a comparative group, and the results of pre-test and post-test on the increase in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for an experimental and a comparative groups were analyzed after applying the educational programs. The results are seen below. First, the educational program for consumer had a positive effect in increasing the basic consumption concept of children by and large. In addition, considering the results of each sub-domain of the educational program for consumer, positive effects were observed in scarcity, choice, opportunity cost and consumption concept. Monetary concept failed to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Second, the educational program for consumer had a positive effect in increasing desirable consumption behavior by and larg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were verified only in the field of rational purchase behavior. Third, the educational program for consumer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ub-domain of pro-social behavior of children such as help, care, and cooperation. Therefore, it was known that the educational program for consumer had a positive effect on pro-social behavior of children by and large.

      • KCI등재

        한국의 표준교육과정과 일본 보육소보육지침의 비교

        박진옥(Park Jin-Ok),최순자(Choi Soon-Ja),윤매자(Yun Mae-Ja)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2007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1 No.4

        본 연구에서는 일본 국가 수준 보육과정에 해당되는 ‘보육소보육지침’을 한국 표준보육과정과 비교하였다. 비교의 준거는 보육과정의 법적 근거, 보육과정의 목적 및 목표, 영역, 내용, 운영 및 평가지침을 중심으로 하였다. 그 결과 몇 가지 제언을 한다. 첫째, 보육과정 연령 구분에서 영아를 위한 연령 세분화와 내용통합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유치원교육과정과의 상호 연계, 초등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보육과정의 보급과 운영 실천면에서 교사용 지침서의 조속한 개발 및 보급과 한국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교사연수가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한다. 넷째, 특수보육에 대한 내용이 더 많이 구체적으로 포함되어야 한다. 다섯째, 일본 보육소보육지침에 반편견적인 내용이 포함되어야 한다. In this treatise this author made comparison between "Policy on Childcare for Day Care Centers in Japan" which corresponds to national level childcare program in Japan with standard childcare curricumlum in Korea. Grounds for such comparison were legal basis of such childcare curriculum, its goals and objectives, field, contents, operation and evaluation policy. As a result of such comparison this author made a number of proposals. First, in the area of classification of age for this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have subdividing classification of ages and integration of contents. Second, in terms of distribution, operation and application of childcare curriculum earliest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instructional manuals for teachers and training of teachers on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are required. Fourth, more contents on special education should be incorporated specifically. And finally seventh, it is desired to incorporate anti-prejudicial contents in childcare policy for day care centers in Japan.

      • KCI등재후보

        유아교육기관 실습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역할인식과 역할수행에 관한 연구

        정주선(Jung, Ju Sun),박은영(Park, Eun Young)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2009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실습 전과 후 예비유아교사의 역할인식과 역할수행의 차이를 알아보고, 예비 유아교사의 역할인식과 역할수행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 4년제 8개 대학에서 유아교육을 전공하고, 유아교육기관 실습을 경험한 예비유아교사 267명을 대상으로 역할인식과 역할수행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역할인식은 유아교육기관 실습 전과 후 전체 점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하위영역인 건강안전과 상호작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역할수행은 유아교육기관 실습 전과 후 전체 점수와 하위영역인 교육과정, 교육환경, 건강안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역할인식과 역할수행은 전반적으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The present study is to find difference in role perceptions and role performances of student teachers before and after practice of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practicum,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 perceptions and role performances.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about role perceptions and role performances was carried out with the subject of 267 student teachers who major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experienced practice of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practicum at 8 universities with a 3 or 4 years school system.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role perception of student teachers didn'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scores before and after practice of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practicum, bu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health safeti and igniraction which are subordigate ramains. Secnir, the role performances of student teacher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scores as well as curricula, an ean ean ean envirohoent and health safeti, which are subordigate ramains, before and after practice of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practicum. Third, it was found that there is generally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role perceptions and role performances of student teachers.

      • KCI등재후보

        교사가 지각한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변화 지향적지도성과 교사의 직무성과 간의 관계 연구

        김선희(Kim, Seon hee),신재흡(Shin, Jae heub)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2010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교사가 지각한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변화 지향적 지도성과 교사의 직무성과 간의 관계를 조사·분석하여 유아교육기관의 원활한 운영에 도움이 되는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본 연구를 실행하기 위해 서울지역 일부 유아교육기관에 재직 중인 교사 272명을 연구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가 지각한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변화 지향적 지도성은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학력이 높을수록, 연령이 높을수록, 유아교육기관의 규모가 작을수록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비전 설정 및 목표 수용의 하위요인에 대해 큰 인식 수준을 보였다. 둘째, 교사의 직무성과는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학력이 높을수록, 연령이 높을수록, 경력이 높을수록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전문성 신장의 하위요인에 대해 큰 인식 수준을 나타냈다. 셋째, 교사가 지각한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변화 지향적 지도성과 교사의 직무성과 간에는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따라서 유아교육기관의 원장은 교사들과의 양방향 의사소통 및 직접적인 접촉을 이루어 보다 창의적인 관점에서 교사들을 고무시켜 진취적인 의식을 느낄 수 있도록 효율적인 지도성을 발휘할 때 교사의 직무성과가 높아지므로, 교사가 유아교육기관의 업무를 자신의 일처럼 여기고 사려 깊은 사고력, 지적 능력의 활용, 새로운 아이디어를 획득할 수 있도록 유아교육기관 원장은 효과적인 리더십을 발휘하여 교사 스스로 새로운 방식의 업무처리, 다양한 시각의 유연한 사고를 가지고 유아교육기관의 가치관과 일치되도록 노력할 때, 교사의 직무성과도 크게 향상 되며 유아교육기관의 성과와 질을 높일 수 있다. To accomplish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research was conducted for 272 teachers working in the early-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located in Seoul. As a result, the following findings were obtained: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he director of early-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perceived by teachers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factor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achers' job performance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factors.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he director of early-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perceived by teachers and their job performance. Accordingly, the director of the early-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is required to exercise leadership which enables teachers to feel the enterprising consciousness by achieving two-way communication and personal contact with them and inspiring them from a more creative perspective.

      • KCI등재후보

        환경 친화적인 경제교육이 유아의 환경의식과 경제개념에 미치는 효과

        김주영(Ju Young Kim),오연주(Yeon Joo Oh)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2007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1 No.3

        본 연구는 만 4, 5세 유아들을 대상으로 환경 친화적인 경제교육이 유아의 환경의식과 경제개념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으로는 서울시 소재의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4, 5세 유아 100명을 선정하였다. 대상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누었다. 만 4, 5세 유아 25명(남 13명, 여12명)으로 구성된 실험집단에게는 5주간 15회의 환경 친화적 경제교육을 실시하였고, 나머지 유아 25명 (남13명, 여12명)으로 구성된 비교집단에게는 일반 교육과정을 실시하였다. 검사 도구를 이용한 분석결과 환경 친화적 경제교육활동은 유아의 경제개념에서는 희소성, 화폐가치, 가격과 교환의 이해를 향상시켰으며, 환경의식에서는 자연 친화적 태도, 환경보전 태도에 모두에 긍정적 효과가 있었다. 경제교육활동의 성별에 따른 효과 차이는 경제개념에서는 없었으나, 환경의식에서는 여아가 남아보다 자연 친화적 태도가 높게 나타났다. 경제교육활동의 연령에 따른 효과 차이는 경제개념에서는 만 5세 유아가 선택개념, 희소성 개념, 화폐가치 개념에서, 환경의식에서는 환경보전태도가 높게나타났다. 따라서 유아교육현장에서 환경교육과 경제교육을 서로 독립적으로 실시하는 것보다 복합적 교육인 환경 친화적인 경제생활을 실시함으로써 유아들에게 환경과 경제의 상호관계를 바르게 인식시키고, 환경적으로 건전하며 친환경적인 심성과 개발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ffect of environment-friendly economics education on young children"s environmental awareness and economic concepts. The research topics are as follows: 1. Does environment-friendly economics education affect on young children"s basic economic concepts? 2. Does environment-friendly economics education affect on young children"s environment awareness? This study was conducted amongst 100 children of 4 and 5 years old in H nursery and S nursery, both of which shar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 experiment group of 25 children (boy 13, girl 12) and control group of 25 children (boy 13, girl 12).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15 times for 5 weeks only for experimental group. The test tool for basic economic concepts adopted for this study is based upon interview questionnaires by Hyung-Won Han (1988) an Soo-Mi Jung (1990) and revised by Mi-Hyun Kim (1997). To test environment-friendly attitude CATES-PV (The Children"s Attitudes Toward the Environment Scale - Preschool Version) by Musser and Diamond (1990) and modified by Yoon-Jung Hur"s (2001) has been used. To verify the research topics, t-test was conducted and covariance analysis was partially given as well.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identifying the effect of environment-friendly economics education activity on young children"s basic economic concepts shows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arity, currency value, price and exchange,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oice and opportunity cost. Second, the result of identifying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young children"s gender in the effect of environment-friendly economics education activity on basic econo mic concepts shows that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Third, the result of identifying the effect of environmental economics education activity on young children"s age shows that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in the sub-elements of economic concepts of choice concept, rarity concept, and currency value concept. Fourth, the result of identifying environment-friendly economic education activity on young children"s environment awareness shows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nature-friendly attitudes and environment preservation attitudes. Fifth, the result of identifying environment-friendly economics education on young children"s environment awareness according to gender shows that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in nature-friendly attitude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nvironment preservation. Sixth, the result of identifying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young children"s age in the effect of environment-friendly education on young children"s environment awareness reveals that five-year-olds show bigger significant difference than four-year-olds, bu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nvironment awareness changes after the education in terms of age. The sub-element of environment preservation shows a significant difference, but that of nature preservation attitude shows no significant difference.

      • KCI등재후보

        보육시설의 박물관연계 지역문화교육프로그램 운영 실태와 요구도 조사

        김선경(Kim, Sun-Kyung),서혜전(Suh, Hye-Jeon)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2009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시설에서의 박물관 연계 지역문화교육의 운영 실태와 요구도를 분석하고, 교사의 주요 변인인 학력과 경력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대구경북지역에 위치한 어린이집의 만3세에서 만5세 담당 교사 309명이었다. 본 연구결과 첫째, ‘지역문화에 의한 교육’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는 반면 ‘지역문화에 대한 교육’은 덜 실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행하는 보육 주제와의 연관성보다는 소풍, 기관단체 견학 등 연간 행사의 일환으로서 박물관을 방문하는 경우가 많았다. 셋째, 박물관 방문 전에 박물관의 위치나 관람시 주의점에 대해 안내하는 정도의 단순한 형태의 사전활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육교사들은 박물관 관람 후에 본 것에 대한 이야기 나누기 활동을 가장 많이 하였으며, 보육 주제와 연관성을 가지고 다양한 주제탐색 및 표현 활동은 거의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보육교사들은 박물관이 유아에게 체험학습장으로 유익하기는 하지만, 유아발달 수준에 적합한 곳은 아니라고 인식하고 있었고, 유아 대상으로 박물관의 교육적 활용의 효과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기 보다는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보육교사들이 훨씬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교사의 학력과 경력에 따라 실시여부, 방문동기, 관람지도, 사후활동 등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resent study identified the management of museum-based community cultural programs and the implementation of educational activities in child care centers.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of teachers’ backgrounds to their management of museum-based community cultural programs. Subjects were 309 early childhood teacher who responded to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The teachers did not recognize a museum as a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lace for young children. Also they had a negative response to effect of museum-based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 KCI등재

        예비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유아교사 전문성 탐색

        차정주(Cha Jung ju),강호수(Kang Ho Soo)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2015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예비 유아교사들의 유아교사 전문성에 대한 인식을 탐색하여, 예비교사들의 전문성 향상 방안을 모색하고 질 높은 예비 유아교사를 확보할 수 있는 대안을 살펴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유아교육과 재학생 3학년 12명과 4학년 12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참여자들을 학년별로 6명씩 나누어, 총 4개 집단을 대상으로 집단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예비 유아교사들은 유아교사 전문성을 훌륭한 유아교사가 되기 위한 요소, 유아교사의 역할을 잘 수행하는 능력, 혹은 유아교사만의 고유한 직업적 능력 등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유아교사의 전문성을 구성하는 요인으로는 유아에 대한 존중과 지식, 누리과정을 포함한 유아교육과정에 대한 지식과 실행능력, 다양한 교과에 대한 기초지식이 3학년과 4학년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유아교사의 전문성의 구성요인으로서 학부모와의 협력은 4학년에서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하여, 몇 가지 시사점에 대하여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the professionalism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our groups consisting of six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ach. Findings indicated that the participant pre-service teachers perceived the professionalism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s a component for becoming good early childhood teachers, fulfillment of their duties, or unique and specialized occupational abilities needed only by early childhood teachers. In addition, the components of the professionalism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first, respect for children and knowledge of children's development; second, knowledge about and practical performance of various curricula for early childhood, including the Nuri curriculum; third, fundament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various subjects; fourth, cooperation with parents of children. The last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cooperation with parents of children, appeared only among the seni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Based on these findings, sever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의 부모교육 유형 및 선호도

        이석순(Lee Seok Soon)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2006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0 No.3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부모교육 유형을 파악하고 교사와 부모가 선호하는 부모교육 유형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기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부모교육 유형은 4곳의 대학부속 유치원과 한국 어린이육영회의 유형을 참조하였으며, 실제 조사는 경기도에 위치한 13곳의 유치원과 12곳의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선호도 조사는 교사 22명과 부모 190명의 설문지를 토대로 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육기관이 실시하고 있는 부모교육 유형은 5개로 범주화하였고, 19개의 구체적인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교사가 선호하는 부모교육 유형은 부모면담, 참여수업, 오리엔테이션, 가정통신문 순서였으며, 각종 부모회의, 자원봉사활동, 워크숍, 강연회를 덜 선호하였다. 부모는 부모참여수업, 각종 행사참여, 부모면담의 순서로 선호하였고, 각종 부모회의, 워크숍, 전문적 부모교육을 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부모들은 유아들의 수업 장면이나 유아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 수 있는 방법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tended to find out preference and types of parent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center. Types of parent education based on a survey of 13 kindergartens and 12 day care centers in Kyunggi-Do. Preference of parent education based on a survey of 22 teachers and 190 parents of enrolled in 10 early childhood center in Kyunggi-Do. The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percentage. The chief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types of parent education at early childhood center were practiced are 5 categories and 19 items. 2) Parents were Preferred to parent participation for lessons and events, personal interview of parent education. 3) Teachers were Preferred to personal interview, orientation, printed materials for information of parent education.

      • KCI등재

        다문화가정 유아의 자아개념과 또래관계 간의 상관성 연구

        김현정(Kim, Hyun-Kyoung),이상은(Lee, Sang-Eun),조윤아(Jo, You-Na)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2009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유아의 자아개념과 또래관계 간의 관계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서울과 경기 지역에 분포한 다문화가정 유아들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다문화가정 유아들의 자아개념은 유아의 성별과 다문화가정의 월평균 소득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문화가정 유아의 또래관계는 성별, 출생순위, 부학력, 모학력, 모취업, 월평균소득 등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문화가정 유아의 자아개념과 또래관계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가정 유아의 성장과 발달에 미치는 유아 개인과 가정환경의 영향력을 보여주는 결과이며 특별히 다문화가정 유아의 자아개념이 또래관계와 밀접한 상관성을 보인 본 연구의 결과는 다문화가정 유아 자신에 대한 지각과 인식이 또래관계에 투사되어 사회적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 보여주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사회의 급격한 다문화현상에 따라 다문화가정 유아들의 성장과 발달이 중요한 교육적과제인 현 시점에서 그들의 건강한 자아개념 형성과 사회관계능력 신장을 위한 교육적 배려가 뒤따라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elf-concept and peer relationships of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In research on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living in Seoul and Kyong-gi,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elf-concept of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varied from children's gender and an average monthly income of multicultural family. Second, peer relationships of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varied from such as children's gender, birth order, father's education level, mother's education level, mother's employment, an average monthly income, and mother's proficiency in Korean.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self-concept and peer relationships of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These results show the influence of family background o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Especially, close correlations between self-concept and peer relationships of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indicate that awareness and perception on themselves are reflected in peer relationships, and consequently, influence on social relationship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re should be educational consideration for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so that they can build their healthy self-concept and improve social skills in that one of the current important educational goals is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according to the rapid multicultural phenomenon in our society.

      • KCI등재후보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유아의 창의성과 교육기관 적응의 관계 연구

        박정희(Park Jung Hee),박성희(Park Sung Hee)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2011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유아의 창의성과 교육기관 적응의 관계를 알아보는 데 있었다. 연구의 대상은 4, 5세 유아 151명이었고, 창의성 검사와 유치원 적응평가 수정본을 사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T-검증, 상관분석, 표준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아의 창의성은 교육기관 적응 전체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유창성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교육기관에서의 생활 적응에, 정교성은 유아의 자아강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를 대상으로 한 창의성 교육이 유아의 교육기관 적응을 돕는 데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유아의 인성발달 측면에서 볼 때에도 창의성 교육이 필요함을 제안하는 것이다. 다만, 독창성의 경우에는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교육기관에서의 생활 적응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한 교육내용이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에 배치될 필요가 있음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ren's creativity and the adjustment at the educational institution so that develop creativity-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151 early children who are four and five years old participated. Data were collected with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of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TTCT) and modified Preschool Adjustment Questionaire(PAQ). T-test, Simple Correlation Analysis, and ANOVA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scores of creativity correlated positively with those of adjustment at the educational institution. Especially, the overall scores of creativ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go-strength, pro-social behaviors and peer-competency. Second, the overall scores of creativity influenced positively on those of adjustment at the educational institution. Fluency influenced positively on pro-social behaviors and life adjustment at the educational institution. Elaboration influenced positively on ego-strength. But originality influenced negatively on pro-social behaviors and life adjustment at the educational institution. In conclu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that early children with high creativity can adjust well at the educational institution suggests that we should educate and facilitate creativity to not only early children's intellectual development but also their personality development. The implic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also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