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취학전 아동의 초기 학습능력에 어머니의 교육참여가 미치는 영향: 학습관련 기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영희 ( Young Hee Kim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1 아동교육 Vol.20 No.1

        이 연구는 취학전 아동의 초기 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변인들을 탐색하고자 어머니의 행동특성인 교육참여 및 유아의 학습관련 기술과 초기 학습능력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서울과 경기도 지역 7개 어린이집에 다니는 323명의 만 4-6세 유아를 대상으로 PLBS(Preschool Learning Behavior Scale)와 K-CDI 아동발달검사를 하였는데, 그들의 어머니와 교사에 의하여 검사가 이루어졌다. 어머니의 교육참여가 취학전 아동의 초기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매개과정은 다중회귀분석에 의하여 검증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교육참여 정도는 취학전 아동의 초기 학습능력, 즉, 언어이해, 읽기능력 및 수리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취학전 아동의 초기 학습능력에 대한 어머니 교육참여의 영향은 학습관련 기술에 의하여 완전 매개되었다. 어머니의 교육참여가 취학전 아동의 초기 학습능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나 학습관련 기술의 영향을 통제할 경우 영향력의 유의성이 사라진다는 것이다. 즉, 가정 및 교육현장에서 어머니의 자녀교육에 대한 높은 참여정도는 유아의 학습에 접근하는 기술수준을 증가시키고 이러한 측면이 유아의 언어이해, 읽기능력 및 수리력을 향상시킨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취학전 아동의 학업성취를 개선시키는데 그들의 개인적 특성인 학습관련 기술이 매우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involvement, learning-related skills and academic abilities in preschool children. The sample consists of 323 children from seven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ll variables are measured by the teachers and mothers of surveyed children. The instrument includes the Korean Child Development Inventory(K-CDI) for 4 to 6-year olds and Preschool Learning Behavior Scale(McDermott et al., 2000). Collected data are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 that investigates a mechanism through which maternal involvement affects children`s academic abiliti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frequencies of mothers` involvement at home and child-care center predict scores of preschool children`s verbal, reading and numerical abilities. Second, the effect of maternal involvement on children`s academic abilities is totally mediated by their learning-related skill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learning-related skills during the preschool period in improving early academic achievement.

      • KCI등재

        유아교육 관련 Dewey 연구논문에 대한 동향 분석

        임상도 ( Rim Sang-do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6 아동교육 Vol.25 No.4

        본 연구는 1986년부터 2016년까지 발간된 학회지 및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에서 Dewey와 관련 연구동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학회지 및 학위논문에 게재된 총 76편을 대상으로 유아교육에서 Dewey 관련 연구의 연도별 현황, 연구주제 분류, 연구주제·연대별 현황, 연구방법에 대한 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육에서 Dewey 관련 연구논문은 1995년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연구되기 시작되었고, 연구주제는 활동(교과), 사상가와 비교가 상대적으로 많은 편수를 차지하였다. Dewey의 유아교육론, 사상가와 비교의 주제는 1985년 이후부터 지속적으로 연구되었고, 활동(교과)의 주제는 2000년 이후에 집중되었다. 반면에 Dewey 관련 유아교육철학, 아동중심교육 및 아동존중, 아동철학교육, 종교에 대한 주제는 소편에 그치고 있고 연구방법에서도 문헌연구에 한정되어 있었다. 유아교육에서는 Dewey 관련 연구주제를 유아 철학교육, 종교, 놀이, 공간 등으로 확대하여 유아교육의 목적, 내용, 방법의 토대를 마련해야 한다. 더불어 연구방법의 다양화를 통해서 Dewey의 유아교육 아이디어를 검증하여 유아교육 현장에 적용해야 한다. 유아교육에서 Dewey관련 연구를 지속하여 유아교육철학을 정립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examined trend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ies related to Dewey published in theses and academic journals from 1986 to 2016. To accomplish this, yearly state of the study, categorization of the subject of study, yearly state of the subject of study, and trends of research methods of Dewey-related studies about early childhood education were analyzed in 76 total theses and academic journals. The results found that in studies about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studies related to Dewey began to be significantly researched around the year 1995, and the subjects that were relatively numerous were activities(subject), and comparisons to thinkers. The subjects of Dewey`s theories about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omparisons to thinkers were continuously researched on from 1985, and activities(subject) were focused on after 2000. On the other hand, the subjec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hilosophies related to Dewey, education centered on children and respect for children, teaching philosophy for children, and subjects about religion are small in number and were limited to literature reviews in method. The basics of the purpose, contents, and method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need to be provided by expanding Dewey-related research subjects to childhood philosophy education, religion, recreation, and space. Dewey`s ideas on childhood education have to be verified by varying the methods of research, and be applied in sites of childhood education. Dewey-related research in childhood education need to be continued to establish the philosoph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KCI등재

        아동인권의 이슈에 관한 트랜드 분석

        김기현 한국아동교육학회 2016 아동교육 Vol.25 No.4

        아동인권에 대한 이슈는 사회 환경에서 시대정신으로 표현되는 트렌드로 나타난다. 아동의 인권 이슈에 대해서 트렌드 분석, 이벤트 분석, 저널 분석을 실시하여 아동인권 보호차원의 문제점을 고찰하여 아동의 인권을 존중하는 방향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요인에 의하여 결정된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첫째, 아동이 자신과 관련된 의사결정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목소리를 낼 수 있도록 제반 여건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둘째, 유엔아동권리협약이 국가수준에서 비준되지만, 실제 실행은 각 지방정부 수준에서이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인 점을 감안하여 이에 대한 필요한 지원과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셋째, 아동의 권리실현 및 인권침해와 관련한 고충처리기제가 법적으로 확보되어야 하며 효과적으로 작동해야 한다. 넷째, 아동・청소년분야에 종사하는 관련 전문직에 대한 인권교육이 강화되어야 한다. 우리사회의 교사, 상담가, 의사, 사회복지사, 청소년지도사, 관련 법률가 등 아동・청소년의 권리 실현을 위한 의무이행자로서의 관련 전문직에 대한 인권교육이 매우 필요하며, 특히 아동과 관련한 다양한전문직의 대학교과과정이나 커리큘럼에의 인권교육의 포함을 고려할 수 있다. 다섯째, 특히 취약집단 아동(가족과 분리된 아동, 망명요청아동, 원주민 아동 등)이 차별받지 않도록 매우 강조되었다. 우리사회 역시 다문화가정을 포함하여 북한이탈 가정, 그리고 난민 등 무국적 가정의 아동청소년들에 대한 관심이 더욱 필요하다. 이들에 대한 인권보호와 인권증진을 위한 내용이 법제화될 필요가 있다 Issues in the human rights of children show a trend of being expressed as the spirit of the times in social environments. Trend analysis, event analysis, and journal analysis were conducted for issues in the human rights of children to examine problems in terms of protection of the human rights of children and through the analyses, it could be found out that the direction of respecting the human rights of children is determined by the following several factors. First, various conditions should be formed so that children can actively participate in decision making processes related to them and give their voices. Second, considering the fact that although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is ratified at the national level, it is actually implemented at the level of local governments in most cases, related support and monitoring are required. Third, mechanisms for the realization of children’s rights and treatment of grievance related to the invasion of children’s human rights should be legally secured and should effectively operate. Fourth, education on human rights should be reinforced for related professionals engaged in the area of children and youths. Teachers, counselors, doctors, social workers, youth field specialist, and related jurists in our society are those that should perform obligations for the realization of the rights of children and youths and education on human rights for them are much necessary. In particular, inclusion of education on human rights for diverse children related professionals in university curriculums may of considered. Fifth, efforts to ensure that children in vulnerable classes (children separated from their families, children that requested asylum, native children, etc.) are not discriminated were emphasized very much. In our society too,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North Korean refugee families, and stateless families such as refugees. Measures to protect and promote their human rights should be legislated

      • KCI등재

        유아인권교육관련 연구동향 분석 - 2000년부터 2016년까지 학회지 논문을 중심으로 -

        장원주 ( Jang Won-ju ),이화도 ( Lee Hwa-do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7 아동교육 Vol.26 No.2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16년까지 17년 동안 발표된 유아인권교육관련 학회지논문을 검토하여 전체적인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미흡한 연구 분야를 파악하여 균형 있는 유아인권교육관련 연구의 기본적인 토대를 마련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연도 및 학회지, 연구 대상, 연구 방법, 연구 주제의 4가지 분석준거로 17년 동안 발표된 총 66편의 학회지를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 및 학회지 별 분석 결과, 유아인권교육 관련연구가 2008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유아교육관련 학회지 뿐 아니라 교육학이나 인문학 분야의 학회지에도 관련연구가 게재되어 있어 다양한 영역에서 인권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연구 대상에 따른 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연구 대상 선정에 있어서 편향된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셋째, 연구방법에 따른 분석 결과, 양적 연구들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넷째, 연구 주제에 따른 분석결과, 유아인권교육의식에 관련된 연구들이 주를 이루고 있었고, 각 주제별 하위영역에 있어서도 전반적으로 편향된 연구경향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유아를 둘러싼 다양한 인적, 물적 환경을 고려하여 균형 있는 유아인권교육 연구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심층적이고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fundamental basis of balanced researches related to children`s human rights education by examining the overall research trend and then understanding the insufficient research areas through the review of journal papers related to children`s human rights education published for 17 years from 2000 to 2016. The results of analyzing total 66 academic journals published for 17 years under the four analysis criteria such as year & journal, research subject, research method, and research topic are like below. First, in the results of analysis in accordance with each year and journal, the research related to children`s human rights education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ing since 2008. On top of journals related to children`s education, the relevant researches were also published in journals of pedagogy and humanities, which means that such interest in human rights education is increasing in diverse areas. Second, in the results of analysis in accordance with research subject, overall, the biased trend was shown when selecting research subjects. Third, in the results of analysis in accordance with research method, the quantitative researches were mainly found. Fourth, in the results of analysis in accordance with research topic, the researches related to the perception of children`s human rights education were mainly shown while each sub-area of each topic showed the biased research trend. Therefore, it would be necessary to put in-depth and multilateral efforts to have balanced researches on children`s human rights education by considering diverse human/physical environments surrounding young children.

      • KCI등재

        전통적 가치의 현대적 재해석을 통한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향 모색

        김숙자 ( Suk Ja Kim ),김현정 ( Hyun Jung Kim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2 아동교육 Vol.21 No.3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적 가치에 대한 재조명을 통해 현대 유아의 인성적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적 가치를 다루고 있는 선행 연구들에 대한 문헌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한국적 가치는 여전히 우리 사회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가치로 나타나 행동의 변화를 추구하는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한국적 가치를 반영함은 프로그램의 성공을 좌우할 수 있는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이 분석되었다. 또한 선행연구 분석 결과 영향력을 미치는 한국적 가치에는 충, 효, 인, 예 등의 유교적 가치가 주로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가치들에 대한 해석 또한 현대에 적용될 수 있는 가치로 재개념화 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현대적으로 해석된 한국적 가치들은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다루어야하는 교육 내용으로 융합되어 실천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충직, 충실, 법질서준수의 의무, 교육의 의무, 근로의 의무, 납세의 의무, 국방의 의무, 봉사 등으로 해석되는 층의 가치는 현대 인성교육에서는 정직, 성실, 신뢰, 정의감, 협동심, 봉사, 애국심등의 항목으로 연결하여 교육할 수 있음이 시사되었다. 다음으로 부모에게 드리는 정성, 자녀에게 바치는 사랑, 자기 직무에 대한 성실, 자기완성의 추구 등으로 해석되어지는 효의 가치는 현대 인성교육에서는 자기이해, 자기존중, 자기조절, 책임감, 자주성 등의 항목으로 연결하여 교육할 수 있음이 시사되었다. 다음으로 남을 사랑하는 마음, 남을 위하는 마음, 사회 윤리적 잣대 및 양심의 기능, 윤리적 기능 및 정치적 기능으로 해석되어지는 인의 가치는 현대 인성교육에서는 용기, 인내, 관용, 우정, 타인존중, 친사회성, 배려, 공동체의식, 질서 및 인류애 등의 항목으로 연결하여 교육할 수 있음이 시사되었다. 마지막으로 개인으로서의 합당한 역할 수행 및 사회 질서 유지에 부합되는 본분에 충실한 역할 수행으로 해석되어지는 예의 가치는 현대 인성교육에서는 겸손, 친절, 친사회적 기술, 지속가능성, 타문화존중, 전통존중 등의 항목으로 연결하여 교육할 수 있음이 시사되었다. The study aims at groping the developmental direction for the character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rough reinterpretation toward korean values. To achieve this purpose, antecedent studies related the korean values and the character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ere analysed. The results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korean values have still had an important impact in our society, and then reflecting reinterpretation toward korean values.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character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s very important and meaningful. And then the facts clearly stand forth that confucian values such as royalty(忠), filial piety(孝), virtuous completion(仁), courtesy(禮) were uppermost in korean values and the interpretation of these values could be changed in keeping with modern needs. Finally korean confucian values such as royalty(忠), filial piety(孝), virtuous completion(仁), property(禮) were could be melded together with the contents of the character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such as conscience, sincerity, responsibility, endeavor attitude, diligence, generous mind, self-reflection, modesty, faith, reciprocity, harmony, human relationship.

      • KCI등재

        한국 아동복지정책의 통합적 분석

        양정하 ( Jung Ha Yang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4 아동교육 Vol.23 No.3

        본 연구는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에 기반을 둔 사회복지정책의 통합적 분석틀을 활용하여 한국 아동복지정책의 내용분석과 가치분석을 시도하고, 그 정책의 과제를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한국 아동복지정책의 통합적 분석에 있어서 내용분석에서는 아동복지의 대상, 아동복지서비스, 아동복지서비스 전달체계 그리고 아동복지 재원조달 등을 중심으로 현황 내지 특징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그 정책분석의 가치분석에서는 이러한 정책내용이 아동의 존엄성을 구체화한 아동권리를 보장하는 가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정책분석에서 도출되는 한국 아동복지정책의 과제로는 보편적 아동복지정책의 추진, 아동복지서비스의 내실화와 다양화, 아동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확립, 아동복지 재원의 충분한 확보 그리고 아동권리의 강화 등을 꼽아 볼 수 있다. 요컨대 향후 아동복지정책의 과제는 아동권리의 보장이라는 아동복지정책의 목표를 분명하게 설정하고, 이러한 목표에 부합되는 정책내용을 마련하는 것이라고 하겠다. 우리나라가 지향·추구하여할 보편적 아동복지정책은 그것에 대한 국민적 합의와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겠다는 정부의 확고한 의지가 결합된다면 실현가능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its tasks through using integrated policy analysis framework of social welfare policy which is based on quantitative study and qualitative one and analysing child welfare policy in Korea.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hav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doesn’t cover the whole child welfare policy in Korea. Second, this study is describing its current situation or feature instead of empirically studying the child welfare policy in Korea. And it is limited to identifying if the policy contents ensure child rights. With contents analysis, the current situation and feature of the allocation, provisions, delivery system and financing of child welfare policy in Korea have been investigated. And value analysis has been used in finding out if the contents of child welfare policy in Korea fully ensured child right. The tasks of child welfare policy in Korea have been suggested as follows ; pursuing universal child welfare policy, fulfilling and diversifying provisons, reconstructing child welfare service delivery system, fully securing finance of child welfare policy and strengthening child rights. Therefore the goal of child welfare policy to secure child right should be established and its contents suitable to this goal be prepared. The universal child welfare policy which our society should aim and pursue can be realized through combining national consensus and adamant governmental will to support the policy institutionally.

      • 유치원, 초등학교 연계교육에 대한 연구

        현자명(Hyun Ja Myung),김현정(Kim Hyeon Jeong) 한국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학회 2014 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육의 연계 필요성, 상호 교육에 대한 이해와 연계교육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유아교육과 초등교육의 개념과, 인간발달, 교육사상적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개념적 측면에서 유아교육과 초등교육은 교육대상이 아동이며, 아동중심의 전인교육을 목표로 한다는 점, 발달적 측면에서는 유치원과 초등학교 저학년 교육대상 아동의 인지적, 언어적, 심리·사회적, 도덕성, 신체적 발달의 동질적 요소를 확인하였다. 사상적 측면에서는 성장 발달의 계속성을 주장하는 교육학자들의 논의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유아교육과 초등학교의 연계는 필요하며 반드시 실천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는 연계교육의 실태와 문제점을 검토함으로써, 유아교육과 초등학교의 연계실천에 반영되어야 할 기본적인 요소로 유치원과 초등학교의 독자적인 특성을 살리면서 계속적인 성장발달이 도모되도록 조화로운 연계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find the necessity of connection between Kindergarten education and elementary education, understanding of mutual-education, problem and solution of connected education. For this reason, this research discuss concept of preschool education and elementary, human development, educational thought side . In conceptual side, this research can find common educational philosophy comparing concept of preschool education with concept of elementary education. That is educational object is children. The educational purpose that is to develop whole-person ingredient of educational, In developmental side, this research confirms separately with cognitive, linguistic, psychological·social, morality, physical development. In idealogical side, pedagogists such as Steiner, Dewey, Frobel, and Montessori claim continuity of growth and development. They also claim that education is not segmented but connected in integratively. As a result connection between preschool and elementary education must be realized. At the conclusion, by examining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actual situation of connection education. And harmonized connection must be linked to promote continuous growth and development while preserv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as a basic ingredient that should be reflected in connected practice.

      • KCI등재

        Neill의 아동교육사상

        전재숙 한국아동교육학회 2004 아동교육 Vol.13 No.1

        Summerhill 학교가 이상적인 학교라고 할지라도 우리가 그대로 모방할 수는 없다. 그러나 Neill의 Summerhill 학교의 교육방법을 우리의 현실에 맞게 도입하여 수정하고 보완하여 응용한다면 우리 사회의 병폐를 극복할 수 있는 예방적 차원에서 중요한 교육이론으로 평가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Neill의 교육사상이 우리나라 아동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교육목적, 교육내용, 교육방법, 부모교육의 측면에서 고찰해 보면, 첫째, Neill이 교육목적으로 하고 있는 아동의 행복에 대한 개념은 우리의 아동교육에 시사점을 준다. 둘째, 놀이와 정서교육을 중요시하는 Neill의 교육사상은 두뇌 중심의 교육에 중점을 두고 있는 우리의 아동교육에 시사점을 준다. 셋째, 아동의 창의성 ? 자율성 ? 개성을 존중하는 Neill의 교육방법은 물개성적인 인간을 대량생산하는 우리의 일률적인 교육방법에 시사점을 준다. 넷째, Neill의 교육이론은 부모들의 자녀교육에 시사점을 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understand child education from the educational ideas of Neill. To achieve the purpose above, this paper discusses that investigate Neill's child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al purpose, content, method, and environment. With regards to educational responsibility of parent and the education of emotion, morals, and sex, we illuminate the practices of child education. also, implications suggested by Neill to child education in Korea are discussed.

      • KCI등재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학습관여행동이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및 낙관성과 또래지지의 조절효과

        안지영 ( Jee Young Ahn ),오미경 ( Mi Kyoung Oh ),김지신 ( Ji Shin Kim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2 아동교육 Vol.21 No.3

        본 연구에서는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학습관여행동이 아동의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 아동의 낙관성과 또래지지가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서울과 지방 도시의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 228명을 대상으로 어머니의 학습관여행동, 아동의 학업스트레스, 낙관성, 또래지지에 대한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평균, 표준편차,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학습관여행동과 아동의 낙관성은 학업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낙관성은 어머니 학습관여행동과 상호작용하여 학업스트레스를 조절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셋째, 또래지지 변인 역시 어머니 학습관여행동이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절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어머니 학습관여행동이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아동의 낙관성과 또래지지 같은 개인 내적자원이 중요한 조절 역할을 함을 시사하고 있다.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 of maternal learning involvement behavior perceived by children to academic stress and investigated if their optimism and peer support show moderating effects. The participants, who were 228 fifth and sixth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other cities, completed questionnaires on maternal learning involvement behavior, academic stress, optimism, and peer support.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average, standard deviation,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maternal learning involvement behavior perceived by children and their optimism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academic stress. Second, children`s optimism moderated academic stress, interacting with maternal learning involvement behavior. Third, the peer support variable, also, showed th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learning involvement behavior and academic stress. These results highlight that children`s individual factors including their optimism and peer support play an important role in moderating effect under influence of academic stress caused by maternal learning involvement behavior.

      • KCI등재

        아동중심 교육과정을 향하여: 발생적 문식론에 내재된 신화 해체하기

        이수원 ( Soo Won Lee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4 아동교육 Vol.23 No.4

        발생적 문식론이 확립되는 초기에는 비형식적 문해 경험을 통해 이동들이 문해 개념을 획득한다 고 가정했다. 그리고 초기 발생적 문식론은 비형식적 문해 환경과 아동의 문해 능력 간의 관계에 관심을 가졌다. 하지만 읽기와 쓰기에 대한 발달심리 연구결과가 축적됨에 따라 발생적 분석론은 문해 요소들을 가르치는 전략에 주력하며 읽기와 쓰기의 기능적인 면을 강조하기 시작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발생적 문식론에 내재된, 아동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신화를 해체하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문해 요소를 가르치거나 읽기와 쓰기의 기능적인 면을 강조하는 문해 활동이 아동의 창의적인 문해 활동을 방해할 수 있음을 비판적으로 분석했다. 문자 중심의 문해 교육을 비판한 Hassett (2006a, 2006b)의 분석방법을 차용·확대하여, 발생적 문식의 특정이 되는 아동관, 교육실제, 가정환경 개념을 비판·분석했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비판적 분석은, 진정한 이동중심 교육과정 실현을 위해 아동에게 터득해야 할 문식 기술을 부과하는 것이 아니라 아동의 삶에 밀접하게 다가서서 아동의 목소리를 들을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zes how emergent literacy obscures the diversity in children``s voices. Since adopting psychological research, emergent literacy scholars have their attention from examining everyday literacy experiences to analyzing the core skills necessary to read and write conventional texts. By expanding Hassett’s (2006a, 200b) critical analysis on print literacy to emergent literacy, I argue that some assumptions governing emergent literacy’s approach to pedagogical strategies, children’s learning and home environment include or exclude a certain types of knowledge, practice and personhood. Emergent literacy precludes the possibilities of a child-centered curriculum by imposing a list of literacy skills for children to master. A child-centered classroom will be possible when young children can participate in class discourses with literacy resources they have at ha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