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현자명(Hyun Ja Myung),김현정(Kim Hyeon Jeong) 한국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학회 2014 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육의 연계 필요성, 상호 교육에 대한 이해와 연계교육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유아교육과 초등교육의 개념과, 인간발달, 교육사상적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개념적 측면에서 유아교육과 초등교육은 교육대상이 아동이며, 아동중심의 전인교육을 목표로 한다는 점, 발달적 측면에서는 유치원과 초등학교 저학년 교육대상 아동의 인지적, 언어적, 심리·사회적, 도덕성, 신체적 발달의 동질적 요소를 확인하였다. 사상적 측면에서는 성장 발달의 계속성을 주장하는 교육학자들의 논의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유아교육과 초등학교의 연계는 필요하며 반드시 실천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는 연계교육의 실태와 문제점을 검토함으로써, 유아교육과 초등학교의 연계실천에 반영되어야 할 기본적인 요소로 유치원과 초등학교의 독자적인 특성을 살리면서 계속적인 성장발달이 도모되도록 조화로운 연계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find the necessity of connection between Kindergarten education and elementary education, understanding of mutual-education, problem and solution of connected education. For this reason, this research discuss concept of preschool education and elementary, human development, educational thought side . In conceptual side, this research can find common educational philosophy comparing concept of preschool education with concept of elementary education. That is educational object is children. The educational purpose that is to develop whole-person ingredient of educational, In developmental side, this research confirms separately with cognitive, linguistic, psychological·social, morality, physical development. In idealogical side, pedagogists such as Steiner, Dewey, Frobel, and Montessori claim continuity of growth and development. They also claim that education is not segmented but connected in integratively. As a result connection between preschool and elementary education must be realized. At the conclusion, by examining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actual situation of connection education. And harmonized connection must be linked to promote continuous growth and development while preserv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as a basic ingredient that should be reflected in connected practice.
김기현 한국아동교육학회 2016 아동교육 Vol.25 No.4
아동인권에 대한 이슈는 사회 환경에서 시대정신으로 표현되는 트렌드로 나타난다. 아동의 인권 이슈에 대해서 트렌드 분석, 이벤트 분석, 저널 분석을 실시하여 아동인권 보호차원의 문제점을 고찰하여 아동의 인권을 존중하는 방향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요인에 의하여 결정된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첫째, 아동이 자신과 관련된 의사결정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목소리를 낼 수 있도록 제반 여건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둘째, 유엔아동권리협약이 국가수준에서 비준되지만, 실제 실행은 각 지방정부 수준에서이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인 점을 감안하여 이에 대한 필요한 지원과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셋째, 아동의 권리실현 및 인권침해와 관련한 고충처리기제가 법적으로 확보되어야 하며 효과적으로 작동해야 한다. 넷째, 아동・청소년분야에 종사하는 관련 전문직에 대한 인권교육이 강화되어야 한다. 우리사회의 교사, 상담가, 의사, 사회복지사, 청소년지도사, 관련 법률가 등 아동・청소년의 권리 실현을 위한 의무이행자로서의 관련 전문직에 대한 인권교육이 매우 필요하며, 특히 아동과 관련한 다양한전문직의 대학교과과정이나 커리큘럼에의 인권교육의 포함을 고려할 수 있다. 다섯째, 특히 취약집단 아동(가족과 분리된 아동, 망명요청아동, 원주민 아동 등)이 차별받지 않도록 매우 강조되었다. 우리사회 역시 다문화가정을 포함하여 북한이탈 가정, 그리고 난민 등 무국적 가정의 아동청소년들에 대한 관심이 더욱 필요하다. 이들에 대한 인권보호와 인권증진을 위한 내용이 법제화될 필요가 있다 Issues in the human rights of children show a trend of being expressed as the spirit of the times in social environments. Trend analysis, event analysis, and journal analysis were conducted for issues in the human rights of children to examine problems in terms of protection of the human rights of children and through the analyses, it could be found out that the direction of respecting the human rights of children is determined by the following several factors. First, various conditions should be formed so that children can actively participate in decision making processes related to them and give their voices. Second, considering the fact that although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is ratified at the national level, it is actually implemented at the level of local governments in most cases, related support and monitoring are required. Third, mechanisms for the realization of children’s rights and treatment of grievance related to the invasion of children’s human rights should be legally secured and should effectively operate. Fourth, education on human rights should be reinforced for related professionals engaged in the area of children and youths. Teachers, counselors, doctors, social workers, youth field specialist, and related jurists in our society are those that should perform obligations for the realization of the rights of children and youths and education on human rights for them are much necessary. In particular, inclusion of education on human rights for diverse children related professionals in university curriculums may of considered. Fifth, efforts to ensure that children in vulnerable classes (children separated from their families, children that requested asylum, native children, etc.) are not discriminated were emphasized very much. In our society too,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North Korean refugee families, and stateless families such as refugees. Measures to protect and promote their human rights should be legislated
다문화가족 아동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한국문화수용태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이강욱,이주연,지명원 한국아동교육학회 2023 아동교육 Vol.3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cculturative stress on Korean cultural acceptance attitudes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and to determine whether social support has a moderating effect in the process, thereby providing a basis for establishing a plan to help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acculturate to become future leaders of Korean society through the improvement of Korean cultural acceptance attitudes. For the study, 1,732 data from 11yearolds were obtained from the Youth Policy Institute's Multicultural Adolescent Panel Survey (MAPS) second year (2020) and analyzed using the SPSS 21.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 we foun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acculturative stress among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they have, the lower the level of Korean cultural acceptance attitude they show. Second, we found that the higher the social support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they perceive, the higher the level of Korean cultural acceptance attitudes they show. Third, we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Korean cultural acceptance attitudes among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and found a moderating effect only for parental support. Based on this study, we suggest that future research should explore additional influencing factors and accumulate longitudinal studies that take into account the unique experiences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at different stages of development.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 아동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한국문화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사회적 지지가 조절효과를 가지는지 확인함으로써 한국문화수용태도의 제고를 통해 다문화가족 아동이 미래 한국사회의 주역으로 성장하도록 문화적응을 돕는 방안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청소년정책연구원의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MAPS) 2기 2차 년도(2020) 자료에서 11세 아동의 1,732개 데이터를 확보하여 SPSS 21.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다문화가족 아동은 문화적응스트레스가 높을수록 한국문화수용태도의 수준이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다문화가족 아동은 사회적 지지에 대해 높게 인식할수록 한국문화수용태도의 수준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다문화가족 아동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한국문화수용태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확인한 결과 부모지지에서만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후속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족 아동의 발달단계별 특성을 고려한 영향력 있는 요인에 대한 추가 탐색과 종단연구의 축적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이일주(Yil Ju Lee),정은주(Eun Ju Jeoung) 한국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학회 2015 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유치원 소방안전교육 진단 준거 마련을 위한 기초 연구를 위해 유아교육학과 교수, 유아교육현장 전문가로 대표되는 유치원 및 어린이집 원장 원감, 교사 등으로 전문가 패널 집단을 구성하여 가장 현실성이 있는 대안을 찾고자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방안전교육은 누가 실시해야 하는가? 에는 1순위에는 담임교사와 소방안전교육사로 나타났다. 둘째, 소방안전교육은 언제 실시해야 하는가? 에는 1순위에는 ‘한 달에 한 번, 주기적으로, 불시에’로 나타났다. 소방안전교육은 어떤 방법으로 실시해야 하는가? 에는 1순위에는 현장학습(실제대피훈련)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방안전교육은 어디에서 실시해야 하는가? 에는 1순위에는 유치원이나 어린이집 생활공간으로 나타났다. 소방안전교육은 왜 실시해야 하는가? 에는 1순위로 ‘현장에서 대응할 수 있게’로 나타났다. 넷째, 소방안전교육은 무슨 내용을 실시해야 하는가? 에는 1순위로 화재예방과 대피요령 및 대처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basic research for the diagnosis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vided conforms kindergarten fire safety education and teach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preschool and child care center director, represented by field experts, vi-director, teachers and most realistic alternative to configure the expert panel group, etc. looking for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ho must be carried for the fire safety education? 1 ranking is a teacher and Fire Safety Educator. Second, when should fire safety education be carried out? The first priority was to periodically by surprise with one month . Does the fire safety education must be carried out in any way? The first priority was to field trips (actual evacuation drills). Third, where the fire safety education must be carried out? The first priority was in the kindergarten or day care center that has living space. Why do you need to conduct safety training room? Number one were to as able to respond in the field. Fourth, what should fire safety education be carried out? The fire prevention and evacuation tips are appeared to respond in 1 ranking.
오은순(Oh, Eunsun),신화정(Shin, Hwajung) 한국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학회 2018 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유아금융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유아교육 현장에 적용하여 유아들의 금융이해력과 금융개념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최근 우리 사회에서 금융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나 대부분의 연구가 초·중·고등학생에 관한 것이며, 유아교육 현장에서는 경제교육의 한 부분으로 포함되어 아껴 쓰기, 나누어 쓰기, 바꾸어 쓰기 등의 기본생활습관으로만 교육되고 있다. 따라서 현대사회의 변화된 금융환경에 대비하는 유아금융교육이 기존의 경제교육 보다 유아들의 금융이해력과 금융개념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기존의 유아교육과정에 금융교육을 운영하기에는 아직까지 쉽지 않고 여전히 유아교육 현장에서의 금융교육에 대한 인식이 미약하며 다른 교육활동들과 통합하여 교육하는데 어려움이 많다. 이에 일상생활의 다양한 금융상황과 문제해결의 과정에서 유아가 스스로 현명한 판단을 할 수 있고 올바른 가치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유아금융교육 프로그램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아동, 부모, 교사의 특성을 중심으로
김충일 한국아동교육학회 2019 아동교육 Vol.2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haracteristics of children, parent, and teacher on the school adjustment first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 For this study, 402 households were used in the 5th, 8th year data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This study conducte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children, parents and teachers characteristics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school adaptation as dependent variab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s gender affected the overall school adjustment and sub-factors of school adjustment: school life, academic performance and peer adaptation. Also, the number of children's friends influenced peer adaptation and teacher adaptation. Second, the mother`s educational level affected the children`s school life. The mother`s control rearing attitudes affected the children`s peer adaptation and overall school adjustment. And, the father`s control rearing attitudes positively affected the children`s teacher adaptation. Third, the teachers' age positively effected on overall school adaptation, except for children`s academic performance. In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children`s gender, the number of children`s friends, the mother`s control rearing attitudes, the father`s control rearing attitudes, and teacher's age are important factors for children's school adjustment.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특성, 부모의 특성, 교사의 특성이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적응에 어 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5, 8차년 종단 자료 중 402개 가구를 사용하였다. 또한 본 연구 에서는 아동의 특성, 부모의 특성, 교사의 특성을 독립변인으로, 학교적응을 종속변인으로 투입하고 다 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성별은 전반적인 아동의 학교 적응과 학교적응의 하위 요인인 학교생활, 학업수행, 또래적응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동 의 친구 수는 또래적응과 교사적응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모의 학력은 아동의 학교생활에, 모의 통제 적 양육행동은 또래적응과 전반적인 학교적응에 그리고 부의 통제적 양육행동은 교사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연령은 학업수행을 제외하고, 학교적응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아동의 성별, 친구의 수, 모의 통제적 양육행 동, 부의 통제적 양육행동, 교사의 연령이 아동의 학교적응에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밝혔다.
코로나19 상황에서 유아교육과 학생의 교육만족도 분석 연구
연혜민(Yeon, Hye Min) 한국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학회 2020 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연구 Vol.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상황에서 유아교육과 학생의 교육만족도를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 소재 T대학 유아교육과 학생 7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문제는 첫째, 코로나19 상황에서 유아교육과 학생의 전공교육과정의 만족도는 어떠한가? 둘째, 코로나19 상황에서 유아교육과 학생의 비교과프로그램의 만족도는 어떠한가? 이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첫째, 학과전공에 대한 만족도는 평균 4.21이며, 만족도가 가장 낮은 항목은 차시별 학습량의 적절성이었고, 제안하고 싶거나 개선되어야 할 사항으로는 과제가 많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전공수업에서 선호하는 수업형태는 강의식수업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둘째, 비교과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는 평균 3.99이었고, 만족도가 가장 낮은 항목은 취ㆍ창업의 도움정도와 학교사이트의 정보 제공 부분이었다. 제안하고 싶거나 개선되어야 할 사항은 다양한 프로그램이 많았으면 한다는 의견이었다. 본 연구결과의 의의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병행되는 대학 교육환경에 대한 유아교육과 학생의 반응을 분석하여 이를 참고로 앞으로 변화되는 학습상황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교육 콘텐츠와 환경을 구성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zing Children Education majored students satisfaction on education in COVID-19 outbreak. For this analysis, the online questionaries were conducted for 72 students in Children Education Dept. at T University located in Busan, South Korea.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like below; First, the average level of satisfaction on majoring in Children Education is 4.21, and the lowest level of satisfaction was regarding relevance of education amount for each class. The most common comment of suggestion is Reducing the amount of assignment . The most preferred major courses style is instructor-led lecture. Second, the average satisfaction level of nonsubject lectures is 3.99. The lowest level of satisfaction was regarding supports for recruiting and inception, and provided information from the university official website. The most common comment of suggestions is Providing various programs . Meaning of this study is analyzing the status of education environment which runs both of online and offline lectures due to COVID-19 outbreak and students satisfaction and responses. Therefore, this study can support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contents and educational environment composition.
유아 부모의 아동기 학대 경험과 자녀 아동학대 간의 관계에서 훈육유형의 다중매개효과
이수정,서현아 한국아동교육학회 2022 아동교육 Vol.3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discipline between parental abuse experiences and child abus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experiences of childhood abuse, type of discipline, and child abuse was confirmed. And this study also confirmed the mediating effect of discipline type. Data were collected from 274 parents of infants living in city B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Jamovi version 2.2.5.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parents' childhood abuse experience on parental discipline, it was confirmed that they had a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response type. Second, it was found that parents' experiences of childhood abuse have a positive effect on parental abuse of their children. Third, among parental discipline types, the rational reaction type had a negative effect on child abuse, whereas the emotional response type had a positive effect on child abuse. Fourth, the emotional response type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childhood abuse experiences and their children's children. Through this study, it is judged that it will be meaningful in that it can clarify the parent-related variables that affect infant child abuse in the future and provide basic data to cope with it. 본 연구는 유아 부모의 아동기 학대 경험과 자녀 아동학대 간의 관계에서 훈육 유형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유아 부모의 아동기 학대 경험, 훈육 유형, 그리고 자녀 아동학대 간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훈육 유형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 수행을 위한 대상은 B시에 거주하고 있는 유아 어머니 274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Jamovi 2.2.5 버전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아동기 학대 경험이 부모의 훈육 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감정적 반응형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부모의 아동기 학대 경험은 부모 자녀 아동학대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훈육유형 중에서 합리적 반응형은 자녀 아동 학대에 부적 영향을 미치지만, 감정적 반응형은 자녀 아동학대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넷째, 부모의 아동기 학대 경험과 자녀 아동학대 간의 관계에서 감정적 반응형이 부분매개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향후 유아의 아동학대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 관련 변인을 명확히 밝히고, 이에 대처할 수 있는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질 것으로 판단한다.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학교생활적응과감사성향, 자아존중감, 자기조절능력의 구조적 관계
조영아,이재은 한국아동교육학회 2023 아동교육 Vol.32 No.3
This research aims to elucidate the intricate interplay among school adjustment, gratitude disposition, self-esteem, and self-regulation in children attending Community Child Centers, where familial and parental support is relatively deficient. In particular, the study focused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use Community Child Centers, which have been overlooked in school adaptation research. The investigation emphasizes intrinsic psychological attributes, namely gratitude disposition, self-esteem, and self-regulation, in addition to the challenging-to-directly-intervene family environment factors. To achieve these research objectives, survey data from 492 children enrolled in a Community Child Center (referred to as “Center A”) were utilized,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conducted using IBM AMOS 26.0.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analysis reveals that gratitude disposition does not have a significant direct or indirect effect on school adjustment through self-esteem. Secondly, self-regulation has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between gratitude disposition and school adjustment. Lastly, a notable dual mediation effect of self-esteem and self-regulation between gratitude disposition and school adjustment is observed. This study underscores the pivotal role of self-regulation as a mediator in school adjustmen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utilizing Community Child Centers. Moreover, it offers valuable insights for shaping educational interventions aimed at augmenting children's school adjustment. 이 연구는 가족 및 부모 지원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학교생활적응과 감사성향, 자아존중감, 자기조절능력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학교생활적응 연구에서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어진 지역아동센터 이용 초등학생을 연구대상으로 삼고, 직접적으로 개입이 어려운 가정환경 변인 외에 감사성향, 자아존중감, 자기조절능력과 같은 개인 심리적 태도 및 능력 변인에 초점을 맞추고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국적으로 지역아동센터를 운영하는 A복지법인의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 492명의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IBM AMOS 26.0으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감사성향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감사성향이 자아존중감을 매개하여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간접효과도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감사성향이 자기조절능력을 통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유의하였다. 마지막으로 감사성향이 자아존중감과 자기조절능력을 이중매개하여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유의하였다. 이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자아존중감과 함께 자기조절능력이 중요한 매개변인이 될 수 있음을 밝히고,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을 돕기 위한 교육적 개입 설계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