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유아수학교육 연구동향 분석

        이사임(Yi, Sa Im),배지현(Bae, Jee Hyun)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5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9 No.4

        본 연구는 학술지를 중심으로 2007년부터 2014년까지의 영유아수학교육에 대한 연구동향을 탐색하여 수학교육관련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관련 학술지 논문 160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도별 동향은 2012년도에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전반적으로 지속적인 연구발표가 이루어졌다. 둘째, 연구대상별 동향은 영유아, 교사, 문헌, 부모대상 연구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내용별 동향을 살펴보면, 연구주제에서는 수학교육의 지식 기술 태도의 발달이, 교육목적에서는 영유아의 경우 수학능력을 연구한 경우가 많았고, 교사의 경우는 지식 기술 태도 모두를 고르게 연구하였다. 교수학습방법에서는 다른 교과 간 통합연구가 가장 많았다. 넷째, 연구유형별 동향은 양적연구가 많았으며, 검사법을 활용한 차이검증 연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영아기와 유아기 수학교육의 동향을 통합적으로 살펴보았다는 점, 연구대상과 연구방법의 편중된 점을 제시함으로써 균형적 영유아수학교육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esearch trends in academic journal articles on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between 2007 and 2014 in an effort to provide related information. 160 academic journal articles were analyzed, and the following findings were given: First, as for a research trend by year, the largest number of the articles were published in 2012. In general, there was a consistent publication of studies in this field. Second, concerning a research trend in subjects, infants and preschoolers were the most dominant subjects, followed by teachers, literature and parents. Third, as to a research trend in content, the most common research theme was the development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 in mathematics education, and the most common purpose was to examine the mathematical skills of infants and preschoolers. In regard to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tegration of mathematics with other subjects was most widely investigated. Fourth, in relation to a research trend in the type of research, quantitative research, especially verification of difference by test methods, was most prevailing. This study is of significance in that it found particular subjects and specific methods were excessively selected in these studies by investigating the research trends in infant and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in an integrated way in order to lay the foundation for research into balanced infant and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안전교육 실제와 교사의 어려움 및 요구

        배지희 ( Ji Hi Bae ),권경숙 ( Kyung Sook Kwon ),이사임 ( Sa Im Yi ),이미선 ( Mi Seon Yi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연구 Vol.3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들이 안전교육을 어떻게 실천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교사들이 어떠한 어려움을 경험하고, 효율적인 안전교육을 위해서 어떠한 요구를 지니고 있는지에 대해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유치원 교사 1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들은 학기 초에 연간계획을 수립할 때 안전교육에 대한 계획을 세우고 생활주제와 연계하여 안전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일상생활 속에서 수시로 안전교육을 시행하고 있으며, 훈련을 통한 교육, 대집단 활동으로 이루어지는 교육, 가정과 연계한 교육, 그리고 지역사회 전문가와의 협력을 통한 교육을 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들은 유아들에게 안전교육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안전교육 시간을 준수하고 문서로 기록하는 작업은 교사들의 어려움을 가중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안전체험관 이용을 희망하지만 예약이 어렵거나 이동 거리가 멀어서 이용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았다. 셋째, 교사들은 효율적인 안전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 안전교육을 위한 다양한 교재·교구 개발, 유치원 특성을 반영한 안전교육 시간 운영 및 평가 방법의 개선, 안전체험관의 확충, 그리고 안전교육 내용의 수준별 지침 제공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s practic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oward safety education in kindergarten as well as their difficulties and needs. In-depth interviews conducted with 10 early childhood teachers reveal that they implement safety education based on yearly educational plans that are incorporated with learning themes. Teachers mentioned that they educate children about safety in everyday activities. They also provide training sessions to help children acquire safety skills, and collaborate with parents and specialists in the community to enrich their safety education program. Difficulties were experienced by teachers when children did not seem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safety education. They made efforts to comply with the regulations for safety education, but felt that keeping track of the time for safety education and preparing documents for evaluation aggravated their difficulties. They also reported that lack of safety experience centers in the community acted as a barrier to effective safet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e teachers felt that more programs and hands-on materials for safety education need to be developed. Further, the regulation and evaluation system for safety education in kindergarten needs to be revised. They also expressed the need for easy access to safety experience centers in the community to strengthen children’s competency in saf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