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이정화 미래유아교육학회 1998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5 No.2

        문제 해결력이란 유아교육에 새롭게 제시되는 개념은 아니다. 사실 지난 20년 동안 문제 해결은 모든 수준의 수학 교과과정에 핵심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되어 왔고 대부분의 유아교육자들은 문제 해결력이 수 프로그램뿐 아니라 다른 모든 프로그램의 중요한 목적이 되어야 한다는 것에 동의하고 있다. 그러나 그러한 인식의 공감과는 무관하게 현장에서는 아직도 교사들이 전통적 교육 방법에 의해 유아들의 수 학습을 지도하는 모습을 종종 보게 된다. 이는 문제 해결력과 수 학습을 별개로 생각하는 데서 비롯된다고 여겨진다. 따라서 본 논문은 문제 해결(력)이란 어떻게 정의되는 개념인지, 수 교과과정과는 어떤 관계로 놓이는지, 그리고 유아들의 문제 해결력과 수 학습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은 무엇인지를 살펴보려고 한다. 문제 해결에 대한 정의는 학자마다 관점마다 다르나, 수학 교육과 연관되어서는 일반적으로 수학을 학습하는 데 있어서 필수적인 사고 과정으로 정의된다. 그러나 문제 해결을 수학 학습의 목적으로 볼 것이냐 수단으로 볼 것이냐를 둘러싸고 양분된 관점이 존재하며 이는 문제 해결력과 수학 교육과정과의 관계를 혼란스럽게 한다. 문제 해결을 수단으로 보는 이들은 수학 교육에 있어서 개념이나 지식의 형성을 강조하고 문제 해결이란 수학에 대한 접근 방법의 하나라고 여긴다. 반면에 문제 해결을 목적으로 보는 이들은 형성된 수학적 지식의 응용력을 강조하며 문제 해결이란 수학 교육 과정 그 자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양분된 관점은 교육 실제를 향상시키고자 하는 노력에 바람직하지 못하며, 특히 유아를 위한 수 교육 실제에 생산적이지 못한 논쟁이 될 뿐이다. 본 논문은 유아교육자들이 그러한 양분된 관점으로부터 탈피한 것과, 문제 해결력을 수 교육과정 안에 통합시켜 생각하기를 권한다. 문제 해결력은 유아를 위한 수 프로그램의 목표가 되어야 함과 동시에 기초적 수학 개념 형성을 위한 효율적인 교육 수단으로 다양한 문제 해결 과정이 강조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 유아들은 여러 가지 문제 해결 경험을 통해 수학에 대한 기초 지식을 형성해야 하며 형성된 수학적 지식을 다른 많은 문제 상황에 적극적으로 적용, 그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만 한다. 유아들의 문제 해결력과 수 학습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몇 가지 기본 전제가 요구된다. 첫째, 유아들을 위한 수 프로그램은 재미있고 즐거운 경험이 되도록 해야 한다. 놀이를 통한 문제 해결과 수학적 개념에의 접근은 유아들을 자연스럽고 흥미롭게 수 학습으로 이끌 수 있으며 수학에 대한 긍정적인 학습 태도를 형성시킬 수 있다. 둘째, 발달적으로 적합한 수 교육 실제를 고안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유아들의 발달 수준에 대한 이해가 전제되며 신중한 관찰을 통해 개개인의 흥미, 경험, 능력 등을 파악하고 있어야만 한다. 셋째, 교사들은 유아들의 수학적 사고 과정이 어떻게 발달하는지에 관한 지식뿐 아니라 수학 자체에 대한 관심과 지식을 향상시키고자 노력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수 프로그램 안에서 문제 해결력을, 문제 해결 과정을 통한 수 학습의 향상을 위한 몇 가지 실제적 방안을 제안한다. 첫째, 풍부하고 다양하며 구체적인 교구·교재가 구비된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 또한 교실의 물리적 공간은 너무 엄격히 통제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긍정적인 수 학습 분위기를 형성한다. 이를 위해서는 유아들에게 문제 해결에 필요한 충분한 시간을 허용하고, 문제에 대한 해결 그 자체보다는 해결책을 찾아가는 과정을 강조하고, 유아들의 서로 다른 의견과 관점, 해결책을 긍정적으로 수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유아들간에 문제 해결 과정을 상호 교류하도록 이끈다. 상호 교류적 문제 해결 과정을 통해 유아들은 자기와 다른 관점을 받아들일 수 있게 되며, 자신의 사고를 더욱 넓혀갈 수 있으며, 수학적 의사소통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깨달을 수 있다. 넷째, 좋은 문제 해결 과제와 활동을 선택하거나 고안해야 한다. 좋은 과제나 활동이란 유아들에게 이해될 수 있는 것이어야 하며, 다양한 접근 방법과 해결책이 가능한 것을 말한다. 또한 문제 해결에 필요한 모든 정보가 문제 내에 주어져야만 한다. 유아들이 일상 생활 안에서 만나게 되는 다양한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과제나 활동을 제공하는 것 역시 문제 해결력과 수 학습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좋은 방안이다.

      • KCI등재

        토픽 모델링 분석을 통한 유아 사교육 현상 연구: 국내 신문 기사와 블로그를 중심으로

        강승지,손유진 미래유아교육학회 2020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7 No.1

        In this study, the issues related to early childhood private education were analyzed using big data-based topic modeling analy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llect texts abou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digital spaces such as domestic articles and blogs, and to extract the core themes about early childhood education through topic modeling. This study used domestic articles and blogs that accurately include the term ‘early childhood private education’ in the analysis between March 1, 2012 and September 30, 2017. And the content and comments were extracted through the Selenium method. The collected data was removed unnecessary contents using R program. After installing KoNLP, nouns were extracted using morphological analysis. Next, it went through the process of specifying the number of topics. As a result of collecting and analyzing domestic articles 389 and blogs’s comments, domestic articles tended to consider early childhood private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the government’s education policy. On the blog, early childhood private education was the mother’s role among parents. The role of mothers was emphasized, and this can be seen in relation to the selection of mothers as a core target for the purpose of spreading policies or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polic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n in-depth discussion is needed on the nature and meaning of education outside the public education field, beyond the dispute over early childhood education.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 기반 토픽 모델링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유아 사교육 현상을 분석하였다. 따라서 국내 신문 기사, 블로그에서 유아 사교육에 관한 텍스트를 수집하여 유아 사교육에 관한 핵심 주제를 추출하고 의미를 해석하고자 함을 연구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2년 3월 1일부터 2017년 9월 30일 사이에 ‘유아 사교육’ 용어를 정확히 포함하는 국내 신문 기사와 블로그 게시글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Selenium방법을 통하여 내용과 댓글을 추출하였으며, 수집한 데이터를 R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호, 숫자와 같은 불필요한 내용을 제거하고, KoNLP를 통해 형태소 분석을 이용하여 명사를 추출하였다. 다음으로 국내 신문 기사 및 블로그의 토픽 수를 지정하는 과정을 통해 각 7개와 6개로 지정하였으며, 국내 신문 기사 389와 블로그 내용을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내 신문 기사에서는 유아 사교육을 정부의 교육정책과 연계하여 고려하는 경향이 있었다. 특히 영재교육, 자유학기제, 수능연계, 대학수학능력시험, 무상보육 등과 같은 키워드는 유아 사교육 현상을 대표적으로 설명하며, 교육정책의 핵심적인 주제로 활용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블로그에 나타난 유아 사교육 현상에서는 유아 사교육의 주체가 부모 중에서도 엄마의 역할이 크게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유아 사교육 내에서 엄마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으며, 정책의 확산이나 정책의 효과성 제고를 위해 정부에서도 엄마를 핵심 대상으로 선정하고 있는 것과 관련하여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들은 유아 사교육에 대한 분쟁의 문제를 넘어 공교육 영역의 밖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이 가지는 속성과 의미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사회적 지지와 교육실습 불안과의 관계

        조부월 ( Cho Boowall ) 미래유아교육학회 2025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3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사회적 지지와 교육실습 불안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사회적 지지가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 불안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소재 전문대학 유아교육과에 재학중인 2학년 학생 205명이였다. 연구수행을 위해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사회적 지지, 교육실습 불안을 측정 하였고, spss 29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상관관계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첫째, 교사효능감총점 및 하위요인인 일반적 교사효능감과 개인적 교사효능감은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 불안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사회적 지지 총점 및 하위 요인인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 평가적 지지는 교육실습 불안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 불안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교사의 정서적 지지, 평가적 지지, 개인적 교사효능감, 물질적 지지, 일반적 교사효능감 순이었으며, 이들 변인은 교육실습 불안에 부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 불안 감소를 위해 사회적 지지를 강화하고 교사효능감을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teachers’ teacher efficacy, social support, and teaching practicum anxiety, and to identify the impact of teacher efficacy and social support on student teachers’ practicum anxiety.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205 second-year students enrolled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a college located in the Gyeonggi area. To analyze the data of student teachers’ teacher efficacy, social support, and practicum anxiety, SPSS 29 program was used to conduc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wo components of teacher efficacy―general teacher efficacy and personal teacher efficacy―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tudent teachers’ practicum anxiety. Second, the components of social support that student teachers’ perceive―emotional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material support, and evaluative support―also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racticum anxiety. Finally, the variables influencing student teachers’ practicum anxiety, in order, were emotional support, evaluative support, personal teacher efficacy, material support, and general teacher efficacy. These variables were found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practicum anxiet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 order to reduce practicum anxiety among student teachers, strengthening social support and fostering teacher efficacy are essential.

      • KCI등재

        프뢰벨과 몬테소리의 교육 이론에 관한 소고

        박현진,김숙자 미래유아교육학회 2007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4 No.4

        A Study on the Educational Theory of Frbel and Montessori >본 연구에서는 현 유아교육에서의 학문적, 실천적 불균형과 부족함의 문제를 인식함으로써, 유아교육자로서의 자세로 돌아가는 반성적 과정을 가질 필요에 의하여 유아교육의 시작이며 대표적인 프뢰벨과 몬테소리에게서 유아를 위한 교육이 무엇인가에 대해 같은 목소리로 주장했던 바를 되새겨보고자 한다. 이에 프뢰벨과 몬테소리의 교육사상에 대한 정확한 본질 해석과 의미를 되새겨 현 유아교육 이론 및 현장에 반영하고자 프뢰벨과 몬테소리의 교육 이론을 유아들은 누구인가에서 비롯된 유아관, 왜 유아들을 가르치려 하는가라는 근본적인 물음에 대한 교육원리와 교육목적, 유아들에게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교육내용과 교수-학습방법, 그리고 누구와 함께 유아들을 가르칠 것인가를 고려하는 부모와의 관계 측면에서 보고자 한다.

      • KCI등재

        도덕적 상상력 교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와 교사교육자의 인식 및 요구

        임민정,백지혜 미래유아교육학회 2018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5 No.1

        This study examined pre-service teachers’ and teacher educators’ perceptions and needs in terms of the moral imagination program fo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To collect the data, 450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and conducted survey questionnaires, and four teacher educators were individually interviewed.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pre-service teachers and teacher educators were intrigued by moral imagination, expecting it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eaching quality and potential for improvement. The pre-service teachers generally considered moral imagination to be included within their teacher education curriculums, while the teacher educators connected it with professional ethics. Both required teacher education programs to foster moral imagination because it can benefit character- and mor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mong the elements of moral imagination, emotion and caring for self were highly demanded, and a short or medium term, course-integrated program was preferred; specifically the teacher educators emphasized using learning methods which were aligned with reflective thinking and daily experiences. This study concluded with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programs designed to foster moral imagination in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본 연구의 목적은 도덕적 상상력 신장 프로그램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와 교사교육자의 인식과 요구를 조사하여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정보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예비유아교사4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교사양성대학에 재직하는 4명의 교수와 개인면담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와 교사교육자 모두 도덕적 상상력에 대한 관심과 교수역량에 미치는 영향, 교육 및 훈련에 의한 향상가능성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와 교사교육자들은 영유아 인성 및 도덕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도덕적 상상력 신장 프로그램의필요성과 참여의사를 높게 인식하였다. 셋째, 도덕적 상상력의 교육내용 가운데 정서 및 자아에 대한배려 요구가 공통적으로 높았고, 기존 교과목과 통합하여 중단기로 운영하는 방안을 선호하였다. 특히 교사교육자들은 실생활과 연계하여 예비유아교사들의 반성적 실천을 강조하는 교수학습방법의 사용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도덕적 상상력에 기초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교육 경력과 MBTI 선호 경향에 따른 유아교사의 창의성 차이

        강민정 미래유아교육학회 2007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4 No.3

        Early Childhood Teachers' Creativity among Their Teaching Careers and Psychological Preference Types >본 연구는 유아교육 기관에 재직 중인 유아교사 103명을 대상으로 유아교사의 교육경력과 선호경향에 따른 창의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창의성은 교육경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경력이 16년 이상인 집단이 다른 세 집단 보다 창의성에서 유의미하게 낮은 점수를 보였다. 둘째, 유아교사의 창의성은 선호경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관형, 사고형을 선호하는 유아교사 일수록 창의성에서 유의미한 높은 점수를 보였다. 셋째, 유아교사의 창의성에 대한 교육경력과 선호경향의 설명력에 있어서 유아교사의 교육경력이 창의성을 29% 설명하고 있었으며, TF, SN 선호경향 순으로 설명력을 높이고 있었다.

      • KCI등재

        미술교육 효능감 수준에 따른 유아교사의 미술교육에 대한 인식 및 교사의 역할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 분석: IPA기법을 활용하여

        서은주,가종석,홍순옥 미래유아교육학회 2018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art education efficacy and their aware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ir awareness of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and to make a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their roles in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In addition, the study ultimately meant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teacher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ar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29 selected teachers who worked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the city of Busan. SPSS 18.0 was employed to obtain statistical data on frequency and percentage, χ2-test, and paired-samples t-test and IPA were carried out.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showed that there were no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level of art education efficacy on some area, which were ‘the objectives of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the most widely taught art activity’, ‘top priority for art education planning’, ‘the most difficult art activity to teach’ in the awareness of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Concerning the reason for having difficulty in guiding art activities, there were differences in that regard according to art education efficacy. Second, when the IPA was carried out to look for the teachers’ role in art education, the teachers whose art teaching efficacy was higher put no teachers’ role in the focus area, and the teachers whose art teaching efficacy was lower put a role as a preparator in the focus area.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미술교육 효능감 수준에 따른 유아미술교육에 대한 인식에 대해 살펴보고, 유아미술교육에서의 교사의 역할에 대한 IPA분석을 실시해 봄으로써 향후 유아미술 교사교육에대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소재유치원 및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229명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SPSS 18.0을 이용해 빈도와 백분율,  2검증, 대응표본 t 검증, IPA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교육 효능감 수준에 따른 유아미술교육의 인식에 대해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본 결과, ‘유아미술교육의 목표’, ‘가장 많이 지도하는 미술활동’, ‘미술교육 계획 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 ‘가장 지도하기 어려운 미술활동’에 대해서는 집단 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미술활동 지도가 어려운 이유’에 대해서는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술교육에서의 교사의 역할에 대한 IPA분석에서는 미술교육 효능감 수준이 높은 교사의 경우 집중영역에 포함된 교사의 역할이 없었으며, 미술교육 효능감 수준이 낮은 교사의 경우 준비자의 역할이 집중영역에 포함되어 있었다.

      • KCI등재

        C대학교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정서적 학대 가해 예방교육프로그램 개발 기초 연구

        백은영 미래유아교육학회 2018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5 No.1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mplications for research necessity and educational contents in developing emotional abuser prevention program for students of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C University.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preservice teachers of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C University participated in investigation of emotional abuse awarenes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learned the terminology, ‘emotional abuse’, mostly from mass media, and could learn further from courses and special lectures after entering higher education. About 34% of the participants reported experiencing emotional abuse in educational institutions prior to entering higher education; about 16% reported observing emotional abuse in kindergarten classes while performing teaching practicum. The results could draw the following implications based on the finding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implement emotional abuser prevention programs for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in teacher education programs. Its contents need to consist of implementing theoretical approaches, including signs of emotional abuse as well as detailed understanding of the cases, and examining a border line of emotional abuse in the discipline forms that are traditionally adopted in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C대학교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정서적 학대 가해 예방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어 필요성을 확인하고 내용적 시사점을 얻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C대학교 유아교육과에 재학중인 예비유아교사 146명을 대상으로 정서적 학대에 관한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C대학교 예비유아교사들은 정서적 학대라는 용어를 대중 매체를 통해 약 56.5%가 들어보았고, 32.5% 는 대학에서 강의(특강, 수업)을 통해 들어 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자들 중 67.8%는 유아교육 현장에서 정서적 학대를 근절시키기 위해서는 교사양성과정에서 가해 예방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응답했다. 연구 대상 중 약 34.3%는 대학 입학 전 교육기관에서 정서적 학대를 목격 등 경험한 적이 있었고, 약 15.8%는 대학 입학 후 유아교육현장의 참관과 실습에서도 정서적 학대를 목격한 경험이 있었다. 이러한 인식 조사를 통해 C대학교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정서적 학대 가해 예방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교육 내용에는대중 매체에서 정서적 학대 사례 및 판례, 예비유아교사가 되기 전의 교육기관에서 경험한 정서적 학대 목격 등의 경험담, 현장 관찰이나 실습에서 목격한 정서적 학대 사례 등이 포함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유아를 위한 민속화 활동 사례연구

        이경희(Kyung Hee Lee) 미래유아교육학회 2000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7 No.2

        최근 유아교육에서 전통 문화 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전통 그림은 전통문화를 잘 나타내고 있다. 전통그림 중에서도 민속화는 그림이 갖고 있는 특성이 유아들의 그림에서 볼 수 있는 특성과 같은 점이 있어서 유아들의 전통문화교육과 더불어 미술활동의 좋은 소재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민속화를 이용한 활동이 유아들에게 다음과 같은 점에서 어떤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고 그 결과를 유아미술교육 활동에 적용시킬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유아들이 민속화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갖을 것이다. 둘째, 민속화에 나타난 조상들의 생활 정서와 미의식에 대한 이해가 있을 것이다. 셋째. 민속화를 감상한 후 유아들의 그림에 민속화의 표현 특성이 나타날 것이다. 넷째, 한지, 붓과 같은 전통그림 재료에 대한 흥미와 사용기술을 습득할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J유치원에 다니는 만5세 유아들로 남아 3명, 여아 7명이었다. 이들은 자발적으로 활동에 참여하였다. 민속화에 대한 감상 및 표현 활동과 결과 분석을 위한 자료 수집과정은 약 2개월 동안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유아들의 미술작업 작품(개인작품, 공동작품), 교사의 관찰기록, 유아와의 면담내용, 유아의 민속화 감상문이었다. 연구 결과 민속화 활동 전과 민속화 활동 후의 유아들의 면담 내용을 분석하면 대부분의 유아들이 민속화 활동 전에는 단순히 민속화에 대한 느낌만을 말해주었는데 활동 후에는 `호작도`, `문자도`, `십장생` 등의 민속화 이름을 말하면서 느낌을 말하였다. 유아들은 민속화 중에서도 화조도에 비해 호작도나 문자도에 더 관심을 보였다. 그리고 민속화의 특징으로 그림들이 재미있고 우습게 그려졌으며, 색깔들이 화려하고 아름답다는 점을 들었다. 유아들의 그림 표현이 민속화 활동 전과 민속화 활동 후에 차이가 있었다. 동화 `삼보`를 듣고 호랑이를 그리게 한 결과 민속화 활동 전보다 민속화 활동 후에 그린 호랑이의 몸에 나타난 무늬가 더 다양했으며, 얼굴 표현도 웃는 모습을 그린 그림들이 있었다. 꽃, 나무, 새 등을 그린 그림에서도 전과 달리 다양한 표현이 나타났는데 그 표현이 민속화를 모방한 점도 보였다. 그림자료의 이용에서도 붓, 붓펜, 한지의 특성을 알고 즐겨 사용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유아들이 우리 나라 민속화를 감상하고 표현활동을 경험하는 것은 여러 가지 점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주었음을 알 수 있다. 유아들은 민속화에 대한 관심과 흥미, 지식 습득에서 발전이 있었으며, 그림 표현에 있어서도 조상들의 표현방식을 모방할 뿐만 아니라 유아 개인의 그림표현에서도 새로운 표현을 하였다. 앞으로 전통문화에 대한 교육활동을 통해 새로운 문화의 형성과 긍정적인 자아정체감을 위한 한 부분으로 민속화를 비롯한 전통그림이 유아교육 활동에 적용될 수 있도록 연구와 프로그램 개발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놀이신념 검사도구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김인애,김경철 미래유아교육학회 2022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9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n evaluation tool that can allow early childhood teachers to evaluate their own play beliefs and to develop a useful and valuable evaluation tool, which can be actively used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do so, sixteen experts from the academic field and the practical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ere selected, and a self-evaluation tool which evaluates the play belief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developed by performing Delphi surveys on the experts over three times. To distinguish the technical quality of the evaluation scales, the degree of agreement and degree of convergence were calculat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average, standard deviation), ratio of content validity(CVR), quartile, and skewness. The adequacy of the answers given by Delphi experts were analyzed. As the result, the final draft of the self-evaluation tool for evaluating the play belief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hich is composed of four component factors, eight sub-factors, and sixty-three questions, was developed. Four component factors were selected: ‘perspective on infant, the play subject’, ‘perspective on the relationship of play and education’, ‘perspective on play-centered education management’, and ‘perspective on the role of teacher in play management.’ ‘Perspective on infant, the play subject’ is composed of two sub-factors: the beliefs that infants are competent beings who learn by themselves, and the belief that infants are beings who need to be protected and taught. ‘Perspective on the relationship of play and education’ is composed of two sub-factors: the beliefs that play itself is learning, and the belief that play is a method of learning. ‘Perspective on play-centered education management’ is composed of two sub-factors: play management lead by infants and play management planned by a teacher. ‘Perspective on the role of teacher in play management’ is composed of two sub-factors: teachers as play supporters and teachers as planners and supervisors. Due to the change of paradigm regarding the pla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 tool which would give a broader perspective on teacher’s belief in play is needed. It is expected that this tool will promote the research on belief in play and contribute to academics research.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가 자신의 놀이신념을 평정할 수 있는 검사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아교육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하고 가치 있는 검사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교육학계 전문가와 유아교육현장 전문가 16인을 델파이 전문가로 선정한 후 3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통해 유아교사의 놀이신념 검사도구를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를 하였다. 검사도구의 양호도를 판별하기 위해 기술통계(평균, 표준편차), 내용타당도 비율(CVR), 사분위수와 왜도를 통한 합의도와 수렴도를 산출하였다. 델파이 전문가들이 응답한 적절성을 분석한 결과 4개의 구성요인과 8개의 하위요인 그리고 63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유아교사의 놀이신념 검사도구 최종 시안을 개발하였다. 구성요인은 ‘놀이주체자인 유아에 대한 관점’, ‘놀이와 교육의 관계에 대한 관점’, ‘놀이중심 교육 운영에 대한 관점’, ‘놀이운영에서 교사의 역할에 대한 관점’의 4개의 구성요인으로 선정하였으며, ‘놀이주체자인 유아에 대한 관점’은 유아는 스스로 배우는 유능한 존재라는 신념, 유아는 보호받고 가르침 받아야 할 존재라는 신념의 2개의 하위요인, ‘놀이와 교육의 관계에 대한 관점’은 놀이 그 자체가 배움이라는 신념, 놀이는 학습의 수단이라는 신념의 2개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놀이중심 교육 운영에 대한 관점’은 유아의 주도적 놀이운영, 교사의 계획적 놀이운영의 2개의 하위요인, ‘놀이운영에서 교사의 역할에 대한 관점’은 교사는 놀이 지원ㆍ지지자, 교사는 놀이 계획ㆍ감독자의 2개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었다. 본 도구는 유아교사의 놀이에 대한 패러다임 변화로 교사의 놀이신념에 대한 더 넓은 관점을 살펴볼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한 현 시점에서 놀이신념과 관련 연구들을 보다 활발하게 증진시키고, 학문적 연구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