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 우울증 측정 및 관리를 위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콘텐츠 개발

        정선(Park, Jung-Sun),조재숙(Cho, Jae-Suk),함선희(Ham, Sun-Hee),지수(Park, Ji-Soo),권정아(Gwon, Jung-A) 한국웰니스학회 2016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1 No.2

        본 연구는 청소년 정신건강의 핵심문제 중 하나인 우울증의 측정과 관리를 위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콘텐츠 개발을 목적으로 하며, 이는 충남 소재 A대학의 청소년상담 관련학과, 컴퓨터공학 관련학과의 교수와 학생들의 협업으로 이루어졌다. 사용대상은 우울증의 예방 및 관리를 위해 집단상담에 참여하는 청소년들이며, 개발된 어플리케이션은 집단상담을 돕기 위해 사용될 예정이다. 콘텐츠 구성을 위해 먼저, 청소년 우울증의 발생원인과 특성, 수준측정방안, 심리치료이론을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기존에 개발, 발표된 국내·외 어플리케이션과 선행연구를 통해 콘텐츠 내용과 실용성 등을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청소년 우울증수준 측정방법으로 BDI-Ⅱ(우울척도), 심리치료 기법으로 인지행동치료, 치료 촉진방략으로 집단상담을 선정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에 초점을 맞춰 콘텐츠를 구성 및 개발하였으며, 개발 목적 및 실용화의 적절성 파악을 위해 청소년 5인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조사 결과에서 제시된 제안점은 전문가와 실제 사용대상의 의견을 수렴하여 수정 보완할 예정이다. 결론적으로 본 콘텐츠는 일상성을 바탕으로 한 능동적 정서관리를 통해 효율적으로 청소년의 정신건강 웰니스를 지원할 것이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develop the digital content of a smart-phone app for the measurement and management of depression – a key issue in adolescents’ mental health. This app has been developed by a psychology laboratory and a computer software engineering laboratory for an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study. The target users of the app are adolescents who participate in group counseling for prevention and management for depression. The app is planned to be used as a tool for the group counseling. To develop the app content, we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We then comparatively analyzed the key aspects of existing domestic and foreign apps designed to help for depress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uggested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II for the assessment method, the cognitive behavioral approach for the psychotherapeutic approach, and the group counseling that allows mutual support. Therefore, in this study, we organized and developed the app content by focusing on the identified aspects and conducted a pilot test with five adolescents to determine if the app met the development objective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will be made based on the suggestions obtained from the pilot test and expert reviews. In conclusion, this app content is expected to enhance the wellness of adolescents effectively by improving proactive emotional management on a daily basis.

      • KCI등재

        DACUM 기법에 의한 병원 임상영양사의 직무기술서 개발

        차진아 ( Jin A Cha ),김강은 ( Kang Eun Kim ),김은미 ( Eun Mi Kim ),미선 ( Mi Sun Park ),유경 ( Yoo Kyoung Park ),백희준 ( Hee Joon Baek ),이송미 ( Song Mi Lee ),최수경 ( Soo Kyong Choi ),서정숙 ( Jung Sook Seo ) 대한영양사협회 2013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Vol.19 No.3

        본 연구에서는 DACUM 기법을 통해 국내 병원 임상영양사의 직무를 조사 및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임상영양사의 직무기술서를 평가함으로써 병원 임상영양사를 위한 직무기술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2011년 7월초에 DACUM 워크숍을 통해 1차적으로 직무기술서를 도출하고 전문가 집단의 자문회의와 Delphi 조사 방법을 적용한 표적집단 면접을 통해 수정 및 보완 작업을 거쳐 직무기 술서를 도출하였다. DACUM 위원회의 패널로는 3차 의료기관에 종사하고 있는 현직 임상영양사 9인과 임상영양학을 전공하는 교수 4인, 직무분석을 담당하는 교수 1인 등 총 14명이 참여하였다. 전문가 자문단을 별도로 구성하였으며, 의사 1인, 간호사 1인, 임상영양분야 실무자 및 교수 5인이 포함된 전문가의 의견을 추가적으로 수렴하였다. 도출된 직무기술서는 2011년 7∼8월까지 전국 500병상 이상의 종합 병원 90개 중 설문조사에 응답한 46개 병원에서 각각 임상영양 실무책임자 1인으로부터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여 현장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에서 DACUM 기법에 의해 처음 도출된 직무는 총 8개의 직무, 33개의 과업, 114개의 과업요소였으나 수정 보완작업을 거쳐 총 7개의 직무, 27개의 과업과 93개의 과업요소로 재분류되었다. 최종적으로 병원 임상영양사의 직무는 영양판정(A), 영양진단(B), 영양중재(C), 영양모니터링ㆍ평가(D), 자문ㆍ협력(E), 영양연구(F), 자기계발(G)로 도출되었다. 2. 각 직무영역별로 세부내용을 보면, (A) 영양판정은 A1. 영양 초기평가하기, A2. 식품영양관련 자료 수집·평가하기, A3. 의학적 자료 점검하기, A4. 신체계측 자료 수집·평가하기, A5. 신체증상 자료 점검하기, A6. 개인력 및 과거력 점검하기, A7. 영양 요구량 결정하기, A8. 영양판정 기록하기의 8개의 과업으로 구분하였다. (B) 영양진단은 B1. 영양진단 도출하기, B2. 우선순위 정하기, B3. 영양진단 기록하기로 나뉘었고, (C) 영양 중재는 C1. 영양중재 계획하기, C2. 영양처방 관리하기, C3. 영양상담하기, C4. 영양교육하기, C5. 영양집중지원하기, C6. 영양중재 기록하기로 구분 하였다. (D) 영양모니터링·평가는 4개의 과업으로 D1. 영양상태 모니터하기, D2. 영양중재과정 모니터하기, D3. 영양중재 결과 평가하기, D4. 영양모니터링·평가 기록하기로 구분하였다. (E) 자문·협력은 E1. 영양자문하기, E2. 협력관계 구축 및 유지하기로 (F) 영양연구는 F1. 질 향상 활동하기, F2. 연구 활동하기로 분류하였다. 마지막으로 (G) 자기계발은 G1. 전문성 향상, G2. 자기관리가 포함되었다. 3. 도출된 임상영양 직무기술서에 대한 평가를 위해 설문조사에 참여한 대상 병원의 유형은 상급종합 병원이 65.2%를 차지하였으며, 종합병원은 34.8%였다. 병원의 재원일수는 8.0±1.5일이었으며 병원 조직에서 영양부서는 6곳을 제외한 39개의 병원에서 진료부서 또는 진료지원부서에 속하였다. 또한 병원에서 영양부서가 단독으로 편제되어 있는 경우가 93%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병원 임상 영양사의 성별은 여자가 100%로 나타났으며, 연령별 분포는 40∼49세가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근무경력은 10년 이상인 경우가 50% 이상을 차지하였고 최종학력은 석사졸업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전체 과업요소의 인지된 중요도를 비교하면 6개의 과업요소를 제외한 대부분의 과업요소들이 4.0점 이상이었고 총 7개 직무영역에 대한 중요도는 ‘영양중재’가 4.6±0.6점으로 가장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영양진단’과 ‘영양모니터링·평가’의 직무가 4.5점 이상으로 비교적 높게 조사 되었다. 전체 과업요소 중 수행도가 4.5점 이상으로 매우 자주 수행되는 과업요소가 13개, 4.0점 이상의 자주 수행되는 과업도 29개의 과업요소로 나타났으며, 직무영역 중 ‘영양중재’가 4.2±1.0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직무영역별 난이도를 조사한 결과에서는 ‘영양연구’ 업무가 4.1±0.9점으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영양진단’과 ‘자문·협력’은 각각 3.8±1.0점, 3.7±0.9점으로 비교적 어렵게 인식되는 직무로 나타났다. 직무영역별 과업요소 전체의 중요도, 수행도, 난이도의 평균은 각각 4.5±0.8점, 3.7±1.3점, 3.5±1.0점으로 나타났으며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P<0.001). 5. 임상영양사 업무의 중요도와 수행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격자도 분석에서 영양 초기평가하기, 영양요구량 결정하기, 영양판정 기록하기, 영양진단 도출하기, 영양중재 계획하기, 영양처방 관리하기, 영양교육하기, 영양집중지원하기, 영양중재 기록하기, 영양상태 모니터하기, 영양중재 과정 모니터하기는 중요도와 수행도가 모두 높은 영역(doing great)에, 식품영양관련 자료수집·평가하기, 의학적 자료 점검하기, 신체계측 자료수집·평가하기, 신체증상 자료 점검하기, 개인력 및 과거력 자료 점검하기, 영양진단의 우선순위 정하기, 영양진단 기록하기, 영양상담하기, 영양 모니터링·평가 기록하기는 수행도는 높으나 중요도가 낮은 영역(overdone)에 속하였다. 중요도가 높으나 수행도가 낮은 영역(focus here)에는 협력관계 구축 및 유지하기, 질 향상 활동하기가 속하였고, 중요도와 수행도가 모두 낮은 영역(low priority)은 영양중재 평가하기, 영양 자문 활동하기, 연구 활동하기, 전문성 향상하기, 자기관리하기가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본 연구에서 DACUM 기법에 의해 개발된 병원 임상영양사의 직무기술서는 현장에서 임상영양서비스를 수행하는데 가이드라인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지며, 인지된 중요도가 평균 이상으로 높지만 그에 비해 수행도가 미흡한 과업들에 대하여는 임상영양사에 대한 교육 실시, 업무 분담, 적정인원 배치 등 제도적인 뒷받침을 마련하여 수행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강구 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질병별 맞춤형 임상영양 업무에 관한 후속연구를 통하여 보다 전문적인 환자 영양치료가 가능할 것으로 여겨진다.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standardized job description for clinical dietitians working in hospitals. A developing curriculum (DACUM) method was used for the job analysis of clinical dietitians. Based on DACUM analysis with 14 members, including clinical dietitians and professors majoring in clinical nutrition and job analysis, information on the duties, tasks, and task elements of clinical dietitians was determined. To verify the job descriptions derived from DACUM analysis, a total of 46 tertiary and general hospitals with over 500 beds were recruited for the survey. The final developed job description for clinical dietitians included 7 duties, 27 tasks, and 93 task elements. The duties consisted of nutritional assessment, nutrition diagnosis, nutrition intervention, nutrition monitoring·evaluation, consultation·cooperation, nutrition research, and self-development. The mean scores of perceived importance, performance, and difficulty on the clinical dietitian`s task elements (out of a maximum score of 5.0) were 4.5, 3.7, and 3.5, respectively,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items (P<0.001). The perceived importance and performance grid of clinical dietitian`s tasks showed that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of collaboration” (E2) and “activity of quality improvement” (F1) received relatively low scores for performance despite their high importance scores; thus the performance of these tasks requires significant improvement. In conclusion, the job descriptions of clinical dietitians developed from this study are useful for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clinical nutrition services in hospitals.

      • KCI등재

        한국인에서 5,10-Methylenetetrahydrofolate Reductase 유전자 다형성 분석 및 임신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

        김아리 ( Ari Kim ),강은지 ( Eun Ji Kang ),이경아 ( Kyung A Lee ),세나 ( Se Na Park ),종순 ( Jong Soon Park ),보현 ( Bo Hyun Park ),혜숙 ( Hyesook Park ),미혜 ( Mi Hye Park ),전선희 ( Sun Hee Chun ),안정자 ( Jung Ja Ahn ) 대한주산의학회 2006 大韓周産醫學會雜誌 Vol.17 No.3

        목적: 본 연구는 한국인 임신 여성에서 MTHFR 유전자형 변이와 혈청내 호모시스테인 및 엽산의 농도와 이들이 임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임신부 600명에게서 혈액을 채취하여 얻어진 DNA로 MTHFR C677T와 A1298C 유전자의 다형성을 PCR-RELP로 분석하였고 혈청내 호모시스테인은 HPLC 방법으로, 엽산은 RIA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결과: 혈청내 호모시스테인은 MTHFR C677T 유전자형이 C/C형이나 C/T인 군에 비해 T/T인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MTHFR A1298C 유전자형이 A/C형이나 C/C인 군에 비해 A/A인 군에서 역시 유의하게 높았다( p<0.05). 혈청 호모시스테인은 모든 MTHFR 유전자형에서 혈청 엽산농도와 역상관관계를 보였으나, 변이형 유전자형(T/T와 A/A유전자형)에서 더 큰 역 상관관계를 보였다. 15?mol/L 이상의 고호모시스테인혈증의 임신부에서 임신 주수와 출생체중이 36.1주, 3053.8 g으로 15 ?mol/L미만인 군의 38.3 주, 3215.3 g 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p<0.05). 결론: 혈청 호모시스테인의 농도는 MTHFR C677T와 A1298T 유전자의 다형성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MTHFR C677T와 A1298T 유전자의 다형성과 혈청 호모시스테인은 모두 임신주수와 신생아의 체중에 영향을 미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MTHFR polymorphism among the Korean population an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rum levels of homocysteine and MTHFR polymorphism and also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pregnancy outcomes. Methods: DNA was extracted from whole blood of 600 pregnant women. All samples were genotyped for the C677T and A1298C polymorphisms in MTHFR gene by PCR-RELP assay. Serum levels of homocysteine and folate were measur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for homocysteine and radioassay for folate. Pregnancy outcomes were estimated by gestational weeks and birth weights of newborns. Results: Serum homocysteine was higher in women with the T/T genotype than those with the C/T or C/C genotype of the MTHFR C677T polymorphism (p<0.05). And also serum homocysteine was higher in women with the A/A genotype than those with the A/C or C/C genotype of the MTHFR A1298C polymorphism (p<0.05). Serum homocystein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rum folate in all MTHFR genotypes, especially prominent in T/T genotype of MTHFR C677T polymorphism and A/A genotype of MTHFR A1298C polymorphism. Gestational age and the birth weight of infant from hyperhomocysteinemic mothers whose homocysteine levels higher than 15 μmol/L were 36.1 weeks, 3053.8 g, respectively, which were significant lower than those from normohomocysteinemic mothers (38.3 weeks, 3,215.3 g) (p<0.05). Conclusion: Serum homocysteine was influenced significantly by MTHFR C677T polymorphism and MTHFR A1298C polymorphism. MTHFR C677T and A1298C polymorphism and serum homocysteine levels affect pregnancy outcomes, although not mainly by serum folate level.

      • KCI등재
      • SCOPUSKCI등재

        Nucleotide Sequence Analyses of p10 Gene and its Promoter of Hyphantria cunea Nuclear Polyhedrosis Virus

        박선아,차성철,장재혁,이형환,Park, Sun-A,Cha, Sung-Chul,Chang, Jae-Hyeok,Lee, Hyung-Hoan 대한미생물학회 1996 Journal of Bacteriology and Virology Vol.26 No.1

        Hyphantria cunea nuclear polyhedrosis virus p10유전자와 프로모터의 염기서열을 결정하였고, p10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을 유도했다. pBP10재조합클론 (Cha et. al., 1991)에 삽입이 되어있는 p10유전자의 염기서열을 결정한 결과 p10유전자의 ORF는 285 bp였고, p10단백질은 95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 되었으며, 분자량은 10.26 kDa이었다. 프로모터내에는 TATA box와 전사개시부위인 TAAG 염기가 발견되었다. poly (A) signal부위인 AATAAA염기서열은 3'-말단상류의 65염기부위에 위치했다. p10단백질의 N-말단은 소수성이었으며, C-말단은 고도로 친수성이었다. p10단백질에는 cysteine, histidine, tryptophane, tyrosine, glutamine, asparagine잔기가 없었다. The sequences of p10 gene its promoter of Hyphantria cunea NPV we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equence analysis, the putative p10 gene ORF has 285 bp. The 5'-non-coding leader sequence of the p10 gene promoter contained the TATA box and the putative transcription initiation site TAAG motif. Poly (A) tail signals, AATAAA sequence was at site 65 base upstream from the 3' terminus.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 of p10 protein was 95 with a predicted molecular weight of 10.26 kDa. In the p10 protein sequence, a hydrophobic region was present at the N-terminus of the protein, whereas the C-terminus was highly hydrophilic. The p10 protein of H. cunea NPV did not contain cysteine, histidine, trytophan, tryptophane, tyrosine, glutamine and asparagine residues.

      • 데이터 마이닝을 이용한 입원 암 환자 간호 중증도 예측모델 구축

        박선아(Park Sun-A) 대한종양간호학회 2005 Asian Oncology Nursing Vol.5 No.1

        Back ground : Nurses now occupy one third of all hospital human resources. Therefore, efficient management of nursing manpower is getting more important. While it is very clear that nursing workload requirement analysis and patient severity classification should be done first for the efficient allocation of nursing workforce, these processes have been conducted manually with ad hoc rule.<br/> Purposes : This study was tried to make a predict model for patient classification according to nursing need. We tried to find the easier and faster method to classify nursing patients that can help efficient management of nursing manpower.<br/> Methods : The nursing patient classifications data of the hospitalized cancer patients in one of the biggest cancer center in Korea during 2003.1.1- 2003.12.31 were assessed by trained nurses.<br/> This study developed a prediction model and analyzing nursing needs by data mining techniques. Patients were classified by three different data mining techniques, (Logistic regression, Decision tree and Neural network) and the results were assessed.<br/> Results : The data set was created using 165,073 records of 2,228 patients classification database. <br/> Main explaining variables were as follows in 3 different data mining techniques.<br/> 1) Logistic regression : age, month and section. <br/> 2) Decision tree : section, month, age and tumor.<br/> 3) Neural network : section, diagnosis, age, sex, metastasis, hospital days and month.<br/> Among these three techniques, neural network showed the best prediction power in ROC curve verification. As the result of the patient classification prediction model developed by neural network based on nurse needs, the prediction accuracy was 84.06%.<br/> Conclusion : The patient classification prediction model was developed and tested in this study using real patients data. The result can be employed for more accurate calculation of required nursing staff and effective use of labor force.

      • KCI우수등재

        숲 공간유형별 특성에 따른 치유효과 분석 - 심리적 회복감과 만족도를 중심으로 -

        박선아,이명우,Park, Sun-A,Lee, Myungwoo 한국조경학회 2016 韓國造景學會誌 Vol.44 No.4

        최근 치유환경으로서 자연경관에 대한 연구는 의료환경과 산림분야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치유환경에 대한 연구들은 건물 내 자연요소 도입이나 자연경관 조망과 같은 단순한 설정을 통한 긍정적인 치유효과를 나타내는 데에 머무르고 있어, 치유환경설계의 근거로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치유환경설계시 과학적 근거를 기반으로 하는 근거중심설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치유환경과 치유효과 사이의 관련성을 찾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표적 치유환경인 숲의 공간유형을 자연형 숲길, 조성형 숲길, 자연형 쉼터, 조성형 쉼터로 나누고, 각 공간의 주요이미지, 심리적 회복감과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프로그램 SPSS 18.0 for Windows의 요인분석, 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1) 자연형 숲길은 5가지의 회복감 요인 중 벗어남, 적합성과 이해용이성을, 조성형 쉼터는 매혹감과 짜임새를을 통해 심리적 회복감을 주며, 2) 치유환경의 심리적 회복감은 흥미로운, 밝은, 생기있는, 아름다운 이미지가 높을수록, 분산된 이미지가 낮을수록 높아지고, 3) 심리적 회복감 요인은 벗어남, 짜임새 순으로 숲 공간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 결과는 숲 공간유형에 따른 치유환경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치유공간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와 지침 설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In recent years, natural healing space studies have been done in health care and forestry. However,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healing effects of natural elements in interior space or natural landscape view. And there is a limit to using the evidence for healing space desig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ypes and effects of healing space for evidence-based design.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mayor images, psychological restorativeness, and satisfaction to identify the effects and differences of natural trail, designed trail, natural shelter, and designed shelter by types of forest space. Collected data is analyzed with a factorial analysis, valiance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SPSS 18.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mong five factors consisting psychological restorativeness, natural trail can be achieved with 'being away' and 'compatibility' and designed shelter can be achieved with 'fascination' and 'coherence'., 2) Psychological restorativeness values higher in images with higher excitement, brightness, vitality, and beautifulness as well as in images with lower level of disorder., 3) Among five factors consisting psychological restorativeness, higher forest satisfaction can be achieved with a higher level of 'being away' and 'coherence'. In conclusion, this study contributes to providing fundamental information for design guidelines of healing spaces through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healing environment by types of forest space.

      • 국내 열차제어시스템의 용어 정의에 관한 연구

        주훈(Ju-Hun Park),김희식(Hui Sik Kim),홍상아(Sang-A Hong),장선영(Sun Young Jang) 한국철도학회 2015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5 No.10

        국내 운영중인 고속 및 간선철도 신호시스템은 자동열차제어장치(Automatic Train Control), 자동열차정지장치(Automatic Train Stop), 자동열차방호장치(Automatic Train Protection)로 분류할 수 있으며, 2003년부터 유럽표준 열차제어시스템(ETCS Level 1)을 도입하여 기존 자동열차정지장치(ATS)에서 자동열차방호장치(ATP)로 개량하였다.그러나 철도 신호시스템에 사용되는 용어가 명확히 정의되지 않아 ETCS Level 1과 동일한 시스템을 의미하는 ATP, 지상 및 차장설비에 적용되는 장치의 ATP, 신호업체에서 제작하는 제품을 지칭하는 ATP와 같이 다양한 의미로 쓰이고 있어 사용자 간 혼선이 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사용중인 열차제어시스템 용어를 검토하고 혼용되는 단어 정의에 도움이 되고자 국내 철도 신호시스템 분야에 맞는 용어를 제안하였다. Train signaling system in domestic high speed and main line railway has operated Automatic Train Control(ATC), Automatic Train Stop(ATS), and Automatic Train Protection(ATP). As European Train Control System(ETCS) Level 1 has been introduced since 2003, ATS has been upgraded with ATP. However, the various meanings of the term cause confusing because it of the train signaling system was not clearly defined. For example, ATP means that one is equal performance with ETCS Level 1. Another is wayside and on-board ATP device. The other is a product manufactured by the supplier. In this paper review terms of domestic train control system and we suggest to be helpful to define appropriate term.

      • KCI등재후보

        다문화가족 한국인 남편의 일상생활 스트레스 인지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인아(Park, In A),윤정수(Yoon Jung Soo),지선(Park, Ji Sun),김정숙(Kim, Jung Suk),나카지마 카즈오(Nakajima, Kazuo)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2 사회과학연구 Vol.5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스트레스-평가-대처 이론을 기초로 외국인 여성과 결혼한 한국인 남편의 일상생활에 대한 스트레스가 아내와의 연령차, 아내의 한국어 습득수준, 남편의 월수입 그리고 결혼지속정도와 한국인 남편의 정신건강과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2009년 C도 여성정책개발원이 다문화가족 한국인 남편을 대상으로 실시한 ‘다문화가족의 일상생활문제에 관한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모형의 주요 변수에 모두 응답한 총 242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남편의 일상생활 스트레스(아내에 대한 부정적 감정, 가족 및 이웃에 대한 부정적 감정, 경제적 압박감) 인지를 매개변수로 하고 GHQ-12로 측정한 정신건강을 종속변수, 아내와의 연령차, 부인의 한국어 습득상황, 남편의 월수입, 결혼지속기간을 독립변수로 하는 인과관계모형의 데이터에 대한 적합성을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남편의 일상생활 스트레스 인지가 남편의 소득수준 및 아내의 한국어 습득수준과 남편의 정신건강과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남편의 일상생활 스트레스 인지의 세 가지 하위요인별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경제적 압박감 요인만이 소득수준과 정신건강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다문화가족 한국인 남편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은 국제결혼으로 인한 지역사회 또는 가족이나 아내와의 갈등보다 경제적 어려움임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if the stress perception of Korean husbands who married foreign wives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ge gap with wives, Korean language level of wives, monthly income of husbands, continuance of marriage and mental health of the husband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Survey on everyday life of multicultural families’ by C District of Korean Women’s Policy Development Institute in 2009 was used. The data from the total 242 people who answered all major variables of research model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Stress perception of the husbands in their everyday lives (negative feeling toward their wives, negative feeling toward family and neighbors and financial pressure) was set as media variables, mental health measured by GHQ?12 was set as dependent variable, and the age gap between husband and wife, Korean proficiency of wives, monthly income of husband and period of marriage we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appropriateness of data of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 model was analyzed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 From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stress perception of husband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husband’s monthly income, wife’s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nd husband’s mental health. When the mediation effect of three sub?factors in stress perception of husbands was reviewed, only financial pressure was prove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come level and mental health. Through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that policy supports should be made to improve their financial power in order to maintain or promote mental health of Korean husbands in multicultural families.

      • 경장영양을 공급받는 중환자의 위 잔여량 현황 조사

        영옥 ( Young Ok Park ),강은희 ( Eun Hee Kang ),소정 ( So Jung Park ),민아 ( Min A Park ),윤소윤 ( So Yoon Yoon ),김승란 ( Seung Lan Kim ),정윤 ( Jeong Yun Park ),정영선 ( Young Sun Jung ),홍석경 ( Suk Kyung Hong ),예병덕 ( 한국정맥경장영양학회 2009 한국정맥경장영양학회지 Vol.2 No.1

        Purpose: High gastric residual volumes (GRVs) are known to be one of the frequent causes of stopping enteral nutritio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gastric residual volume status in critically ill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intensive care units. Methods: The subjects were 96 critically ill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the ICU at ASAN Medical Center between October 1, 2008 and March 31, 2009. The measured volumes were categorized in 50 ml intervals from 0 to 500 ml. Results: Of the total GRVs measured, 46% were <50ml. The patients with a GRV ≥50 ml were 54% and 4% had a GRV ≥250 ml, whereas none of the patients` GRVs were ≥500 ml. When admitted to the hospital,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APACHE 2 score and the gastric residual volume. This shows that the higher the APACHE2 score was the gastric residual volume. And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APACHE 2 score and the loss of calories. This shows that the higher the APACHE 2 score was the loss of calories. Conclusion: The gastric residual volume of the critically ill patients under enteral nutrition in our hospital was not higher than that presented on the guidelines from the US and Canada. In addition, there was a big difference in the gastric residual volume among the critically ill patients depending on their clinical characteristics. Strict criteria for the gastric residual volume could be a factor for inhibiting proactive enteral nutrition. (KJPEN 2009;2(1):24-29)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