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웰니스의 학술적 연구 동향 : 한국웰니스학회지를 중심으로
차광석(Cha, Kwang-Suk) 한국웰니스학회 2017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2 No.3
이 연구의 목적은 2006년부터 2016년까지 10년 동안의 한국웰니스학회지에 게재된 논문 705편을 분석하는 것이다. 수집된 논문들은 웰니스 영역별 게재 논문의 편수, 키워드, 연구방법, 연구대상 등을 빈도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한국웰니스학회지의 게재논문들은 사회적 · 지적 웰니스, 정신적 · 감정적 웰니스, 신체적 웰니스 등으로 3가지 웰니스 영역에서 균형을 유지하고 있었다. 2009년까지의 학술지는 자연과학적 연구방법의 논문이 큰 비중을 차지했으나 2012년 이후 인문 · 사회과학적 연구방법의 논문 숫자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문 · 사회과학적 연구는 설문지 기법이, 자연과학적 연구는 실험적 방법이 주를 이루고 있었으며, 대부분이 인간연구(human study)라는 것이 특징이다. 주요 키워드는 신체적 웰니스 영역에서 신체조성/체력/비만/신체활동, 사회적 · 지적 웰니스 영역에서 여가만족/고객만족 등의 빈도가 가장 많았으며, 정신적 · 감정적 웰니스 영역에서 우울/스트레스 등의 빈도가 월등히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은 대학생, 연령 제한없음, 20~40대 성인, 노인 등의 순으로 높게 분포하고 있었으며, 중학생과 유아/초등학생의 비율은 낮게 나타났다. 한국웰니스학회지는 웰니스 영역에서 인간의 삶과 직접 관련된 웰니스를 주제로 한 논문들이 더 게재될 수 있도록 하여 웰니스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학술적 가치를 높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705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Wellness for 10 years from 2006 to 2016. The collected papers were analyzed frequency, number of articles, keywords, research method, and study subjects by wellness area.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ublished papers in the Journal of Wellness maintained balance in three wellness areas: social and intellectual wellness, mental and emotional wellness, and physical wellness. By 2009, the number of papers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research method increased after 2012, although the papers of the natural science method accounted for a large portion of the journals until 2009.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researches are questionnaires and natural sciences researches are experimental methods, and most of them are human studies. The major keywords in the social and intellectual, in the physical and in the mental and emotional area were leisure satisfaction / customer satisfaction, body composition / physical fitness / obesity / physical activity, and frequency of depression / stress, respectively. The order of distribution of the subjects was college students, no age restriction, 20-40 adults, and the elderly, whereas the distribution rate of middle school students,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cluding infants were low. The Journal of Wellness should be able to publish more research papers directly related to human life in the wellness area. In addition, it need to increase academic value to be applied to the wellness field.
맹해영(Maeng, Hae-Yeong) 한국웰니스학회 2021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6 No.4
본 연구는 웰니스 관광 클러스터 모델을 2개의 과정으로 개발하였다. 하나는 ‘스타 웰니스 관광 클러스터 진화 모델’이고, 나머지 하나는 ‘웰니스 관광 자원과 웰니스 관광 연계 산업 간에 클러스터를 구축하는 모델’이다. 본 연구의 연구 자료는 ‘한국형 웰니스관광 클러스터 모델’이고 해외에서는 오스트리아의 ‘웰니스 클러스터 티롤 모델’이다. 웰니스 구성요소에 대한 자료는 NWI의 웰니스 구성요소와 Dunn, H.의 웰니스 구성요소이며 웰니스 구성요소에 대한 기초자료는 유엔 세계보건기구(WHO)의 ‘건강에 관한 정의’에서 수집하였다. 분석도구로는 델파이 기법에 의한 의견 수렴과 대안 제시 및 이해도 조사를 실시하였고 26명의 전문가 집단이 참여했다. 웰니스 관광자원 간의 클러스터 진화 모델 1단계는 한 단위의 웰니스 자원을 보유한 기업이 다른 한 단위를 보유한 웰니스 관광 기업 간에 클러스터를 구축하는 단위 간 웰니스 관광 클러스터 구축이고, 2단계는 두 단위 이상의 웰니스 관광 자원을 보유한 기업이 다른 단위의 웰니스 자원을 보유한 기업과 클러스터를 구축하는 확장 웰니스 관광 클러스터이다. 그리고 3단계는 웰니스 기업이 웰니스 관광자를 독립적으로 유인할 수 있는 자원을 보유한 기업이 스타 웰니스 관광 기업으로 진화하여 스타기업 웰니스 관광 클러스터를 구축하는 모델이다. 웰니스 관광자원과 웰니스 관광 연계 산업간의 클러스터 구축은 1단계로 웰니스 관광 자원 보유 기업과 웰니스 관광 지원 기업간의 클러스터 구축이고, 2단계로 웰니스 관광 자원 보유 기업과 지역관광 자원 보유 기업 및 관리기관간의 클러스터 구축이다. 3단계는 웰니스 관광자원과 네트워크 기업 및 기관간의 클러스터 구축이고, 4단계는 웰니스 관광 자원 보유 기업간에 클러스터 모델과 지역 웰니스 자원과 연계된 자원을 보유한 기업 및 기관간의 클러스터를 통합하는 웰니스 관광 클러스터 통합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웰니스 관광 자원을 발굴하고 육성하여 웰니스 관광 스타기업으로 진화될 수 있는 로드맵을 제시하고 진화과정에서도 웰니스 관광 연계산업과의 클러스터 구축으로 웰니스 관광 산업이 지역산업을 견인하는 효과를 거두는데 있다. This study developed the wellness tourism cluster model in two steps. One is the ‘star wellness tourism cluster evolution model’ that builds a cluster between resources of the wellness tourism cluster, and the other is the ‘model that builds a cluster between the wellness tourism resource and the wellness tourism related industry’. The research data is the ‘Korean-style wellness tourism cluster model’ and abroad, the Austrian wellness cluster Tyrol model. As an analysis tool, opinions were collected using the Delphi technique, alternative suggestions and understanding were conducted, and a group of 26 experts participated. The first stage of the cluster evolution model among wellness tourism resources is the stage in which a company with one unit of wellness resource builds a cluster between companies with another unit. The second stage is an extended wellness tourism cluster in which a wellness enterprise with two or more units of wellness tourism resources establishes a cluster with a company with different units of wellness resources. And the 3rd stage is a model in which a wellness company evolves into a star wellness tourism company that has the resources to independently attract wellness tourists. The first step is to build a cluster between the wellness tourism resource and the wellness tourism related industry, and the second step is to build a cluster between the wellness tourism resource company and the wellness tourism support company. am. The third stage is the establishment of a cluster between wellness tourism resources and network companies and institutions, and the fourth stage is a model that integrates the cluster model among companies with wellness tourism resources and the cluster between companies and institutions with resources linked to local wellness resour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roadmap that can evolve into a wellness tourism star company by discovering and nurturing wellness tourism resources. Also, in the evolution process, the wellness tourism industry has the effect of leading the local industry by establishing a cluster with the wellness tourism related industry.
스마트 헬스 케어 서비스가 웰니스와 직무열의에 미치는 효과
조상리(Cho, Sang-Lee) 한국웰니스학회 2023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8 No.1
본 연구는 스마트 헬스케어 서비스 이용고객 302명을 대상으로 스마트 기기 사용이 개인의 웰니스와 궁극적으로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주요 결과는 첫째, 건강관심도가 높을수록 스마트 헬스 케어 서비스 사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마트헬스 케어 서비스 사용은 신체적 웰니스와 정신적 웰니스에 모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신체적 웰니스와 정신적 웰니스는 직무열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신체적 웰니스의 영향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다음의 시사점을 제공한다. 먼저, 관리적 시사점으로 오늘날 많은 사람들은 일상에서 건강한 신체와 정신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고 결과적으로 이는 조직에서 개인의 직무에 대한 태도 즉 직무열의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무엇보다도 관리자는 조직구성원들의 신체적 건강에도 관심을 가져야 되는 이유를 제시하는 것으로 조직내 안전을 유지하는 환경과 함께 구성원들의 건강증진 프로그램이나 안전관리 프로그램 등의 마련에 깊은 관심을 가져야 하겠다. 이론적 시사점으로 본 연구는 웰니스의 유용성을 확장하기 위해 다양한 직종을 포함하였다. 이는 간호, 스포츠, 호텔, 교육 분야 등 특정 직무에 한정된 선행연구의 한계를 보완하는 것으로 웰니스의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기존 웰니스 연구들은 웰니스와 직무성과 간의 초점을 두고 있는데, 본 연구는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개인의 태도 즉, 직무열의를 중심으로 조직구성원의 신체적 및 정서적 웰니스가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이는 선행연구를 발전시킨 것으로 특정 직무에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으로 내부마케팅 관점에서 종업원 관리를 위한 하나의 요소로 웰니스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smart device use on individual wellness and ultimately job engagement for 302 smart healthcare service users. The main results were first, the higher the health interest, the higher the use of smart health care services. Second, the use of smart health care services had a positive effect on both physical and emotional wellness. Finally, physical wellness and emotional wellnes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job engagement, and in particular, the effect of physical wellness was higher. These results provide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as a managerial implication, many people today have a lot of interest in a healthy body and mind in their daily life, and as a result, it shows that an individuals attitude toward work in an organization, that is, job engagement can be improved. Above all, this suggests the reason why managers should pay attention to the physical health of members of the organization, and is deeply interested in the organization of an environment that maintains safety in the organization in terms of hardware and in the preparation of health promotion programs or safety management programs for employees in software. As theoretical implications, this study included various occupations to expand the usefulness of wellness. This supplements th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limited to specific jobs such as nursing, sports, hotel, and education fields, and can be usefully used to generalize wellness research results. In addition, existing wellness studies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ellness and job performance. In this study,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members physical and emotional wellness focusing on individual attitudes that can affect job performance, that is, job engagement, was verified. This is a development of previous research, and it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job, but in general, it is intende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wellness as a factor for employee manag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nal marketing.
학령기 아동의 웰니스(Wellness) 하위요인 및 발달궤적에 대한 종단연구
장유진(Jang, Yu-Jin),권윤정(Kwon, Yun-Jeong) 한국웰니스학회 2016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1 No.3
이 연구는 학령기 아동의 웰니스의 하위요인을 구성하고 통계적 검증을 통해 웰니스 하위요인의 종단적 관계, 웰니스의 발달적 변화에 따른 부모변인, 개인변인과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 아동·청소년의 웰니스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교차지연모형을 통해 살펴보았을 때 초등학교 고학년에 웰니스가 높았던 아동은 시간이 지나도 꾸준히 높은 웰니스 점수를 보여 웰니스의 초기발달이 중요함을 보여주었다. 셋째, 인지적 웰니스는 공통체적 웰니스와 신체적 웰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정적 양육은 웰니스 초기치와 변화율에 영향을 미쳤으며, 웰니스의 초기치와 변화율은 중학생의 성적과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 이 연구는 아동의 건강을 웰니스의 관점에서 개념화하고, 종단적 자료 검증을 통하여 웰니스의 하위요인 간의 인과적 방향 및 발달궤적, 웰니스 영향요인의 관계를 밝혔다는 의의가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sub-factors of wellness, the developmental trajectory of wellness, the influence on wellness of individual and parent related factors in school-aged children. There were 1,821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e five times of the Korean Youth Panel Survey. Data was analyzed with correlations, cross-lagged modeling and latent growth modeling.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wellness of school-aged children is decreased with the passage of time. Second,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ub-factors of wellness, were stable lasting over time. Third, cognitive wellness appeared to affect physical wellness and communal wellness. Fourth, parenting affected the initial level and change in wellness, the initial level and change in wellness had an effect on school grade and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sub-factors of wellness, the developmental trajectory of wellness, the influence of parent-related and individual factors. This results were confirmed that it can help the child to reach the optimum height for each area of the health wellness.
한·중 우수 여자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의 무릎 관절 등속성 근력 비교
전용균,김선영,진선유 한국웰니스학회 2022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7 No.2
본 연구는 한국 여자 쇼트트랙 선수와 중국 여자 쇼트트랙 선수의 무릎 관절의 등속성 능력을 비교 분석하고, 여자 쇼트트랙 선수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데이터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중국 헤이룽장성 팀의 여자 쇼트트랙 선수(n=10)와 한국 우수 여자 쇼트트랙 선수(n=10)였다. 무릎 관절의 등속성 근육 기능 측정 장치는 Cybex HUMAC NORM이며, 각 측정 변수의 측정 결과와 그룹별 측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대근력의 오른쪽 신근력과 굴근력은 한국선수집단이 더 크게 나타나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p<.05)(p<.05), 최대근력의 왼쪽 신근력과 굴근력은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 최대근력의 오른쪽, 왼쪽 신근력과 굴근력은 한국선수집단이 더 크게 나타났으나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평균파워의 오른쪽과 왼쪽 신근력과 굴근력은 한국선수집단이 더 크게 나타나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p<.05)(p<.05)(p<.05). 상대 평균파워 오른쪽 신근력과 굴근력은 한국선수 집단이 더 크게 나타났으나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집단간 유의한 차이는 오른쪽 굴근력에서만 나타났다(p<.05).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isokinetic strength of knee joints of Korean female short track speed skaters and Chinese female short track speed skaters, and to present data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female short track speed skat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emale short track speed skating players(n=10)and Korean female short track speed skating players(n=10) of Heilongjiang Province team in China. The isokinetic muscle function measurement device of knee joint is Cybex HUMAC NORM, and the measurement results of each measurement variable and the measurement results by group are as follows. First, The right extensor and flexor of maximal strength were larger in the Korean athlete group, indicating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p<.05)(p<.05), but the left extensor and flexor of maximal force were significant between groups. It appear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The right and left extensor strength and flexion strength of the relative maximal strength were larger in the Korean athlete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Second, The average power of right and left extensor and flexion strength was larger in the Korean athlete group, indicating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p<.05)(p<.05)(p<.05)(p<.05). The relative average power of the right extensor and flexion strength was greater in the Korean athlete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was found only in the right flexion strength(p<.05).
한지영(Han, Ji-Young),주성희(Chu, Sung-Hee) 한국웰니스학회 2018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3 No.4
본 연구는 작곡가 최영섭의 가곡 분석을 통해 그의 웰니스적 예술관과 음악어법을 고찰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작곡가 본인과의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여 작품분석의 기초로 삼았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최영섭은 작품 활동 초기에 서양의 인상주의적 음악어법을 주로 사용하였고, 이후 방송매체를 통해 급속도로 인기를 얻으며 대중적인 공감을 자아내는 곡들을 많이 작곡하였다.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는 민족의 정감을 담은 작품에 뜻을 두고 한국의 전통 장단과 민요선율 등의 민속적 음악요소를 사용함으로 가곡을 통한 한국적 정서와 문화의 표출을 위해 노력하였다. 그는 1950년대 후반으로부터의 사회적 혼란기 속에서 실의에 빠진 국민들에게 가곡을 전파함으로써 예술적 공감과 동시에 가곡의 대중화 또한 끌어냈으며 현 시점에서 그의 작품을 대중성이 아닌 웰니스적 예술관의 시점으로 재조명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연구는 향후 한국가곡의 위치를 재정립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wellness artistic view and musical expression of composer Choi Youngseop by analyzing his Art song To this end,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the composer, based on which his work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n the early days of his work, Choi mainly used the musical expression of Western Impressionism. Later, he rapidly gained popularity popular through broadcasting media and wrote many pieces that won the sympathy from the public. In the 2000s, he tried to express Korean sentiments and culture through Korean Art song to include the emotions of the people in his work by using folk elements such as traditional Korean rhythms and folk song melodies. Since the late 1950s, he spread Korean art song to the people who were disheartened by the social turmoil at the time, which led to the activation of Korean art song. At this point of time, it is necessary to shed new light on his works from the perspective of wellness artistic view rather than popular appeal.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help redefine the position of Korean art song in the future.
중년기 성인의 지각된 건강상태,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건강관리 자기효능감이 웰니스에 미치는 영향
양승경(Yang, Seung-Kyoung),이혜린(Lee, Hye-Rin),정연주(Jung, Yeon-Ju) 한국웰니스학회 2021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6 No.4
본 연구는 중년기 성인의 웰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C시에 거주하는 40-64세의 성인 138명을 대상으로 2021년 4월 22일에서 5월 7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중년기 성인의 웰니스는 3.39±0.41(범위 1-5점)이였으며, 웰니스는 지각된 건강상태(r=.47, p<.001), 사회심리적 스트레스(r=-.31, p<.001), 건강관리 자기효능감(r=.57,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웰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건강관리 자기효능감(β=.47, p<.001), 지각된 건강상태(β=.28, p=.001)로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38.2%였다. 따라서 중년기 성인의 웰니스 향상을 위해서는 건강관리 자기효능감과 지각된 건강상태를 증진시키기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investigation study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wellness in middle-aged adults. Data were collected using online survey during April 22 to May 7, 2021, targeting 138 adults aged 40 to 64 living in city C.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ѐ test, Pearson’s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 23.0 program. As a result, the mean wellness of middle-aged adults was 3.39±0.41, and wellness was correlated with perceived health status (r=.47, p<.001), psychosocial stress (r=-.31, p<.001), and health self-efficacy (r=.57, p<.001). The factors affecting wellness were health self-efficacy (β=.47, p<.001), perceived health status (β=.28, p=.001).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was 38.2%.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programs to improve health self-efficacy and perceived health status in order to promote wellness in middle-aged adults.
설수황 ( Soo Hwang Sul ),김동기 ( Dong Gi Kim ) 한국여가웰니스학회 2013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 Vol.4 No.1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해 한국 남자골프의 40년 역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독립 이후, 한국 사회는 외세로부터 빼앗겼던 환경을 재건하는데 있어서 큰 향상을 기대하였다. 80년대와 90년대에 새로 형성된 골프 대회의 우승 상금은 국내 프로 골프 대회의 부활을 증가 시켰다. 21세기 이후 골프대회는 급성장하게 되었고, 더 높은 수준에 도달했다. 이처럼 한국 골프대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많은 선수들이 국내대회와 국제대회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이러한 한국 남자 프로골퍼의 선전은 세계프로골프 무대에서 한국 남자골퍼들의 위상을 높임과 동시에 국위선양에도 크게 기여했다. 또한, 국내 골프 계의 발전은 물론 국민적 관심을 확산시키면서 골프의 저변확대와 골프 대중화를 가져오는 결정적 계기가 되었다. 따라서 우리나라 골프 대중화에 앞서 골프역사를 제대로 이해하고 골프에 대한 편견 없는 사회인식을 형성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일 것이다. 더 나아가서 골프가 정신적, 육체적인 건강을 위해 얼마나 유용한 스포츠인가를 이해하면서 생활 스포츠로서 활용하고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done in order to recognize the history of men golf of 40 years, by using the sources such as news papers, magazines, books, and was drawn to a conclusion. After the restoration of independence, the Korean society was being rebuilt by the sources from foreign forces and anticipates improving in deprived environments. In the 80s and 90s, the winning prize for newly formed golf tournaments increased, which it was the revival of Korean professional golf tournament. After the 21st century the traditional golf tournaments were rebounded and many new ones were formed, which their size and quality reached to a higher level. The Korean tour is in its puberty era that many players now actively play in both foreign countries and the mother land. Having demonstrated great capability in the world pro golf tournament, the Korean pro golfers not only enhanced national prestige but also upgraded the status of Korean male golfers to a higher level. In addition, they contributed in the development of golf in South Korea and increased South Korean citizens` level of interest in golf: they definitely provided an opportunity to popularize the sport. Thus, before golf becomes even more popular in South Korea, clear understanding of golf and creation of a social recognition with no prejudice about golf is the most important job given to everyone. Furthermore, while understanding the fact that golf is a useful sport that benefits both mental and physical health, one should apply the usefulness of golf in real life and contribute in the development.
최형욱,이종건 한국웰니스경영학회 2014 한국웰니스경영연구 Vol.2 No.1
우리는 유럽의 경우 200여년 만에 성취한 산업화와 민주화의 업적을 50여년도 채 안 되는 시간에 이뤄낸 대단한 민족이다. 그러나 그 성과를 이루어낸 주역들인 한국의 노동자는 너무나 피곤에 절어 있다. 하지만 OECD 국가 중 가장 긴 노동시간이라는 기록을 가진 한국의 부끄러운 현실을 국가나 기업, 노동자 누구도 돌파할 의지가 약해 보인다. 후기 신자유주의의 조짐이라 불릴 수도 있을 장기불황의 터널 안에서 이 땅의 노동자들은 초과 근무수당이라는 눈앞의 이익과 쉬어야 할 시간을 맞바꾸며 수명을 단축시키고 있다. 그 결과 산재 사망률 역시 OECD 1위라는 기록을 갖고 있다. 더욱이 최근의 글로벌 경기침체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미래에 대한 불안감으로 강한 정신적 압박까지 겪고 있다. 이런 스트레스와 압박감은 나이와 상관없이 거의 모든 연령층이 겪고 있는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어 자살률 세계1위라는 오명으로 나타난다. 이처럼 건강을 위협하는 여러 요소들은 급격한 노령화와 함께 현재 한국의 지속가능성을 위협하고 있음이 2011년에 발표된 ‘AIA 건강생활지수’라는 조사결과를 통해서도 드러난 바 있다. 한국인은 자신의 건강에 대한 만족도가 10점 만점 중 5.9점으로 15개 아태 지역 조사 국가 중 최하위를 기록했다. 그러면서도 아태지역 평균 49%보다 훨씬 높은 수치인 64%가 규칙적인 운동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OECD 가입국 중 가장 긴 근로시간이라는 사실과 규칙적인 운동을 할 만한 시간적 여유가 없다는 것으로 상호 연결되는데서 예견된 문제다. 무엇보다 심각한 성인병으로 이환될 수 있는 운동부족 및 생활습관성 질환들은 평소 생활 속에서 관리해야 만성화를 예방할 수 있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따라서 직장인은 가능한 한 자신의 근무환경 안에서 스스로의 건강에 더 많은 관심을 쏟고 실천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직장인의 건강증진을 위한 현실적 대안으로 우선 직장인들이 현재 시행중인 ‘근로자 지원 프로그램’ EAP(Employee Assistance Program)를 활용하여 적극적인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을 행동으로 옮길 것, 직장인들의 정신건강증진 프로그램의 외부 전문가 단체와의 연계 지원강화를 요망하는 동시에 기업별로 건강경영지수를 도입하고 측정하여 발표할 것과 국내의 풍부한 산림자원을 활용한 산림 휴양 및 각종 자연치유 프로그램의 도입, 기업 내 감정조절교육 및 건강교육 강화, 산업안전교육에서 건강관련 내용을 대폭 추가할 것을 제안한다. As the realistic alternative measures for the improvement of the employees' health status, following plans and activities are suggested to be implemented and strengthened; First of all, it is suggested to support the employees for putting their concerns on health into positive actions by utilizing EAP(Employee Assistance Program) which is in practice now. It is necessary to increase assistances for connecting the employees with the outside professional groups available according to the mental health improvement programs. In addition, it is suggested to implement, measure and announce the health management indexes(Wellness Index) by individual companies. Forest Therapy & various natural healing programs are also suggested to be implemented by utilizing the abundant domestic forest resources. And strengthening emotional & health education in companies, sharp increasing of health related contents for the industrial safety education are suggested. Wellness is generally used to mean a healthy balance of the mind, body and spirit that results in an overall feeling of well-being. Wellness can also be described as "the constant, conscious pursuit of living life to its fullest potential." Wellness programs allow individuals to take increased responsibility for their health behaviors. People often enroll in a private wellness program to improve fitness, stop smoking, or to learn how to manage their weight. Workplace wellness programs are recognized by more and more companies for their value in improving health and well-being of their employees. These programs cover smoking cessation programs, forest therapy, nutrition; weight; or stress management training, nature and outdoors activities, health risk assessments, and health screenings.
조은기 한국웰니스경영학회 2013 한국웰니스경영연구 Vol.1 No.1
최근 한·미 FTA 발효와 한·중 FTA 추진 사전 협상 등 글로벌 시대 세계는 자국의 이익에 따라 자유무역 협정을 맺고 있다. 그러나 한국의 경우 늘 농업분야는 피해대책을 강구해야만 했고 국내 산업간 정부와 농업인간 갈등이 존재해왔다. 한국 농업은 과연 글로벌 시대 길은 없는 가? 여기에 길을 열어보고자 한다. 그 동안 미국, 캐나다, 멕시코, 브라질, 일본, 중국, 인도, 스페인, 네덜란드, 뉴질랜드, 북한, 프랑스, 영국, 말레이시아, 태국, 오스트리아, 독일, 체코, 폴란드, 캄보디아, 베트 남,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 30개국을 방문하거나 조사하여 농업 정책과 인력, 기술 현장의 과제를 토대로 조망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