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종양전문간호사의 역할규명을 위한 연구*

        김민영,박성애 대한종양간호학회 2003 Asian Oncology Nursing Vol.3 No.1

        1. 결론 종양전문간호사의 역할에 대해 종양전문간호사 및 암환자전담간호사 그룹, 암전문병동의 수간호사 및 책임간호사 그룹, 암전문병동의 일반간호사 그룹, 혈액종양내과교수 그룹의 네 그룹 모두 실무전문가의 역할을 가장 우선적으로 수행할 것을 제시하였다. 대상자 그룹별로는 종양전문간호사 및 암환자전담간호사 그룹과 평간호사 그룹, 혈액종양내과교수 그룹은 실무전문가, 교육자, 연구자, 자문 및 협진자, 행정 및 변화촉진자의 순으로, 수간호사 및 책임간호사그룹은 실무전문가, 교육자, 자문 및 협진자, 연구자, 행정 및 변화촉진자 순으로 답하였다. 종양전문간호사 및 암환자전담간호사 그룹의 간호영역별 수행도를 각 역할영역에 대해 대상자의 50% 이상이 수행하고 있는 간호행위의 비율로 보면, 실무전문가(59.0%), 자문 및 협진자(47.0%), 교육자(44.4%), 행정 및 변화촉진자(33.3%), 연구자(28.6%)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종양전문간호사 및 암환자전담간호사 그룹이 기대했던 역할별 필요도와 차이가 있으며, 나머지 그룹이 기대하는 역할과도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실무전문가의 간호행위는 네 그룹 모두 가장 높은 필요도와 수행도를 보여 주고 있어, 모든 그룹이 실무전문가의 필요성을 가장 높게 제시했던 것과 일관된 결과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의사의 협력 또는 감독 하에 약물을 처방한다.’와 ‘암환자의 검사결과를 해독한다.’, '협진팀 회의나 진료과의 회진에 참여한다.’, ‘고위험군과 고위험 지역사회를 명백히 파악하고, 건강증진, 암 예방을 위한 검색, 조기발견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전략을 수립한다.’의 네 항목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교육자의 간호행위에 대해 종양전문간호사 및 암환자전담간호사 그룹은 모든 항목에 4.0 이상의 필요도를 제시하고 있었다.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시행한다.’와 ‘교육요구, 임상에서의 우선순위와 조직의 자원을 기초로 한 계속교육을 계획, 조정하고 수행한다.’, ‘암환자, 건강전문가, 지역사회의 교육적 요구를 사정한다.’, ‘학생간호사, 일반간호사, 그리고/또는 관련 분야의 구성원에게 암환자 간호에 대한 강의를 한다.’의 항목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연구자의 간호행위에 대해 모든 간호사 그룹은 연구의 수행 및 임상 적용, 다학제간 연구에의 참여, 연구 결과물의 평가 등에 대한 항목에 모두 높은 필요도를 나타냈지만, 다섯 가지 역할 중 수행도는 가장 낮게 나타났다. ‘임상연구설계를 평가하고, 연구과정이 원활하게 진행되는지 주의 깊게 관찰한다.’, ‘논문제출이나 발간을 통하여 종양간호에 대한 연구결과를 학술지에 게재한다.’, ‘종양간호에 대한 연구 시 윤리적, 법적인 문제를 고려한다.’, ‘임상적으로 상관관계가 있는 종양연구 방법과 결과들을 교육과정으로 통합한다.’, ‘임상실험에 참여하고 있는 암환자들을 관리한다.’, ‘진료과의 종양임상연구 자료를 관리한다.’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종양전문간호사 및 암환자전담간호사 그룹의 대상자 중 14개의 간호행위를 모두 수행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경우도 있었다. 자문 및 협진자로서의 역할은 조혈모세포이식과 관련된 항목에서 높은 필요도를 나타내고 있었다. ‘암환자를 위한 지지그룹과 관련된 자문에 응한다.’, ‘암환자 및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에게 다양한 방법(전화상...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nd propose the expected role of the oncology nurse specialist by embodying role theory to oncology nurse specialist. * Nurs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E-mail : musemy2@snu.ac.kr) ** Professor,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Nursing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49 persons in 14 hospitals, who were classified to 4 groups, oncology nurse specialists(ONS) group, head nurses and charge nurses(HN & CN) group in hemato-oncology ward, registered nurses(RN) group in hemato-oncology ward, and hematologists & oncologists(H&O) group. The questionnaire which was consisted of 89 items for role of oncology nurse specialist, was made by researcher with a field study and literature review about role of oncology nurse specialist and verified by matrix delphi technique about content validity and construct validit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22, 2002 to November 5, 2002. All 4 groups proposed that ONS should perform an expert practitioner role first of all. But ONS group, RN group and H&O group proposed orderly expert practitioner, educator, researcher, consultant, and administrator & change agent, but HN & CN group did expert practitioner, educator, consultant, researcher, administrator & change agent. Expert practitioner had the most highest necessary degree in all groups and most highest performance degree in ONS group. That was consistent with results that all groups proposed role of expert practitioner at first. 4 items out of 20 items showed the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groups. For role of educator, oncology nurse specialist group proposed necessary degrees over 4.0 point out of 5.0 in all items. 4 items out of 18 items showed the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groups. For role of researcher, 3 nurses groups proposed a high necessary degree, but performance of ONS group was most lowest among 5 roles. 6 items out of 14 items showed the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groups. The role of consultant had high necessary degree in some items related to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2 items out of 17items showed the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nursing behaviors of administrator & change agent, those items about enacting principle, cost development and participation of professional academy had a high necessary degree. 4 items out of 18 items showed the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groups. Oncology nurse specialists group performed 5 roles orderly, expert practitioner, consultant, educator, administrator & change agent, researcher. This result was different from expected role of themselves as well as the other groups. There was a different necessary degree between role and embodied nursing behaviors of role. ONS group and RN group proposed orderly educator, researcher, administrator & change agent, expert practitioner, consultant, but the other groups did educator, expert practitioner, researcher, consultant, administrator & change agent. The expected standards of oncology nurse specialist in this study were usually master's degree, total career of 5-7 years, oncology career of 3-5 years and certification. But for the post, qualification and qualification institution, various opinions were suggested. In the conclusion, there was a different necessary degree between role and embodied nursing behaviors of role. All groups proposed expert practitioner at first in abstract role, but educator at first in embodied nursing behaviors of role. So we have to consider this difference carefully in the future research. ONS acted the role of expert practitioner first of all, but we should develope and expand the roles of researcher, and administrator & change agent. We should enact roles by role behaviors induced from mutual agreements in necessary degree and performance degree, and bargain the role behaviors that showed the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groups But, we should consider carefully which group's opinion we have to select. I suggested 36...

      • KCI등재후보

        간호사를 위한 종양유전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최경숙,장은실(Jang, Eun Sil),전명희,정지영,박정애 대한종양간호학회 2010 Asian Oncology Nursing Vol.10 No.2

        Purpose: Advancing genetic knowledge for oncology nurses is especially important in Korea because physicians have launched to incorporate genetic risk assessment and genetic testing into their practice.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first academic cancer genetic risk assessment and counseling course for Korean nurses. Methods: Thirty-five nurses were recruited and educated from June 8 to 14, 2006 in Seoul, Korea. Two measurement tools were used:‘knowledge about the hereditary breast and ovarian cancer (HBOC)’ and ‘knowledge about the cancer genetics’. Results:Students’ score of knowledge about HBOC at pre-education was 12.22±2.23, and after education, it increased to 13.62±1.76. This chang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3.253, p= .003). The score of knowledge about cancer genetics at pre-education was 11.31±3.44, and after education it has increased to 16.17±1.94. It also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6.92,p=.000). Conclusion: This program was effective to be a starting point for establishing genetic educational planning for the oncology nurses in Korea. This academically-based course is recognized as valuable by oncology nurses. With this new knowledge, nurses can begin to expand their role in delivering comprehensive cancer care services in Korea. 본 연구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종양유전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 후 지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시도된 단일군 전후 원시실험설계(one-group pretest-posttest preexperimental design)이다. 연구대상은 본 프로그램을 수강한 대상자 총 35명으로, 교육이 시행되기 전 사전조사를 실시하고 교육 후 사후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 PC 12.0을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종양유전교육 프로그램이 유전성 유방암에 대한 지식(HBOC)에 미치는 효과를 보면 사전 조사에서 지식점수는 12.2±2.23점에서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 후 지식점수는 13.6±1.76점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여(t=-3.253, p=.003) 종양유전교육 프로그램이 유전성 유방암에 대한 지식을 증가시키는데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종양유전교육 프로그램이 종양유전지식도(KCG)에 미치는 효과를 보면 사전조사에서 지식점수는 11.3±3.44점에서교육 프로그램에 참여 후 지식점수는 16.2±1.94점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여(t=-6.920, p=.000) 종양유전교육 프로그램이종양유전지식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이상의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의 종양유전교육 프로그램이 간호사들의 지식을 증가시켰으나 좀 더 많은 표본수와 통제군을 설정하여 반복연구할 것을 제언한다. 둘째, 본 교육과정은 국내에서 최초로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종양유전교육 프로그램을 시행 후 효과를 본 연구로 지속적으로 운영하면서 수정과 보완을 통해 효율적인 종양유전 교육프로그램으로 발전 시켜야 한다. 셋째, 본 교육과정은 단기 종양유전 교육프로그램으로 종양유전 전문 간호 인력의 배출을 위해 간호학과 교과과정에 유전학과 유전상담 내용을 포함시켜야 한다. 넷째, 임상에서 유전상담에 참여하고 있는 간호사의 실질적인 경험을 확인하기 위한 질적 연구를 병행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혈액종양 관련 국내 간호연구 분석

        김형순(Kim, Hyoungsoon),반자영(Ban, Ja Young),윤지연(Yoon, Jee Yeon),나영희(Na, Young Hee),전진영(Jeon, Jin-Young),여순미(Yeo, Soon-mi),유지연(Yoo, Ji Yeon) 대한종양간호학회 2010 Asian Oncology Nursing Vol.10 No.2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analyze themes, concepts, research methods and results of previous domestic research on the nursing of hematologic patients conducted through the last 10 yr, to find trends in the research, and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setting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on the nursing of hematologic patients. Methods: This study analyzed a total of 72 nursing theses related to hematology sampled from domestic theses for a master’s or doctoral degree and papers published in six nursing journals registered in Korea Research Foundation from January 2000 to July 2009. Results: Of the 72 theses, 51 were for a master’s degree, 7 for a doctoral degree, and 14 not for an academic degree. The concept covered most frequently in correlation research was ‘quality of life’ and concepts found in comparative research were stress and quality of life. In experimental research, the most common nursing intervention was oral care. The scale used most frequently was Spielberger’s Anxiety Scale.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expand experimental research applying nursing interventions, and to use objective physiological indexes for more effective assessment in experimental research. Furthermore, interdisciplinary research is required for enhancing the quality of clinical nursing research. 본 연구는 2000년 1월부터 2009년 7월까지 발표된 국내 석,박사 간호학위 논문과 한국 학술 진흥재단에 등재(등재 후보지포함)된 간호학 학술지 6개에 발표된 간호학 논문 중 혈액종양관련 연구 72편을 대상으로 하였다. 1) 혈액종양 관련 국내 연구의 출처는 석사학위 논문 51편,박사학위 논문 7편, 비학위 논문 14편으로, 비학위 논문은 종양간호학회지 6편, 아동간호학회지 4편, 임상간호연구 3편, 정신간호학회지 1편이었다.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64편으로10편을 제외하고는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이었고,치료유형으로는 조혈모세포 이식환자 대상이 34편, 항암화학요법 환자 대상이 30편이었다. 환자 이외의 대상자로는 암환자가족이 4편, 간호사 3편, 골수 공여자가 1편이었다. 2) 연구 설계는 양적연구가 65편으로 실험연구가 18편, 비실험 연구가 47편이었다. 실험연구는 17편이 유사 실험연구였으며, 비실험 연구는 조사연구가 20편으로 가장 많고 다음이 상관관계 연구 13편, 방법론적 연구 8편, 비교연구 6편 순이었다. 질적 연구는 총 7편으로 현상학적 연구 5편, 근거 이론 연구 1편, 문화기술지 1편이었다. 3) 상관관계 연구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개념은 삶의 질이었으며, 그 외 자가간호행위, 우울, 희망, 건강신념, 피로 등이 사용되었다. 4) 비교연구에서 나타난 개념은 스트레스, 삶의 질, 불안, 오심, 구토였다. 5) 방법론적 연구는 모두 8편으로 치료단계별 간호중재 프로토콜, 동종 조혈모세포이식환자의 삶의 질, 조혈모세포이식환자 가족의 요구사정, 조혈모세포이식병동 성과측정지표, 동종조혈모세포이식 공여자 간호 표준 임상지침서, 조혈모세포이식 간호업무표준 및 간호활동이 있었다. 또한 교육자료 개발에관한 연구로 조혈모세포이식 환아 가족 교육자료, 조혈모세포이식환자 교육지침서 개발이 있었다. 6) 실험연구에서 간호중재는 구강간호가 6편으로 가장 많았고, 손, 발, 등 마사지가 각 1편, 지시적 심상요법이 2편이었다. 7) 질적 연구는 7편으로 현상학적 연구 5편, 근거 이론 연구1편, 문화기술지 1편이었다. 연구주제는 재발경험, 청소년기 암환자의 경험이나 심리사회적 적응, 조혈모세포이식환자의 직계 간호 제공자의 경험 등이었다. 8) 측정도구는 대부분 외국의 도구를 번안하여 수정, 보완하여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용된 측정도구는 Spielberger의불안이 11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Eilers, burger & Peterrsen 의 구내염과 이순교의 삶의 질이 각각 5편에서 사용되었다.

      • KCI등재후보

        일부 대학생의 암 발생요인에 대한 지각과 암 관련 건강행위

        신계영,주미경 대한종양간호학회 2010 Asian Oncology Nursing Vol.10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cancer risks, cancer related health behavior, and perception of cancer occurrence possibility before and after age 40. Methods: The subjects were 771 college students who were conveniently selected from two colleges in the Gyeonggi Provinc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12.0. Results: The mean score of cancer risk perception was 3.8. The highest score item was ‘smoking may cause cancer’. The mean score of cancer related health behavior was 3.0. The highest score item was ‘take bath or shower’. Student felt that possibility of developing cancer before age 40 was 20.1% and that after age 40 was 36.2%. The perception of cancer risk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male and female, and the health behavior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age groups. There were weak relationships between the perception of cancer risks and cancer related health behavior. Conclusion: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cancer risks was mostly good, but their behavior to reduce the risks did not match the degree of perception. Students recognized that after age 40 has a higher risk of developing cancer, therefore,intervention on behavioral modification to reduce cancer risks would be beneficial. 본 연구는 일부 대학생의 암 발생요인에 대한 지각과 암 관련건강행위, 지각된 40세 이전 및 40세 이후 암 발생가능성을 확인하고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경기도에 소재한 2개 전문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800명을 대상으로 임의표집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09년 5월 10일부터 30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총 771명의 대상자로부터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WIN 12.0을 이용하여실수,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 t-test, Pearson’s correlation를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암 발생요인에 대한 지각은 평균 3.8점이며‘흡연은 암을 발생할 수 있다’는 항목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암은 전염된다’는 항목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암 관련건강행위는 평균 3.0점으로‘목욕이나 샤워를 한다’는 항목이가장 높았으며,‘ 땀이 날 정도의 적당한 운동을 한다’는 항목이가장 낮게 나타났다. 지각된 40세 이전 암 발생가능성은 평균20.1% (20.03), 지각된 40세 이후 암 발생가능성은 평균 36.2%(24.74)로 나타났다. 암 발생요인에 대한 지각은 성별에 따라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암 관련 건강행위는 나이에 따라 유의한차이가 있었으며, 지각된 40세 이전 및 40세 이후 암 발생가능성은 성별과 주위에 암환자 유무에 따라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암 발생요인에 대한 지각과 암 관련 건강행위, 암 발생요인에 대한 지각과 지각된 40세 이후 암 발생 가능성 간에는 낮은 순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암 관련 건강행위와 지각된 40세 이전 및 이후 암 발생가능성 간에는 낮은 역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지각된 40세 이전 및 이후 암 발생가능성 간에는 높은 순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대학생의 암 발생요인에 대한 지각은 대체로 높았으나 암 관련 건강행위는 지각에 비해 낮아, 교육을 통한 암발생요인에 대한 지각을 높이는 것 뿐 아니라 암 예방을 위한 건강행위 증진을 위한 중재가 필요하겠다. 또한 암을 효과적으로예방하기 위해 올바른 생활습관과 식습관을 갖도록 성장과정에서 좀 더 체계적인 교육이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현재와 같이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교육과 함께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한 전반적인 발암 원인에 대한 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으며, 현재 국가암정보센터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암 관련 정보를 누구나 접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홍보가 계획되어야 하겠다. 또한 대학생들이 규칙적인 운동을 시행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144 종양간호학회지 10 (2), 2010년 8월을 개발하고 꾸준히 운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전략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경기도 일부 대학의 학생을 임의 표집하여 자료수집한 결과이므로 일반화하는데 제한이 있으며 질문지를 이용하여 자가보고한 자료를 분석한 것이므로 정확한 측정이 되었다고 보기에는 제한점이 있다. 그럼에도 일부 대학생의 암 발생요인에 대한 지각과 암 관련 건강행위 정도를 파악한 점에서 추후 일반인을 대상으로 암 관련 교육을 실시하고 효과적인 건강행위를 위한 전략을 개발할 때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의의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소아암 환아 가족의 간호 요구도와 간호 만족도

        박은정(Park, Eun Jung),정정희(Jeong, Jeong Hee),진성례(Jin, Seong Rye),조은주(Cho, Eun Joo),김주연(Kim, Ju Youn),신지현(Shin, Ji Hyun),허명은(Hur, Myung Eun),서민정(Seo, Min Jung),차은경(Cha, Eun Kyung),노기옥(Noh, Gie Ok) 대한종양간호학회 2017 Asian Oncology Nursing Vol.17 No.2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nursing needs and satisfaction of pediatric cancer patient families during chemotherapy. Method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April to July 2016 using the questionnaire of nursing needs and satisfaction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in 123 families of children who were diagnosed with pediatric cancer and undergoing chemotherap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ANCOVA using the SPSS 22.0 program. Results: Nursing needs and satisfaction were 4.27 ± 0.78 and 4.16 ± 0.57, respective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nursing need and satisfaction were observed in the educational/informational domain (t=3.94, p=<.001) and community resources nursing domain (t=2.16, p=.032). Also, in terms of general characteristics, the nursing need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elapsed time after diagnosis (t=1.98, p=.049), and the nursing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treatment (F=4.02, p=.009).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hen caring for children who are receiving chemotherapy and their fami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s that meet the individualized nursing needs of those directly and indirectly affected.

      • KCI등재

        암생존자 관리와 종양간호사의 역할

        박은영 대한종양간호학회 2022 Asian Oncology Nursing Vol.22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view is to explore the role of oncology nurses in cancer survivorship care by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cancer survivors and cancer survivor management models. Methods: This review focused on a search of the related prior literature to identify the role of oncology nurses in the cancer survivor management system, and assessing the current status in Korea and abroad. Results: Life as a cancer survivor is the longest part of the cancer journey. Cancer survivor health management involves both cancer-related health problems and general health problems, and is a time in which the health management entity shifts from medical institutions to the local community. Cancer survivor management led by medical institutions has limitations when it comes to the overall management of cancer survivors. In particular, nurse-led management can be effective for the management of cancer survivors in the chronic stage.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cancer survivor care capabilities of oncologists, such as planning and operating cancer survivor management programs, and to establish administrative and legal roles.

      • KCI등재

        Prioritization of Research Topics of Korean Oncology Nurses

        Lee, Eun-Hyun(이은현),Chung, Bok Yae(정복례),Chun, Nami(전나미),Oh, Pok Ja(오복자),Cho, Soo-Yeon(조수연) 대한종양간호학회 2013 Asian Oncology Nursing Vol.13 No.4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rioritization of research topics by Korean oncology nurses. Methods: A descriptive and cross-sectional survey was conducted via the website of the Korean Oncology Nursing Society, with participation sought by email from all of its members. Results: Overall, ‘pain’ and ‘quality of life’ were the most important among the 74 topics, ‘cancer prevention’ was ranked 47th, while ‘informatics’ and ‘telehealth’ were ranked 62nd and 72nd, respectively. Korean oncology nursing research needs to be expanded to include community-based cancer prevention. In addition, research on informatics and telehealth in the oncology nursing area is necessary given the current dramatic changes in the implementa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in medical services. Conclusion: These findings may contribute toward the development of a Korean oncology nursing research agenda and the provision of information to funding agencies with respect to setting the priorities of oncology nursing research.

      • KCI등재후보

        죽음준비교육 참여군과 비 참여군의 삶의 의미 및 죽음에 대한 태도 비교

        강경아 대한종양간호학회 2010 Asian Oncology Nursing Vol.10 No.2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meaning in life and death attitude between the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of the well-dying education program. Methods: This study adopted the descriptive comparative design. Data were collected by interviewing 85 participants and 94 non-participants of well-dying education.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a self-report questionnaire. Results: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gender, marital status, health status,and volunteer experience. 2) The program participants showed higher scores of the death attitude than non-participants. 3)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meaning in life and death attitude in participant group. 4) Death attitud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eaning in life in participant group with 6.0% variance.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well-dying education program was effective to prepare good death with more comprehensive vision. Therefore this program should be served for patient who have life-threatening illness by nurse and this is the expended role of oncology and hospice palliative nurses. 본 연구는 죽음준비교육 참여군과 비 참여군의 삶의 의미와죽음에 대한 태도를 비교하는 조사연구이다. 참여군은 서울시S대학교에서 주최하는 죽음준비교육에 참여한 86명이었으며,비 참여군은 웰다잉 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는 사회교육원 수강생 94명이었다. 측정도구는 Choi 등16)의 생의 의미도구와 Chang17)의 죽음에 대한 태도 도구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Chi-square test, t-test, ANOVA, Duncan 사후검정,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죽음준비교육 참여군은 비 참여군보다 나이가 많았고,여성이 많았으며, 기혼자가 적었으며, 질병이 있는 경우와 자원봉사 경험이 더 많았다. 둘째, 죽음준비교육 참여군의 죽음에 대한 태도는 비참여군보다 긍정적이었으나 삶의 의미는 두 군간의 차이가 없었다. 셋째, 삶의 의미는 죽음준비교육 참여군에서 기혼자, 건강상태가 건강하거나 매우 건강한 경우에, 질병이 없는 경우에 높았으며, 비 참여군은 종교와 자원봉사 경험이 있는 경우에 높았다. 죽음에 대한 태도는 참여군과 비참여군 모두에서 건강상태가 좋은 경우, 질병이 없는 경우에 긍정적이었으며, 비 참여군은 남성이 여성보다 긍정적이었다. 넷째, 죽음준비교육 참여군의 삶의 의미와 죽음에 대한 태도는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다섯째, 참여군의 죽음에 대한 태도를 설명하는 주요 변인은삶의 의미로 설명력은 6.0%이었으며, 비 참여군은 성별로서설명력은 4.7%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죽음준비교육 참여군은 비참여군보다 죽음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었으며, 삶의 의미가죽음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중, 노년층 대상자들이 죽음준비교육을 통해 삶에서 의미를 발견하고 자신의 죽음을 회피하고 두려운 것이 아닌 적극적으로 준비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생각하면서 죽음을 준비하는것에 대해 긍정적인 시각을 갖게 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 KCI등재

        수술을 받은 암 환자가 인식하는 환자중심 간호 질

        왕금현(Wang, Keum Hyun),박은영(Park, Eun Young) 대한종양간호학회 2021 Asian Oncology Nursing Vol.21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quality of patient-centered nursing care by cancer patients who were hospitalized for operation. Methods: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research. The subjects were 171 cancer patients who received operation. The quality of patient-centered care was measured including individualization, proficiency, responsiveness, and coordination. Results: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was 56 years, and the subjects comprised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and breast cancer patients. The quality of patient-centered nursing care perceived by cancer patients was 5.18 ± 0.81. The education level was a meaningful variable to the quality of patient-centered nursing care by multivariate analysis ( p=.020). Conclusion: The quality of patient-centered nursing perceived by cancer patients was high in individualization, proficiency, and responsiveness, and relatively low in coordination. The difference in nursing staffing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perception of the quality of nursing. We propose studies for the recognition of oncology nurses in the quality of patient-centered nursing and the development of strategies that can provide patient-centered nursing to improve the quality of oncology nursing.

      • Educational Strategies for Informative and Supportive Patient Education for Oncology Patients and Their Families: a Literature Review

        Yoon Soo-Jin(윤수진) 대한종양간호학회 2006 Asian Oncology Nursing Vol.6 No.1

        목적: 종양환자 및 가족을 위한 환자교육의 필요성은 건강 돌봄의 중심이 완치의 개념에서 삶의 질 개념으로 바뀌어 감에 따라 더욱 대두되고 있다. 이들을 위한 환자교육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환자와 가족들의 교육선호 양상과 일치하는 교육적 전략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종양환자와 가족들의 교육선호와 일치하는 효과적인 교육적 전략의 기초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방법: 본 문헌고찰은 컴퓨터 데이터베이스에 수록된 1990년에서 2002년에 출간된 선행연구 결과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결과: 종양환자와 그 가족은 의료전문인과의 대화, 책자, 시청각 및 인터넷 매체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정보를 구하였으며, 이러한 교육 요구 및 선호 양상은 다양한 요인에 따라 매우 개별적이었다. 또한 이들의 교육 준비상태는 질병 경험의 정신·사회적 수용 상태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결론: 다양한 교육 방법을 활용한 개별적 접근이 종양 환자와 가족을 위한 환자교육에 적절할 것이며, 이들의 교육 준비상태와 일치하는 환자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질병에 대한 정신적 적응과 수용상태를 지속적으로 사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