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한국형 산악철도의 선로설계기준 제안에 대한 연구

        박성현(Sung-Hyun Park),문지호(Jiho Moon),정혁상(Hyuk-Sang Jung) 한국철도학회 2018 한국철도학회논문집 Vol.21 No.4

        현재 개발되고 있는 한국형 산악철도 시스템은 자연환경 훼손 최소화를 위하여 철도전용 선로가 아닌 기존 산악도로를 활용하는 방식이다. 이에 따라 한국형 산악철도는 자동차와 공용운행을 위한 매립형 궤도가 채택되었으며, 선로는 급경사뿐만 아니라 급곡선을 빈번하게 경험하게 된다. 또한, 한국형 산악철도는 기존 도로를 따라 운행을 하게되므로 일반철도에서 규정하고 있는 평면 및 종곡선 규정을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도로 및 철도 설계기준을 분석하고 현재 개발되고 있는 한국형 산악철도의 성능 및 제원을 근간으로 캔트, 평면곡선반경 및 길이, 완화곡선, 종곡선, 슬랙을 포함하는 한국형 산악철도 선로선형기준(안)을 제안 하고자 한다. A new type of mountain railway system (Korean Mountain railway) has been developed. Instead of construction of new railroads in the mountain, this Korean mountain railway system uses existing vehicle roads to minimize environmental damage. Thus, the embedded track system is adopted for mixed car and train operation. Also, railroad frequently meets steep gradients and sharp curves. Plane and vertical curve specifications for ordinary train must be checked for use in this new mountain railway system, because the curves in car roads are different from those for trains. In this paper, alignment design criteria for car roads and railways were analyzed first. Then, design specifications for Korean mountain railroad alignment were proposed considering Korean mountain train properties and car road details in mountainous areas.

      • KCI등재

        동아시아 고속철도의 현황과 발전에 관한 연구- 한국, 중국, 일본을 중심으로 -

        이용상,정병현 한국철도학회 2020 한국철도학회논문집 Vol.23 No.9

        South Korea has grown in various aspects, including increased transportation volume and regional development;significant changes brought by high-speed railways to the lives of the Korean population have been widely recognized. Japan and China, countries adjacent to South Korea, are also operating high-speed railways, which have brought significant changes to people’s lives as well. In this paper, the status of Korea’s high-speed railway will be examined by comparing it to those of Northeast Asian countries, which are well known for population density and concentrated economic zones. The high-speed railways of the Northeast Asian countries were constructed to expand new routes, improve the speed of existing lines, and connect marginalized areas of countries by increasing capacity of existing lines. The Gyeongbu high-speed railway in Korea was constructed to increase the capacity of existing lines, and the Honam high-speed railway was built for regional development and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Similarly, in the cases of Japan and China, construction of new lines was aimed at enhancing economic growth and balancing development of the country by connecting marginalized regions. In this paper, the status of Korean high-speed railways will be examined by comparing various factors of South Korea, Japan (which opened the world’s first high-speed railway), and China, which has the longest high-speed railway in the world. 한국고속철도는 2004년 4월 1일 개통되어 이제 16년이 지났다. 세계 5번째로 개통된 고속철도 운영국가로서 우리나라는 수송량 증가와 지역발전 등 여러 가지 면에서 성장하였으며 생활 속에서 고속철도가 가져온 변화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와 인접하고 있는 일본과 중국도 각각 고속철도를 개통하고 운영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다양한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인구가 조밀하고 경제권역이 밀집된 동아시아국가들의 고속철도와 비교를 통해 우리나라 고속철도의 위상을 점검해 보고자 한다. 한국과 중국, 일본의 고속철도는 기존선의 용량포화로 새로운 노선건설, 기존선 속도 향상, 소외된 지역과의 연결 등의 목적으로 건설되었다. 우리나라 경부고속철도의 건설은 기존 경부선의 용량포화, 호남고속철도의 건설은 지역개발과 국토 균형 발전의 성격이 강하였으며, 일본과 중국의 경우도 기존선 용량 포화로 새로운 노선을 통한 경제성장과 소외지역을 연결하여 국가의 균형 발전을 도모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세계에서 가장 먼저 고속철도를 개통한 일본과 세계 가장 긴 고속철도노선을 보유하고 있는 중국과 다양한 요인들에 대한 비교를 통해 한국 고속철도의 위상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

        철도 안전관리체계 개선방안 연구 – 신뢰성 분석을 중심으로

        이찬우(Lee, Chan Woo),구병춘(Goo, Byeong Choon),강중철(Kang, Jung Chul) 한국도시철도학회 2021 한국도시철도학회논문집 Vol.9 No.1

        국토교통부는 철도안전법 제7조의 “안전관리체계의 승인”규정에 따라 철도운영기관이 철도안전법에서 정한 안전관리 기준에 맞게 철도안전관리체계(SMS)를 갖추고 있는지를 관리하는 임무를 한국교통안전공단에 위임하여 매년 정기·수시 검사를 시행하게 하여 승객이 안심하고 철도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철도안전법에 따라 국내 모든 철도운영기관은 철도안전관리체계를 수립하고 승인을 받아 운영하고 있으나 아직 개선할 부분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요 운영기관의 철도안전관리체계 중 신뢰성 중심 유지보수 (RCM) 부분에 관련된 내용에 대한 현황분석을 통해 RCM 분석체계 수립, RCM 업무 프로세서, 그리고 RCM 분석용 데이터 관리방안에 대한 개선책을 제시하였다. Based on the Railway Safety Act,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through Korea Transportation Safety Authority, supervises railway operating institutions to establish a railway safety management system (SMS) in accordance with safety management standards set by the railroad safety act. On behalf of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the Korea Transportation Safety Authority performs regular checks and checks based on SMS to ensure the safety of railways passengers. According to the Railroad Safety Act, all domestic railroad operating institutions have established railroad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operate with approval, but there is still room for improvement. In this study, we have reviewed the railway safety management system of major domestic operating institutions and presented some improvements about reliability centered maintenance.

      • 한국 철도역사 건축디자인 개선을 위한 해외 지침 사례연구

        강혁진(Hyuk-Jin Kang) 한국철도학회 2016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6 No.10

        본 연구는 한국 철도역사 건축디자인 개선을 위한 해외 철도역사 건축디자인 지침의 사례연구로 미국과 영국의 디자인지침을 중심으로 한국의 설계기준과 비교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미국 암트랙의 철도역 프로그램과 계획 가이드라인(2013)과 영국 네트워크 레일의 철도역 설계 원칙(2015)을 사례분석의 대상으로 삼고 한국철도시설공단의 철도설계지침 및 편람과 비교하여 그 차이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해외 디자인 지침은 현대 철도건축의 지닌 도시 건축적 중요성과 기술의 발전에 맞추어 디자인의 질적 향상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으며 그 내용을 한국 설계기준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한국 철도건축설계기준 개선을 위하여 통합적 디자인 원칙 마련이 요구되고, 이용수요 중심의 철도건축유형 재정립, 그리고 철도건축설계 프로세스의 지침화가 필요하다. This is a case study of overseas railway station design guidelines for the improvement of Korean railway design and focused on the US (Amtrak’s Station Program and Planning Guideline, 2013) and UK (Network Rail’s Station Design Principles, 2015) railway design guidelines. This study is aim to compare these two guideline with Korean design guideline and to find the differences and potential values. Both of two guidelines have indicated design principles for the design improvement which is adapted to the current urban architectural importance of railway station and the advanced technologies. As a result, for the improvement of design quality of Korean railway station, the Korean design guidelines need to set up integrated design principles, to re-categorize the building types based on the user-demand and to designate the design process in the design guideline.

      • KCI등재

        한국근대기 철도공장의 건축적 특성에 관한 연구

        이상행(Sang-Haeng Lee) 한국철도학회 2009 한국철도학회논문집 Vol.12 No.6

        한국의 철도공장은 철도도입과 함께 설립되었고 근대기 산업건축의 중심이 되었다. 한국 철도공장의 대표적 사례인 용산공장에는 근대기 건물이 다수 현존하는데, 특히 규모를 잘 보존하고 있어 이를 중심으로 근대기 건물의 건축적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의 철도공장은 입지조건이 적합한 곳에 건립되었고, 작업공정에 따른 시설 배치, 각각의 용도와 기능에 따른 독특한 구조 및 단면· 입면의 형태를 갖고 있고 철골구조와 철근콘크리트 구조를 적극 도입하여 구조적 변환기로서의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철도공장이 한국 근대 공장건축의 초기적 특성을 갖고 있고 한국 근대기의 산업건축유산으로써, 중요한 가치를 지닌 과제임을 밝히려 한다. Korea’s Rolling stock workshop were established with the introduction of a railway, and became the center of industrial construction in the modern age of Korea. There still exist a lot of Rolling stock workshop buildings in the Youngsan Rolling stock workshop, the representative case of Korean Rolling stock workshop, and especially the study aims to look into modern architectural properties centered on those well-preserved buildings. Korea’s Rolling stock workshop were built considering the proper conditions of location such as the neighboring districts from the port to transport vehicles and materials, the place where railroad lines are centralized, the short returning distance of railroad cars for entry and departure, and had the facility layout according to the order of a working process of vehicles, and the unique structure and the section · facade shape with proper functions and sizes according to each purpose. In particular, they actively adopted steel-frame structure and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and came to have the initial characteristics of Korea’s modern industrial building which is called the structural transi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highlight the importance of Rolling stock workshop including the Youngsan Rolling stock workshop as industrial architecture heritage in the modern age of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