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최인훈의 <구운몽>에 나타난 그로테스크 양상과 문학치유 가능성

        도수영 한국문학치료학회 2020 문학치료연구 Vol.55 No.-

        이 논문에서는 최인훈의 <구운몽>에 나타난 그로테스크 양상과 그것이 가지는 문학치유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인간은 이성적으로 해명할 수 없는 부조리한 상황에 놓여 있다. 즉 무질서의 세계 안에서 마음속에 자리 잡은 명석을 찾으려는 필사적인 기원이 계속되어 이 양자가 대치하고 있는 것이다. 이렇듯 실존에 전제된 고통을 인지하는 것이 비극적 세계인식이다. 그리고 낯설고 섬뜩한 느낌의 재현을 의미하는 그로테스크는 무의식적 억압과 공포를 내재한 채 삶을 이어가는 인간에게 발산을 통한 극복의 방식으로 등장했으며 시대에 따라 의미가 변화해왔다. <구운몽>에는 이러한 그로테스크적 정향이 드러나 있다. <구운몽>은 세 층위의 중층구조로 이루어져 있는데 인과관계가 낮은 환각과 망상이 맥락 없이 이어진다. 또한 층위 간 개연성도 낮아서 하나의 서사로 줄거리를 잡기가 간단치 않다. 이러한 <구운몽>은 혼란과 공포의 정치적 상황을 견디는 한 지식인으로서 강박적 의식을 분출하고자 하는 저자의 자기치유 욕망이 내재된 서사로 해석될 수 있다. 나아가 독자는 무의식을 자극하는 그로테스크한 서사를 수용함으로써 무의식적 억압을 발산하고 해소하는 과정을 통해 치유를 위한 발걸음을 내딛게 된다. This paper examined the grotesque and the possibility of the healing power of the grotesque through Choi In-hun’s “Guunmong.” Humanity is in a contradictory situation of existing in chaotic world that cannot be explained rationally and the desperate search for finding clarity deeply seated in the mind. As such, the tragic worldview recognizes the suffering presupposed on the existence of man, and the grotesque signifies the reproduction of unfamiliar and eerie feelings. This has emerged as a way of prevailing in life for man who inherently embodies unconscious repression and fear, which has also evolved. Such grotesque inclinations are evident in “Guunmong.” The novel is composed of three layers that are discrete where hallucinations and delusions continue without context forming little relevance between the layers, making it difficult to construct a single narrative. It is plausible that the author had embodied an innate desire of self-healing through unbridling the compulsive consciousness as an intellectual who endured confusing and oppressive political situations. The grotesque narrative, stimulating the unconsciousness of the reader, is embraced, which then allows them to take a step toward the healing process of releasing unconscious oppression.

      • KCI등재

        오정희의 「저녁의 게임」에 나타난 헤테로토피아 양상 연구

        도수영 ( Doh Soo-young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8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74

        이 논문에서는 오정희의 「저녁의 게임」에 나타난 헤테로토피아 양상과 그것이 가지는 서사적 의미를 고찰하였다. 헤테로토피아는 푸코의 근대 담론에 따른 공간 사유와 문학적 공간의 의미가 함축되어 있다. 달리 말하면 ‘다른 공간’을 뜻하는 헤테로토피아는 병렬적으로 분산된 공간에 대한 논의이며 이는 근대 공간의 경계와 배치에 관한 개념이다. 아울러 이 공간은 언어를 뒤얽고 전복하는 위반의 문학적 공간이기도 하다. 「저녁의 게임」에는 이러한 헤테로토피아적 정향이 드러나 있다. 「저녁의 게임」은 화자의 불안정한 심리상태에 기인한 표층 공간과 심층 공간이 혼재적으로 서사된다. 다시 말해 「저녁의 게임」에서 헤테로토피아는 화자에게 전도되고 이를 통해 화자는 기만의 일상적 공간을 중화하고 중단한다. 또한 위반의 공간 생성은 부여된 규제를 향한 저항이며 경계를 허무는 몸짓이다. 이러한 연구는 해체적 서사전략을 통해 위계질서의 위선을 드러내는 과정을 검토함으로써 문학의 윤리적 소임에 대한 작가의 지향과 방법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considered aspects of heterotopia and its narrative significance observed in "An evening game" of Oh Jung-hee. Heterotopia implies ideas of spaces and literary spaces based on the modern discourse of Michel Foucault. It is because heterotopia referring to "other spaces" is a discourse about spaces dispersed in parallel and a notion related to the boundary and placement of modern spaces. Moreover, these spaces can also be literary spaces of violation where languages are intertwined and subverted. This inclination of heterotopia is observed in the author's work, "An evening game." The narration of "An evening game" is simultaneously mixed between the surface layer space caused by unstable psychological state of the narrator and the deep space. In other words, heterotopia in "An evening game" is transmitted to the narrator, and the narrator consequently neutralizes and ceases the daily space of deception. Moreover, the generation of space of violation is considered resistance to the given regulations and a gesture destroying the boundary.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e sense that contributes to proposing a new perspective of the author's orientation and methods regarding the ethical mission of literature, by inquiring into the process of which hypocrisy of hierarchical order is revealed through deconstruction-based narrative strategies.

      • KCI등재

        오정희 소설에 나타난 무의식과 젠더 표상 연구

        도수영(Doh, Soo-young)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18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지 어문논총 Vol.- No.33

        이 논문에서는 오정희 소설에 나타난 젠더 정체성의 표상을 무의식적 층위에서 고찰하였다. 오정희 소설에서 젠더 정체성은 무의식을 반영하는 은유로 표상되고 있다. 작품 속 화자의 유년시절 상실체험은 애도의 과정을 끝내지 못하고 동일시 대상의 내면화로 이어진다. 때문에 화자는 여성으로서 젠더 정체성을 획득하지 못하고 자아 비난과 환멸의 시선을 가지게 된다. 다시 말해 아버지 상실 단계에서 어머니와의 애착과 통합을 통해 동일시 대상을 대체하는 과정을 거치지 못하고 아버지라는 초자아가 화자의 무의식에 자리 잡게 된다. 화자의 무의식에 자리잡은 남성 초자아는 상실의 분노를 자신에게 향하게 한다. 그 결과 화자는 자기비하와 여성 젠더에 대한 환멸적 시선을 가지게 된다. 그런데 그렇듯 불안하고 왜곡된 화자의 젠더 정체성은 작가의 후기작인 옛우물에서 변모한 모습을 보인다. 옛우물 은 화자의 무의식이 반영된 은유를 통해 내면화된 동일시 대상을 대체하는 서사로 변모한다. 작품에서 화자는 자신의 기억을 소환하여 해석하고 명명하면서 타자가 자리 잡은 초자아와의 분리와 주체적 젠더 정체성 형성을 모색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작가 오정희의 경험과 의식이 작품 속 화자와 연동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오정희가 창작을 통해 지속해온 여성적 자의식 탐구가 자신의 여성적 자의식과 무관하지 않다는 것을 말해 준다. This study considered the symbol of gender identity represented in the novels of Oh Jung-he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unconscious. Gender identity in her novels is represented as a metaphor reflecting the unconscious. The experience of loss of the narrator from the childhood appearing in her works fails in completion of the process of condolences, and is connected to internalization of the object of identification. For this reason, the narrator is not able to acquire gender identity as a woman and begins to build the vision of self-condemnation and self-disillusionment. In other words, the narrator cannot go through the process of replacing the object of identification through attachment and integration with her mother in the stage of losing her father, she allows the superego called “father” to be installed in her unconscious. The male superego installed in the narrator’s unconscious leads the fury of loss to be directed to herself, and creates disillusion towards female gender. Nonetheless, the unstable and distorted gender identity of the narrator changes in “The old well” written in the late stage of production of the novelist. This work “The old well” transforms into a narrative replacing the internalized object of identification through the metaphor reflecting the unconscious of the narrator. The narrator in this work recalls her memory to interpret and designate it, until she achieves to separate superego installed by other, and seeks for formation of independent gender identity. It is possible to confirm that the experience and consciousness of the writer Oh Jung-hee are closely connected with the narrator of her own work, in the middle of this process. This demonstrates that the research of female sense of identity, which Oh Jung-hee has been maintaining through her creation, is not irrelevant to female sense of identity of her own.

      • 도금사업장의 작업환경의 유해인자 노출수준에 관한 연구

        문덕환,도수영,이채관,황용식,선병관,손병철,김대환,이창희,김휘동,이채언 인제대학교 백병원 2002 仁濟醫學 Vol.23 No.5

        Objective : For the purpose of preparing the fundamental data and assessing the status of exposure level of chemical substances and physical agents. Methods and Material : Such as noise, two types of dust, four types of metals, seventeen types of organic solvents, and four types of other materials classified by specific chemical substances in 21 metal product plating factories classified by 28 processes. The author determined exposure level on those hazardous materials from Jan. to Dec. 2001. Results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exposure level for noise was exceeded to Threshold Limit Value(TLV) in the process of 6 cases of Machining, 5 and 4 cases of pre and post-buffing, and 6 cases of waterdrop-removing, the mean noise level of all of processes was not exceeded to compliance level. 2. The exposure level for dust was not exceeded to TLV at all. 3. The exposure level for Chromium(Cr) was exceeded to TLV in Chromium plating process, metal exposure level including Zinc(Zn), Manganese(Mn), and Lead(Pb) was not exceeded to TLV. 4. The exposure level of toluene in case of organic solvents was exceeded to TLV in 1 case of finishing/cleaning, coating/developing process, respectively. 5. The exposure level of four types of other materials classified by specific chemical substances were not exceeded to TLV. 6. The exposure level for dust and metal including Zn, Mn, and Pb was decreased in comparison with two results of air monitoring performed. There was no difference of the exposure level for Cr, noise, and four types of other materials classified by specific chemical substances, and the exposure level for organic solvents was slightly increased. 7. The exposure level for noise in factories employing more than 21 workers was higher than that for noise in foadtories employing less than 20 workers. The more workers, the lower exposure level in metal including Zn, Mn. The exposure level for Cr was increasing in factories employing more than 51 workers, and the more workers the lower exposure level in organic solvents. Conclusion : According to abov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positive work environment managements in processes exceeding exposure limit value as well as continuously consecutive work environment management in processes not exceeding exposure limit value and revealing no chronological difference of exposure level should be needed.

      • 도시아파트의 실내외 NO₂농도와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서병성,도수영,김인식,김정만,김준연,김성환,허윤영 동아대학교 부설 산업의학연구소 1997 산업의학연구소 논총 Vol.- No.3

        부산지역의 한 아파트 단지내 489세대를 대상으로 아파트 실내외의 NO₂농도를 측정하고 동시에 NO₂농도의 관련 변수들을 조사하여 양자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아파트 실내외의 NO₂농도는 개인용NO₂포집관(Palmes tube)을 사용하여 1995년 8월 16일 - 8월 25일(하계)과 1996년 1월 15일 - 1월 29일(동계)간에, 그리고 가스렌지 근처, 주방, 거실 및 아파트 옥외에서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각 세대의 가스렌지 근처와 주방, 거실 및 실외의 평균 NO₂농도는 하계는 각각 25.9±10.0ppb, 23.3±8.0ppb, 19.9±6.1ppb 및 19.0±6.0ppb이며, 동계는 34.5±16.8ppb, 28.2±13.4ppb, 25.3±12.5ppb 및 21.8±9.8ppb로서 동하계 공히 부엌의 가스렌지 근처의 NO₂농도가 최고이었고 하계에 비하여 동계의 실내외 NO₂농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2) 아파트 층수별 NO₂농도는 하계에는 층수에 따른 NO₂농도의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나, 동계는 16층 이상을 제외하면 층수가 높아짐에 따라 NO₂농도가 감소하였다. 3) 아파트 실내 NO₂농도의 관련변수는 하계의 경우 층수, 가족수, 1회 식사시 평균 가족수, 취사시 가스렌지 1일 평균 사용횟수, 자연 환기이었고, 동계에는 층수, 가족수, 1회 식사시 평균 가족수, 총 식사 인원수, 식사 횟수, 가족의 총 연령, 취사시 가스렌지 1일 평균 사용 횟수, 조리시 가스렌지 1일 평균 사용 횟수, 호흡기 질환자 유무 등이었다. 4) 아파트 실내 NO₂농도의 감소 방안으로는 취사 혹은 조리시 환기를 철저히 하고, 완전연소, 연소의 횟수와 시간 단축 및 연료의 대체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Nitrogen dioxide (NO₂) has been regarded as one of the main elements among air pollutants, and we measured NO₂levels of near gas range, kitchen, living room and outdoor on 489 apartments in Pusan area. NO₂were sampled by using Palmes tubes (diffusion tube sampler) during August 16-25, 1995 (summer) and January 15-29, 1996 (winter), respectively. Authors wanted to know comparison of NO₂levels in summer and winter, NO₂levels categorized by variables, and variables affected to NO₂levels. According to this study, we conducted to establish the degree of indoor-outdoor air pollution of urban apartments in Korea and methods to reduce indoor air pollu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Mean NO₂levels of near gas range, kitchen, living room, and outdoor were 25.9±10.0 ppb, 23.3±8.0 ppb, 19.9±6.1 ppb, and 19.0±6.0 ppb in summer, and 34.5±16.8 ppb, 28.2±13.4 ppb, 25.3±12.5 ppb, 21.8±9.8 ppb in winter, respectively. 2) Mean NO₂levels according to the floor level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summer, and in winter, NO₂levels were decreased as the floor levels were increasing, but those were increased above 16th floor. 3) Variables showing significant correlation(p<0.05) with NO₂levels were as follows; Summer: floor level, family size, number of family during a meal, number using gas range during rice cooking per day, and natural ventilation. Winter: floor level, family size, number of person who have been respiratory disease in a house, number of family during a meal, total number of meals, and number using gas range during rice of side-dish cooking per day. 4) We suggest that the methods of reducing indoor NO₂levels are ventilation during cooking, complete combustion, decreasing number and time of cooking, and substitution of fuels.

      • SCOPUSKCI등재

        도시아파트의 실내외 $NO_2$ 농도와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서병성,김성환,김인식,허윤영,도수영,김정만,김준연,Suh, Byung-Seong,Kim, Sung-Hwan,Kim, In-Shik,Hur, Yun-Young,Do, Sou-Young,Kim, Jung-Man,Kim, Joon-Youn 대한예방의학회 1997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Vol.30 No.3

        부산지역의 한 아파트 단지내 489세대를 대상으로 아파트 실내외의 $NO_2$ 농도를 측정하고 동시에 $NO_2$ 농도의 관련 변수들을 조사하여 양자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아파트 실내외의 $NO_2$, 농도는 개인용 $NO_2$, 포집관 (Palmes tube)을 사용하여 1995년 8월 16일 - 8월 25일 (하계)과 1996년 1월 15일 - 1월 29일 (동계)간에, 그리고 가스렌지 근처, 주방, 거실 및 아파트 옥외에서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각 세대의 가스렌지 근처와 주방, 거실 및 실외의 평균 $NO_2$, 농도는 하계는 각각 $25.9{\pm}10.0ppb,\;23.3{\pm}8.0ppb,\;19.9{\pm}6.1ppb$ 및 $19.0{\pm}6.0ppb$이며, 동계는 $34.5{\pm}16.8ppb\;28.2{\pm}13.4ppb,\;25.3{\pm}12.5ppb$ 및 $21.8{\pm}9.8ppb$로서 동하계 공히 부엌의 가스렌지 근처의 $NO_2$, 농도가 최고이었고 하계에 비하여 동계의 실내외 $NO_2$ 농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리 아파트 층수별 $NO_2$ 농도는 하계에는 층수에 따른 $NO_2$, 농도의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나, 동계는 16층 이상을 제외하면 층수가 높아짐에 따라 $NO_2$ 농도가 감소하였다. 기 아파트 실내 $NO_2$ 농도의 관련변수는 하계의 경우 층수, 가족수, 1회 식사시 평균 가족수, 취사시 가스렌지 1일 평균 사용횟수, 자연 환기이었고, 동계에는 층수, 가족수, 1회 식사시 평균 가족수, 총 식사 인원수, 식사 횟수, 가족의 총 연령, 취사시 가스렌지 1일 평균 사용 횟수, 조리시 가스렌지 1일 평균 사용 횟수, 호흡기 질환자 유무 등이었다. 4) 아파트 실내 $NO_2$ 농도의 감소 방안으로는 취사 혹은 조리시 환기를 철저히 하고, 완전연소, 연소의 횟수와 시간 단축 및 연료의 대체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Nitrogen dioxide $(NO_2)$ has been regarded as one of the main elements among air pollutants, and we measured $NO_2$ levels of near gas range, kitchen, living room and outdoor on 489 apartments in Pusan area. $NO_2$ were sampled by using Palmes tubes (diffusion tube sampler) during August 16-25, 1995 (summer) and January 15-29, 1996 (winter), respectively. Authors wanted to know comparison of $NO_2$ levels in summer and winter, $NO_2$ levels categorized by variables, and variables affected to $NO_2$ levels. According to this study, we conducted to establish the degree of indoor-outdoor air pollution of urban apartments in Korea and methods to reduce indoor air pollu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Mean $NO_2$ levels of near gas range, kitchen, living room, and outdoor were $25.9{\pm}10.0ppb,\;23.3{\pm}8.0ppb,\;19.9{\pm}6.1ppb,\;and\;19.0{\pm}6.0ppb$ in summer, and $34.5{\pm}16.8ppb,\;28.2{\pm}13.4ppb,\;25.3{\pm}12.5ppb,\;21.8{\pm}9.8ppb$ in winter, respectively. 2) Mean $NO_2$ levels according to the floor level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summer, and in winter, $NO_2$ levels were decreased as the floor levels were increasing, but those were increased above 16th floor. 3) Variables showing significant correlation(p<0.05) with $NO_2$ levels were as follows; Summer: floor level, family size, number of family during a meal, number using gas range during rice cooking per day, and natural ventilation. Winter: floor level, family size, number of person who have been respiratory disease in a house, number of family during a meal, total number of meals, and number using gas range during rice or side-dish cooking per day. 4) We suggest that the methods of reducing indoor $NO_2$ levels are ventilation during cooking, complete combustion, decreasing number and time of cooking, and substitution of fue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