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특수건강진단에 대한 근로자의 인식과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남시현,감신,박재용,Nam, Si-Hyun,Kam, Sin,Park, Jae-Yong 대한예방의학회 1995 예방의학회지 Vol.28 No.2

        특수건강진단에 대한 근로자들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조사하기 위해 대구지역의 29개 사업장에서 특수건강진단 수검근로자들에게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중 779명을 대상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건강믿음모형을 일부 변형하여, 특수건강진단에의 자발적 수검 여부와 필요성 인지를 최종적인 종속변수로 한 새로운 연구모형을 만들어서 이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특수건강진단에 대한 필요성 인지율은 77.2%, 자발적 수검율은 79.2%로 나타났다. 자발적 수검 여부에는 특수건강진단에 대한 필요성 인지, 유익성, 행동계기가 주요 영향요인으로 제시되었으며, 특수건강진단에 대한 필요성 인지에는 직업병에 대한 감수성 및 심각성, 특수건강진단에 대한 지식, 회사의 지지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직업병에 대한 감수성 및 심각성에는 성, 연령, 학력, 직업경력, 보건교육경험이, 특수건강진단에 대한 지식에는 연령, 학력, 직업경력, 질병통제위가, 특수건강진단에 대한 유익성에는 연령, 질병통제위, 건강자부심, 보건교육경험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특수건강진단에 대한 자발적 수검률과 필요성 인지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직업병 판정을 받은 사업장에서는 그 사실을 널리 알려 직업병에 대한 경각심을 높여야 하며, 특수건강진단의 결과를 근로자 본인에게 바로 통보하여야 하고, 회사의 적극성을 높이기 위해 회사간부 대상의 홍보 및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보건교육 경험이 특수건강진단에 대한 지식과 유익성, 직업병에 대한 감수성 및 심각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아, 앞으로의 보건교육은 여성, 저연령, 저학력, 저경력자 위주로 이루어져야 하고, 교육 실시 횟수를 늘이고 직업관련 내용을 더 많이 포함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더불어 특수건강진단의 결과로 인해 근로자 본인에게 불이익이 돌아가지 않도록 배려되어야 할 것이다.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workers'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special periodic health screening test for workers, a survey wit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as performed on 779 workers who had special periodic health screening test from September 1 to October 15, 1994. A study model was developed by modifying the health belief model. The end and intermediate response variables of the model were the voluntary participation and necessity perception on the special screening for workers. The result of analysis was consistent with the study model. Rates for the necessity perception and voluntary participation on the special screening for workers were 77.2%, 79.2%, respectively. Factors influencing on the voluntary participation were necessity perception, benefit of special screening for workers, and cue to action. And on the necessity perception were susceptibility and severity to occupational disease, knowledge to special screening for workers, and support of company. General and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influencing on the susceptibility and severity to occupational disease were sex, age, educational level, work duration, and health education. On the knowledge to special screening for workers were age, educational level, work duration, and locus-of-control. On the benefit of special screening for workers were age, locus-of-control, pride on health, and health education. Therefore, to increase the voluntary participation and necessity perception on the special periodic health screening for workers, 1) if a worker is judged as occupational disease, the judgment should be widely known in his workplace, 2) the screening result forms should be directly sent to the workers themselves, 3) for the positivity of employers, the campaign and education program subjected to them should be planned, 4) health education should give the first consideration to the younger, lower educational level, and newly employed women, and its frequency should be increased and it should be more frequently dealt with occupation-related subjects, and 5) the employers should have a careful concern in not being disadvantageous to workers due to result of screening.

      • SCOPUSKCI등재

        해방 이후 우리나라 산업보건관리에 관한 문헌분류 및 연구동향

        하은희,박혜숙,김영복,송현종,Ha, Eun-Hee,Park, Hye-Sook,Kim, Young-Bok,Song, Hyun-Jong 대한예방의학회 1995 예방의학회지 Vol.28 No.4

        산업보건관리영역의 범위를 정하고 이를 분류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저자들이 정의한 산업보건관리영역의 범위에 따라 분류하고 이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의견수렴과정을 거쳐 재분류하였다. 이를 토대로 해방 이후 우리나라의 산업보건관리문헌을 분류하여 연구동향을 파악하고자 정기간행물기사색인에 수록된 21종의 문헌을 분석하였으며 산업보건관리내용에 대한 우선순위 및 향후 산업보건관리 연구 방향을 조명함으로써 앞으로 산업보건관리의 방향설정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대부분의 응답자들이 산업보건을 전공하고(71.6%) 있었고, 대학에서 근무하고 있었으며(68.3%), 남자가 많았고 연령은 40세 이상이었다. 산업보건관리영역의 분류에 대찬 의견으로는 분류가 필요하다는 찬성의견이 70.0%였고 반대의견은 100.0%였다. 2. 응답자들의 의견수렴을 거쳐 재분류한 산업보건 관리영역을 크게 산업보건사법과 산업보건사업을 지지해 주는 산업보건관리체계 및 이를 평가하는데 도움을 주는 여러 가지 방법론들로 구분하였다. 3. 산업보건관리 문헌 총 510편을 연도별로 살펴본 결과 연도별로 서서히 증가하다가 1986년 이후에 급격 히 증가하고 있었으며, 학술지별 분포는 대한산업의학회지(18.2%), 한국의 산업의학(15.1%), 예방의학회지(15.1%)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 내용별로는 산업보건관리체계에 대한 연구는 33편(6.5%)에 지나지 않았으며 산업보건사업에 대한 연구가 477편(93.5%)으로 주를 이루고 있었다. 산업보건관리체계에 대한 연구는 산업보건자원체계에 대한 연구가 15편(45.5%), 산업보건재원조달체계 8편(24.2%), 산업보건관리운영체계 6편(18.2%), 산업보건조직체계 3편(9.1%), 산업보건서비스전달체계 1편 (3.0%)의 순이었으며 산업보건사업에 대한 연구는 질병관리 269편(57.2%),보건관리 116편(24.7%),작업환경관리 85편(18.1%)으로 질병관리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연구대상별로는 일반근로자 대상이 185편(71.1%)으로 가장 많았으며 여성근로자, 전문직, 서비스근로자 순이었다. 4. 산업보건관리내용의 우선순위에 대한 의견으로는 산업장근로자들에 대한 건강관리, 작업환경관리, 보건교육 등의 산업보건사업이 가장 필요하다고 하였고 다음으로는 산업보건인력에 대한 교육훈련 및 직무내용, 성인병 및 직업병 의뢰체계, 산업보건조직 등에 관한 산업보건의료체계에 관한 분석 등을 순위로 제시하였다. 5. 산업보건관리영역의 향후 연구방향에 대하여 병의 응답자가 48건의 의견을 제시하였으며 산업보건사업에 관한 실제적인 연구가 31.3%로 가장 많았으나 조직, 체계에 대한 연구(27.1%), 정보망구축에 관한 연구(8.3%) 등 산업보건체계에 관한 연구도 필요하다고 하였다. 건강진단에 대한 비용-편익분석 (10.4%), 산업보건사업평가(4.2%), 유해물질폭로평가(2.1%), 노동조건에 관한 연구(6.2%)등 다양한 새로운 분야의 연구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해방 이후 우리나라의 산업보건관리에 관한 연구는 1945년부터 서서히 증가하다가 1986년 이후부터 활발히 진행되어졌고, 대부분의 연구가 산업보건사업에 치중되어 있으며 산업보건관리체계에 대한 연구는 미약함을 알 수 있었다 산업보건사업에 관한 연구의 대부분도 직업병 실태와 건강관련행태 및 실태를 파악하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으며 산업보건관리체계의 경우도 대부분 인력의 실태 파악에 그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fine the scope of occupational health management and to classify occupational management by review of related journals from 1945 to 1994 in Korea. The step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Search of secondary reference; (2) Collection and review of primary reference; (3) Survey; and (4) Analysis and discu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Most of the respondents majored in occupational health(71.6%), and were working in university (68.3%), males and over the age 40. Seventy percent of the respondents agreed with the idea that classification of occupational health management is necessary, and 10% disagreed. 2. After integration of the idea of respondents, we reclassified the scope of occupational health management. It was defined 3 parts, that is , occupational health system, occupational health service and others (such as assessment, epidemiology, cost-effectiveness analysis and so on). 3. The number of journals on occupational health management was 510. It was sightly increased from 1986 and abruptly increased after 1991. The kinds of journals related to occupational health management were Th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Medicine(18.2%), Several Kinds of Medical Colloge Journal(17.0%), The Korean Journal Occupational Health(15.1%), The Kore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15.1%) and others(34.6%). As for the contents, the number of journals on occupational health management systems was 33(6.5%) and occupational health services 477(93.5%). Of the journals on occupational health management systems, the number of journals on the occupational health resource system was 15(45.5%), occupational finance system 8(24.2%), occupational health management system 6(18.2%), occupational organization 3(9.1%) and occupational health delivery system 1 (3.0%). Of the journals on occupational health services, the number of journals on disease management was 269(57.2%), health management 116(24.7%), working environmental management 85(18.1%). As for the subjects, the number of journals on general workers was 185(71.1%), followed by women worker, white coiler workers and so on. 4. Respondents made occupational health service(such as health management, working environmental management and health education) the first priority of occupational health management. Tied for the second are quality analysis(such as education, training and job contents of occupational health manager) and occupational health systems(such as the recommendation of systems of occupational and general disease and occupational health organization). 5. Thirty seven respondents suggested 48 ideas about the future research of occupational health managem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tudy of occupational health service 40.5%; (2) Study of organization system 27.1%; (3) Study of occupational health system (e.g. information network) 8.3%; (4) Study of working condition 6.2%; and (5) Study of occupational health service analysis 4.2%.

      • SCOPUSKCI등재

        임산부의 분만방법 결정과정과 만족도

        전혜리,박정한,박순우,허창규,황순구,Jun, Hae-Ri,Park, Jung-Han,Park, Soon-Woo,Huh, Chang-Kyu,Hwang, Soon-Gu 대한예방의학회 1998 예방의학회지 Vol.31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attitude of pregnant women toward delivery method, understanding of the reason for determining her own delivery method,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process and satisfaction with delivery method after labor. Study subjects were 693 pregnant women who had visited obstetric clinic for prenatal care in the last month of pregnancy in one general hospital and one obstetrics-gynecology specialty hospital in Taegu city from February 1 to March 31 in 1998.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labor and a telephone interview was done one month after labor. Proportion of women who had health education and/or counselling about delivery method during prenatal care was 24.0% and this proportion was higher for women who had previous c-section(35.5%) than others. Women thought vaginal delivery is better than c-section for both maternal and baby's health regardless of previous delivery method. About 90% of primipara and multiparous women who had previous vaginal delivery wanted vaginal delivery for the index birth, while 85.6% of multiparous women who had previous c-section wanted repeat c-section. Reasons for choosing c-section in pregnant women who preferred vaginal delivery before labor were recommendation of doctors(81.9%), recommendation of husband (0.8%), agreement between doctor and pregnant woman(4.7%), and mother's demand (12.6%). Reasons for choosing vaginal delivery were mother's demand(30.6%) and no indication for c-section(67.2%). Reasons for choosing c-section in pregnant women who preferred c-section before labor were recommendation of doctors(76.2%), mother's demand(20.0%), recommendation of husband(1.3%), and agreement between doctor and pregnant woman(2.5%). Of the pregnant women who had c-section, by doctor's recommendation, the proportion of women who had heard detailed explanation about reason for c-section by doctor was 55.1%. Mother's statement about the reason for c-section was consistent with the medical record in 75.9% . However, over 5% points disparities were shown between mother's statement and medical record in cases of the repeat c-section and mother's demand. In primipara and multiparous women who had previous vaginal delivery, the delivery method for index birth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the preference of delivery method before labor(p<0.05). All of the women who had previous c-section had delivered the index baby by c-section. Among mothers who had delivered the index baby vaginally, 84.9% of them were satisfied with their delivery method immediately after labor and 85.1% at 1 month after labor. However, mothers who had c-section stated that they are satisfied with c-section in 44.6% immediately after labor and 42.0% at 1 month after labor. Preferred delivery method for the next birth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delivery method for the index birth both immediately after labor and in 1 month after labor. The proportion of mothers who prefer vaginal delivery for the next birth increased with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vaginal delivery for the index birth but the proportion of mothers who prefer c-section for the next birth was high and they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with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c-section for the index birth.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urrent high technology-based, physician-centered prenatal and partritional cares need to be reoriented to the basic preventive and promotive technology-based, and mother-fetus-centered care. It is also suggested that active involvement of pregnant woman in decision-making process for the delivery method will increase the rate of vaginal birth after c-section and decrease c-section rate and improve the degree of maternal satisfaction after delivery. 본 연구는 임산부들의 분만전 분만방법에 대한 태도, 자신의 분만방법에 대한 이해 및 개입 정도, 분만후 분만방법에 대한 만족도 등을 평가하기 위하여 대구시내 1개 대학병원과 1개 산부인과 전문병원에서 산전진찰을 목적으로 내원한 임신 36주 이상의 임부 693명을 대상으로 분만전, 분만직후, 분만 1개월 후 3차례에 걸쳐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임신기간 중 분만방법에 대한 교육이나 상담을 받은 임부는 24.0%였으며, 교육이나 상담을 받은 임부의 비율은 이전에 제왕절개분만을 한 임부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5). 초산부, 자연분만을 했던 경산부, 제왕절개분만을 했던 경산부 모두 자연분만이 엄마나 아기의 건강에 더 좋다고 대답하였으나, 제왕절개분만을 했던 임부들 중 9.2%는 제왕절개분만이 아기의 건강에 더 좋다고 생각하였다. 분만전 선호하는 분만방법은 초산부와 자연분만을 했던 경산부는 90% 이상이 자연분만을 원했으나, 제왕절개분만을 했던 경산부는 85.6%가 제왕절개분만을 선호하였다. 분만전 자연분만을 선호하였던 임부들이 제왕절개 분만을 결정하게 된 이유는 의사의 권유가 81.9%, 남편의 권유가 0.8%, 충분히 상담후 결정한 경우가 4.7%, 산모가 원하여 12.6%였으며, 자연분만을 결정하게 된 이유는 대부분이 제왕절개분만을 할 특별한 사유가 없었거나(67.2%) 산모가 원한 것(30.6%)으로 나타났다. 제왕절개분만을 원했던 임부들의 제왕절개분만을 결정하게 된 이유는 의사의 권유가 76.2%, 산모가 원한 경우 20.0%, 남편의 권유가 1.3%, 의사와 충분히 상담후 결정한 경우는 2.5%였다. 의사의 권유로 제왕절개분만한 산모가 수술 이유에 대해 충분히 설명을 들은 경우는 55.1%였다. 제왕절개분만을 한 산모들의 수술 이유에 대한 의무기록과 산모 대답간의 일치율은 75.9%였으며, 반복 제왕절개분만일 경우와 산모가 원한 경우에 5% point 이상 응답을 차이가 났다. 초산부와 자연분만을 했던 경산부의 산전에 선호한 분만방법은 실제 분만방법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고(p<0.05), 제왕절개분만을 했던 경산부들은 선호도에 관계없이 100% 제왕절개분만을 하였다. 분만후 분만 방법별 자신의 분만방법에 만족하는 비율은 자연분만한 산모는 분만직후 84.9%, 분만 1개월 후 85.1%였으나 제왕절개분만을 한 산모는 분만직후 44.7%, 분만 1개월 후 42.0%로 나타냈다(p<0.05). 분만후 분만방법에 대한 선호도는 분만직후, 분만 1개월 후 모두 분만방법과 유의한 관계를 보였고, 각 시기별 분만방법에 대한 만족도와는 자연분만을 한 산모들은 자신의 분만방법에 만족할수록 자연분만을 선호하였지만, 제왕절개분만을 한 산모들은 만족 정도와 관계없이 제왕절개분만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그동안의 의사 중심의 전문적인 기술위주의 산전관리와 분만관리에서 기본적인 예방 및 건강증진 위주의 임부와 태아 중심 관리로의 방향 전환이 필요하며, 임부의 임신과 분만에 관한 적극적인 교육 및 상담이 필요하며, 분만방법 결정과정에 임부가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제왕절개 분만율을 낮추고 제왕절개술후의 자연분만을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만후 분만방법에 대한 만족도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 SCOPUSKCI등재

        종합병원 일부 입원환자의 당일수술에 대한 태도와 당일수술 적용 가능성 평가

        백영란,이경수,김석범,강복수,강영아,Beak, Young-Ran,Lee, Kyeong-Soo,Kim, Seok-Beom,Kang, Pock-Soo,Kang, Young-Ah 대한예방의학회 2000 예방의학회지 Vol.33 No.3

        이 연구는 당일수술을 실시하고 있지 않은 병원에서 당일수술이 가능한 질병으로 입원하고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당일수술에 대한 인지도와 선호도를 조사하고, 당일수술 가능 질병의 평균 재원일수를 분석하며, 마취 후 퇴원점수체계를 이용한 시간대별 퇴원 가능한 환자의 비율을 분석하여 당일수술 가능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자료수집은 1999년 2월 1일부터 동년 3월 31일까지 $\bigcirc\bigcirc$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에 입원하여 백내장, 편도선 비대, 탈장, 사시, 안검하수, 담석증, 질, 치루로 수술 받은 환자 35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 방법은 설문지를 이용하여 설문과 면담을 하였고, 간호사용 마취 후 퇴원점수체계(PADS)를 이용하여 환자의 수술 후 활력징후, 활동력과 정신상태, 통증, 오심 구토, 출혈, 식이 및 배뇨 등의 환자상태를 조사하였다. 당일수술에 대한 인지도는 52.7%이었으며, 당일수술 의향이 있는 환자는 52.1%이었다. 당일수술을 받고 싶은 이유로는 "질병이 경미하고 수술이 간단하여"가 43.1%, "집에서 안정을 취해도 충분하므로"가 30.4%이었고, 당일수술을 받고 싶지 않는 이유는 "집에 있기 불안해서"가 56.5%로 가장 높았다. 당일수술 후 가장 염려되는 것은 응급 상황발생에 대한 것이었다. 당일수술의 가장 큰 장점은 입원기간 절약(39.1%)이었으며 단점은 응급상황 시 불안하다는 것이 53.9%로 가장 많았다. 환자의 주관적 판단에 의한 퇴원시기는 수술 후 1-2일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47.6%로 가장 많았다. 수술명에 따른 평균 재원일수는 백내장적출술 2.9일, 사시 교정술 2.2일, 편도선제거술 3일, 탈장교정술 3.8일, 안검복원술 2.2일, 담석증복강경술 4.9일, 치질제거술 4.1일, 치루제거술 4.6일로, 이들 전체의 평균 재원일수는 3.1일이었다. 수술 후 나타난 증상으로는 통증이 45.6%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오심 구토(10.5%) 및 두통(7.9%)의 순이었다. 시간대별 퇴원 가능 환자 수는 3시간대에 95.2%, 12시간대에 99.2%, 24시간대에는 100%로 나타나 이 연구에서 선정된 모든 수술이 마취 후 퇴원점수체계에 의한 24시간 이내 퇴원 기준을 충족시켰고, 통상적으로 당일수술 3시간 뒤에 환자가 퇴원하는 것을 고려하면 의학적인 측면에서 당일수술이 가능한 수술은 백내장적출술과 사시교정술로 판단되었다. 당일수술의 경과에 대한 설명과 수술 시행 후에 환자들에게 발생할지도 모르는 응급상황에 대한 대처 방안이 잘 강구 된다면 당일수술의 수요가 증가할 것이며, 그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도 높아져 당일수술이 활성화될 것이다. Objectives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recognition, acceptability, and altitude towards day surgery of patients who were hospitalized with diseases that were candidates for day surgery; in order to analyze the average length of stay for treatment of the ailments; and to analyze the percentage of patients who could be discharged on the same day after the surgery ,using the post-anesthesia discharge scoring system. Methods : Data was collected between February 1 and March 31, 1999 from 353 patients who received surgery for cataract, adenoid hypertrophy, inguinal hernia, strabismus, ptosis, cholelithiasis, hemorrhoid, or anal fistula, at a general hospital in Daegu city. The patients were interviewed and surveyed by a post-anesthesia discharge scoring system(PADS) in order to collect data on patient condition such as vital signs, activity and mental status, pain, nausea and vomiting, surgical bleeding, intake and output after the surgery. Results : Among the 353 patients, 52.7% were after of the day surgery and 52.7% were interested in day surgery. Of the respondents, 43.1% said 'my ailment was not serious and the surgery was simple' and 30.4% said 'according to my condition rest at home was desirable' as the reasons for wanting day surgery Alternatively, 56.5% of those declining day surgery said the 'uncertainty of staying home' was the reason. The greatest concern in discharging within 24 hours after surgery was a post-op emergency situation. On the other hand, the shortened hospitalization was the largest advantage of day surgery with 39.1% responding this way, followed by the savings in hospitalization costs (25.8%) and emotional stability (13.7%). The majority of those surveyed (47.6%) believed that discharge should be determined within 1-2 days after the surgery. The average hospital stay was 3.1 days for dischargeable ailments. Pain (45.6%), nausea and vomiting (10.5%), and headache (7.9%) were the common symptoms following surgery. The percentage of patients who were able to be discharged within 24 hours after surgery revealed 95.2% were dischargeable after approximately 3 hours, 99.2% dischargeable after 12 hours, and 100% dischargeable after 24 hours. Conclusions : According to the PADS score, the cataract extract and strabismus correction patients were eligible for day surgery and the further evaluation concerning the reason for delayed recovery of the other diseases is needed.

      • SCOPUSKCI등재

        다이옥신과 건강: 인체 노출 수준 및 건강영향에 대한 역학적 연구

        장재연,권호장,Jang, Jae-Yeon,Kwon, Ho-Jang 대한예방의학회 2003 예방의학회지 Vol.36 No.4

        다이옥신은 단일 화학물질이 아니라 비슷한 화학적 구조와 독성작용을 갖는 화학물질들의 그룹이다. 다이옥신 중에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고 독성도 강한 물질이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TCDD)인데, 다이옥신 혼합체의 독성을 평가할 때는 각 물질 별로 TCDD에 대한 상대독성을 고려하여 독성등가계수(TEQ)라는 지표를 만들어 사용한다. 일반인들의 평균적인 혈중 다이옥신에 대한 기준값은 명확하게 제시되지는 않고 있으나 관련 연구들을 종합할 때 대략 10-20 ppt $I-TEQ_{DF}$ 범위를 일반인의 평균적인 수준으로 볼 수 있다. 오염 가능지역의 주민들의 혈중 다이옥신 값은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대부분 20ppt $I-TEQ_{DF}$ 이상의 값을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오염이 심한 지역의 주민들의 경우에는 직업적인 노출이 없는 일반 주민들임에도 불구하고 혈중 다이옥신 농도가 약 50 ppt $I-TEQ_{DF}$까지 상승할 수 있다. 다이옥신의 건강영향에 관해서는 수많은 역학적 연구들이 수행되었지만 혈액내에서 TCDD를 직접 측정하여 인체 노출을 비교적 정확하게 평가한 사업장 코호트나 세베소 지역 주민 코호트에서 나온 결과들이 보다 많은 신뢰를 받고 있다. 다이옥신 노출에 따른 건강영향은 크게 암발생과 암을 제외한 건강영향으로 구분할 수 있다. 국제암연구기구(IARC)나 미국 환경보호청(EPA) 모두 TCDD를 인체 발암물질로 분류하고 있으나 역학적 증거들이 충분한 상태는 아니다. TCDD를 제외한 나머지 다이옥신에 대해서는 IARC에서 발암성의 증거가 불충분한 물질(Group 3)로 분류하고 있다. 대부분의 장기에서 다이옥신의 건강영향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져 왔다. 현재까지 비교적 다이옥신 노출과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는 것은 염소성여드름, 간 효소의 하나인 GGT의 상승, 그리고 생식호르몬의 변화 등이다. 그밖에 지질농도, 당뇨, 면역학적 영향, 심혈관계에 대한 영향, 갑상선기능, 신경계에 대한 영향, 소아 발달에 대한 영향 등에 대해서는 역학 연구들이 일관된 결과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계속적인 연구를 필요로 하고 있다. 다이옥신의 독성은 수많은 동물실험을 통해 증명이 되었으나 인간을 대상으로 한 역학적 연구는 아직 기대만큼 명료한 결과들을 제시해주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IARC나 EPA모두 인체발암물질로 분류하였고 다양한 건강영향에 대한 증거들이 있는 것은 분명한 만큼 다이옥신 노출을 최소화하려는 노력을 게을리 해서는 안 될 것이다. General information is summarized, tha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scientific assessment of the human health and exposure issue concerning dioxin and dioxin-like compound. Scientific literatures were reviewed to assess the background exposures to the dioxin-like compounds for normal residents. Epidemiologic studies were also reviewed to assess malignant and nonmalignant sweets of dioxins. In 1997, the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classified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 (TCDD) as a human carcinogen, primarily based on occupational cohort studies. The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made the same decision in it's Draft Dioxin Reassessment. Epidemiologic evidences point to a generalized excess of all cancers, without any pronounced excess at specific sites. Reported non-cancer effects included a range of conditions affecting most systems. Among them, chloracne, elevation in gamma glutamyl transferase(GGT), and alterations in reproductive hormones are related to TCDO, Other adverse outcomes, such as lipid concentrations, diabetes, circulatory and heart diseases, immunologic disorders, neurobehavioral effects, and developmental outcomes require further study before their respective relationships to TCDD can be more definitively assessed.

      • SCOPUSKCI등재

        일개 도시 보건소 이용자들의 혈청 HBsAg 및 Anti-HBs 양성률

        신말숙,황태윤,김창윤,Shin, Mal-Sook,Hwang, Tae-Yoon,Kim, Chang-Yoon 대한예방의학회 1997 예방의학회지 Vol.30 No.3

        1996년 5월에서 10월 사이에 대구광역시 서구보건소 이용자들 중 간염검사를 받고 설문조사에 성실히 응답한 1,160명을 연구 대상으로, 이들의 B형 간염의 위험요인 및 예방접종 유무에 따른 HBsAg 및 anti-HBs 양성률을 조사하였다. 혈청 HBsAg과 anti-HBs 검사는 EIA(Enzyme Immunoassay)법으로 하였으며, 미리 고안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개인 면접법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항목은 개인의 일반적 특성에 관한 것과 예방접종력, 과거병력 그리고 B형 간염에 대한 위험요인 등을 설문조사 하였다. 혈액검사 결과 및 설문조사 결과는 개인용 컴퓨터로 정리하여, spss/pc+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chi^2$-검정, fisher's exact 검정, 다중 로짓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들 전체의 HBsAg 양성률은 5.2%였고, anti-HBs 양성률은 62.4%였다. 남자에서 HBsAg 양성률은 6.6%, 여자에서는 4.3%였고, anti-HBs 양성률은 남자에서는 66.7%, 여자에서는 63.5%였다. 연령을 15세 이하와 16세 이상으로 구분한 경우 15세 이하에서는 HBsAg과 anti-HBs 양성률이 각각 2.6%, 67.2%였고, 16세 이상에서는 각각 6.5%, 60.0%였으며, 두 연령군 사이에 HBsAg과 anti-HBs 양성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5, p<0.01). 15세 이하에서 B형 간염 예방접접을 한 군에서는 HBsAg 양성률이 2.2%, anti-HBs 앙성률이 70.1%였고, B형 간염을 않은 경우에는 HBsAg 양성률이 20.0%, anti-HBs 양성률이 40.0%였다. 16세 이상에서는 B형 간염 예방접종을 한 경우 HBsAg 양성률이 3.5%, anti-HBs 양성률이 71.7%였고, B형 간염을 앓은 경우에 HBsAg 양성률은 57.1%, B형 간염 이외의 간질환을 앓은 경우에 HBsAg 양성률이 1l.1%였다. B형 간염 위험요인에 따른 HBsAg 양성률은 15세 이하와 16세 이상에서 공통적으로 가족내에 B형 간염보유자가 있는 경우에 없는 경우에 비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p<0.01). 혈청내 HBsAg 유무에 기여하는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하여 B형 간염의 위험 요인과 개인의 B형 간염에 대한 과거력을 독립변수로하여 로짓 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15세 이하와 16세 이상에서 공통적으로 개인의 B형 간염력과 가족내 B형 간염 보유자가 유의하게 대상자의 혈청내 HBsAg 양성률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였다. 혈청내 anti-HBs의 유무에는 15세 이하와 16세 이상에서 공통적으로 B형 간염 예방접종이 유의한 변수였다. 최근에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한 B형 간염 감염수준에 관한 연구가 전무한 실정에서 B형 간염 예방접종이 활발히 시행된 후 지역사회 주민들의 B형 간염 감염에 대해 조사를 한 것은 의미있는 연구라 생각되며 앞으로 B형 간염에 대한 대책수립을 위 한 체계적이고 광범위한 형태의 감염수준 파악을 위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Hepatitis B virus(HBV) infection is one of the major health problems in Korea and HBsAg positive rate was known to be about $5\sim15%$ in general popul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positive rates of serum HBsAg and anti-HBs among community population regarded as having hish HBV vaccination rate than in previous decade, using EIA(Enzyme immunoassay) method, in Seo-Gu, Taegu, Korea. The study subjects were 1,160 who visited Seo-Gu Health Center for check-up serologic markers of hepatitis 3. The data were obtained from the serologic test for hepatitis markers and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obta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vaccination history, past history of hepatitis and other liver disease, and exposure history to risk factors of hepatitis of the study subjects. The positive rates of HBsAg and anti-HBs were 5.2% and 62.4% respectively. The positive rates of HBsAg for male and female were 6.6% and 4.3% respectively. The age was divided into two groups as group I (less than 15 years old), group II (more than 16 years old) according to the hypothesis that these two groups might be different in HBV vaccination rate. HBV vaccination rates for group I and II were 83.1% and 52.3%. The positive rates of HBsAg for group I and II were 2.6% and 6.5%. The positive rates of HBsAg for the vaccinated people of the group I and II were 2.2% and 3.5%, the positive rates of anti-HBs for the vaccinated people of the group I and II were 70.1% and 71.1% respectively. The most significant factor in positive rate of HBsAg was 'hepatitis carrier in family'.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hepatitis history' and 'hepatitis carrier in family' were significant variables for positivity of HBsAg, and 'hepatitis B vaccination' was only a significant variable for positivity of anti-HBs.

      • SCOPUSKCI등재

        도시(都市)와 농촌지역(農村地域)의 영유아 예방접종률(豫防接種率) 비교조사(比較調査)

        박정한,김정남,우극현,Park, Jung-Han,Kim, Jung-Nam,Woo, Kuck-Hyeun 대한예방의학회 1985 예방의학회지 Vol.18 No.1

        도시와 농촌지역의 영 유아 예방접종 실태를 비교조사하기 위하여 1984년 3월 한달동안 대구시 중주 남산 1동과 경산군내 5개면에 보건진료원이 배치되어 있는 지역내 생후 $6{\sim}23$개월의 영 유아 514명을 대상으로 그들 어머니와의 설문지를 통한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기본 접종율은 BCG의 경우 도시 98.0%, 농촌 95.8%였으며 이들 가운데 각각 91.4%, 88.1%가 생후 1개월 이내에 접종하였다. DPT 3회접종율은 도시 83.2%, 농촌 87.5%였고 소아마비 3회접종율도 도시 80.8%, 농촌 87.9%로 도시보다 농촌이 오히려 높았으며 단 한번도 접종하지 않은 경우는 드물었다. 홍역은 도시가 64.4%, 농촌은 55.3%로 도시가 농촌보다 더 높았으며 볼거리 및 풍진 예방접종율은 도시 50.4%, 농촌 36.0%였다. 그러나 홍역과 볼거리 및 풍진 접종이 완료되어야 하는 15개월 이후의 연령군에서 도시지역은 홍역이 85.3%, 볼거리 및 풍진은 77.6%, 그리고 농촌지역은 홍역이 73.7%, 볼거리와 풍진은 67.4%의 접종율을 보여, 도시지역의 홍역 및 볼거리 풍진 접종율이 농촌지역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5). 이처럼 영 유아 기본 예방접종율이 전반적으로 향상된 것과 농촌지역의 BCG, DPT, 소아마비의 접종율이 도시지역과 비슷하거나 오히려 높은 것과 농촌지역 어머니들이 몰라서 예방접종을 실시하지 않은 경우가 도시보다 적은 것 등은 일반적인 국민 생활수준의 향상과 정부에서 모자보건사업을 중점적으로 실시해온 결과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아직도 모든 기본 접종을 적기에 실시하지 않는 경우가 많고 농촌지역에서는 볼거리와 풍진의 접종율이 다른 정종에 비해 특별히 부진하므로 예방접종 사업은 이러한 점을 보강하는 방향으로 추진되어야 하겠다. To assess the childhood immunization level of urban and rural areas, 250 mothers of $6{\sim}23$ months old children residing in Namsan 1 Dong, Taegu, and 264 mothers of the same age children residing in five areas of Kyungsan Gun where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are assigned were interviewed in March, 1984. Immunization rate for BCG was 98.0% in urban area and 95.8% in rural area. Among children who had BCG vaccination 91.4% of them were immunized within 1 month after birth in urban area and 88.1% in rural area. The percentage of children who received three doses of DPT vaccine was 83.2% in urban, and 87.5% in rural area ana that for the polio vaccine was 80.8% in urban and 87.9% in rural area. Only a few children have never been immunized with either BCG or DPT or polio vaccine. Overall immunization rate for measles was 64.4% in urban area while it was 55.3% in rural area and that for mumps and rubella was 50.4% in urban area as compared with 36.0% in rural area. However, among children of 15 months old and above the percentage of measles vaccination was 85.3% in urban area and 73.7% in rural area. Mumps and rubella vaccination rate was 77.6% in urban area and 62.4% in rural area. These differences in measles, mumps and rubella vaccination rate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Such findings as improved immunization level,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CG, DPT and polio vaccination rate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and fewer mothers in rural area have not vaccinated their children than mothers in urban area because of their ignorance may be attributed to the general improvement of living standard and implementation of the maternal and child health services of the government. Nevertheless many of the mothers in rural as well as urban area have not immunized their children on time and measles, mumps and rubella vaccination rates are substantially lower than other childhood immunizations. Future immunization activity should be geared to reinforcing these areas.

      • KCI등재

        도시지역 초등학생 비만 수준 및 관련 요인에 대한 연구 -사회경제적 요인을 중심으로-

        강희태,박경희,권영준,임형준,백도명,이현주,주영수,Kang, Hee-Tae,Park, Kyung-Hee,Kwon, Young-Jun,Im, Hyoung-June,Paek, Do-Myung,Lee, Hyun-Joo,Ju, Young-Su 대한예방의학회 2006 예방의학회지 Vol.39 No.5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childhood obesity, the association between the undesirable lifestyles and socioeconomic factors, the association between childhood obesity and various risk factors, including socioeconomic factors, and the agreement between the body mass index (BMI) classification and the body fat percentage.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all the 5th grade students from all the elementary schools in Gunpo City, Kyunggi Province, South Korea (4043 children at 22 schools). The subjects were measured for their height, weight and percent body fat etc. and they were also surveyed by questionnaire from March 18th to April 25th, 2005. To determine whether the children were within normal limits or not, standardized BMIs for each age group were used. The data was analyzed b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using SAS 9.0 version. Results: The prevalence of childhood obesity prevalence was 25.1 %. Boys had a higher prevalence of obesity (27.5%) than did the girls (22.5%). Children had tendencies of having undesirable lifestyles and getting obese if they had a lower socioeconomic status. The risk factors for childhood obesity were low paternal education (OR: 1.17, 95% CI : 0.97-1.42) and non-parental caregivers (OR: 1.34, 95% CI : 0.98-1.82). Other risk factors for childhood obesity were a high birth-weight, longer TV/computer-using time, a lower fruit-eating frequency, short sleeping hours and parental obesity. The agreement rate between the BMI classification and the body fat percentage was 93.1 %.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e children had a higher prevalence of obesity: further, not only individual lifestyles, but also socioeconomic factors could influence childhood obesity. Childhood obesity was especially more problematic for children with a low socioeconomic status.

      • SCOPUSKCI등재

        일부 농촌지역 주민의 코골이와 고혈압의 연관성

        최진수,이정애,신희영,Choi, Jin-Su,Rhee, Jung-Ae,Shin, Hee-Young 대한예방의학회 2001 예방의학회지 Vol.34 No.3

        본 연구는 지역사회 주민을 대상으로 코골이와 고혈압과의 연관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일부 전남 농촌지역 역학조사에 참여한 1,763명을 연구대상으로 성별, 연령, 교육수준, 결혼상태, 직업, 흡연 및 음주여부, 고혈압의 유무, 코골이의 유무 등에 대해 직접면접법을 통해 설문조사 하였고 비만은 체질량지수(BMI)로 측정하였다. 고혈압은 측정된 수축기 혈압이 140 mmHg이상이거나 이완기 혈압이 90mmHg이상인 경우와 과거에 고혈압으로 진단 받고 현재 고혈압 치료 중인 경우로 하였다. 코골이 전체 유병률은 41.0%이었고 남자에서 42.7%, 여자에서 39.8%이었다. 연령에 따른 코골이 유병률은 45세-64세 중년층에서 44.3%로 젊은층(33.9%)과 노년층(38.7%)에 비해 높았다. 비만도에 따른 코골이 유병률은 체질량지수가 증가할수록 증가했고 흡연과 음주 여부에 따른 코골이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코골이 군에서 코골이가 없는 군보다 고혈압이 많았다(교차비: 1.25, 95% CI=1.01-1.55). 그러나 성별, 연령, 비만, 흡연 및 음주 등의 인자들을 보정한 후 고혈압에 대한 코골이의 유의한 영향은 없었다(교차비: 1.13, 95% CI = 0.90-1.41). 본 연구의 결과는 코골이가 고혈압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기보다는 비만과 같은 교란변수에 의한 효과일 수 있음을 나타낸다. Objectives : To evaluate the association of snoring and hyper-tension in a rural population. Methods : A population-based sample of 1,763 adults in Chonnam, Korea was investigated with questionnaires and height, weight, and blood pressure measurements. Information o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igarette smoking, alcohol consumption, hypertension and snoring was collected through a person-to-person interview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level of obesity was measured by the body mass index(BMI). Hypertension was considered to be present if the average of two blood pressure measurements was greater than 140mmHg systolic or 90mmHg diastolic, or if they were currently on antihypertensive treatment. Results : The prevalence of snoring was 42.7% in men and 39.8% in women. With regard to age, snoring prevalence was 44.3% in the middle-aged group(45 to 64 years), greater than 33.9% in the younger(<45 years) group or 38.7% in the elderly($\geq65$ years) group. The snoring prevalence increased progressively with increasing BMI, but cigarette smoking and alcohol consumption was not associated with snoring. Hypertension occurred more frequently in snorers than in non-snorers (Odds ratio: 1.25, 95% confidence interval : 1.01-1.55). However after adjusting for sex, age, obesity, smoking, and alcohol use, an effect of snoring on hypertension was no longer present (Odds ratio: 1.13, 95% confidence interval = 0.90-1.41).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snoring might not be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 SCOPUSKCI등재

        도장 부서 남성 근로자들의 피부 질환

        박재범,이경종,장재연,정호근,Park, Jae-Beom,Lee, Kyung-Jong,Jang, Jae-Yeon,Chung, Ho-Keun 대한예방의학회 1997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Vol.30 No.4

        Painting is risky work to occupational skin disease.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occupational skin diseases in painting department of a shipyard company in June 1996. Dermatological examination,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were conducted. Exposed group(n=379) was selected randomly in painting department and control of group(n=151) was selected in those who had not exposed to paints or solvents. The prevalence of contact dermatitis(11.9%) is significantly elevated compared with control of group(2.6%), and odds ratio(OR) is 4.95 (95% confidence interval[CI]: 1.75-14.02). The prevalence of Tinea pedis, the most common skin disease, in exposure group is 48.0%, and its odds ratio(OR) is significantly elevated compared with control group (OR:3.18, 95% CI: 2.06-4.90). Pompholyx is also significantly elevated in prevalence(11.9%) and OR(OR:6.64, 95% CI:2.03-21.69). There were no difference in the prevalence of contact dermatitis, Tinea pedis, and pompholyx by use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s(PPE), job categories, and duration of employment in painting department. In exposure group, 71.1% suffer from contact dermatitis improved in vacation or holiday and 68.9% of them had lesion on exposed area, it suggest that contact dermatitis in exposed group is related to their work. In conclusion, workers in painting department have high risks of contact dermatitis, Tinea pedis, and pompholyx. A health policy should be provided to prevent skin disease among painting department. 직업성 피부 질환을 일으키는 주요 작업 공정의 하나인 도장작업자들의 피부 질환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모 조선업체 도장 부서의 남자 근로자 379명을 폭로군으로, 같은 회사 비도장부서에서 근무하고 유기용제를 취급한 경력이 없는 근로자 151명을 대조군으로 선정하여 피부과 전문의의 진료와 설문 조사를 통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피부과적 진찰 결과 도장부서 근로자들이 이환되어 있는 가장 흔한 피부질환은 족부 백선으로 폭로군의 유병률은 48.0%였으며 대조군에 비하여 이환될 비차비가 3.18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접촉성 피부염과 한포진의 유병률도 각각 11.9%, 11.9%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질병에 이환될 비차비가 4.95, 6.64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외에도 비특이적 습진, 자극성 피부염, 모낭염, 두드러기 등과 같은 피부 질환이 관찰되었으나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접촉 피부염 소견을 보이는 폭로군 중 71.1%가 피부 증상이 휴일이나 휴가시에 호전된다고 응답하였고, 68.9%가 옷이나 보호구에 가려지지 않는 노출부위에 피부 병변이 발생한다고 응답하여 접촉 피부염이 작업과 관계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근로자들의 보호구 착용률은 비교적 양호한 편이었지만 보호구 착용과 피부질환과는 연관성이 없어서 보호구 착용이 피부질환의 예방에 큰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인 접촉 피부염, 한포진, 족부 백선의 유병률을 수행직무별로 스프레이군, 터치업군, 혼합군, 전처리군으로 구분하여 비교한 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피부 질환의 위험도는 수행직무에 따라서는 큰 차이가 없음을 보여주었다. 도장 부서 근무 년수에 따른 비교에서도 근무 년수가 증가함에 따라 유병률이 증가하는 소견을 보이지 않았는데 근무 기간에 길어질수록 피부 저항이 증가되며, 피부반응이 둔해지며, 숙련된 작업으로 접촉물질에 대한 노출이 감소되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이상과 같이 조선업체 도장부서 근로자들에게서 접촉 피부염, 한포진, 족부 백선 등 작업과 연관된 질병을 발견할 수 있었다. 앞으로 도장 부서 근로자들의 피부 병변을 예방하기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생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