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문학치료학과 문학교육학 사이(in-between): 따로 또 같이 그리는 미래

        염은열 한국문학치료학회 2024 문학치료연구 Vol.70 No.-

        This study, authored by a researcher in literary education who has closely observed the academic growth and clinical effectiveness of literary therapy, proposes the necessity and possibility of solidarity and collaboration to the collaboration to the Society of Korean Literary Therapy> at Twenty. This research examines what literary therapy, from both perspectives of the study of humanity and counseling, can achieve, and what tasks must be prioritized for this purpose. First, while literary education is characterized by conscious, cognitive, public, and social practice, literary therapy is distinguished by its unconscious, personal, and emotional nature.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both are essentially and structurally similar, centered around the triad of teacher [or counselor], literary works, and learners [or clients]. The paper argues that literary education and therapy must eventually simultaneously operate separately and together, focusing on students as both social and individual entities. It emphasizes the need to focus on student agency and assets for collaboration and solidarity, suggesting that the perspective of literary therapy and an approach based on storytelling can contribute to identifying and enhancing the emotional assets of learners in classrooms. Post-pandemic, there is a dire need for literary-educational approaches and literary-therapeutic support in our schools and classrooms, which have lacked sufficient consolation and reflection time. As a researcher in literary education, there is hope that literary therapy, while expanding its scope, will internally pose introspective questions and eventually collaborate with literary education in the school setting. 이 연구는 문학치료학의 학문적 성장과 임상적 효과를 가까이에서 지켜본 문학교육연구자로서, 성년이 된 한국문학치료학학회를 상대로, 연대와 협력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제안한 논문이다. 인간학이자 상담학으로서의 문학치료학이 무엇을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어떤 과제가 선결되어야 할 것인지 살펴보았다. 우선, 문학교육이 의식적·인지적·공적·사회적 실천의 성격을 지니는 반면에 문학치료는 무의식적·개인적·정서적 실천의 성격을 띤다는 점에서 구별되지만, 교사[혹은 상담가], 작품, 학습자[혹은 내담자] 셋을 축으로 하는 문학경험이라는 점에서는 본질적으로 그리고 구조적으로 다르지 않다는 점에 주목했다. 사회적 주체이자 개인적 주체로 살아가는 학생들을 중심에 두고 보면, 문학교육학과 문학치료학이 때로는 따로 결국에는 같이 할 수밖에 없음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협력과 연대를 위해 학생 행위주체성과 자산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피력했으며, 구체적으로 문학치료학의 관점과 설화를 바탕으로 하는 접근 방법이 교실에서 학습자들의 정서적 자산을 파악하고 확충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보았다. 팬데믹 이후 충분한 위로와 성찰의 시간을 갖지 못한 우리 학교와 교실에 문학교육적 접근과 더불어 문학치료적 지원이 절실하다. 문학교육연구자로서, 문학치료학이 외연을 확장하는 한편 내적으로 성찰적 질문을 던짐으로써, 결국에는 학교 현장에서 문학교육학과 만날 수 있기를 희망한다.

      • KCI등재

        구비설화를 활용한 자살예방 문학치료 프로그램 사례 연구 -자살 위험군 사례자 A를 대상으로-

        김혜미 한국문학치료학회 2019 문학치료연구 Vol.50 No.-

        In this study, change in the perception of death was considered important in the prevention of suicide. Design a literary therapy program for cognitive change. To this end, consult a person who thought of suicide. Case A had the following problems: ‘Death gives you stability in life.’, ‘Suicide is an individual right.’, ‘I can't solve my problem.’ The literary therapy program was organized through case A’s problem. The folktale used in education is based on death or suicide. A list of selected folktales was as follows: <A life-saving treat>, <The fate of a tiger>, <Yang San Baeg and Chu Yang Dae>, <A Golden Calf>, <Shin Lip(申砬)>, <A Centipede Woman>, and <Fortune Quest> Suicide prevention training was conducted seven times in total. The Literaytherpy program was from the second to the sixth. The program identified two issues in case A. Death's Choice and Guilt, undue dependency and debt. The case A created a work. Creativity allows for cognitive change. Through the folktale <A Golden Calf>, case A learned that death is growth. It also found that death could not dispel pain. 본 연구는 불편하고 힘든 자신의 삶에서 죽음이 평안을 안겨줄 것이라는 인지가 자살의 중요한 핵심이라고 보았다. 죽음에 대한 의미를 재고하는 것을 통해 인지를 변화시키는 것이 자살을 예방할 수 있는 중요 지점이라고 보고, 인지 변화를 꾀할 수 있는 생명존중교육 문학치료 프로그램을 고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자살을 생각하는 사례자 A의 상담을 진행하였다. 자살생각 척도 검사(1979)와 생명존중교육 사전 질문지를 통한 상담에서 나타난 사례자 A의 문제는 죽음이 삶의 안정을 줄 수 있다는 생각으로 인해 죽음 대해 긍정하고 있다는 점, 자살을 개인의 권리로 인식한다는 점, 문제 해결의 가능성이 부재해 있다는 점이었다. 사례자 A가 가지고 있는 문제적 서사를 토대로 활용할 만한 설화를 선정하여 생명존중교육 문학치료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생명존중교육 문학치료 프로그램에서 활용된 설화는 죽음이나 자살을 소재로 하고 있으면서 사례자 A가 가지고 있는 문제 상황에 대한 해답을 스스로 고민할 수 있는 방향으로 선정되었다. 선정된 설화 목록은 <저승사자 대접하고 이은 명>, <호환 면하고 얻은 의복과 퉁소>, <양산백과 추양대>, <환생한 송아지 신랑>, <신립장군과 원귀>, <지네각시>, <구복여행>이다. 대체로 『문학치료 서사사전』의 대표 설화를 활용하였으나, 대표 설화에 죽음과 관련된 소재가 나타지 않을 경우에는 죽음과 관련된 소재가 드러난 각편을 활용하였다. 총 7회기의 생명존중교육 중에 문학치료 프로그램은 2회기~6회기로 진행되었다. 문학치료 프로그램은 1단계인 설화 감상 및 정서반응형 검사, 2단계인 이해가 가는 인물과 거부감이 드는 인물 선정과 그 이유에 대한 상담, 3단계인 죽음과 관련된 사건에 대한 평가 및 작품 의미 설명, 4단계인 설화 재창작으로 설계되었다. 생명존중교육 문학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사례자 A의 문제서사는 첫 번째, 죽음의 선택 가능성과 아들 양육에 대한 죄책감, 두 번째, 타인에 대한 과도한 의존과 부채감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문제적 자기서사의 변화를 꾀하기 위하여 창작활동을 진행하였다. 사례자 A의 창작 활동은 새로운 인지 변화를 확인할 수 있게 해 주었다. 바로 죽음이 문제를 해결해 주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었다. 죽음에 대해 새로운 인식을 갖게 된 것이다. 그리고 상호의존에 대한 노력이 엿보였지만, 자신이 타인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는 찾지 못한 것으로 보였다. 마지막으로 사례자 A에게 1회기 때 진행한 ‘자살생각 척도검사’ 및 ‘생명존중교육 사후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자살생각 척도 검사는 24점으로 이전의 39점보다는 낮아져 개선의 모습이 보였다. 또한 사례자 A가 죽음이 고통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아니라는 점을 인지하게 된 것을 명료하게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는 본 생명존중교육에서 가장 의미 있는 성과라고 하겠다. 그러나 아들을 제대로 양육하지 못했다는 죄책감, 타인에 지나친 의존과 부채감은 아직 미해결과제로 남아있다. 한 번의 문학치료를 통해 모든 문제가 해결되지는 않기에 추후 이와 관련된 문학치료적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 KCI등재후보

        문학치료 이론 연구의 현황과 전망

        나지영 ( Na Ji Young ) 한국문학치료학회 2009 문학치료연구 Vol.10 No.-

        문학치료학을 제대로 이해하고 실행하기 위해서는 문학치료 이론연구의 흐름을 파악하는 일이 필요하다. 이에 이 글에서는 문학치료 이론의 핵심적인 개념들과 방법론이 어떠한 논의과정 속에서 그 체계를 구축해 왔는지 살펴보았다. 2절에서는 문학치료 이론의 핵심인 `서사`를 중심으로, 문학치료서사이론이 정립된 과정을 살펴보고, 3절에서는 문학치료의 방법론이 어떻게 체계화되어 왔는지를 살펴보았다. 문학치료학에서는 문학이 치료적인 기능을 낼 수 있는 것은 바로 `서사`를 갖고 있기 때문이라고 본다. 문학치료 이론의 핵심은 `서사`이다. 그런데 문학치료에서 사용하는 `서사`라는 용어는 문학치료학만의 독특한 개념을 갖고 있다. 문학치료 서사이론에서 말하는 서사는 작품 그 자체가 아니다. 마치 `배경설화`처럼, 작품보다도 먼저 만들어져서, 작품을 존재하게 해주는 것이다. 문학치료에서는 작품이 만들어진 배경과 전후맥락을 이해하게 해주는 것의 실체가 `서사`라고 본다. 문학치료학의 가장 큰 특징은 인간도 문학으로 이해한다는 것이다. 문학치료학은 인간과 작품 모두 서사를 갖고 있다는 점에서 문학적으로 다룰 수 있다고 본다. 문학치료 서사이론은 `작품서사`와 `자기서사`의 개념이 정립되면서, 더 이상 우리의 문제를 `심리적`인 차원에서 접근하지 않고 `서사적`인 차원에서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 즉 문학치료는 인간은 문학에 의해 통제되는 존재라는 전제하에 문학을 통해 영향을 주어 우리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문학치료학을 `문학을 통한 치료`가 아니라, `문학을 문학으로써 치료`하려는 학문으로 보는 것이 온당할 것이다. Understanding the stream of the theoretical study in literary therapeutics is very important for practicing literary therapy properly. Therefore, in this paper, I examine the process of conceptualizing the essential concept of literary therapeutic theory. In the literary therapeutic view, the reason literature has therapeutical ability is that literature has `epic`. `Epic` is the core of literary therapeutics. The meaning of the term `epic` is different from `narrative`. It has its unique meaning. When `epic` is used as term of literary therapeutics, it is not like `literary work` itself. `Epic` is not on the text, nor shown on the surface. It has to be analyzed through the text. `Epic` is like `background tale` which helps to understand the text. It provides us the logical connection or the context, so we can understand literature coherently. The most distinctive characteristic of literary therapeutics is that human are treated as literature. Literary therapeutics has furnished the perspective that human and literary work are samely organized by epic. That`s why both are dealt as literature. Therefore, Literary therapeutics is not `curing the human`s problem by literature`, but `curing the literature by literature`.

      • KCI등재후보

        서사수필 창작에 나타나는 자가치료성 고찰-윤오영의 <방망이 깎던 노인> 창작을 중심으로-

        박태진 ( Park Tae-jin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1 문학치료연구 Vol.18 No.-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rvey a study on the value of self-therapy appeared in epic-essay`s creative writing through focusing on a case of < an old man cutting a club > written by Yoon, Oh-young. To fulfill this aim, first of all this study investigated rules of Creative Writing of Narrative Essay and divided the epic of self into two kinds of epic of self, namely there are epic of self that comfort and epic of self that is discomfort. Also, this study examined that recognition, emotion, and aesthetic region operate in his mind, when a writer write narrative-essay. And this study examined that there are many therapeutic mechanism playing the role for self-treatment when a writer write narrative-essay too. Finally, this study inquired the property of self-treatment appearing in < an old man cutting a club > written by Yoon, oh-young through the result of above many kinds of examination. With the result of this study, there are four meanings appeared in education of literary creative writing. First, there is founded the value of self-treatment in creative writing of narrative essay that is appropriate for writing epic of self. Second, the value of self-treatment in creative writing of narrative essay happen in the process of creative writing. So, the property of self-treatment appearing in creative writing of narrative essay is important in literary curriculum focusing on process of education. Third, the value of self-treatment in creative writing of narrative essay can solve not only the problems cognitive problem and emotional problem but also aesthetic problem. Especially, solution for aesthetic problem in mind is very important value against disease of material civilization. The last, the value of self-treatment in creative writing of narrative essay promote self-development and self-education in literary educ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ccept the value of self-treatment in creative writing of narrative essay in literary education. 이 논문은 문학 창작교육의 관점에서 서사수필의 일종인 윤오영의 <방망이 깎던 노인> 창작을 사례로 문학치료학적 `자기서사`를 서사수필로 창작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자기치료성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먼저 서사수필 창작의 규약을 살폈다. 문학 창작의 주체의 입장에서 창작의 중요한 소재이자 제재로 등장하는 자기서사를 쾌의 자기서사와 불쾌의 자기서사로 분류했다. 또한 자기서사가 서사수필로 창작될 때 치료의 영역을 인지와 정서적 영역은 물론 심미적 영역이 작용함을 살폈다. 그리고 서사수필을 창작할 때 자가 치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치료 기제도 조사해 보았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윤오영의 「방망이 깎던 노인」을 창작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자기치료성을 고찰하였다. 이 결과 서사수필 창작에 나타나는 자기치료성에 대한 고찰은 문학교육에서 다음과 같은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첫째, 서사수필 창작에서 나타나는 자가 치료적 가치는 창작 교육에서 유용하다는 점이다. 그동안 문학 창작교육에서 이러한 치료적 가치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 했다. 둘째, 서사수필 창작의 자가 치료 가치는 학습 작가가 직접 써보는 창작활동의 과정에서 발현되기에 과정 중심의 교육과정에서 정신 건강을 유지하는 가치가 있다. 셋째, 서사수필 창작의 치료 가치는 창작 주체의 인지· 정서적 치료뿐만 아니라 심미적 치료를 지향한다. 이에 심미적 치료 가치는 물질문명의 병폐를 극복할 수 있는 심미적 가치를 고양할 수 있다. 끝으로 서사수필 창작의 치료 가치는 자기 발달과 자기완성의 교육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서사수필 창작에서 나타나는 자기치료성은 문학 창작교육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며, 이에 문학교육에서 적극 수용할 교육 내용이다.

      • KCI등재

        임상 현장에서의 문학치료의 의미와 방법 고찰 -후속세대로서의 문학치료 임상경험을 중심으로-

        백세영 ( Baek Se-young ) 한국문학치료학회 2020 문학치료연구 Vol.57 No.-

        본 연구는 문학치료학이라는 학문의 후속세대 연구자로서 심리치료(상담)현장에서 짧지만 문학치료 임상경험을 토대로 느낀 문학치료학에 대한 새로운 점과 의의, 아쉬운 점, 앞으로 더 보완하고 발전해 나가기를 바라는 점에 대해 기술하고자 하였다. 인간은 본래 스토리적으로 사고하고 행동하는 존재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문학은 아주 오래전부터 미술, 음악, 연극 등 다른 예술 매체들과 더불어 인간의 감정을 정화하고 순화시키는 정신 치료적 도구로 활용되어 왔다. 문학을 작품과 그 이면의 작품서사로 나누어 보고 인간을 인생과 그 이면의 자기서사로 나누어 봄으로써, 문학이나 인간을 다 같이 ‘서사’를 통하여 연구하는 문학치료학은 지금까지와는 다른 새로운 방식으로 접근하는 학문이다. 문학치료에 있어서 ‘서사’의 영어 표기로 정운채가 ‘epic’을 제시하였으나 신동흔이 오랜 관행을 깨면서 ‘story-in-depth’라는 용어를 제안해 채택한 것은 정운채가 제시한 ‘이면의 심층서사’를 더 정확하게 지칭하는 것으로 보편적이고 소통을 추구하는 면에서 조금 더 인정을 받은 상황이라고 말할 수 있다. 또한 신동흔은 자기서사의 문제를 치료하고, 진단과 치료가 상호 밀접하게 독자적으로 발전해 나가기 위해 평가도구로서 ‘MMSS (Magic Mirror for the Story-in-depth of Self, 내 안의 심층서사를 비춰주는 마법의 거울) 자기서사진단지’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자는 신경정신과에서 심리치료의 일환으로 약 100여명의 환자에게 2019년 9월부터 현재까지 이어쓰기와 다시쓰기, 바꿔쓰기 방식의 이야기 만들기와 MMSS진단을 통하여 문학치료를 도입해 진행하였는데, 문학치료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MMSS가 비교적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어려움에 직면해 충분한 라포가 형성된 뒤인 상담의 초중기, 또는 중기 이상에서 시행하였다. 특정서사에 고착된, 서사접속능력의 문제를 가진 내담자의 경우에는 다른 서사를 제시해주는 것만으로 그가 필요한 서사를 습득하여 자기서사의 변화를 꾀하는 것이 어렵기도 하였으나, 자연스럽게 옛날이야기를 들려주겠다며 작품을 구연하였을 때 큰 관심을 보이며 상담자체에 흥미를 보이기 시작한 사례도 있었다. 고통 받고 있는 한 인간을 돕는다는 면에서 문학치료와 상담은 같은 목표를 지향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향후 임상연구 영역에서 서사연구에 중요한 가치를 가지고 독자적인 문학치료만의 진단과 치료방법을 더 확장해 나갈 수 있도록 상담과 연계된다면 문학치료의 효과성이 입증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치료자가 전문적 상담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실무능력을 보유해야 하고, 꾸준한 임상을 통해 거듭된 연구로 보완되어 검사의 타당성과 신뢰도를 확보하는 것은 물론, 정밀한 이론이 정립되어야 할 것이다. 또 타 영역과의 끊임없는 교류와 비교 검토로 이해와 소통을 통해서 실제에서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s a follow-up to the study on literature therapy, this study aimed to describe the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challenges of literary therapy, which was not sufficiently employed in psychological therapy (consultation), and hopes for further supplementation and development in the future. Humans are inherently story-thinkers and actors. Thus, literature has long been used as a psychotherapy tool to purify human emotions, along with other forms of art media, such as art, music, and theater. By dividing literature into works and works behind them, and dividing humans into life and self-written books behind them, literary therapy, which studies literature and humans all together through "written history," is a new approach to learning in a different way than ever before. Jeong Un-chae suggested “epic” as an English word for "a narrative" in literary therapy, but Shin Dong-hun suggested the term “story-in-depth” in breaking the long-standing practice, in referring to Chung's "in-depth narrative" more accurately, which is universal and more recognized in the pursuit of communication. Shin Dong-hun also developed “MMSS (Magic Mirror for the Story-in-Depth of Self) Self-written Photography Complex” as an evaluation tool to treat issues in self-written narratives and develop diagnosis and treatment closely and independently. As part of psychological treatment, this researcher introduced literary therapy to about 100 patients from September 2019 to present through MMSS diagnosis, which was conducted in the early or mid-term of counseling after sufficient Lapo was formed in the face of difficulties due to lack of understanding of literary therapy. Literary therapy and counseling have the same goal in terms of helping human beings overcome their suffering. Literary therapy would naturally be more effective if linked to counseling as it can further expand the diagnosis and treatment methods of independent literary therapy with important values in narrative research in the future clinical research area. In order to do so, the therapist must have the practical skills to conduct professional counseling, which must be supplemented by steady clinical trials to ensur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examination, as well as precise theories. In addition, it should be done with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through constant exchanges and comparative reviews with other areas.

      • KCI등재후보

        문학치료학적 관점에서의 독서감상문 지도 사례 연구

        박민 ( Park Min ) 한국문학치료학회 2009 문학치료연구 Vol.11 No.-

        본고는 학교현장에서의 독서감상문 지도 사례를 제시하며, 문학치료학적 관점으로 해석하고, 나아가 학교 현장에서의 문학치료학적 독서지도의 가능성을 모색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2절에서는 해당 학생이 선택한 작품인 <소녀의 마음>의 작품서사를 분석하였다. 이어서 3절에서는 문학치료학적 관점의 독서감상문 지도 전략인 가설을 소개하고, 감상문을 통해 학생의 자기서사를 분석하고 지도했던 사례의 실제를 탐색한 후, 다시 가설을 검증해 보는 것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오늘날의 학교교육에서 독서/토론/논술은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활동의 기본이라 할 수 있는 독서활동은 그 작품과의 상호작용이라는 점에서, 자기서사-작품서사의 조응이라는 문학치료학적 관점과 그 맥을 같이 한다. 그렇기에, 다양한 독서활동에서 문학치료학적 관점이 기여 할 수 있는 여지는 매우 많을 것이다. 건강한 자기서사를 가지는 것은 물론, 대회입상이라는 가시적인 성과를 위해 노력한 결과, 문학치료학적 관점의 독서감상문 지도를 받은 학생이 한 대회에서 에서 장원을 하였다. 그 선정도서였던 <소녀의 마음>의 작품서사의 핵심은 `낙천성`과 `자립적 인간`이다. 주인공인 `가스리`는 애초부터 낙천적이고 자립적인 삶을 지향하는 인간이었지만, 세상이 자신과 같지 않음을 쉽게 받아들이지 못해 힘들어 했다. 그 점에서 건강하지 못했으나 부모님과 남자친구를 통해서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것을 이해하고, 더욱 온전하게 `낙천적이고 자립적인 인간`으로 완성되어 갔다. 이를 바탕으로 수립한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작품서사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드러낸다. 둘째, 작품서사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자기서사의 변화를 적극적으로 표현한다. 셋째, 자기서사의 변화는 관계의 회복을 지향한다. 넷째, 등장인물에게 받은 감동은 논리적이어서 설득력이 있어야 한다. 다섯째, 독서감상문도 하나의 감동스러운 작품이어야 한다. 결과적으로, `건강한 자기서사 - 독서활동에 대한 긍정적 인식 - (입상)`이라는 소기의 목표는 달성된 듯 보인다. 심사평을 통해 그러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고, 대상 학생 역시도 독서감상문대회 참여 이후 자기서사가 달라진 징후를 보여주었기 때문이다. 결국 가설로서의 전략과 그 결과가 보여준 긍정적 효과들은 일면 문학치료학이 학교현장에서의 글쓰기 교육, 독서교육적 관점으로도 매우 유용하다는 기대를 갖게 한다. 처음의 자기서사가 그 약점들이 보완되면서 더 건강한 자기서사로 나아가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가 가지는 많은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학교현장 속 독서교육으로서의 구체적 사례 제시라는 점에서 본 연구는 문학치료학적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is paper is to report a guidance case of a student`s impressions of a book, and analyze the meaning in a literary therapeutic view. Also grope for literary therapeutic guidance ways to the class. First of all, I analyze the epic of the < a girl`s mind >. Secondly, I indicate the strategies for literary therapeutic guidance ways. Then I analyze the epic of the student who is the subject of this study. This student had been instructed to write the impressions of < a girl`s mind > constantly. When I had guided her to write the impressions, I kept literary therapeutic guidance ways in mind. In the literary therapeutic view, `the epic of literary work` and `the epic of self` are interacted to each other. As a result, this student win the first place in the contest. The essence of the epic of < a girl`s mind > are `optimism` and `self-reliance`. The main character of this book is a girl, even though she heads for `optimism` and `self-reliance`, she had to confront the opposite reality. In the beginning, she suffered from the world, but after she gained recognition from her parents and her boyfriend, she becomes a person who is optimistic and self-reliance soundly. Base on this, I establish some assumptions of literary therapeutic guidance strategies. First, indicate the epic of literary work clearly. Second, express the change of the epic of self through the epic of literary work. Third, head toward recovering relationship. Fourth, explain the deep emotion from the character logically. Fifth, the impressions of a book should be also impressive literary work as well. Even though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it also has significant literary therapeutic meaning for suggesting specific case.

      • KCI등재

        역사적 트라우마와 관련된 문학치료연구 현황

        하은하 ( Ha Eun-ha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3 문학치료연구 Vol.27 No.-

        이 논문은 역사적 트라우마와 관련된 문학치료연구 현황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문학치료학 연구를 세 시기로 구분하고 각 시기 별로 역사적 트라우마와 관련하여 주목할 만한 연구들을 개괄하면서 문학치료학에서 역사적 트라우마의 극복 방안은 어떻게 구체화되고 있는지 검토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문학치료학의 태동기에는 전통적인 문학론을 통해 문학의 본래적 기능이 치료에 있다는 것을 입증했다. 그리고 문학을 통한 치료는 뒤틀린 인간관계를 회복하는 것과 관계된다고 하면서 올바른 관계 회복은 개인의 차원에서는 궁극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고 사회 전체가 건강성을 회복했을 때 비로소 완성된다는 것도 주목하고 있었다. 이로써 집단 전체의 외상이면서 구성원 간의 인간관계를 뒤틀린 결과이기도 한 역사적 트라우마와 같은 대사회적 문제도 문학치료학 연구에서 반드시 회복시켜야 과제임을 알 수 있었다. 문학치료학의 서사이론 성립기에서는 문학의 치료적 기능을 심리학의 용어를 빌어서 해석하는 것에서부터 작품서사, 자기서사와 같이 본격적인 문학치료학의 서사이론을 세워가는 연구 두 단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 번째 연구들에서는 작품은 원초적 사건과 관련된 기억을 자초지종을 밝혀 재생시키는 것이기에 경험을 반복하게 할 뿐만 아니라 이해를 재조정하는 것이라는 점에 주목했었다. 두 번째 연구들에서는 작품과 인생의 심층에는 작품서사와 자기서사가 존재하는 것처럼 특정한 역사나 사회의 근원에도 자기서사가 작동하고 있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역사적 트라우마도 인간 삶의 모든 활동처럼 서사적으로 구조화되어 운영된다고 보았다. 이에 역사적 트라우마의 극복은 사실을 밝히고 사실과 사실 간의 관계를 따지는 일로는 충분하지 않으며 특정 사실을 선별하고 서사화하는 일종의 트라우마서사의 실체를 드러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치료적 활용을 위한 방법론 개발연구에서는 역사적 트라우마의 심층에 자리한 서사의 전모를 밝히려면 작품서사와 자기서사의 상호 조응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를 위해서는 기초서사 16가지 영역에 대한 진단과 8종류의 이상 심리서사진단도구를 활용하게 되면 자기서사의 일반적인 특징 뿐 아니라 특수한 국면까지 짐작할 수 있다고 했다. 마찬가지로 자기서사의 변화 과정을 활용하게 되면 역사적 트라우마 역시도 그것을 강화시키고 고착시키는 심층적 원인으로서의 서사를 변화시켜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변화를 위해서는 서사의 다기성이 활용 될 필요가 있는데 다른 선택 가능성들을 보여주는 작품서사를 구축하고 이해하게 되면 역사적 트라우마를 유발시키고 강화시켜 왔던 서사로부터 벗어날 수 있을 것이라는 했다. 이렇게 역사적 트라우마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문학치료학 연구 현황들을 점검한 것은, 문학치료학이 사회 변화에는 관심이 없이 오로지 개인의 문제해결에만 관심을 두는 학문이라고 생각하거나, 문학치료학은 문학을 치료에 이용하는 기법을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생각하는 오해들을 풀고 싶었기 때문이었다. 그러기 위해 직접적으로 역사적 트라우마와 관련된 작품에 대한 연구 동향 대신 문학치료학의 핵심이론이 서사이론과 치료적 활용을 위한 방법론 연구들을 대상으로 하여 그것들이 본질적으로는 역사적 트라우마를 진단하고 극복할 수 있는 유효성을 담보하고 있음을 밝히려 하였다. This paper aims searches Research Status on Literary Therapeutics related to historical trauma. To this end, First, the Literary Therapeutics study were divided into three periods. Remarkable discussion related to historical trauma were examined for each time.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beginning period, therapy through the literary is to recover the twisted relationship. The correct recovery of relationships should go beyond the personal level. Correct relationship is completed when society is restored to health. Historical trauma is collective injury, and is that human relation is twisted. Historical trauma is a Literary therapeutic challenge. Historical trauma is a target that must be recovered. On Literary therapeutic, the epic of literary work and the epic of self are in the work and life origin. Likewise, the epic of self is working in history or social origin. This research suggests that the root cause of the historical trauma is epic related to the trauma. This is because the Epic is to be making by screening, structuring and understanding of a particular fact. In research methodology for the treatment, the epic of self can be seen through interrelationship with the epic of literary work. Starting from the change in the epic of self know the Divergence of Epic. The historical trauma begins to be overcome when the road of Epic to move our society for a long time is emerged. The historical trauma can be overcome when the other turning point of Epic is fou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