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Inhibitory Action of a Histone Deacetylase 6 Inhibitor on Glucosylceramide- and Glucosylsphingosine-induced Neuronal Cell Apoptosis

        정남희,남유화,박세영,김지연,정성철,Jung, Namhee,Nam, Yu Hwa,Park, Saeyoung,Kim, Ji Yeon,Jung, Sung-Chul The Korea Society of Inherited Metabolic Disease 2020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Vol.20 No.1

        Gaucher disease (GD)는 glucocerebrosidase 유전자(GBA)의 돌연변이에 의하여 발병하는 전세계적으로 가장 유병율이 높은 리소좀 축적질환이다. GD는 신경학적인 증상의 유무에 따라 3가지 임상형으로 구분된다. 신경병증 GD인 2형과 3형의 경우는 대뇌에서 glucosylceramide (GlcCer)와 glucosylsphingosine (GlcSph)의 농도가 증가하면서 신경세포의 심각한 손실이 야기되는 특징을 보인다. 신경교종에서 유래한 H4 세포를 GD에서 증가하는 기질인 GluCer와 GlcSph를 첨가하여 배양하였을 때, 심각한 DNA손상과 더불어 세포의 사멸이 야기되는 것과 이러한 신경세포의 사멸은 GluCer 보다는 GlcSph을 처리하였을 때 더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H4 세포에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HDAC) 6의 저해제인 tubacin과 GlcSph을 함께 처리하였을 경우에는 DNA손상은 물론 GlcSph에 의하여 유도된 세포사멸과 관련된 단백질 인자들의 발현이 모두 감소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GlcSph이 세포사멸을 통하여 신경병증 GD의 발병에 주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HDAC6 저해제가 신경병증 GD 환자를 위한 치료제 후보물질로 제시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Purpose: Gaucher disease (GD), which is the most prevalent lysosomal storage disorder worldwide, is caused by mutations in the glucocerebrosidase gene (GBA). GD is divided into three clinical subtypes based on the appearance of neurological symptoms. Type 1 GD is a chronic non-neuronopathic disease, and types 2 and 3 are acute neuronopathic and chronic neuronopathic forms, respectively. Neuronopathic GD types 2 and 3 are characterized by increased levels of glucosylceramide (GlcCer) and glucosylsphingosine (GlcSph) in the brain, leading to massive loss of neurons. Methods: DNA damage and subsequent apoptosis of H4 cells were observed following neuroglioma H4 cell culture with GlcCer or GlcSph. Neuronal cell apoptosis was more prominent upon treatment with GlcSph. Results: When H4 cells were treated with GlcSph in the presence of tubacin, a histone deacetylase 6 inhibitor (HDAC6i), attenuation of both DNA damage and a reduction in the protein expression levels of GlcSph-induced apoptosis-associated factors were observed.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d that GlcSph played a prominent role in the pathogenesis of neuronopathic GD by inducing apoptosis, and that HDAC6i could be considered a therapeutic candidate for the treatment of neuronopathic GD.

      • FIV Vector System을 이용하여 생산한 hEPO 형질전환 닭에서의 유전자 결손

        구본철,권모선,김도향,남유화,김태완 한국동물생명공학회(구 한국동물번식학회) 2017 발생공학 국제심포지엄 및 학술대회 Vol.2017 No.10

        형질전환 닭을 생산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유전자 전이 방법은 retrovirus 또는 lentivirus vector system을 이용하여 X기의 배반엽 세포에 외래 유전자를 전이시키는 방법이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의 형질전환 닭의 생산에 관한 몇몇의 연구 보고 에서 도입된 virus vector 내의 일부 서열이 결손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결손된 부위의 유전자 서열은 포유류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보고된 이소성의 splicing donor 부분과는 상관관계가 없는 다른 염기 서열이 해당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고양이 면역결핍 바이러스(feline immunodeficiency virus, FIV) 유래의 FIV-Ov23p-hEPOW lentivirus vector를 이용하여 난관 조직 특이적으로 hEPO 유전자가 발현되는 형질전환 닭을 생산하였으며, 이로부터 유래한 G1 세대 형질전환 개체에서 닭의 genome에 도입된 lentivirus vector 서열의 결손을 발견하였다. Virus vector 서열의 결손은 Southern blotting, genomic DNA PCR 분석 및 DNA sequencing을 실시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입된 lentivirus 서열 중 2.3 kb 크기의 ovalbumin promoter 내의 estrogen response element (ERE) 부분에서 443 bp가 결손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앞서 보고된 여러 연구 결 과와 마찬가지로 특정 서열과는 상관관계가 없는 부분이 소실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러나 promoter 부분의 결손에서 불구하고 G1 형질전환 닭이 산란한 계란에는 최대 371 IU/mL (3.1 μg/mL) hEPO 단백질이 생산되었으며, 혈액에서는 22.5 mIU/mL (0.19 ng/ mL)의 hEPO가 포함되어 있었다. 즉, enhancer로 알려진 ERE의 일부 결손이 난관 조직 을 통한 단백질의 발현량을 크게 증가시키진 못하였으나 난관 조직 특이적 발현에는 영 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FIV 유래의 lentivirus vector system을 이용하여 생산한 형질전환 닭에서 도입되는 vector 서열의 결손에 대한 실례를 제공하는 것으로, 결손이 일어나지 않는 새로운 형태의 virus vector system의 개발을 모색할 필요 성을 제시하는 데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Occurrence of Anisakid Nematodes in Walleye Pollock (Gadus chalcogrammus) Caught off the East Sea of Korea: Their Molecular Identification and Biological Implication

        Septianto Wikan Nurhidayat,남유화,김정호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018 Ocean science journal Vol.53 No.4

        Walleye pollock (Gadus chalcogrammus) is one of the popular fish species in Korea and known to frequently harbor anisakid nematodes. Despite many papers regarding walleye pollock having been published, there is no information on the prevalence and distribution of anisakid nematodes from walleye pollock in Korean waters. We investigated 716 walleye pollock caught from Goseong, the East Sea of the Korean Peninsula during May 2015?December 2016. In total, 1,085 nematodes were collected and subsequently identified by PCR-RFLP analysis of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egion of ribosomal DNA. The prevalence and mean intensity of anisakid nematodes was 63.6% (68/107) and 4.4 larvae/fish (297/68) in samples of 2015, and 21.5% (131/609) and 6.0 larvae/fish (788/131) in samples of 2016. The most abundantly isolated anisakid nematode was Anisakis simplex (Rudolphi, 1809) (73.5%, 798/1,085), followed by Contracaecum osculatum (Rudolphi, 1802) (3.1%, 34/1,085), Hysterothylacium aduncum (Rudolphi, 1802) (2.9%, 31/1,085), Anisakis pegreffii (Campana-Rouget and Biocca, 1955) (1.4%, 15/1,085), and a hybrid genotype (0.4%, 4/ 1,085). The mitochondrial DNA cox2 gene sequences of randomly selected A. simplex showed the highest similarity (99.5%?98.8%) with those from chub mackerel (Scomber japonicus) in Japan or from chum salmon (Oncorhynchus keta) in Korea. The mtDNA cox2 gene sequences of C. osculatum showed the highest similarity (99.0%) with those from bearded seals in Japan. All of these results give us clues to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migration route and prey items of walleye pollock caught off Korea. Further extensive analyses will be necessary to get more information on the biology of Korean walleye polloc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