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방병동과 폐쇄병동의 치료환경에 대한 비교연구

        김경중,배안,조남현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7 신경정신의학 Vol.36 No.4

        연구 목적 : 정신과 병동의 치료환경은 환자의 치료전귀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저자들은 주로 만성적인 정신과 입원환자들이 입원 치료를 받고 있는 국립나주정신병원에서 개방병동과 폐쇄병동의 치료환경의 특성과 각각의 병동내 직원과 환자의 병동환경에 대한 태도를 비교해보고자 보았다. 연구 방법 : 본 연구자들은 국립나주정신병원에서 비교적 개방과 폐쇄의 전형성을 보이는 남녀병동 각각 1개씩, 총 4개의 병동을 선정하여 그 병동의 환자와 직원을 대상으로 1995년 6월부터 8월까지 3개월 간 월 1회 병실 환경평가척도(Word Atmosphere Scale : WAS)를 실시한 후 각 군들의 WAS에 대한 하위척도의 평균값을 Student's t-test로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 1) 폐쇄병동은 직원의 통제와 병동의 규칙을 중요시하고 환자의 자율성이 무시된 통제위주프로그램(control-oriented program)의 치료환경과 유사하였으며, 이러한 평가는 직원들보다는 환자들이 보다 명확하게 지각하고 있다. 2) 개방병동은 직원과 환자 및 환자들끼리 서로 지지하고 격려해주면서 환자의 실제적인 문제의 해결에 중점을 두는 치료환경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직원들은 치료계획차원(treatment program dimension)이 활성화된 병동으로 지각하였다. 3) 두 병동의 치료환경을 비교한 결과 개방병동이 더 치료적임 병동으로 나타났으며, 개방병동은 자율적인 문제해결에 중점을 두고 있는데 반하여, 폐쇄병동은 환자의 보호에 중점을 두고 있었다. 또한 이러한 두 병동이 환경차이에 직원보다는 환자가 더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결 론 : 결론적으로는 병동에서 환자들에게 다양한 현실적인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만 있다면, 대부분 만성 정신질환자가 입원된 정신과 전문병원에서 개방병동이 하나의 바람직한 치료유형으로서 대안이 될 수 있음을 볼 수 있었다. Objective : The treatment setting of mental hospital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outcome of treatment. The authors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treatment setting of the open and the closed wards in a mental hospital and the attitudes of the staff and patients on each ward. Methods : Total four wards two typical open wards and two typical closed wards were selected and each contained one ward and one female ward. Ward Atmosphere Scale (WAS) was conducted to each and the mean scores of suscales of WAS were compared by using Student's t-test. Results : 1) The closed ward was similar to the treatment of control-oriented program which stresses the staff control and the rule of ward and ignores the autonomy of patient and such a evaluation was perceived more by the patients than by the staff. 2) The open ward supported and encouraged the staff and patients and focused on solving the practical problems of the patients, and especially the staff perceived it as the treatment program the activated ward. 3) It was shown that the open ward was more therapeutic and while it focused on the autonomous problem solving, the closed ward pup enguasis on the protection of patients. In addition, the patients were sensitive to the difference of setting between the two wards than the staff. Conclusion : In conclusion, if various and realistic programs were offered to the patients in the ward, the open ward would be proposed as a desirable therapeutic form for the chronic psychiatric inpatients.

      • 국립서울병원에서 개방병동에 적응 못하는 정신분열병 환자들의 특성

        서주행(Joo-Haeng Seo),장안기(An-Kee Chang),최종혁(Jong Hyuk Choi)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2 사회정신의학 Vol.7 No.1

        연구목적: 개방병동에서 폐쇄병동으로 옮겨간 남자 정신분열병 환자들에 있어서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임상적 특성, 전동환자 빈도와 전동이유를 알아 환자 치료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방 법: 2000년 1월 1일부터 2001년 12월 31일까지 국립서울병원의 남자 개방병동에서 치료를 받은 환자 302명 중에서 입원치료중 폐쇄병동으로 옮겨간 환자(전동군) 22명과 같은 기간동안 1년 이상 개방병동에서 입원치료를 하고 퇴원한 환자 또는 1년이상 입원 치료중인 환자 31명을 대조군(비 전동군)으로 하여 병력지를 조사하였고, 양군간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결 과: 연구 기간동안 남자 개방병동에서 퇴원한 정신분열병 환자는 302명이었고, 폐쇄병동으로 옮겨간 환자는 22명(7.28%)이었다. 전동이유의 빈도는 환청 또는 망상과 자해가 12명(54.5%)으로 가장 많았고, 옮겨간 시기는 환자의 40.9%(9명)에서 개방병동 입원 1개월 미만이었다. 전동군 환자들은 입원 시 주소에 있어서 난폭한 행동이 많았으며, 알코올 의존증을 많이 동반하였고, 난폭행동의 과거력이 있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개방병동 입원 생활 중에는 월평균 프로그램 참여회수가 낮았다(p<0.05). 결 론: 개방병동 입원환자 중 난폭행동을 주소로 입원하였거나, 동반질환으로 알코올 의존 및 물질남용이 있거나, 난폭행동의 과거력이 있는 경우에는 많은 치료적 관심을 요한다. Objectives: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socio-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causes and occurrence time in the schizophrenic patients transferred from an open ward to a closed ward for treatment improvement. Methods:Twenty-two schizophrenic patients who were admitted at the Seoul National Hospital during the years between 2000-2001 and transferred from an open ward to a closed ward were se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transferred patien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all patients admitted to an open ward and not transferredduring the same period. Thirty-one were selected as control group. The patients’s chart was reviewed. Results: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cohabitant, chief complaint on admission, alcohol dependence and substance abuse, the number of engagement in ward program and history of violent behavior(p<0.05). The causes of transfer were hallucination and delusion(31.8%), self-harm(22.7%), violation of ward rule(18.2%), violent behavior(13.6%) and escape(13.6%) in order. The majority of transfer occurred within 1st hospital month(40.9%). Conclusion:Psychiatrist should pay attention and interest to patients who have violent behavior in chief complaint, alcohol dependence and substance abuse and history of violent behavior in an open ward.

      • 정신과 폐쇄 병동 환경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임상변인 : 치료의 질적 향성을 위한 예비적 연구 The Preliminary Study for Promoting the Quality of Psychiatric Inpatient Treatment

        서정석,류은정,이상미,한미희,최귀순,손인기,남범우 건국대학교 의과학연구소 2003 건국의과학학술지 Vol.13 No.-

        Purpose: IS prelminary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the clinical variables influencing on the ward atmosphere in psychiatric closed ward and to promote the quality of psychiatric inpatient treatment. Method: 41 psychiatric inpatients were selected in Chung-ju hospital, Konkuk university. Ward Atmosphere Scale(W AS) was used to evaluate patients' perception of ward milieu. WAS score were compared among subgroups with respect to the clinical variables such as duration of admission, frequency of admission, and diagnosis. Results: Significantly, patients who have hospitalized for 1 month to 2 months reported lower score of WAS and patients who have hospitalized for longer than 2 months reported higher score of WAS.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ed levels and WAS score was not significant. First admitted patients reported significantly lower score of WAS. Bipolar patients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score of WAS and alcohol related patients reported significantly lower score of WAS. Conclusion: The 1st admitted patients, patients with alcohol problem and educated patients were had less satisfied with psychiatric closed ward. Thus, by considering these factors, more specified therapeutic approach and plan should be conducted.

      • KCI등재후보

        보호병동 입원 중인 정신증적 장애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명상 프로그램의 적용

        김규남(Kim, Gyu-Nam),이상일(Lee, Sangil),김정모(Kim, Jeung-Mo)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인문학논총 Vol.43 No.-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음챙김 기반 명상 프로그램이 보호병동에 입원 중인 정신증적 장애 환자들에게 적용될 때 고려되어야 할 점들에 대해 탐색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예비연구에서는 보호병동에 입원 중인 정신증적 장애 환자들을 대상으로 8주간 명상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환자 및 병동 담당의 및 간호사들로부터 프로그램에 대한 피드백을 받았다. 그 결과, 참가 환자들의 전반적인 기능 상태의 차이로 인한 의사소통의 문제, 예상하지 못한 퇴원으로 인한 중도 탈락, 과제에 대한 부담감 및 지루함 등이 보고되었다. 보고된 문제점들을 본 연구(main study) 프로그램에 수정 보완하여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예비연구에서 보고된 문제점들을 수정한 명상 훈련을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은 명상 훈련을 받았으며 통제집단은 병동 내 일반적인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예비연구에 참여한 참가자들은 본 연구에 참여하지 않았다. 그 결과,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간이정신진단검사의 강박증척도에서 유의한 저하를 나타내었으며, 불안 척도에서 유의수준에 근접한 경향성을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명상 훈련 프로그램이 정신증적 장애 환자들에게 치료 효과가 있다는 점과 보호병동이라는 특수한 치료환경에 적용되기 위해서 다양한 측면들이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and consideration of Mindfulness-based meditation program for psychotic disorder patient in closed ward, and examined the effect of Mindfulness intervention. In the preliminary study, we conducted the Mindfulness program for psychotic disorder patient in closed ward, after the program, we received the feedback from patients, ward nurses and doctor. As results, several problems have been reported such as communication difficulty due to the difference of clinical function between participants, dropout for discharge, some pressure to individual task and boredom for meditation training. We modified the meditation program in accordance with the reported problems, and this program were applied to main study. These showed that the training group had a significant reduction of obsessive index and a trend toward significance of anxiety index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Mindfulness-based meditation intervention can be used to help psychotic disorder, and problem and improvement for the effective application in the closed ward.

      • KCI등재

        심상 시치료가 만성 조현병 입원환자의 증상 완화 및 심리적 안정에 미치는 효과

        박정혜,김춘경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16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문학치료 중에서 특히 심상 시치료가 정신건강의학과 폐쇄병동에 입원 중인 만성 조현병 환자에게 증상완화 측면뿐만 아니라 심리적인 안정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는가를 검증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경남 양산시 소재 정신건강의학과 ○○병원의 ○병동 내에서 입원 중인 환자 중 입원 기간이 3년 이상, 발병기간이 5년 이상이 된 만성 조현병 환자 14명이며, 심상 시치료 실시집단과 비실시 집단으로 각각 7명씩 무선 배치하였다. 2013년 1월에서 2월까지 총 12회기에 걸쳐 매주 2회, 한 회기 당 90분에 걸쳐 진행하였으며, 심상 시치료의 영역 중 매체활용적인 면에서 그림과 시를 위주로 하였다. 만성 조현병 환자의 증상완화의 측면을 알아보기 위해서 심상 시치료 실시 집단과 비실시 집단에게 각각 사전, 사후, 실시 한 달 후에는 추후까지 다면적 인성 검사(MMPI)와 간이정신진단 검사(SCL-90-R)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통계적으로 알아보았다. 또한, 심리적 안정 상태를 알아보기 위해서 문장완성 검사(SCT)를 실시하고 분석하였으며, 긍정적인 변화양상을 알아보기 위해서 실시집단을 대상으로 해서 현상학적 질적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심상 시치료가 정신건강의학과 폐쇄병동 입원 중인 만성 조현병 환자의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고, 그 효과는 추후에도 지속되었다. 둘째, 심상 시치료가 정신건강의학과 폐쇄병동 입원 중인 만성 조현병 환자의 심리를 안정시키는 것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고, 그 효과는 추후에도 지속되었다. 셋째, 심상 시치료가 현상학적으로 볼 때 정신건강의학과 폐쇄병동 입원 중인 만성 조현병 환자에게 긍정적인 변화양상을 가져올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test whether among literary therapy, ‘Imaginary-oriented Poetry Therapy’ could have positive effect at not only the side of ease of symptom but also the side of psychological stability to chronic schizophrenics who are in closed ward. The subjects of research were fourteen chronic schizophrenics who had over five years of disease experience and three years of hospitalization experience among patients in 0 ward at department of mental health in 00 hospital in Gyeongsangnam-do Province. They were assigned randomly in half into the experimental group that suffers ‘Imaginary-oriented Poetry Therapy’ and control group that doesn’t suffer the therapy.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two times a week for twelve session from January 2013 to February, and each session took ninety minutes. At the part of media utilization, it mainly used pictures and poems among the domain of ‘Imaginary-oriented Poetry Therapy’. To investigate the aspect of chronic schizophrenic’s ease of symptoms, MMPI and SCL-90-R were implemented to both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before the test, after the test, and after a month of test, and the results of that tests were elicited statistically. Also,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stability, SCT was implemented and analyzed, and to check positive change,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analysis were carried out to experimental group. To summarize the result of research, firstly, ‘Imaginary-oriented Poetry Therapy’ had positive effects on ease of symptom to chronic schizophrenics who were in closed ward at department of mental health, and that effects had lasted later on. Secondly, ‘Imaginary-oriented Poetry Therapy’ had meaningful effects on stabilizing chronic schizophrenics' mentality, and that effect had lasted later on. Finally, at the point of phenomenology, ‘Imaginary-oriented Poetry Therapy’ had positive change to chronic schizophrenics who were in closed ward at department of mental health.

      • 정신건강의학과 안정병동에서의 인플루엔자 A(H1N1) 유행과 통제

        김정훈,이강욱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17 신경정신의학 Vol.56 No.4

        Objectives In this study, we propose effective policies for preventing transmission in the closed ward of psychiatry department at the subject hospital. Methods 15 patients (9 in 2010, 3 in 2012, and 3 in 2013) infected by 2009 H1N1 Influenza A were treated with Tamiflu?? (Roche), and preventive Tamiflu?? was administered to patients without symptoms as well as healthcare workers. Infected patients were placed in cohorts or isolation rooms with droplet and contact precautions. The ward was cleaned daily with chloride. Influenza vaccinations were administered to immunosuppressed patients and long-term patients. In addition, respiratory etiquette posters were posted on the closed ward during the latter half of 2012. The 2013 outbreak involved the same controls as 2012. Results The incidence of outbreak among patients during the three outbreaks was 53%, 18%, and 19%. The incidence of infection among healthcare workers was 0% throughout the three periods, and there was no additional infection. Conclusion In a closed ward of the psychiatry department, there is constant contact between healthcare workers and patients. Therefore, the possibility of influenza transmission is expected to be high. It is important to maintain constant inspection to detect outbreaks. Effective infection control should be applied to block the virus.

      • KCI등재

        군 부적응 병사의 외래병동과 폐쇄병동 병사 간의 나무그림 반응특성 비교 연구

        김종희 한국미술치료학회 2015 美術治療硏究 Vol.22 No.6

        본 연구는 군 부적응으로 치료를 받고 있는 병사 중 외래병동과 폐쇄병동에 있는 병사 간 나무그림 반응특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것이다. 연구대상은 국군 A병원의 정신과에 2012년부터 2013년까지 군 부적응 치료 대상자 중 외래병동 54명, 폐쇄병동에 입원한 병사 8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나무그림검사의 채점지표는 Koch(1952/1985)와 高矯雅春(1989)과 나무그림검사의 해석기준을 형식적 분석 28문항과 내용적 분석 18문항으로 구성하여 외래병동과 폐쇄병동 간 나무그림의 반응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나무의 형식적인 분석에서 필압, 잎의 수, 그루터기 유무, 음영유무, 수피유무, 부착물, 주변 환경묘사, 기저선 유무, 가지를 제외한 수관 내부 추가 묘사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둘째, 나무의 내용적 분석에서 바람유무, 생존여부, 나무강도, 상흔생성, 마음에 드는지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나무그림검사가 군 부적응 병사들의 군 생활적응을 파악할 수 있는 보조도구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한 것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if there is a difference of responses to the Baum test between soldiers in an outpatients ward and those in a closed ward who were being treated in the Army Adaptation Department. Study participants were comprised of 54 soldiers in an outpatient’s ward 81 soldiers in a closed ward designated as maladaptive soldiers by the Department of Psychiatry of the A-army hospital. The score index of the Baum test adopts those of Koch(1952) and Gogoachun(1989) and employed 28 questions of structural analysis and 18 questions of content analysis in order to collect dat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formal analysis of tree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were obtained in pen pressure, in the number of leaves, and in the existence of tree stumps, of shades, of tree bark, of base line, of extraneous matter on tree, of a description of the environmental background, and of a description of the inside of the tree crown except for tree branches. Second, in content analysi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were found for the existence of wind, tree survival, tree strength, scars left, and coming into his or her favor. Accordingly, these data proves that the Baum test can be used to check maladaptive soldiers’ adaptability levels in their army lives.

      • KCI등재

        정신질환자의 입원 중 손상에 대한 법적 판단 -판례 분석을 통한 연구-

        박지혜,배현아 한국의료법학회 2012 한국의료법학회지 Vol.20 No.2

        정신질환자의 치료과정은 환자의 자기결정권이나 신체의 자유가 제한될 수 있고 반대로 의사의 재량의 범위가 넓게 인정될 수 있으므로 의사-환자 관계에 있어서 의사의 책임영역은 더 커질 수밖에 없다. 정신과 영역에서 특히 입원 중에 환자에게 발생하는 손상에 대한 책임은 정신질환자와 정신의료기관, 정신치료과정의 특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폐쇄병동에 입원 중인 정신질환자가 손상을 입는 경우에는 정신의료기관의 시설과 손상 장소, 동반자, 손상 당시의 상황과 의학적 상태 등이 법적 책임판단에 반영되어야 한다. 정신의료기관 내에서 발생하는 손상의 유형은 자살 및 탈출 시도로 인한 손상의 발생, 정신질환 외 기저질환에 의한 의학적 상태 악화 또는 낙상 등으로 인한 외상의 발생, 강박과 격리 치료과정에서 합병증의 발생 등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손상에 대한 의료기관과 의료인의 법적인 책임판단을 위해서는 각 유형에서 공통적으로는 정신질환 외의 질환 내지는 응급조치에 대한 정신과 의사로서 가지는 주의의무, 정신질환의 특수성(충동적, 비자발적 행동), 적절한 물적 설비의 구비 여부, 인력배치와 운영 등을 통한 입원 환자에 대한 의료기관의 관리․감독․관찰 의무, 사고에 대한 예견 가능성이 그 판단 기준이 된다. 각 유형에 따라 추가적으로 부과되는 주의의무의 내용이 달라질 수는 있는데, 특히 강박이나 격리를 치료수단으로 선택한 경우, 신체의 자유의 침해정도가 심각함을 고려하여 인권침해적인 요소를 확인하고 조치할 의무, 치료방법 선택의 보충성, 치료방법의 적절성 등이 추가적으로 주의의무위반에 대한 기준이 된다. 또한, 의료기관 내 자살 또는 환자의 탈출 시도로 인해 손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환자가 직접 사고를 일으키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환자의 자발적인 행동이 가능한 상태였다면 이것이 책임을 제한하는 요소로도 고려된다. 정신질환자의 입원 중 손상에 대한 법원의 판단은 당사자 간 의료계약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주의 의무의 내용을 기초로 하여, 정신질환자의 특수성을 감안하여 공평의 원리에 의하여 의료기관의 책임을 제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지만, 구체적․ 개별적 사안에 따라 사고 유형의 특징을 고려하여 추가적인 판단 기준이 적용되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