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정신과 임상실습 교육 전후의 의과대학생들과 간호대학생들의 정신질환에 대한 인식과 태도 변화

        이원우(Won-Woo Lee),장은진(Eun-Jin Chang),정철호(Chul-Ho Jung)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1 사회정신의학 Vol.6 No.2

        목 적: 정신과 임상실습 교육 전후에 정신질환에 대한 의과대학생들과 간호대학생의 정신질환에 대한 인식 및 태도를 조사함으로써, 정신과 임상실습이 정신과 질환에 대한 인식 및 태도를 변화시키는데 어떤 영향을 줄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계명대학교 동산병원 정신과 병동에서 2주간 정신과 임상실습을 시행한 의과대학생 68명과 정신간호실습을 한 간호대학생 63명을 대상으로 정신과 임상실습 전후에 정신질환에 대한 인식 및 태도를 묻는 설문조사를 각각 행하였다. 설문지는 정신질환의 원인 및 치료에 대해 원시적 혹은 초자연적 개념(제 1 요인)을 나타내는 9개 문항, 심리적 혹은 환경적 개념(제 2 요인)을 나타내는 15개 문항, 정신질환자에 대한 편견이나 사회복귀에 대한 부정적 태도(제 3 요인)를 나타내는 10개 문항 등 총 34개 문항으로 구성되어있다. 사용된 통계분석은 Independent T-test, Paired T-test, Mann-Whitney Test를 실시하였고, 통계적 유의성은 p<.05수준으로 선정하였다. 결 과: 1) 정신과 임상실습 전, 각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정신질환에 대한 인식과 태도 조사에서, 성별, 가족력 유무에 따른 요인별 반응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소속집단(의과대학 vs 간호대학)에 따른 요인별 비교에서는 제 2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종교에 따라서는 제 1 요인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간호대학생이 의과대학생보다 제 2 요인을 더 많이 고려하고, 개신교 군이 다른 군에 비해 제 1 요인을 적게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정신과 임상실습 전후에 정신질환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관한 실습효과는, 각 문항별 비교에서 모두 14문항에 대해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다. 그 중 제 1 요인과 제 3 요인에 해당되는 문항에서의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실습효과의 차이는 요인별 비교에서 성별과 종교에 따라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고, 소속과 정신질환의 가족력에 따라서는 간호대학생과 정신질환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에, 제 1 요인이 실습 이후에 더 많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정신과 임상실습 교육은 정신질환에 대한 올바른 인식 및 태도를 갖도록 하는데 도움이 되나, 소속별, 종교별, 가족력 유무 등에 따라 임상실습의 효과가 조금씩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정신질환의 원인 및 치료에 대한 지식적인 측면에서의 교육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식의 프로그램들을 개발하여 이들 실습학생들이 직접 정신질환자들과 접촉하고 정신질환에 대한 편견을 해소하고 올바른 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Objectives: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psychiatric clerkship on medical students’ and nursing students’ attitudes and concepts toward mental illness. Methods:For this study, 68 medical students and 63 nursing students who took psychiatric clerkship for 2 weeks were selected and were asked to answer a questionnaire about mental illness at the beginning and at the end of 2-weeklong clerkship. Results:1) Before clerkship, the psychological, environmental concepts toward mental illness were significantly high in nursing students than medical students group. And the primitive, supernatural concepts toward mental illness were significantly low in protestant students than non-protestant students group. 2) The effects of psychiatric clerkship toward mental illness were significant changes of concepts and attitudes toward mental illness. The primitive, supernatural concepts and the negative attitudes toward mentally ill were much decreased. Sex and religion did not significantly affected the effects of psychiatric clerkship. The primitive, supernatural concepts towards mental illness were much decreased in nursing students group and group with family history of psychiatric illness. Conclusion:Psychiatric clerkship of medical students and nursing students positively affected on attitudes and concepts toward mental illness. But the effects were different by their environments. Therefor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diverse programs of clerkship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attitudes and concepts toward mental illness of medical and nursing students must be needed.

      • 지역사회 정신보건 사업의 모델

        황태연(Tae-yeon Hwang)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0 사회정신의학 Vol.5 No.2

        정신보건법 제정 이후 지역사회에 서울시 강남구와 경기도 수원시에 지역사회 정신보건센터가 설립되어 지역내 만성정신질환자를 위한 정신사회재활 서비스를 시작한 이래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에 의해서 많은 정신보건센터가 설치되어 이제 전국에 44개소를 헤아리게 되었다. 이와 동시에 인구수가 적거나, 예산배정이 어렵거나, 전문인력이 부족해 센터가 설치되지 않은 지역에서는 방문보건 요원들에 의해 정신보건 서비스가 시행되고 있고, 사회복귀시설 또한 설치되어 많은 정신장애인들에게 사회복귀와 지지를 제공하여 입원을 줄이고, 기능을 호전시키는데 기여하고 있다. 그러나 수년간 갑자기 많은 지역사회 정신보건 시설과 서비스가 제공되면서 어떻게 효과적으로 재원이 분배되고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논란이 있어왔다. 서비스의 공공성을 강조하는 견해를 가진 전문가 측에서는 보건소를 중심으로, 서비스의 접근성과 질을 강조하는 전문가 측에서는 민간참여형 센터를 중심으로, 또 기존 자원의 이용을 강조하는 쪽에서는 복지관을 중심으로 사업을 전개하자고 주장을 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한정된 재원과 인력을 효과적으로 이용하자는 의견과 환자들과 가족이 요구하는 정신보건 서비스는 현실과 거리감이 있으므로 더욱 새로운 재원과 인력을 투자하자는 의견 또한 대립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지역사회 정신보건 사업의 다양한 모델들을 검토하고, 향후 우리가 채택할 수 있는 모델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고자 한다. After opening of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CMHC) in Seoul and Kyonggi Province for psychosocial rehabilitation of the chronic mentally ills in the community, now there are 44 CMHCs nationwide established by the joint effort between central, local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 Because of small population, lack of budget, and lack of mental health professionals in the community, many public health offices(PHO) are providing mental health service primarily by the home visiting nurses. Residential facilities and vocational workshops are established to reduce recidivism and improve functioning of the chronic mentally ills. Rapid growing of these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and programs called debate in the issues of financial resources distribution and service delivery system. Professionals who emphasized public aspect of these services advocate PHO-centered delivery of services. On the other hand, professionals who thought consumer-oriented mental health services accompanied with quality of care and easy accessibility urged CMHCs should be the center for community services for the integration of mental health services. Other professionals started services based on welfare facility to stress existing resource utilization in the community. Among these debates, an opinion that said utilization of limited financial and human resources is opposed to another that said new investment and reimbursement should be done. The author reviewed various models of community mental health delivery and suggest new model for the future.

      • 영국과 아일랜드의 지역사회정신의학의 역사

        신만식(Man Sik Shin)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0 사회정신의학 Vol.5 No.1

        우리의 정신과 서비스는 1995년 12월 정신보건법이 제정되고 시작된 변화에 도전을 받고 있다. 도전을 비교하기 위하여 다소 선택적이지만 영국과 아일랜드의 지역사회 정신의학의 역사를 재고해 보고자 한다. 이는 우리 정신과 서비스의 윤곽을 세우고 미래계획과 발달을 이루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는 개인적인 소견이다.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재고해 본다:구역화와 지역사회 의료, 수용과 도덕치료, 외래진료, 입원치료, 일차보건의료, 낮 진료, 포괄적 서비스, 가정방문과 위기중재, 지역사회 정신과 간호사, 다학제적 팀, 기부로 운영되는 조직과 지역사회 정신과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견해. 지역사회의료는 선상으로 진행하는 것보다는 돌고 도는 사회 역사와 같은 특징을 갖는 것 같다. 비록 지역사회 정신의학에 풀리지 않는 많은 문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글은 지역사회 정신의학의 원칙에 관한 긍정적인 주요한 흐름에 초점을 맞추었다. 영국과 아일랜드에서 수용에서 지역사회에로의 정신보건의료 형태의 변화는 전문가들이 제공하는 정신보건서비스 뿐만 아니라 가령일차보건의료 제공자, 지역사회 복지 기관 및 주거 서비스와 같은 다른 지역사회 서비스에도 의미 있는 영향을 주고 있다. 국가의 정책은 정신건강서비스가 주요한 보건체계의 부분이 되어야 하고 급성 입원 서비스는 일반병원의 환경에서 제공되도록 나아가고 있다. 이러한 전략은 서비스의 질과 다른 보건 서비스를 개선하는 결과를 가져오고 낙인을 줄이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주장되고 있다. 가족, 지역사회, 문화적 네트워크와 밀접하게 포괄적인 정신보건 서비스와 통합적인 정신보건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 효과적인 정신건강 증진 및 예방과 조기 개입 전략의 발달과 일차의료서비스 제공자들에 대한 훈련과 지지의 제공은 지역사회의 료를 성취하는데 기본이다. 양질의 정신보건 담당자들의 충분한 확보가 좋은 의료와 서비스 수준을 확실하게 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우리 지역사회 정신과 서비스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점들이 필요하다: 1) 우리 정신보건 서비스의 미래 발달을 위한 확실한 방향과 장기 계획의 설정 2) 서비스 사용자와 서비스 제공자를 연결하여 그들의 욕구를 충족시켜야 한다. 각 분할된 지역마다 서비스의 체계를 계획하고 모든 공공자금을 조절하는데 책임 있는 하나의 중심 기관이 있어야 한다. 3) 모든 정신보건 담당자들이 이용할 수 있는 전문가들의 지지, 훈련, 계속되는 교육이 필요하다. 훈련 프로그램은 지어지고 있는 건물보다도 먼저 제공되어야 한다. Since the enactment of Mental Health Law in December 1995 the psychiatric services in Korea have been challenged by the changes which it initiated. In order to compare the challenges a review of the British and Irish community psychiatry while selective is undertaken. It is a personal view which aims to help in the drawing up of a planning framework for Korean psychiatric service and guiding future planning and development. The components of such a review include:sectorisation and community care, institutions and moral treatment, out-patient care, in-patient care, primary health care, day care, comprehensive services, domiciliary visits and crisis intervention, community psychiatric nurses, multidisciplinary teams and voluntary orgnisation and views of users of community psychiatric services. It seems to be characteristic of some social history that community care follow not a linear, but a circular trajectory. This review focuses on positive mainstreaming of community psychiatry principles, although there are unresolved issues of community psychiatry. In Britain & Ireland the change in the pattern of mental health care from an institutional to a community oriented approach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not only the specialist mental health services, but also other community services, such as primary health care providers, community welfare agencies and housing agencies. The national policy advances the position that mental health services should be part of the mainstream health system and the provision of acute inpatient care within general hospital settings. It is argued that this strategy will result in an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services and other health services and help to reduce the stigma. A comprehensive range of mental health services & integrated mental health programs closer to family, community and cultural networks are operating.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mental health promotion, prevention and early intervention strategies and the enhancement of training and support for primary care service providers, is fundamental to the achievement of the community care. Retaining sufficient numbers of high quality mental health staff are the best ways of ensuring good practice and services standards. For community psychiatric services the following undertakings are needed: 1) To set a clear direction & long-term planning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mental health services within Korea 2) To bring together service users and service providers to meet their needs. For every catchment area there must be one central authority that is responsible for planing the service system and have control of all the public funds. 3) Professional support, training and continuing education need to be available for all mental health staff. This training programs should be in the advance of mental health facilities which are being built.

      •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 연구

        장홍석(Hong-Suk Jang),김선욱(Sun-Uk Kim),장성만(Sung-Man Jang),성영훈(Young-Hoon Sung),서동우(Tong-Woo Suh),조맹제(Maeng-Je Cho)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2 사회정신의학 Vol.7 No.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부천시 정신보건센터가 개설된 지 3년이 되는 해에 지역주민과 지역 공무원의 지역사회정신보건센터와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 및 인식도를 조사하여 정신질환의 지역주민의 이해에 대한 측면에서 그간의 사업에 대해 평가하고 향후 사업방향에 대한 지침으로 이용하기 위함이다. 방 법: 2001년 6월 현재 부천시 원미구에 거주하는 시민 중 20~59세 사이의 성인을 모집단으로 하는 지역사회표본과 부천시에 근무 하는 공무원을 모집단으로 하는 공무원표본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대상은 지역주민 474명, 공무원 100명이었다. 조사도구는 Community Attitude to the Mentally Ill Inventory(CAMI)를 사용하였다. 결 과: 부천시 지역 주민은 대체로 모든 CAMI 하위척도에서 동정적이고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러나, 여성, 고연령, 저학력, 기혼, 자가, 정신과 치료 경험이 없는 집단에서 상대적으로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고, 남성, 20대 연령, 고학력, 미혼, 월수입 100 만원 미만, 가족 중 정신과 치료 경험이 있는 집단, 정신보건센터를 인지하고 있는 집단에서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 다. 여성, 중년 연령 이상, 기혼, 자가 집단에서 정신보건시설 설치에 반대하는 경향을 보였다. 공무원의 경우도 대체적으로 긍정 적인 태도를 보였으나, 지역 주민에 비해 정신질환자의 사회생활이 제한적이야 한다는 태도가 시사되었다. 결 론: 정신보건시설에 대한 반응, 정신보건센터 인지여부는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와 강하게 연관되어 있고, 정신질환/정신질환자에 대한 올바른 지식의 보급과 정신질환자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가 관련이 있으므로, 지역주민에 대한 홍보와 계몽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한다. 또한, 공무원의 경우 정신보건사업의 추진과 지역주민에 대한 영향력을 고려할 때 보다 더 특화된 정신보건 교육이 요망된다. Objectives:To investigate the attitudes toward the mentally ill in a community and among public officers and to evaluate two-year outcomes of mental health care services provided by the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in a Korean city in the aspect of community residents’ understanding the mentally ill/mental illness. Methods:During two week period of June of 2000, a total 574 persons(474 randomly selected community residents, 100 randomly public officers) who reside in one Korean community, Puchon city, were interviewed with Community Attitudes to the Mentally Ill(CAMI). Results:The randomly selected residents of this city showed generally sympathetic and positive attitudes in all CAMI subscales. But, females, the aged, the lower educated, the married, home-owners or persons who had no experience for psychiatric treatment had more negative attitudes to the mentally ill. Males, the young, the higher educated, the unmarried, persons whose monthly income are below one million won, persons who had experience for psychiatric treatment to family or persons who knew the existence of the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s to the mentally ill. Females, the aged above their 30th, the married or home-owners are opposed to the establishment of mental health facilities in their community. Public officers showed relatively negative attitudes in social restrictiveness subscale in comparison to community residents. Conclusion:More they know about mental health, more positive attitudes to the mentally ill they have. So community education about mental health is the key to the success of mental health service and needs to be delivered to females, the people of their mid to old ages, the married, the undereducated, persons who lack in experience of contacting the mentally ill and home-owners. Negative reaction to mental health facilities are strongly associated with negative attitudes to the mentally ill. Furthermore, public officers also should be the specific target of mental health education because of their influence on the community and mental health administration.

      • 119 구급대원들의 정신보건에 대한 인식 및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 조사

        김로사(Rosa Kim),이종국(Jong-Gook Lee)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9 사회정신의학 Vol.14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119 구급대원이 정신질환자를 대상으로 구급 활동 시 겪는 어려운 점과 욕구를 파악하고 이들의 정신보건 문제에 대한 인식도 및 정신질환에 대한 태도와 그에 관련된 특성들을 분석하여 향후 이들을 대상으로 교육을 시행하고 위기개입 대책 마련 등을 추진하는 데 있어서 반영할 기초자료를 얻고자 실시하였다. 방 법: 2009년 3월 현재 경기도에서 근무하고 있는 119구급대원 160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형 설문조사를 하였다. 설문지에는 조사대상 자의 일반적 특성에 119 구급대원들의 직무 특성 및 욕구를 파악하기 위한 문항이 추가되었고, 정신보건 문제의 심각도 12문항과 정신질환에 대한 태도를 묻는 CAMI 40문항들로 구성되었다. 결 과: 정신질환자에 대한 구급 활동 시 가장 어려움을 느끼는 부분은 환자의 비협조 다음으로 환자 이송병원 결정의 어려움과 정신질환에 대한 지식과 정보 부족으로 인한 판단의 어려움 등을 호소하고 있었다. 정신질환자에 대한 위기개입을 위해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지역 내 관련기관 사이의 긴밀한 협조체계를 꼽은 반면 위기개입이 필요한 정신과적 문제에 대한 교육 및 정보제공에 대한 필요성은 비교적 낮게 평가하고 있었다. 정신보건 문제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심각한 편이라고 생각했으며 알코올 중독과 자살, 우울증을 가장 심각한 문제라고 하였다.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를 살펴보는 CAMI 4개 하위척도를 살펴보면 권위주의=35.4 ±3.8, 자비심=23.0±3.9, 사회생활제한=31.2±4.8, 지역정신보건개념=27.3±5.3으로 일반 주민들에 비해서는 보다 온정적이고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었으나 정신보건전문요원 수련생이나 비정신과 의사들에 비해서는 덜 온정적이고 덜 긍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었다. 학력 그리고 가족이나 친지 중 정신질환자가 있어 환자를 접해본 경험이 있는지 여부가 사회생활제한에, 최근 1년간 정신질환자 이송경험 유무가 권위주의와 지역사회 정신보건 개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나, 정신질환자에 대한 접촉 경험이 이들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형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확인 되었다. 결 론: 119구급대원들을 대상으로 하는 알코올 중독, 자살, 우울증, 중증 정신질환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과 지역사회관련기관에 대한 정보 제공 및 협력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정신질환자와 접촉을 해보았던 이들이 더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는 점을 고려하여 정신질환자들과의 접촉 기회를 확대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시도한다면 구급대원들의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를 개선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needs of 119 rescuers when they work for people with mental illnesses. Other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identify awareness of mental health and attitudes toward the mentally ill of the 119 rescuers and to propose strategies to develop effective education program and crisis intervention system. Methods:The study subject consisted of one hundred and sixty 119 rescuers. The study tool was a self-report questionnaire including general characteristics, 12-item severity of mental health problems and 40-item CAMI scale. Results:The most severe obstacles in transfer of the mentally ill were uncooperativeness of patient, difficulty of choice of hospital, and difficulty in decision making due to insufficient knowledge and information about mental illness. The Most important strategy for crisis intervention was collaborating system in the community, but demand for education and information about mental illness was relatively low. The 119 rescuers generally perceived the mental health problems to be severe and tended to take alcoholism, suicide, depression more seriously. They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s than general population, but less positive attitudes than mental health professional trainees and the non-psychiatric physicians, in all 4 subcategories of CAMI scale. The high academic level rescuers were less positive attitudes than others. Experience of psychiatric problems in family and experience in transferring people with mental illness in the previous year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s than others. Conclusions:It is necessary to develop effective education program and information system about alcoholism, suicide, depression and psychosis for 119 rescuers and build up well-organized crisis intervention system such as collaborating system in the community. Through the strategies to increase chance of contact with the mentally ill, the attitude of the 119 rescuers can be improved.

      • 일개 시 지역의 정신건강 인식에 대한 10년 전후 비교 분석

        전우혁(Woo-Hyeok Jeon),조명선(Myung Sun Cho),전덕인(Duk-In Jon),홍현주(Hyun Ju Hong),홍나래(Narei Hong),정명훈(Myung Hun Jung)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20 사회정신의학 Vol.25 No.2

        연구목적 : 정신질환에 대한 적절한 관리의 필요성이 점점 증가하는 한편 이에 대한 사회적인 인식과 태도는 여전히 부정적인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각각 2008년과 2018년에 조사한 안양 시민의 정신건강에 대한 인식과 정신건강 수준을 비교 평가하고자 한다. 방 법 : 안양시에 거주 중인 20세 이상의 성인 남녀 600여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다. 설문 내용은 사회 인구학적 요인과 함께 정신 건강 종합서비스 욕구, 정신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질문, 연령에 따른 대상자 별 정신건강 서비스 욕구에 관한 질문, 자살 사고에 대한 인식도 및 경험 유무 등으로 이루어졌다. 결 과 : 안양시민은 2008년에 비해 2018년에 스스로의 정신건강 점수를 더 낮게 평가하였으며, 정신건강에 대한 도움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비율 및 실제 도움을 받은 비율 또한 감소하였다. 연령별로는 청소년과 노인에서 정신건강 문제의 중요도가 증가하였으며 연령 전반에서는 ‘정서’ 문제의 중요도가 크게 상승하였다. 한편 자살에 대한 인식에 개선이 뚜렷하지 않았고 자살 위기 시 정신건강의 도움에 대한 필요성은 낮게 평가되었다. 결 론 : 일반 시민들이 정신건강에 대한 도움을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은 정신질환 자체에 대한 편견과 부정적인 인식에 의한 것으로 추론된다. 이와 같은 정신건강에 대한 인식 및 편견 해소와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각도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청소년 및 노인의 정신건강 문제가 중요하게 보고되며 시민들의 자살 문제는 여전히 개선되지 않아 해당 연령층 및 위험 군을 대상으로 한 세분화된 개입과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Objectives : While the necessity of proper management for mental illness increases gradually, the attitude toward mental health and psychiatric treatment is still remaining nega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yang citizens’ aware-ness and level of mental health surveyed in 2008 and 2018, respectively. Methods : About six hundred men and women over 20 years old residing at Anyang city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consists of the sociodemographic data, needs for overall mental health service, methods to solve their own mental health problem, age-specific needs for the mental health service, and awareness and experience of sui-cidal ideation. Results : Anyang citizens rated their mental health score lower in 2018 than in 2008, and the rate of the need for help to mental health as well as the rate of getting actual help were decreased. Age-specifically, there were large increases in the impor-tance of adolescent and senior citizens’ mental health problem. In all ages, there was a large increase in the importance of emotional problem. Meanwhile, there is no clear improvement in the perception of suicide, and the need for help to mental health at suicidal crisis was estimated low. Conclusion : It is inferred that a negative awareness of the help to mental health is due to negative perception and prejudice toward mental illness itself. Therefore we suggest that multifarious efforts are needed to reduce citizens’ negative perception and prejudice toward mental health as well as to make use of the mental health services. Furthermore, as adolescent and se-nior citizens’ mental health problem were reported importantly, as well as suicide problem is still unimproved, specific intervention and support targeting the relevant groups are necessary.

      • 기독교 교역자, 정신장애인 가족 및 지역사회지도자의 정신장애에 대한 태도

        서국희(Guk-Hee Suh),신형주(Hyongju Shin)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0 사회정신의학 Vol.5 No.1

        연구목적: 남양주시 지역사회정신보건사업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핵심적 집단의 정신장애에 대한 태도와 이를 결정하는 요인을 밝히고, 이들의 태도변화를 정신보건사업 시행전과 일정기간후에 평가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방 법: 본 조사는 1997년 4월부터 12월까지 남양주시 정신보건사업의 일환으로 정신장애에 대한 태도를 OMI(Opinion about Mental Illness)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우편설문을 실시한 지역사회지도자의 경우 697명중 120명이 회신하여 18%의 조사응답율을 보였고, 정신보건 세미나에 참석한 기독교 교역자 75명중 57명이 조사완료하여 76%의 응답율을 보였고, 정신보건센터에 등록한 정신장애인 가족은 50명중 47명이 완성하여 94%의 응답율을 보였다. 결 과: 1) 전체군의 정신장애인에 대한 태도는‘자비심’ 척도가 가장 높아 인도주의에 입각한 온정적이고 관대한 태도를 엿볼 수 있지만 ‘정신건강개념’ 척도와 ‘사회생활 제한성’ 척도가 서로 그리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정신장애인에 대한 태도가 혼란스럽고 애매한 상태에 있음을 추정할 수 있었다. 2) 정신장애인 가족의 태도를 보면 ‘권위의식’ 척도와 ‘대인관계 원인’ 척도가 세 군중에서 가장 높았다. 이는 환자에 대한 죄책감과 분노가 뒤섞인 양가적인 감정으로 해석될 수 있다. 3) 지역사회지도자의 견해에서 NIMBY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4) 기독교 교역자들은 ‘사회생활 제한성’ 척도가 가장 높으면서 ‘자비심’ 척도는 세 군중에서 가장 낮고 ‘정신건강 개념’ 척도는 딴군들과 비슷하였다. 정신장애의 원인을‘귀신들림’으로 해석하고 신앙치료에 의존하며 환자를 사회와 격리시키려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 론: 지역사회지도자나 기독교 교역자를 대상으로 정신병의 원인에 대한 새로운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교육하고 과학적이고 인도적인 태도를 모범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들을 모아서 홍보하고, 가족들과 지역사회지도자에게는‘정신건강 개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정신장애의 증상과 대처방법, 응급상황에 대한 조치와 긴급후송체계에 대한 홍보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Objectives:To identify the attitudes toward the mental illness and factors critical to them among the key-persons in the community, who may have great influence on the progression of Namyangju City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 and to obtain the initial data for the further evaluation to assess the interval changes in attitudes of them before and after the service. Method:This study was conducted between April, 1997 and December, 1997 as a part of the Namyangju City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 using the OMI scale to measure the attitudes toward the mental illness. 120 questionnaires out of 697 were collected(response rate:18%), that were posted to the community opinion leaders. 57 out of 75 were collected(response rate:76%), that were passed out to the Christian priest at the mental health seminar. 47 out of 50 were collected(response rate:94%), that were filled up at the time of patient registration by the family members of them. Result:1) Highest ‘Benevolence’ score in whole subjects may be a evidence of cordial and generous attitudes toward the mentally ill from the standpoint of humanity, but small gap between ‘mental hygiene ideology’ score and ‘social restrictiveness’ score suggested the confused and vague attitudes toward the mentally ill. 2) ‘Authoritatianism’ score and ‘interpersonal etiology’ sco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in family group than in other two, that suggested the ambivalent emotion intermingled with guilt and anger. 3) NIMBY phenomenon was observed in the attitude toward the mentally ill in community opinion leader group. 4) ‘Benevolence’ sco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st and ‘social restrictiveness’ was lowest in Christian priest group. However, ‘mental hygiene ideology’ score i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among three groups. It suggested that more Christian priests had higher tendency to comprehend the mental illness as ‘Satan possession’, to treat it by faith healing, and to put the patients with mental illness away from the society. Conclusion:It is expected that the Christian priests and community opinion leaders need to have new knowledge about the etiologies of mental illness, and see the typical cases with scientific and humanistic attitudes. For the family members and community opinion leaders to improve ‘mental hygiene ideology’, public information about symptoms and management of mental illness and emergency, and how to transfer them to the hospital have to be given.

      • 일 도농복합지역 주민의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 및 정신보건문제와 정신보건사업에 대한 인식도에 관한 연구

        지은희(Eun Hee Ji),연병길(Byeong Kil Yeon),한창환(Chang Hwan Han),홍나래(Narei Hong),최수련(Soo Ryun Choi),권희정(Hee Jung Kwon)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8 사회정신의학 Vol.13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아산시 지역주민의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 및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함으로써 향후 아산시 정신보건사업 계획을 수립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방 법 2007년 2월 아산시 온양3동과 도고면에 거주하는 만 20세 이상 만 70세 미만 성인을 모집단으로 하였으며 최종 대상자는 310명이었다. 연구도구는 Community Attitude to the Mentally Ill Inventory(CAMI)를 사용하였다. 결 과 아산시 지역 주민의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는 덜 권위적이고 동정적으로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으나 정신보건문 제와 정신보건사업에 대한 인식도는 굉장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저학력, 불교, 도고면 주민, 농업에 종사, 월수입 300만원 이상, 정신질환자와 접촉이 많은 집단에서 상대적으로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고 특히 저학력층과 농업에 종사하는 집단은 정신보건 문제와 사업에 대한 인식도도 낮았다. 결 론 정신질환자에게 부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는 대상을 우선적으로 정신질환자에 대한 오해와 편견을 교정시키기 위한 교육을 시행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정신보건문제 및 정신보건사업에 대한 인식도가 낮으므로 그에 대한 정확한 지식의 제공 및홍보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Objectives:The purpose of this survey is to get basic data to develop plan and strategy of community mental health care services in Asan city. So the authors investigated the attitudes toward mentally ill and the knowledge about mental illness and mental health care services among the residents of Asan city. Methods: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the 310 persons aged between 20 and 69 who live in Onyang 3-dong and Dogo-myeon, Asan-si, Chungcheongnam-do. Tool of the study is Community Attitudes to the Mentally Ill Inventory (CAMI). Results:The residents of Asan city showed generally positive attitudes to mentally ill. But they lacked the knowledge about mental illness and mental health care services. The lower educated, buddist, farmers, persons who live in Dogo-myeon, persons whose monthly income are above three million won, persons who have experience for contacting mentally ill showed more negative attitudes to the mentally ill. The lower educated and farmers lacked overall awareness of mental illness and mental health care services, too. Conclusion:The community education to reduce the prejudice and misunderstanding against the mentally ill should be actively and intensively concentrated upon the persons who showed negative attitude. Furthermore, systematic public education and information should be constantly delivered to community residents to improve the awareness of mental illness and mental health care services

      • 정신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요인들

        이정태(Chung Tai Lee)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0 사회정신의학 Vol.5 No.1

        사회정신의학(social psychiatry)은 정신질환과 인간의 환경간의 관계를 다루는 정신의학의 한 분야로서 사회적 결속(social cohesion), 공유되는 가치들(shared values), 경제적 상태, 적에 의한 위협, 생존에 대한 기대 등 여러 가지 요인들의 효과들에 관한 개념들을 포함한다. 또한 개개인과 이들을 둘러싸고 있는 것들 사이의 접촉 영역에 작용하여 결국 정신질환의 발생에 기여하거나 경과에 영향을 끼치는 힘들에 대하여 연구하는 학문으로 정의된다. 사회정신의학의 영역에는 정신의학적 역학, 지역사회정신의학, 사법정신의학, 문화정신의학, 횡문화 정신의학 등이 포함된다. 본 고에서는 정신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요인들을 역학적 연구조사의 결과들을 함께 고찰하였다. 연령, 성별, 혼인상태 등이 질병의 분포에 미치는 영향, 사회계층에 따른 질병 분포, 도시화, 지역에 따른 영향, 세대의 변화에 따른 영향, 거시사회적 요인들, 그리고 전쟁이나 급속한 현대화 등의 영향을 고찰하였고, 이어서 부정적 생활사건들이나 가혹한 경험들, 실직 등이 정신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사회적 지지의 많고 적음에 따른 차이를 추정해 보았다. 동시에 최근 우리 사회에서 발생하였던 대형 사고나 재해 등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연구결과들을 중심으로 고찰을 시도하였다. 대부분의 문헌이 우리 나라의 처지를 반영한 것은 아니어서 괴리감이 없지 않으나, 우리가 아직 깊이 연구해 보지 못했던 분야에 대하여 하나의 자극제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Social psychiatry is a component of psychiatry, and is concerned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al disorders and the human environment. It includes the concepts about the effects of various factors such as social cohesion, shared values, economic stutus, threat from the enemies, and expect for survivor. Also it is defined as the science studying the forces which affect the interface between individuals and those around them, and which may act on the onset, or influence the course of mental illnesses. There are psychiatric epidemiology, community psychiatry, forensic psychiatry, cultural psychiatry, and cross-cultural psychiatry, in the realm of social psychiatry. Author reviewed various social factors affecting mental disorders, with presentation of the results of epidemiological studies, Those reviewed were the effects of age, sex, marital status, and social class in the distribution of mental illnesses, the influence of urbanization, regional variation, and secular change, and the macrosocial factors including war and rapid modernization, which succeeded to the review of adverse life events, extreme experiences, and unemployment affecting mental illnesses, as well as social support as a protective elements of the human environment. At the same time, author also reviewed the results of researches approaching psychological effects of one of the human disasters, named “Sampoong Accident”, and economic crisis, so called “IMF crisis”, both which recently impacted upon our society and resulted in adverse consequences.

      • 지역사회 정신보건센터의 정신사회재활 성과에 대한 3년간의 추적조사

        황태연(Tae-Yeon Hwang),박찬일(Chan-Il Park),이종국(Jong-Gook Lee),고영(Young Ko),이명수(Myung-Soo Lee),이우경(Woo-Kyung Lee),이원혜(Won-Hye Lee)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1 사회정신의학 Vol.6 No.2

        서울, 경기 지역에서 1995년도부터 시행된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은 정신보건센터를 중심으로 정신장애인들과 그 가족에게 포괄적인 정신사회재활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왔고, 많은 정신장애인의 사회복귀와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해 왔으나, 프로그램의 효과와 만족도를 평가하려는 노력은 부족했다. 본 연구는 정신보건센터에서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회원들을 대상으로 한 3년간의 추적 조사를 통하여 정신사회재활 프로그램의 성과를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1998년 10월부터 1999년 3월까지 서울 및 경기지역의 6개 정신보건센터와 재활센터에 등록되어 있는 16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한국판 정신사회재활성과 측정도구’와‘한국판 정신사회적 기능-증상 척도’를 적용하였고, 2001년 5월부터 7월까지 대상환자를 추적하여 재평가를 실시하였다. 전체 169명의 대상자 중 128명이 추적 조사되었다. 이중 남자 78명, 여자 50명이었고 대부분의 회원은 정신분열병과 정동장애 환자였다. 평균 나이는 38.4세, 첫 발병은 24세, 첫 입원연령은 26세였다. 추적조사 기간 중 평균 입원은 0.35회, 입원일은 1.9개월, 총 지역사회 경과일은 27.8개월이었다. 조사기간 중 주거형태가 다양해지고 독립주거가 증가했고, 다양한 형태의 직업을 가지면서 독립적, 경쟁적 고용 등 경제 활동과 만족도가 증가하였다. 한달 평균 임금을 비롯하여 전체 수입 및 생활비가 증가했고, 문화비 지출은 감소하였다. 센터 프로그램에 대한 회원 설문조사 결과 전반적인 만족도와 자긍심이 증가하였고 정신사회적 증상과 기능 평가에서는 이전에 비해 더 많은 우울 및 정신병적 증상을 호소하였으나 일상생활 기능은 호전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정신사회재활적 성과를 고려할 때 정신보건센터 프로그램이 만성정신장애인의 삶의 질과 기능, 자율성을 증가시켰음을 알 수 있었기에, 향후 지역사회 정신보건센터를 확충시키는 정신보건정책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만성 정신질환자들의 프로그램 만족도를 포함하는 정신사회재활 성과의 지속적인 추적조사를 통하여 프로그램의 평가와 발전이 이루어져야 될 것이다.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CMHCs) have provided patients with mental illness and their families with comprehensive psychosocial rehabilitation programs and contributed to community integration and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of the patients. However,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the effectiveness of and patients’ satisfaction to the program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measure the outcomes of psychosocial rehabilitation programs of CMHCs through 3 year’s follow-up. At the baseline, The Korean version of Toolkit for measuring psychosocial rehabilitation outcomes and The Korean Version of Behavior and Symptom Identification Scale(BASIS-32) were administered to 169 subjects who were members of 6 CMHCs and 1 psychiatric rehabilitation center in Seoul City and Kyonggi province. 128 subjects were followed out of 169 subjects. Authors re-evaluated the same subjects 29 months after the baseline study using same measures. Male members were 78(60.9%) and females were 50(39.1%). Most of them are under diagnosis of schizophrenia( 82.8%) or schizoaffective disorder(7.9%). The mean age was 38.4yr., mean age of onset was 24yr., mean age of first hospitalization was 26yr. Number of hospitalization was 0.35, length of stay at the inpatient unit was 1.9 months, and community tenure was 27.8 months during the 29 months’ period of study. Residences were diversified and independent living was increased. Jobs were also diversified and independent competitive employment wes increased. Total monthly income including labor income and total monthly expenditure were increased. Member survey showed improvement of program satisfaction and improved self-esteem. BASIS-32 showed that the members had more difficulties in the areas of symptoms but reported improvement of daily functioning compared with the baseline. These outcomes tells psychosocial rehabilitation programs of the CMHCs increased the quality of life, functioning, and autonomy of the chronic mentally ill patients in the community that the national mental health policy should be directed to establishment of more CMHCs. In the future, there must be periodic monitoring of the psychosocial rehabilitation program through comprehensive outcome meas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