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드론의 안정적 비행을 위한 핵심요소와 도시 수평 공간구획
김정훈,김홍배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18 國土計劃 Vol.53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stable flight conditions of drones within a limited urban area by using the ICAO(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reich model which is using to evaluate civil aircraft stabilit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order for the drones flying stably, the horizontal safety separation distance between a drone and another should be at least 1,852M. Second, assuming that no obstacles within 1,852M of horizontal space, two drones can be fly into upper and lower spaces. However there are obstacles such as buildings, it is impossible to secure a 1,852M distance between drones. Third, sensitivity analysis point out that the separation interval() of drone aviation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TLS(Target Level of Safety). If future research is conducted to lower the numerical values, the safety distance between a drone and another drone will be drastically reduced, allowing more detailed urban space division, and will be presented as a scientific numerical value for establishing a dedicated path for the drones. 드론 도입을 위한 도시 입체계획의 이슈와 과제에서는 항공법에 의한 드론 운항 가능 고도인150M 이내에서 국제민간항공기구(이하 ICAO)의 안전 목표(이하 TLS, Target Level of Safety)를 만족하며 비행 가능한 드론 수량은 2대로서, 도시 공간을 2개의 수직 공역으로 분리하여 운영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김정훈·김홍배, 2018). 그러나 도시는 3차원 공간으로서 수직 공간 외에 수평 공간에서의 드론의 비행에 대해서도 논하여야 한다(유상형·전종우·조광수, 2018). 이는 차량이 이동하기 위하여 도로망을 설계하고 건설하듯이 향후 드론의이동을 위한 비행로를 구획하고 지정하기 위한 중요하고 필수적인 단계이다(이수미·김용진, 2017).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도시 공간에서 드론의 안전한 비행을 위한 드론 간 최소 수평 분리 간격을검증하고, 검증된 수치를 기준으로 도시 공간을 수평적으로 분리하고자 한다.
MEA 수용액으로부터 PDMS-PE 복합막 접촉기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감압탈거
김정훈,안효성,김정훈 한국막학회 2012 멤브레인 Vol.22 No.1
본 연구에서는 석탄 화력발전소의 연소 후 CO2 회수 기술인 알칸올 아민 수용액을 이용한 아민흡수법에서 전체 운전비의 80% 가량을 차지하는 탈거에너지의 저감을 위해 새로운 탈거기술인 분리막을 이용한 감압탈거 기술을 제시하고자 한다. 막의 소재로는 소수성막인 PE (polyethylene)를 지지체로 하고 5mum 두께의 PDMS (polydimethylsiloxane)를 코팅한 복합막을 제조하여 적용하였으며, 흡수액으로 MEA (monoethanolamine) 30 wt% 수용액을 사용하였다. 온도의 변화에 따른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흡수액 온도를 25~80℃로 변화시켜 이산화탄소의 탈거특성을 살펴보았으며, 흡수용액의 CO2 함량(CO2 loading)에 따른 영향을 고찰하기 위하여 CO2 함량을 변화시켰다. 또한 감압탈거 시 탈거측 압력을 60~360 mmHg(abs.)로 변화시켜 진공도에 따른 탈거특성을 연구하였다. 아민수용액의 온도가 증가할수록, 이산화탄소 부하량이 증가할수록 이산화탄소의 탈거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감압이 감소함에 따라 이산화탄소의 탈거량 역시 증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막의 안정성 실험 결과 PTFE 단일막에 비하여 PDMS-PE 복합막의 경우 감압탈거 막공정에 적용하기 안정한 막이라고 판단된다. Low-temperature carbon dioxide stripping by a vacuum membrane stripping technology was studied as a substitute for the stripping process in a conventional aqueous amine process. Composite membranes with 5mum thickness of PDMS (polydimethylsiloxane) dense layer on a PE (polyethylene) support layer were prepared by a casting method and used as a membrane contactor for CO2 stripping. Aqueous amine solutions of 30 wt% MEA (monoethanolamine) were used as absorbents. CO2 flux was examined under various operating conditions by varying the vacuum pressure (60~360 mmHg (abs.)), stripping temperature (25~80℃), CO2 loading (0.5~0.7). CO2 stripping flux in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and CO2 loading as well as decreasing vacuum pressure. PDMS-PE composite membrane has stability for vacuum stripping process compared with PTFE porous membrane.
김정훈 한국기독교학회 2019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12 No.-
At first glance, the Old Testament seems to reveal a negative perception of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because they are excluded from the priestly duty or referred to as negative impressions in the prophetic oracles. However, in the Old Testament, along with such verses, the idea that the human rights of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should be actively protected is also to be found. Thus, first of all the present study begins with analyzing the meaning of each verses in the context itself.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ocuses on the composition of relevant paragraphs and the rhetorical functions of expressions related to persons with disabilities. As a result, most of the verses should be regarded as rhetorical devices in the context. First, the people who actually have disabilities (Mephibosheth, Zedekiah) are mostly mentioned in the political and military perspectives. The ridicules of disability are not directed to disability itself, but rhetorical devices. 구약성경은 얼핏 보기에 장애인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드러내는 듯하다. 제의나 예언 신탁에서 배제되거나 부정적인 인상으로 언급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구약성경의 장애인 관련 구절들의 의미를 문맥에서 먼저 분석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해당 구절이 있는 문단의 구성과 장애인 관련 표현의 수사적 기능에 초점을 맞춘다. 그 결과 구약성경의 장애인 관련 대부분의 구절은 궁극적인 장애인 인식으로 볼 수 없는 표현들이며, 수사적 기능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구약성경에서 장애인과 관련한 부분은 대부분 수사적 기법으로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강조하는 구실을 한다. 결국, 구약성경의 장애인 인식을 드러내는 구절은 이들을 제외한 나머지다. 그 구절들의 사상을 요약하면, 하나님과의 관계에서는 하나님의 구원 현실에 비장애인과 더불어 참여할 피조물 가운데 하나이다. 이런 관점에서 구약성경에서는 장애를 치유의 대상으로 보지 않는다. 그러므로 비장애인들이 주류를 이루는 사회에서 장애인은 불편함을 겪어서는 안 되며, 비장애인들은 이 일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함을 가르쳐주는 것이 구약성경의 참된 장애인 인식이다.
갑상선 수질암 환자의 말초 혈액 단핵구로부터 수지상세포 분화와 종양특이 자가 세포독성 T 세포 활성화 유도
김정훈 대한갑상선-내분비외과학회 2006 The Koreran journal of Endocrine Surgery Vol.6 No.2
Purpose: Recent studies suggest that immunization with autologous dendritic cells (DCs) results in a protective immunity and a rejection of established tumors for various human malignancies. It has been reported that a dense infiltration of DCs correlates with a favorable prognosis for several types of canc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DCs are generated from peripheral blood monocytes by using cytokines such as granulocyte macrophage-colony stimulating factor (GM-CSF), TNF-α, Flt-3 ligand and IL-4 and to determine if cytotoxic CD8T cells are activated against medullary thyroid carcinoma (MTC) tissue by the DCs. Methods: Peripheral bloods were obtained from two patients with MTC. Mononuclear cells were cultured in the presence of GM-CSF, Flt-3 ligand, TNF-α and IL-4 for 14 days to establish DCs. At day 16, the differentiated cells were analyzed morphologically using electron microscopy. The immunophenotypic features of DCs such as expression of CD1a, CD83, and CD86 were anlayzed by immunofluorescent microscopy. At day 15, DCs were incubated with either thyroid cancer tissue or normal thyroid tissue for an additional 7 days. Results: The generated DCs showed the classic morphology of DCs including multiple processes and a profuse cytoplasm. Activated cytotoxic T lymphocytes (CTLs) were observed with prominent pseudopods. The CTLs activated by DCs bound to the MTC were observ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However, normal tissues were free from CTL binding. Conclusion: We could generate DCs from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Furthermore, these DCs activate CTLs that are able to attach to MTC tissue. These results suggest that DCs can be used as an adjuvant for immunotherapy of MTC. This study represents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new therapeutic strategies not only for MTC but also for other malignancies. (Korean J Endocrine Surg 2006;6: 55-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