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미술치료학 분야의 지적 구조 분석 -저자동시인용분석을 중심으로-

        김희진 한국미술치료학회 2012 美術治療硏究 Vol.19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not only the traditional intellectual structure and a key researcher, who is recently active in the research activity, and is further to understand the transitional process of research topic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times, through the author co-citation analysis. The analytical subjects of this study were used 431 theses, which were recorded from 1994(Vol. 1 No. 1) to 2011(Vol. 18 No. 53) for the first issue of『Research of Art Therapy』in Korean Art Therapy Association, 79 theses, which were recorded in『Journal for Korea Arts Therapy Institute』of Korea Arts Therapy Institute, additionally 292 theses, which were recorded as art therapy in the registered journal(registered candidate included) for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and 3,856 quoted documents. An analytical method was selected the core authors with high citation frequency through citation data. It coupled the pair in authors after selecting the core author, thereby having prepared the author co-citation frequency matrix and th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atrix. To closely examine the author-based relationship and the research theme, the author cluster was visualized with author map by using cluster analysis and multi-dimensional scaling analysis. The conclusions, which were obtained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ndency of intellectual structure in the current art therapy was indicated the tendency of intellectual structure with the therapy process performance, the therapy performance, case study & theme research, and personality & adjustment research. Second, with regard to the research theme of art therapy, the research activity, which is performed centering on the therapy process performance and the specific theme research in the period before 2000 and on 'therapy performance research' in the period after 2000, according to historical interest and flow, was changed into ‘personality characteristic & adjustment research' and 'case study' in addition to 'therapy performance research' and ‘special theme research.' 본 연구는 저자동시인용분석을 통해 미술치료학의 지적 구조를 밝힘으로써 미술치료학의 핵심저자, 연구주제 분야와 세부 연구주제 분야를 파악하고 미술치료학의 시대 변화에 따른 연구주제의 변천과정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은 한국미술치료학회『미술치료연구』에 게재된 논문 431편과 한국예술치료학회『한국예술치료학회지』에 게재된 논문 79편, 그 외 한국연구재단의 등재학술지(등재후보 포함)에 미술치료로 게재된 논문과 참고문헌의 서지사항이며 인용데이터 3,856편을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인용데이터를 통해 피인용 빈도가 높은 핵심저자를 선정한 후 저자들의 짝을 결합해 저자동시인용빈도 행렬과 피어슨 상관계수 행렬을 작성하였다. 저자들 사이의 관계와 연구주제를 규명하기 위해 군집분석과 다차원척도분석을 이용하여 저자 군집을 저자 지도로 시각화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미술치료학의 지적 구조 경향은 치료과정 및 성과연구, 사례연구, 치료과정연구, 치료성과연구 분야로 지적 구조 경향이 나타났다. 둘째, 미술치료학의 연구주제는 시대적 관심과 흐름에 따라 2000년 이전의 시기는 치료과정연구와 치료과정 및 성과연구가, 2000년 이후의 시기는 치료과정 및 성과연구와 치료성과연구, 사례연구로 변화되었다.

      • KCI등재

        한국미술치료학회의 미술치료사 현황 및 발전방향

        김갑숙,최외선 한국미술치료학회 2009 美術治療硏究 Vol.16 No.2

        This study purports to grasp general information about art therapists produced from KATA(Korean Art Therapy Association), entering upon its 15th anniversary, and their understanding regarding qualification criteria for becoming an art therapist, so as to suggest a future direction for art therapy. First, most of the art therapists are women in their forties, of which 85% received master's degree and have a religion. As to academic majors, 40% of the therapists majored in art therapy followed by counseling psychology. And more than half of them live in Gyeongsang province. Second, it took an average 3.9 years in order to obtain a certificate of art therapist with an average 5.82 years of art therapy practice, each therapy practice being an average 8.86 hours a week. For the therapy clients or targets, there has been a high ratio of the disabilities or disorders with the highest on emotional disorder with depression and anxiety. The clients are of all age groups with a higher frequency with adolescents. Third, the KATA art therapist's understanding about the existing qualification criteria or standards to be an art therapist and to maintain the status are reasonable. In regards to the events of monthly meeting, case conference, workshop and other programs, the therapists feel rather burdened than comfortable to reinforce, whereas about 20% of them insist that hours for individual analysis, group art therapy, supervision, and workshops by invited experts need to be extended or enhanced.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study will proceed with a discussion as to the future direction for KATA and its art therapists. 본 연구는 한국미술치료학회가 창립된 지 15주년을 맞이하면서 그 동안 배출된 미술치료사들을 대상으로 미술치료사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를 알아보고, 미술치료사 자격기준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파악함으로써 미술치료의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첫째, 현재의 미술치료사들은 대부분 여성이며 40대가 가장 많았고, 85% 정도가 석사학위 이상의 학위를 소지하고 있고 대부분 종교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은 미술치료전공이 40%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상담심리로 나타났다. 거주지역은 경상권 지역이 과반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둘째, 미술치료사 자격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평균 3.9년 정도 소요되었으며, 미술치료 실시 경력은 평균 5.82년, 미술치료 실시 시간은 일주일에 평균 8.86시간으로 나타났다. 미술치료 대상은 장애를 가진 대상을 치료하는 비율이 높았고, 특히 우울이나 불안 등의 정서장애가 가장 많았다. 대상연령층은 전 연령층에 걸쳐있으며, 특히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많았다. 셋째, 자격취득 및 자격유지 기준에 대한 인식도는 대다수가 적당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월례회, case conference, 미술치료워크숍, 기타시간의 경우는 보강되어야 한다는 비율보다 부담이 된다는 비율이 높았으나, 개인분석이나 집단미술치료, 슈퍼비젼, 전문가초청워크숍시간은 보강을 해야 한다는 비율이 20%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발전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코로나19로 인한 미술치료 환경변화와 온라인 미술치료에 대한 미술치료 전공자의 인식 조사연구

        안진희(Ahn, Jin-Hee),김정애(Kim, Jeong-Ae) 한국미술치료학회 2021 美術治療硏究 Vol.28 No.6

        본 연구는 미술치료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코로나19로 인한 미술치료 환경의 변화와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온라인 미술치료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코로나19 발생 전후로 미술치료 임상 진행 경험이 있는 경력 1년 이상의 미술치료 전공자 186명을 대상으로 2021년 3월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SPSS 25.0으로 기술통계 분석을 하였고, 자유 진술문은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기법을 통한 키워드 빈도 분석과 토픽 모델링(topinc modeling)기법으로 토픽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미술치료 전공자들은 코로나19로 인해 내담자와 함께 활동 시간 및 서비스, 세션(환경)에서 변화를 인식하였고, 이러한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미술치료 전공자들은 외부 환경의 요구로 온라인 미술치료를 활용하는 비율이 높았으며, 온라인 미술치료에 대해 기대와 우려의 시선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미술치료 전공자들은 코로나19의 종식 후에도 온라인 미술치료가 활성화 될 것으로 전망하며 이에 맞는 새로운 매체 및 중재 방법의 개발과 코로나19와 같은 재난 극복을 위해 미술치료사들의 개인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changes in the art therapy environment due to COVID-19 and art therapist’s perception of the emergence of online art therapy. For this study, 186 art therapy majors who had been working with the clinical art therapy for a year or longer before and after the start of the COVID-19 pandemic participated in an online questionnaire survey in March. 2021. The data collected were process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for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hile the open-ended statements were analyzed for key words using the text-mining technique and for topics using the topic modeling techniqu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most subjects perceived a change in their services due to COVID-19. Second, subjects used online art therapy more frequently due to changes in the external environment, while perceiving online therapy both positively and negatively. Third, the subjects expected that online art therapy would continue even after the end of the COVID-19 pandemic, and therefore, perceived the development of new media and intervention methods for online therapy to be a necessity.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

        미술치료에서 미술의 특성과 창의적 과정의 치료적 의미

        정여주 한국미술치료학회 2016 美術治療硏究 Vol.23 No.5

        미술치료는 환자 및 내담자의 심리 문제와 정신병리와 재활과 관련한 효과성 검증연구와 사례연구 등을 많이 다룬다. 이에 비해 미술, 미술매체, 미술의 특성과 창의성 및 창의적 과정의 치료적 의미에 대한 논의는 부족하다. 이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미술치료에서 미술의 특성과 창의성 및 창의적 과정의 치료적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미술치료에서 미술의 특성을 시각언어, 미적 감각경험, 정서표현, 상징화 과정, 카타르시스와 의사소통으로 분류하여 치료적 의미를 고찰하였다. 또한 창의성 개념과 특성을 살피고 창의적 과정을 제시하여 치료적 의미와 연결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미술의 특성과 창의성과 창의적 과정은 미술치료정체성의 기초가 되며 또한 이 주제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Many research studies and case studies on art therapy are associated with psychological problems and mental illness, and rehabilitation of patients and clients. In contrast, discussions on art, art media, the characteristics of art, and the therapeutic meaning of creativity and the creative process are lacking. Based on this phenomenon,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art and the therapeutic meaning of creativity and the creative process in art therapy were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art in art therapy with visual language, experience of aesthetic sense, emotional expression, symbolization process, catharsis, and communication were classified and investigated. In addition, the concept of creativity, its characteristics and the creative process were also used and associated with the therapeutic meaning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uggest that the characteristics of art and creativity and the creative process should be reconsidered as the basis of art therapy identity, but more in-depth studies on this subject are necessary.

      • KCI등재

        라깡(Lacan)의 주체이론이 미술치료에 주는 시사점

        이수진,김민 한국미술치료학회 2008 美術治療硏究 Vol.15 No.1

        This study have attempted to reflect Lacan's Subjectivity into art therapy and have investigated it's suggestion. Following the development in art therapy field in an aspect of quantity, the remaining work is the effort for the development in an aspect of quality. We need to have a concern about post-modernism which affects the tendency of contemporary art therapy as well as the skill of art therapists that have been overlooked in the meantime. First, Lacan’s Subjectivity could be a basis to understand clients in art therapy, emphasizing the client's existence, subjectivity and creativity. Furthermore, it could expand the reputation of art therapy by finding the possibility of connecting with post-modernism in sociology as well as other psychotherapy field, for instance, Person-Centered therapy, Gestalt therapy, Existential therapy and Buddha’s psychology. Secondly, ‘Object a’ in Lacan’s Subjectivity could enhance the role and the area of the art part in art therapy and make clients participate in dialectical sublimation processes(universal, particular, individual) through possessing the art part. Thirdly, Lacan’s Subjectivity could encourage not only clients but art therapists to understand themselves as the subject and become creative. Also it could instruct them to be continuously aware of themselves as art therapists. 국내 미술치료 분야의 양적 발전에 이어, 남아있는 과제는 향후 질적 발전을 위한 부단한 연구 노력이다. 그 노력의 일환으로 그동안 간과되어 온 미술치료자의 기술에 관한 측면 뿐 아니라, 현대 심리치료 동향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포스트모더니즘 사고에 관한 연구 관심도 필요하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는 현대 정신분석학자이자 후기구조주의 철학자인 Lacan의 주체이론을 미술치료에 조명하고, 그에 따른 시사점을 검토하였다. 첫째, Lacan의 주체이론은 미술치료에서 내담자의 실존과 주관성 및 창조성을 강조하여 그들을 더 깊게 이해할 수 있는 터전을 마련하고, 현상학적 배경의 인간 중심 치료, 게슈탈트 치료, 실존주의 치료, 붓다의 심리학 외에도 사회학의 포스트모더니즘 흐름과도 접점 가능성을 찾아 미술치료의 지평을 보다 확장시켰다. 둘째, Lacan의 주체이론에서 ‘대상a’는 미술치료에서 미술부분에 대한 역할과 범위를 확장시켜 내담자로 하여금 미술부분의 향유를 통한 변증법적 승화 과정(보편성, 특수성, 개별성)에 참여하게 하였다. 셋째, Lacan의 주체이론은 내담자뿐 아니라 치료자도 주체로서 자신을 이해하고 창조적일 수 있도록 독려하여 미술치료자로서 끊임없이 자각할 수 있도록 하는 태도와 역할을 가르쳐 주었다.

      • KCI등재

        학교미술치료의 현황과 발전방향

        이근매 한국미술치료학회 2016 美術治療硏究 Vol.2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early defines the essence of school art therapy and reviews the role of therapists in order to examine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dentifies the necessity, role and trend, and future direction of school art therapy through conducting a literature review.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chool art therapy needs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mediation of general care centers because of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schools, and professionals need to further developed. Second, school art therapists should link student problems and circumstances of the school in the contextual view and perform professional roles, focusing on the nature of the problem in order to solve it. Third, the research shows that school art therapy is highly effective in improving the responsibility of a daily life by maintaining psychological stability and subsequently making school life more amicable. Fourth, the improvement of school art therapists' specialties,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X, and the creation of the full-time art therapist positions should be required through recognition improvement, expanded researches, and compulsory supervision program to improve the field of school art therapy. Lastly, more trend research and meta-analysis for art school therapy is needed, as is unification of undiscerning mixed terms with those of school art therapy. 본 연구는 학교미술치료의 본질을 명확히 하고 미술치료사의 역할을 재조명하여 앞으로의 발전방향을 모색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문헌 연구를 통하여 학교미술치료의 필요성, 학교미술치료의 역할과 연구동향, 발전방향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미술치료는 학교라는 공간의 특수성이 있기 때문에 일반 치료기관에서 하는 중재와 구분되어야 하며, 전문가의 배양이 필요하다. 둘째, 학교미술치료사는 학생의 문제와 학교상황을 맥락적 관점에서 바라보고 문제의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문제를 해결하는 전문적인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셋째, 학교미술치료 연구는 아동,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에 도움을 주어 학교생활을 원활하게 하여 자신의 생활에 대한 책임감을 향상시키는 데에 효과적이다. 넷째, 학교미술치료의 발전을 위해서는 학교미술치료에 대한 인식개선 및 연구 확대의 필요성, 수퍼비젼의 의무화 등을 통한 미술치료사의 전문성 역량강화, 미술치료사 인력배치 확대 및 정규직 채용을 위한 법제화 노력이 시급하다. 앞으로 후속연구를 통하여 학교라는 공간에서 이루어진 미술치료 연구 동향과 메타분석연구를 기대하며, 현재 혼용되고 있는 용어를 학교미술치료라는 용어로 일치해 나가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비대면집단미술치료가 중년기 일본 결혼이주여성의 삶의 의미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안주영(Ahn, Joo-Young),신지현(Shin, Ji-Hyun) 한국미술치료학회 2022 美術治療硏究 Vol.29 No.1

        본 연구는 비대면집단미술치료가 중년기 일본 결혼이주여성의 삶의 의미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S시에 소재한 다문화 관련 복지센터의 회원인 일본 결혼이주여성 24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 12명과 통제집단 12명을 무선 배치하였다. 연구기간은 2021년 10월 1일부터 11월 12일까지 실험집단에 한해서 주 2회, 매회기마다 60분씩 총 12회기의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삶의 의미 척도와 심리적 안녕감 척도를 사용하였고, 맨-휘트니 U 검증(Mann-Whitney U test)과 윌콕슨 부호순위 검증(Wilcoxon signed ranks test)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비대면집단미술치료가 실험집단의 삶의 의미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둘째, 비대면집단미술치료가 실험집단의 심리적 안녕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셋째, 비대면집단미술치료의 변화 과정에서는 중년이 된 자신의 모습을 인정하고 과거의 긍정적인 자원과 함께 삶의 의미를 통합하여 심리적 안녕감에 변화를 보였다. 연구결과는 비대면집단미술치료가 중년기 일본 결혼이주여성의 삶의 의미와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하는 데 효과적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focused on how an online group art therapy program affects the meaning of lif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Japanese middle-aged married migrant women. The participants were 24 Japanese middle-aged married migrant women who were members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located in S city. The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with 12 members in each. The experimental group took part in the 60-minute online therapy sessions twice per week for a total of 12 sessions from October 1, 2021, to November 12, 2021. The Meaning of Life Scal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were used as measuring tools. I analyzed the data under the Mann-Whitney U test and Wilcoxon signed ranks test. According to the result, first, an Online Group Art Therapy Program has a statistically meaningful effect on the meaning of life. Second, this program has statistical significance with respect to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participants. Third, in the process of each program, experimental group members acknowledge themselves as middle-aged women and showed the change in psychological well-being while integrating the meaning of life in the past and present. The research result shows that an online group art therapy program can improve the meaning of lif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Japanese middle-aged married migrant women. Based on the result,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보호관찰 청소년과 만나는 미술치료사의 경험 탐구

        이정원(Jung-Won Lee),최선남(Sun-Nam Choi) 한국미술치료학회 2023 美術治療硏究 Vol.30 No.2

        본 연구는 미술치료사인 연구자가 ‘보호관찰 청소년’과 함께 한 미술치료 과정의 미술치료 경험과 그 의미와 본질을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미술치료과정에서 보호관찰 청소년, 미술치료사, 미술작품 3자 관계에서 치료사의 치료 경험과 의미를 탐구하기 위하여 미술치료사이며 연구자인 ‘나’의 자전적 탐구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 자료는 2019년 9월부터 2022년 11월까지 보호관찰 청소년과 함께한 미술치료 과정의 면담과 연구자 작업 자전적 저널을 통하여 수집되었다. 이 과정에서 발굴된 경험 이야기는 ‘보호관찰 청소년에 대한 선입견을 벗는다’ ‘내담자와 미술작업을 통해 공감 능력을 키운다’ ‘내담자 삶의 소중함을 알게 된다’의 의미를 생성하였다. 탐구 결과, 첫째 미술치료는 보호관찰 청소년에 대한 선입견을 벗어버리고, 내담자와 치료사의 특별한 마음을 나누는 공간이었다. 둘째 미술치료사는 자신의 감정을 치료적 매체로 진솔한 공감과 성장을 경험하였다. 셋째 내담자는 치료사와 함께 미술치료과정에서 자연스러운 소통의 변화가 확장되었다. 넷째 미술치료사는 전문가로 성장하기 위해 자기성찰적 노력을 지속해서 하고 있다.를 경험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habilitate the experience of art therapy, and the meaning and essence of art therapy with ‘an adolescent under probation' by an art therapist. In order to explore the experience and meaning of the therapist in the three-way relationship among the probation juvenile, the art therapist, and artwork, the art therapist studied autobiographically. For this study, data was collected from the interview of the youth in the art therapy and the therapist’s journals from September 2019 to November 2022. The experiential stories discovered in this process created the meaning of ‘getting rid of prejudice about juveniles under probation’, ‘developing empathy through art work with clients’, and ‘getting to know the value of client’s life’.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first, the art therapy was a space to get rid of prejudices about juveniles under probation and to share the special feelings between the client and the therapist. Second, the art therapist experienced sincere empathy and growth by using their emotion as a therapeutic medium. Third, the natural communication change of the client with the therapist was expanded during the art therapy process. Fourth, the art therapist continue to make self-reflectional efforts to grow as an expert. Based on these conten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꼴라쥬 소집단미술치료가 정신지체학생의 사회적 위축행동에 미치는 효과

        홍은주,서창원 한국미술치료학회 2012 美術治療硏究 Vol.19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a Collage small group Art Therapy on the Socially withdrawn behaviors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in a special education school.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two secondary special education school students with mild mental retardation in Chung-nam Province. Total 16 Session of small Group Art Therapy Program wad conducted, and the program is modified and redeemed on the basis of ment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bilities, Degree of participating to group, interests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For the effects of small group Art Therapy program of the subjects, Each session program process was presented, and The change of social withdrawn behaviors of each students was presented. and also the changes are recorded by using checklists and Qualitative Analysis were done.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Qualitative changes of Social withdrawn behavior are observed in the process of application of Collage small group Art Therapy program. Second,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between pre and post test of KSD, KHTP, BBRS, CBCL showed meaningful qualitative difference of Collage small group Art Therapy. In this study, we found an effectiveness of Collage in small group Art Therapy to the socially withdrawn behavior by the observation through the therapeutic process and the comparative results from the preliminary and post-test. 본 연구는 꼴라쥬 소집단미술치료가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정신지체 학생의 사회적 위축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충남에 소재한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경도 정신지체 고등부 학생 2명이다. 소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정신지체학생의 정신적, 심리적 장애특성, 능력, 흥미, 집단참여정도에 따른 적합한 내용을 근거로 수정 · 보완한 총 16회의 소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의 소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위하여 회기별 프로그램 진행과정을 제시하였고, 학생들의 사회적 위축행동 변화를 학생 개인별로 요약하고 제시하였다. 또한 체크리스트를 통한 변화를 기록하고 질적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꼴라쥬 소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정신지체학생의 사회적 위축행동에 대한 질적인 변화가 관찰되었다. 둘째, 꼴라쥬 소집단미술치료는 KSD, KHTP, BBRS, CBCL를 통한 사전․사후검사의 비교결과는 질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치료과정의 관찰과 사전 · 사후 비교결과를 통하여 꼴라쥬 소집단 미술치료가 사회적 위축행동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초등학교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 인식 조사 및 개선방안 연구

        이서영(Lee Seo-young),정여주(Jeong Yeo-ju) 한국미술치료학회 2020 美術治療硏究 Vol.27 No.1

        본 연구는 초등 특수교육현장에서의 미술치료 운영실태를 파악하였으며, 특수교사들의 특수교육 대상학생의 미술치료에 대한 인식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분석하여 개선방안이 무엇인지 탐색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 및 인천 지역의 일반 초등학교 특수교사와 특수학교 초등교사 총 1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이 중 111명의 설문지를 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미술치료에 대해 알고 있으며 심리적 이완 및 정서안정 등을 목적으로 미술치료가 필요하다고 느끼고 있으나 현재 초등 특수교육에서는 거의 실시하지 않고 있었다. 특수교사들은 미술치료가 학교에서 시행되기에 적절한 자격조건을 가진 치료사를 고용하기 어렵고, 교육과정의 운영 면에서도 재정적인 문제나 전문지식의 부족 등의 이유로 학교에서의 미술치료 시행이 어렵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선방안을 제시한다면 행정적, 재정적 지원이 필요하고, 전문성을 가진 교육에서의 전담 미술치료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또한 다양한 홍보를 통한 미술치료 인식개선도 필요하다. 본 연구는 초등 특수교육현장에서의 미술치료 운영실태와 특수교사의 미술치료에 대한 인식을 알리고, 이후 본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미술치료가 교육현장에 들어가는 것에 대한 필요성을 밝히고 그 근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dentified the operation status of art therapy in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sites, to study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f art therapy among students subject to special education and analyze those perceptions to identify an improvement plan. For this, a surve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130 teachers from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Incheon, and 111 completed surveys were used as data. According to the study, teachers are aware of art therapy and feel that art therapy is necessary for psychological relaxation and emotional stability, but such therapy has rarely been performed in elementary school special education. The surveyed teachers reported it being difficult to hire therapists with proper qualifications for art therapy to be implemented in schools, and that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art therapy in schools due to financial problems or lack of expertise in terms of the operation of the curriculum.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resenting improvements in art therapy requires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and a dedicated art therapist in education with expertise. The findings also show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awareness of art therapy through various promotions. This study informed the operation status of art therapy and the awareness of the art therapy amo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at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site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also both addressed. It is anticipated that the art therapy will be necessary and be the basis for entering the educational f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