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후추 부각의 품질 및 관능 특성

        박정혜,정라나 (사)한국조리학회 2022 한국조리학회지 Vol.28 No.7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descriptive analysis of Bugak with pepper of different color and particle size to the traditional snack, Bugak, to manufactured pepper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Bugak. Add pepper of different colors and particle sizes to made Pepper Bugak and analyzed them using the samples through moisture content, Hunter’s color value, and sensory evaluation. The moisture content of Bugak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pepper and particle size. The chromaticity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particle size of the pepper. In the sensory evaluation, a total of 27 descriptive terms were derived, and the appearance of pepper with different particle size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pepper with the same particle size added.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the odor were highly evaluated depending on the particle size of the pepper, and the taste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pepper. The texture was generally highly evaluated compared to other samples and was influenced by the size of pepper particles similar to the results of the odor. This study presented basic data on various materials that may be added to the Bugak, and it is highly suggested in that it can supplement the addition of various other ingredients or texture improvement to meet the tastes and needed of modern people in the future commercialization of Bugak.

      • KCI등재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시간 증가 예측요인

        박정혜 한국자료분석학회 2018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0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factors predicting increased usage hours of smartphone among adolescents. Secondary data was analyzed to be collected from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of 2017 Korean adolescents. This study sample included 54,601 students in middle or high schools of Kore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SPSS version 23.0 program for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n the results, the mean usage hour of smartphone among the adolescents was 28.42 (SD 23.30) per week. Analyses of the differences in usage hours of smartphone according to research variables were found that the groups of lower level of study (F=1361.067, p<.001) and sociality content type (F=761.549, p<.001) spent more time, as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The logistic analysis showed the predictive factors for increased hour of using smartphone were smartphone usage for sociality (OR: 2.44, 95% CI: 2.26-2.64) and peer group counselor (OR: 1.49, 95% CI: 1.49). Conclusionally,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s that it needs to understand cause or purpose of smartphone using of adolescent and to cope and educate on the cause. 청소년의 과도한 스마트폰 사용은 성장·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의존이나 중독의 위험과도 관련되어 있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 사용목적과 주요상담자를 중심으로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시간증가의 위험요인을 확인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현황과 원인을 이해하고 원인에 따라 올바르게 교육하고 대처하는데 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제13차(2017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참여자 중 스마트폰 사용자 54,601명의 자료를 복합표본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스마트폰 사용시간은 주당 평균 28.06시간이었고, 유용성, 오락성, 사교성의 사용목적 순서로 평균사용시간 비율이 증가하였다. 사교성 목적의 어플리케이션 유형을 주로 사용하는 경우 사용시간이 평균이상인 비율이 가장 많았고, 유용성 목적보다 사용시간증가의 위험이 2.19배 높았다. 주요상담자가 또래집단인 경우, 부모인 경우에 비해 사용시간증가의 위험은 1.43배 높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을 조절하기 위하여 단순히 시간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관련 원인을 파악하여 교육하고 대처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소년원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심상 시치료 프로그램의 현상학적 연구

        박정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6

        This study show the emotional effects in a phenomenological method of the Simsang-Poetry-therapy; integrated art and cultural therapy, 'Travel One’s Mind Toward One’s Dream' program for teens in juvenile detention center. This study was conducted because researchers were selected as ‘instructor dispatched to reading activities for 2017’ by the Korea Publishing Culture Promotion Institute, the study was conducted once a week, for 120 minutes in total, and for a total of 27 teenagers who wanted to participate in the middle school class in 00 juvenile detention center. The "Simsang(Imaginary-oriented)-Poetry therapy," an integrated art and culture therapy, was composed of eight "books" and "poetry" as media.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the statements of the participants to verify the emotional effects of the Simsang-Poetry Therapy. Phenomenological analysis has shown a positive change in group members' mood stability in the eight categories of ‘recognition, orientation life, sensitivity, self-worth, empty my mind, self-respect, healing and acceptance’. In this phenomenological way, we can see that Simsang-Poetry Therapy program has brought positive changes to the inner circle of adolescents in juvenile detention center participated in the Simsang-Poetry Therapy program. In other words, Simsang-Poetry Therapy has been effective in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tability of adolescents. 본 연구는 소년원에 있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통합 예술 · 문화치료인 심상 시치료, ‘꿈을 향한 마음 여행’ 프로그램의 정서적 효과를 현상학적인 방법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연구자가 한국출판문화진흥원에서 주관한 ‘2017년 교정시설 독서 활동 파견 강사’에 선정됨으로써 프로그램을 진행하였으며, 매주 1회, 총 120분, 00 소년원 내 중등반에서 참여를 희망한 청소년 총 27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고, 집단의 성격은 개방형이었다. 통합 예술 ‧ 문화치료인 심상 시치료(Simsang-Poetry therapy)를 ‘책’과 ‘시’를 매체로 해서 총 8회기로 구성하여 진행하였다. 심상 시치료의 정서적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참여자들의 진술을 토대로 하여 현상학적 질적 분석을 하였다. 현상학적 분석결과로 볼 때,‘인식, 지향적 삶, 감성, 자기가치, 비워냄, 자기존중, 치유성, 수용’이라는 여덟 가지 범주로 긍정적인 요소를 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현상학적인 방법으로 심상 시치료 프로그램이 소년원에 있는 청소년들의 내면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심상 시치료는 청소년들의 심리· 정서적 안정에 효과가 있었다.

      • KCI등재

        스마트폰에 의존하는 20대 성인의 의존 관련 요인

        박정혜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6

        This study explore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dependence among smartphone-dependent adults in their 20s. The data was derived from the 2017 survey on smartphone over-dependence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and the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The participants were 879 adults in their 20s. The data was analyzed by frequencies, percentages, means, standard deviations, independent t-test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instant messengers as the most used application by participants. Participants in the high risk category of dependence also used SNS (Social Networking Services), music, and games more than those in the potential risk category. The more serious the dependence, the greater the frequency of smartphone use (β=.16, p=.000), and use of games (β=.10, p=.028), webtoons (β=.14, p=.004), SNS (β=.09, p=.047), and financial transactions (β=.17, p=.000). They did not recognize their smartphone dependence when it was relatively low. However, when this became serious, they then realized that they depended on the smartphone more than others. That means that it is not easy for adults to recognize their smartphone dependence on their own. However, recognition of the problem is the first step for adults to solve their problems. A program that evaluates their problematic smartphone use should be installed and used on all smartphones.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폰에 의존하는 20대 성인의 의존 관련 요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2017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실시한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자료 중 스마트폰에 의존하는 20대, 879명을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독립표본 T 검증, Pearson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대상자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 유형은 메신저였고, 의존이 심각한 고위험군은 SNS(Social Networking Services), 음악, 게임도 많이 사용하였다. 또한, 의존이 증가할수록 스마트폰 사용빈도가 매우 잦아지고(β=.16, p=.000), 게임(β=.10, p=.028), 웹툰(β=.14, p=.004), SNS(β=.09, p=.047), 금융거래(β=.17, p=.000) 애플리케이션 사용정도가 유의하게 높아졌다. 그러나 대상자들은 의존도가 비교적 낮을 때 자신의 스마트폰 의존에 대해 거의 인식하지 못하였고, 의존이 더욱 심각해진 후 자신이 다른 사람에 비해 좀 더 스마트폰에 의존한다고 인식하였다. 이것은 성인이 스스로 자신의 스마트폰 의존을 인식하기가 쉽지 않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성인이 자신의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하는 첫 단계는 문제를 인식하는 것이다. 모든 스마트폰에 자신의 스마트폰 사용행태를 객관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KCI등재

        간호교육에서 인성교육의 필요성

        박정혜 한국자료분석학회 2013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5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need of character education perceived by nursing professors in nursing education. A cross-sectional study design was used. Data were collected from deans of nursing professors at 90 national nursing schools from January to March 2013. Nursing professors perceived that character education is very important (4.53± 0.62) but the character level of nursing students is a little high (3.57±0.74). And they thought nursing students to be required character education lately to become a qualified nurse (4.61±0.55). The character education for nursing had to be included caring, manners, persistence, responsibility, respect, honesty, ethics, self-regulation and self-confidence. In conclusion character education program is needed in nursing education for fit to practice and have to be continuous during the undergraduate nursing program. It is required to develop the character education program structured and sustainable. 최근 전 교육과정에서 인성교육이 강조되고 있으며, 특히 간호학생들은 대상자 간호에 필요한 지식․기술과 함께 간호사로서 충분한 인성적 자질을 갖추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간호교육에서 인성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간호교육의 주체자로서 전국 간호학과(부)에 재직하고 있는 간호학 교수들을 대상으로 간호교육에서 인성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과 간호학생들에게 필요한 인성적 특성, 그리고 교육과정의 특성에 따른 간호학 교수들의 학생인성수준 인식정도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교수들은 학생들의 인성수준이 다소 높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그 중요성과 필요성에 비해 현재 운영하고 있는 인성교육프로그램은 매우 부족하고, 학생들이 충분한 교육을 받을 기회도 적은 것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간호학생들에게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인성교육내용은 배려, 예절교육, 성실함, 책임감, 타인존중 등이며, 현재 정규교과과정 내 인성교육은 간호학 교수들의 학생 인성수준 인식에 차이를 일으킬 만큼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그러나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했던 봉사동아리, 주기적 인성특강이나 상담프로그램 등은 교수들의 학생 인성수준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인성교육프로그램 개발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행태와 의존에 대한 자기인식

        박정혜 한국자료분석학회 2019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1 No.4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의 비율은 매년 증가하고 있고, 2018년 중학생의 과의존 위험군의 비율은 다른 연령군에 비해 가장 높았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 중학생들의 스마트폰 의존에 대한 자기인식을 확인하여 효과적인 과의존 예방교육과 치료 프로그램 운영에 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실시한 2017년 우리나라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자료 중 과의존 위험군 중학생 499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상자의 67.5%가 자신의 스마트폰 의존을 인식하지 못하였다. 자신의 스마트폰 의존을 인식할 확률은 잠재적 위험군에 비해 고위험군이 6.363배(p<0.001) 높았고, 스마트폰 사용횟수와 사용시간은 의존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요인이 아니었다. 또한 게임과 메신저의 이용정도가 가장 높음에도 불구하고 의존을 인식하는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므로 중학생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과의존 예방교육을 실시할 때 그들의 스마트폰 사용행태에 문제가 있는지 먼저 확인할 필요가 있으며, 과의존에 대한 자기인식이 낮고, 게임과 메신저의 과도한 사용에 대해 인지하지 못할 가능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recognition of smartphone dependence of adolescents at risk of smartphone addiction. Secondary data was analyzed to be collected from the survey on smartphone overdependence in Korea. This study sample was a middle school student at risk for a smartphone addiction, and was 499 stud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SPSS version 23.0 program for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test, chi-squar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n the results, 67.5% of the students did not recognize smartphone dependence. The number and duration of smartphone usage were not significant predictors (respectively OR: 1.002, 95% CI: 1.00-1.01, OR: 1.009, 95% CI: 0.86-1.16). The highest usage purposes of smartphone were instant messengers and games. However, games were not associated with self-recognition of smartphone dependence (t=-1.351, p=0.177). The logistic analysis showed the most predictive factor was the high risk of smartphone addiction (OR: 6.363, 95% CI: 3.04-13.34). Conclusionally,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s that it needs to consider the possibility that middle school students have low self-recognition of dependence and lack of awareness of excessive use of games and messengers when conducting smartphone addiction prevention programs for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