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리더십 프레임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IT업종을 중심으로

        김승태,신택현 한국기업경영학회 2013 기업경영연구 Vol.20 No.5

        In the entangled streams of leadership studies based on the diverse perspectives, Bolman and Deal suggested an unprecedented unique leadership model named ‘leadership frame.’ Many researchers recognized this model so valuable in that it intended to assemble and integrate the partially highlighted aspects of leadership dimension that were approached with a confined perspective to a certain area, into a whole integrated one. This wholistic perspective resulted to create the concept of multi-frame leadership, whose main concern is to see thoroughly the leadership reality with more enlarged and enriched perspectives. Bolman and Deal suggested 4 types of ‘frame’ regarding leadership behavior of the leader as follows. First, the structural frame casts managers and leaders in the fundamental roles of clarifying goals, atten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structure and environment, and developing a clearly defined structure appropriate to what needs to be done. The main job of a leader is to focus on task, facts, and logic, rather than personality and emotions. The structural frame suggests that most people-problems stem from structural flaws, not personal limitations or liabilities. Second, the human resource frame suggests that people are the center of any organization. If people feel the organization is responsive to their needs and supportive of their personal goals, you can count on commitment and loyalty. The job of a leader is support and empowerment. Support takes a variety of forms: showing concern for people, listening to their aspirations and goals, and communicating personal warmth and openness. The leader empowers through participation and openness and by ensuring that people have the autonomy and resources they need in doing their job. Third, the political frame suggests that managers have to recognize political reality and know how to deal with conflict. Inside and outside any organization, a variety of interest groups, each with its own agenda, compete for scarce resources. There is never enough to give all parties what they want, so there will always be struggle. The job of a leader is to recognize major constituencies, develop ties to their leadership, and manage conflict as productively as possible. Above all, leaders need to build a power base and use power carefully. Fourth, the symbolic frame suggests that the most important part of a leader’s job is inspiration -giving people something they can believe in. People become excited about and committed to a place with a unique identity, a special place where they feel that what they do is really important. Effective symbolic leaders are passionate about making the organization the best of its kind and communicating that passion to others. Symbolic leaders are sensitive to an organization’s history and culture. They seek to use the best in an organization’s traditions and values as a base for building a culture that has cohesiveness and meaning. They articulate a vision that communicates the organization’s unique capabilities and mission.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ighlight the effects of the four frames model of leadership created by Bolman and Deal, such as structural, human resource, political, and symbolic frame, on the leadership effectiveness such as the acquisition of trusts and respects from subordinates, the effective attainment of organizational unit’s goals, the faster promotion speed of unit’s leader than his or her rivals, and the recognition as more a leader than a manager by his or her subordinates, focusing on the domestic IT-related firms. The major findings show that the four frames a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overall leadership effectiveness. That is, structural and human resource frame have significant effect on trusts and respects from subordinates and effective attainment of organizational unit’s goals respectively, with political frame having significant effect on recognition as a leader, and s... 다양한 이론적 관점에 입각한 리더십 연구의 흐름 속에서 Bolman과 Deal은 소위 리더십 프레임 (leadership frames)이라는 이론적 모형을 창안하여 제시하였다. 그간의 리더십 관련 연구물들이 매우 다양하고 복잡한 리더십 현상의 어느 한 측면만을 조명하고 밝히고자 주력한데 반해 리더십 프레임 모형은 부분적 범주에 국한되었던 이전의 연구와 관점들을 전체적으로 통합한 모형이라는 점에서 많은 연구자들로부터 그 가치를 인정받았다. 이 통합적 관점(a wholistic perspective)은 다원적 프레임 리더십(multi-frame leadership)이라는 개념을 낳았는데, 이는 리더십의 실재를 좀 더 포괄적이고 심화된(enlarged and enriched) 관점에서 명확히 밝히는데 주요 관심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프레임 리더십 모형에 입각하여 국내 IT관련 기업에서의 구조적, 인적자원적, 정치적 및 상징적 등 네 가지 관점의 리더십 프레임이 부하의 신뢰와 존경, 부서목표의 효과적 달성, 상사의 승진속도 및 진정한 리더로서의 인식 등 리더십 효과성 차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밝히는데 주된 목적을 두었다. 연구 결과, IT인력의 경우 네 가지 리더십 프레임이 전반적으로 리더십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구조적, 인적자원적 프레임은 부하의 신뢰/존경과 부서목표의 효과적 달성에, 정치적 프레임은 리더로서의 인식에, 그리고 상징적 프레임은 상사의 승진속도와 리더로서의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선행연구들의 논의를 대부분 지지하는 결과로 IT업종의 경우 열악한 과업환경과 이로 인한 상대적인 박탈감, 개인간/부서간 갈등수준이 높다는 점에서 본 연구결과는 이러한 현실을 고려한 리더십 발휘가 요구된다는 점을 부각시키고 있으며, 이 점이 본 연구의 의의이다.

      • KCI등재

        교원들이 인식하는 수석교사제의 문제점, 원인 및 개선 방향 : Bolman & Deal의 조직 프레임을 활용한 분석

        장덕호,백선희,김한나 한국교원교육학회 2015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2 No.3

        본 연구는 수석교사제의 문제점, 원인 및 개선 방향을 Bolman & Deal(2003)의 네 가지 조 직인식 프레임, 즉, 구조적, 인간자원적, 정치적, 문화상징적 프레임들을 통해 심층적으로 진 단하였다. 이를 위해 일반교사, 수석교사, 교감, 교장 그룹별로 중점 집단 면담(Focus Group Interview)을 수행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각 프레임별로 드러난 문제점, 원인 및 개선 방향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구조적 프레임에서 참여자들은 법제도상의 뒷받침 부족으로 인한 수 석교사 지위 및 역할의 불분명성과 불안정성을 매우 심각한 문제로 보고, 수석교사의 교내 법적 지위와 역할을 보다 명확하고 근본적으로 규정하는 노력이 필요함을 역설하였다. 인간 자원적 프레임에서는 수석교사의 선발과정에서 보다 엄격한 기준의 마련을 통하여 준비되고 역량 있는 수석교사의 선발과 지속적인 연수를 통한 수석교사 역량의 함양이 필요함을 확인 하였다. 정치적 프레임에서는 수석교사와 교감과의 관계 및 권한 상의 갈등을 큰 문제로 지 적하였고, 해결책으로 수석교사의 전문성 고취와 함께 갈등 해결을 위한 리더십 및 대인관계 기술·기법의 함양이 필요함을 발견하였다. 문화상징적 프레임에서는 수석교사제가 위계적·연 공서열 문화와 학교조직의 이중적 속성으로 인해 제약받고 있으며, 대안으로 수업중심 학교 문화 조성과 이를 주도할 수 있는 수석교사의 교수 리더십(instructional leadership)의 함양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the issues, causes, and possible solutions of Master Teacher System using Bolman & Deal’s reframing approaches, which are developed to provide solutions for issues and problems occurring at an organization. To this end, five focus group interviews (FGI) were conducted within a group of each position such as general teacher, head teacher, master teacher as well as principal and deputy principal.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e FGIs, the issues, causes and possible solutions for those issues were revealed. First, in terms of the structural frame, the FGI participants raised the issue of unclear status and roles of master teachers due to an unclear law regarding master teacher system, and then suggested to bolster a law to support master teachers’ legal status and roles. In terms of the human resource frame, the teachers and school administrators argued to make a system for selecting master teachers more rigorous so that teachers and school administrators can acknowledge master teachers’ professional abilities. From the political frame, the participants pointed out the issues of politics and conflicts between master teachers and deputy principals, who have had the most similar status and roles with master teachers. As a possible solution for the issue, master teachers were suggested to have leadership skills to establish good relationships with others including deputy principals in schools. From the symbolic frame, the master teacher system, which includes the nature of horizontal culture, has conflicted with hierarchical and seniority-based culture which has dominated Korean schools. As a solution for the issue, the FGI participants suggested for master teachers to foster instructional leadership in order to lead teaching-oriented culture.

      • KCI등재

        A 교육청의 조직특성과 직무만족도 및 직성과와의 관계 Bolman과 Deal의 조직이론을 활용하여

        강호수,장덕호,김한나,양수진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21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2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A”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by using the organizational theory of Bolman and Deal and to empirically investigate whether the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zation proposed by Bolman and Deal are actually related to the job satisfaction of the employees working at “A”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nd the job performance. To do this, we surveyed the internal and external members of “A”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basic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Office of Education A were highest in the order of political characteristics, symbolic characteristics, human resource characteristics,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Second,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human resource characteristics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e job satisfaction. Third,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represented that Both human resource characteristics and political characteristic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job performance. Then, we provide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of the organization. Finally, we described limitations and provided follow-up studies.

      • KCI등재

        A교육청 조직문화에 대한 구성원 인식 탐색 연구: Bolman과 Deal의 조직 프레임을 중심으로

        강호수 ( Kang Ho Soo ),백병부 ( Baek Byoung-bu ),장덕호 ( Jang Deok-ho ),오재길 ( Oh Jae-gil ),김한나 ( Kim Hannah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Bolman과 Deal(2013)의 네 가지(구조적, 인간자원적, 정치적, 상징적) 조직 프레임에 근거하여 A교육청 조직문화의 주요한 현상과 특징을 구성원들의 인식을 바탕으로 다차원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다. 일반직, 전문직, 교사 등 다양한 집단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면담을 실시한 결과, 구조적 관점에서 교육청은 명확히 구분되지 않는 업무로 인해 부서간의 업무 떠넘기기(업무 핑퐁)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고, 인간자원적 관점에서 교육청은 교육청의 구성원들이 대부분 승진 등과 같은 개인의 이익에 대한 욕구가 높은 높았으나, 전문성 개발에 관해서는 일반직과 전문직의 실천 방법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정치적 관점에서 교육청은 조직 내부의 직렬간, 직렬내, 부서간 구성원간의 갈등 뿐 만 아니라 조직 외부와의 갈등이 존재하였다. 상징적 관점에서 A교육청은 우리나라 교육을 선도하는 교육청이라는 데 이견은 없었으나 조직 내부에서 비전에 대한 자발적 실천은 부족하다고 지적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교육청 조직문화 개선을 위해서는 우선 구조적 차원에서 추진 정책과 사업들 간의 정합성을 높여야 할 것이며, 그동안 관행으로 인정되어온 각종의 관료적 일처리 방식과 부서 간 소통을 가로막은 지침들을 새롭게 재편하여야 할 것이다. 인간자원적 차원에서는 구성원들의 역량(전문성) 개발을 위한 각종의 훈련과 연수를 지원하고 각종 정책의 추진과정에 전 구성원이 적극 참여할 수 있는 규범을 만들어야 할 것으로 보이고, 정치적 차원에서는 편가르기식 행정관행을 원점에서 놓고 재검토하고, 생산적인 갈등 관리 방법이 도출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징적 차원에서 구조적, 인간자원적, 정치적 차원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문화적으로 치유하기 위한 방편으로서 다양한 의례와 문화적 표상들을 다수 창출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in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A”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based on Bolman and Deal’s four (structural, human resource, political, symbolic) fram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tructural frame, it has been found that there are severe shift of responsibility between the departments due to the tasks that are not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frame of human resource, most of the members have a specific desire for personal interests such as promotion. From the political frame, there is a conflict between the members in the office and outside the organization. From the symbolic frame, the voluntary practice of vision is lacking. In order to improve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office of Education, it should increase the coherence between the implementation policy and the projects. Also,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the guidelines to prevent communication between departments.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support training for the development of competence of the employees and to make a tradition that all the members can actively participate in the decision making process. Further, it is necessary to reform the one-sided administrative practices and we need to derive productive conflict management methods. And rituals and symbols should be created so that it can become the Office of Education leading the organizational culture.

      • KCI등재

        교육부 부처 내부를 대상으로 한 교육부장관 리더십 사례 연구

        박남기,임수진 한국교육행정학회 2019 敎育行政學硏究 Vol.37 No.1

        This study aims to use the four frames of Bolman and Deal, structural frame, human resource frame, political frame, and symbolic frame as research models for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leadership within the education ministry.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former education ministers and four former public officials of MOE(Minister of Education), and indirect interviews with literature analysis described the internal leadership of Education Minister by 4 lenses of structural, human resource, political and symbolic fram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a 3 step method: transcription, coding, and theme finding. As a result of this paper, researchers found that the structural frame suggests that personnel reshuffle by the new education minister can cause organizational turmoil, whether by ability or not. Therefore, while respecting reasonable personnel principles and practices,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cases where the existing practices need to be overcome in order to ensure smooth organization management. In the human resources framework, ministers had diverse morale-boosting leadership, including consensus and communication, leadership of smooth internal communication of excellent communication and communication skills, and leadership for increased capacity. Meanwhile, the political framework also revealed cases of conflicts in personnel management and struggles between ministers and public officials in MOE(Ministry of Education). Finally, in the sybolic frame, an understanding of the internal perspective of MOE remains a point of suggestion that it is also necessary to show leadership. The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renewed awareness of the new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the education minister's administrative leadership by introducing leadership examples within the Education Ministry's previously unknown ministry. 이 연구는 교육부장관의 교육부 부처 내 리더십에 대한 총체적인 이해와 분석을 위해 Bolman과 Deal의 네 가지 조직 프레임(구조적 프레임, 인간자원적 프레임, 정치적 프레임, 문화상징적 프레임)을 연구모형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역대 교육부장관 5인과 전직 교육부 공무원 4인을 대상으로 심층면담과 집담회라는 직접 면담을 수행하였고, 추가로 간접면담과 문헌 분석도 함께 진행하였다. 교육부장관이 부처 내부에서 진행하는 주 업무인 조직관리, 인사 관리, 정책관리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구조적 프레임에서 신임 교육부장관의 인사 단행 조치는 능력에 의하든, 아니든 조직 동요를 가져올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합리적 인사 원칙과 관행은 존중하되 원활한 조직 관리를 위해 기존의 관행을 뛰어넘어야 할 경우에는 신중하게 숙고해야 한다. 인간자원적 프레임에서 장관들은 사기 앙양을 위해 공감대 및 소통·경청의 리더십, 뛰어난 대화와 소통 능력의 원활한 내부 소통의 리더십, 포용 리더십, 역량 제고를 위한 리더십 등 다양한 사기 진작 리더십을 구사하고 있었다. 한편 정치적 프레임에서는 인사 운영 과정에서의 갈등 사례와 장관·관료 간 힘겨루기 현상도 드러나기도 했다. 마지막으로 문화상징적 프레임에서는 교육부 부처 내부적 시각에 대한 이해 또한 리더십 발휘를 위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남기고 있다. 이 연구는 교육부장관의 교육부 부처 내부에서의 리더십 사례를 소개함으로써 교육부장관의 행정적 리더십의 새로운 가능성과 한계를 새롭게 인식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초등학교 조직문화에 관한 교원 인식 탐색 연구

        노길명,이재덕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교육문화연구 Vol.28 No.5

        본 연구의 목적은 Bolman과 Deal(2013)이 제시한 네 가지(구조적, 인간자원적, 정치적, 문화상징적) 조직 프레임에근거하여 초등학교 조직문화의 특징, 원인, 개선 방안 등을 다차원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일반교사, 부장교사, 관리자(교장, 교감)를 대상으로 초점 집단 면담(Focus Group Interview)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구조적프레임에서 부장교사를 기피하는 현상이 나타났으며, 관료제적 학교 구조로 인한 업무 과중이 그 원인이었다. 해결방안으로 민주적인 업무분장과 부장교사로서의 효능감 증진을 위한 보직 수당 개선, 승진 점수 반영 확대 등 현실적유인가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인간자원적 프레임에서는 교사 간 의사소통과 협력이 부족한 현상이 나타났는데, 이는 교사 간에 개인주의적 문화가 팽배한 것이 원인이었다. 해결 방안으로 전문적 학습공동체와 현지 연수 지원을통해 다양한 회복의 장이 마련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정치적 프레임에서는 조직 내부에서 역할기대의 차이로 발생하는이해대립 현상이 나타났으며, 이는 갈등에 대한 무위(無爲) 대응 현상이 그 원인으로 확인되었다. 해결 방안으로공식적 갈등 조정기구의 운영과 관리자의 갈등 관리 역량 함양의 필요성이 제안되었다. 문화상징적 프레임에서는학교장의 비전에 순응하는 소극적 문화가 형성된 현상을 확인했으며, 이는 구성원들의 학교 비전에 대한 내재화부족이 원인이었다. 해결 방안으로 교사 임파워먼트를 강화하여 교사들이 함께 조직목표를 공유해나가야 한다고주장하였다.

      • KCI등재

        고경력 초등교사의 교직생활 특성

        이민정,박수정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24 교육연구논총 Vol.45 No.2

        최근 학생 수 감소로 신규교사 선발 인원이 점진적으로 축소하고 있는 상황에서 초등교사의 연령대가 높아지고 있다. 이 연구는 초등학교 내 고경력 교사의 비율이 높아지고 있는 교육 생태계의 변화 속에서 고경력 초등교사의 교직생활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고경력 초등교사 6명을 심층면담하고, Bolman과 Deal(2013)의 네 가지 조직 프레임 이론을 분석 틀로 삼아, 구조 및 환경과의 상호작용에서 발생되는 교직생활의 실천 양상과 교직생활에 대한 경험과 의미를 구조적, 정치적, 인간자원적, 상징적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조적 관점에서 평교사로 결정 시기에 따른 교육 양상은 이른 결정의 몰입, 늦을 결정의 승화로 나타났다. 둘째, 다층적 이해관계의 정치적 관점에서는 ‘못참지 성향’과 ‘나몰라 성향’의 복수적 자아의 양상을 보였다. 셋째, 인간자원적 관점에서는 숙련된 기술의 방법적 전문가로 나만의 수업 틀거리 찾기, 일머리 찾기가 나타났다. 넷째, 상징적 관점에서는 삶과 본질의 흔들림 속에서 놓아버림과 재적응의 모습을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고경력 교사의 교직생활 특성과 의미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고경력 교사가 갖는 잠재성과 한계를 제시하였다. The age group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s increasing at a time when the number of new teachers is gradually decreasing due to the recent de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fessional lives of highly experienced teachers, given the growing proportion of such teachers in schools. To achieve this, in-depth interviews with six highly experienced teachers were conducted, and Bolman and Deal's(2013) four organizational frame theories were used as an analytical framework to examine the practical aspects of professional life that arise from interactions with structure and environment. The experience and meaning of teaching life were analyzed from structural, political, human resources, and symbolic perspectives. The main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rom a structural perspective, the educational patterns based on the timing of the decision to remain a teacher were identified as immersion for those who decided early and sublimation for those who decided later. Second, from a political perspective involving multi-layered interests, the research revealed a plural self-image characterized by tendencies to adopt positions of unacceptance and ignorance. Third,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 resources, finding a class framework and finding a job know-how appeared as methodological experts of a long-standing skill. Fourth, from a symbolic perspective, shaking and re-adaptation were observed in the fluctuations of life and essenc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highly experienced teachers’ professional life were comprehensively analyzed, and the potential and limitations of highly experienced teachers were presented.

      • KCI등재

        보먼과 딜의 4구조 모델을 이용한 대학 내 새 조직 분석

        박원혁 ( Park Won Hyuk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2

        현대 사회의 복잡성과 함께 고등교육에서도 보다 나은 학생 교육을 위해 기관의 운용과 발전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보먼과 딜의 4구조 모델을 이용하여 대학에 새로운 프로그램 제공 조직을 분석하였다. 개개인 면담과 조직 내의 회의 참가를 통해 정보와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4구조 모델의 구조적, 인적, 정치적, 그리고 상징적 틀을 통해 해당 연구대상인 조직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새 프로그램은 공통의 이익을 바탕으로 해당 조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독립적으로 일하는 열정적인 구성원들이 긍정적인 조직분위기와 지원적인 조직문화를 만들고 있었다. 하지만 해당 조직이 상징성을 잘 활용하며 인적, 환경적, 상징적 틀에 맞게 잘 구성되어 있으나 구조적 틀로 봤을 때, 해당 조직을 일관성 있게 이끌어 나갈 수 있는 조직의 장의 부제가 아쉬웠다. 그리하여 해당 조직의 발전을 위해, 공유된 비전을 통해 조직을 보다 적극적이고 일관성 있게 이끌어 나갈 수 있는 조직의 장이 필요하다고 본다. With the complexity of modern society, it has become essential to understand how an institution functions and what is the key to better development for educating students in higher education. This study analyzed a new program(organization) at a college using the four frame model of Bolman and Deal. From the information gathered during the study, interviews and attendance at staff/club meetings, the researcher viewed the organization through the four frames including: structural, human resource, political, and symbolic.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gram had enthusiastic individuals working independently to achieve their goals with common interests, which provide the culture of support and positive climate for constituents. Even though the organization was immersed in symbolism and well framed in the perspective of human resource and environment, the structural frame was not as strong since there was no principal leader in the organization to provide the cohesiveness. It was recommended that the organization hires a Director who provides the cohesiveness, shared vision, and motivation necessary to move the organization forward.

      • A Study On Leadership and Management Effectiveness Based on a Multi-Frame Model : A Case Study for Railway Public Enterprises

        Shin, Tack-Hyun,Choo, Jun-Sup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2011 International Journal of Railway Vol.4 No.3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ighlight the effects of the Bolman and Deal's multi-frame leadership on the several dependent variables such as job satisfaction, respect from subordinates, effective goal attainment, promotion speed, and recognition as more a leader than a manager. To attain this purpose, 488 questionnaires verified to be free from flaws were processed through SPSS 14 Windows. The major finding was that versatile and adroit use of multiple frames can contribute to the effectiveness and success of the leader. That is, the multi-frame leadership had strong relationships with dependent variables such as trust and respects from subordinates, effective attainment of unit's goal, job satisfaction, recognition as more a real leader than as a manager, and promotion speed of boss. When we consider the ever-increasing environmental complexity surrounding every organization and the growing levels of needs of employees, the use of multi-frame leadership is not an 'ought' but a 'must' for all the people who aspire to become effective and successful leaders.

      • A Study On Leadership and Management Effectiveness Based on a Multi-Frame Model

        Tack Hyun Shin,Jun Sup Choo 한국철도학회 2011 International Journal of Railway Vol.4 No.3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ighlight the effects of the Bolman and Deal's multi-frame leadership on the several dependent variables such as job satisfaction, respect from subordinates, effective goal attainment, promotion speed, and recognition as more a leader than a manager. To attain this purpose, 488 questionnaires verified to be free from flaws were processed through SPSS 14 Windows. The major finding was that versatile and adroit use of multiple frames can contribute to the effectiveness and success of the leader. That is, the multi-frame leadership had strong relationships with dependent variables such as trust and respects from subordinates, effective attainment of unit's goal, job satisfaction, recognition as more a real leader than as a manager, and promotion speed of boss. When we consider the ever-increasing environmental complexity surrounding every organization and the growing levels of needs of employees, the use of multi-frame leadership is not an 'ought' but a 'must' for all the people who aspire to become effective and successful lead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